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유가와 주가의 관계 분석

        임대봉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국제유가(Dubai)와 주가(KOSPI)의 관계를 국제유가의 안정기(1993~1996년)와 상승기(2000~2008.1월)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국제유가 안정기에 국제유가와 주가는 음(-)의 상관관계, 인과관계분석에서는 국제유가변동이 주가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국제유가의 충격은 주가에 음(-)의 반응을 나타내 국제유가의 상승(하락)은 주가하락(상승)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국제유가 상승기에 국제유가와 주가는 양(+)의 상관관계, 교차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후기의 추정계수가 양(+)의 값을 보여 국제유가와 주가는 동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인과관계분석에서는 주가의 변동이 국제유가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가의 충격에 따른 국제유가 반응은 초기부터 장기적으로 정(+)의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2000년대 이후 국제유가 상승기에 있어서 국제유가와 주가는 뚜렷한 동조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신흥공업국들의 빠른 경제성장이 원유수요의 증가로 작용하여 국제유가가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주가는 경기를 반영하여 움직이는 경제 변수이므로 주가의 변동은 원유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주가와 국제유가는 동행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price of Dubai crude oil soared after the early 2000s, but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has been on an upward tren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 of the Dubai crude oil price to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by using Correlation, Granger causality test,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Variance decomposi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is study explores that the KOSPI volatility began to have an immediate effect on Dubai oil price and, on the other hand, the price of Dubai crude oil has not influenced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After the early 2000s, The rise in oil prices was connected with a rise in demand for oil due to the increases in emerging markets such as China, Brazil and India. Therefore the oil price has been accompanied by the KOSPI.

      • KCI등재후보

        간접보유증권의 국제재판관할과 준거법

        천창민(Changmin Chun) 한국국제사법학회 2013 國際私法硏究 Vol.19 No.1

        오늘날 투자자는 주권, 채권 등의 실물 유가증권을 자신이 직접 보유하지 않고 거래 증권사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투자자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한국자동차라는 회사의 주식을 증권사를 통해 매수한 경우 그 매수주식의 주권은 투자자에게 교부되지 않고 중앙예탁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결제원”)에 계속 보관되며 투자자는 거래한 증권회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예탁결제원에 보관·예탁된 해당 주권을 공유권 및 간접공동점유라는 형식으로 보유하게 된다. 이를 간접보유시스템이라 하며 간접보유시스템을 통해 보유된 증권을 간접보유증권이라 한다. IT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전자증권화 내지 무권화·부동화가 진전되면서 유가증권보유 형태도 직접보유에서 간접보유로 변하게 된 것이다. 한편, 종래 섭외적 요소가 있는 증권매매 및 증권담보거래 등과 관련한 물권적 측면에 대해서는 그 연결점으로서 목적물 소재지법(lex situs)을 유가증권에 적용하여 유가증권의 소재지법(lex rei cartae sitae)에 의한다는 것이 전세계적인 통설이다. 그런데 증권소재지법을 간접보유시스템에서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는 해당 사안에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갖는 연결점을 찾고자 하는 국제사법적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증권소재지법은 간접보유증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전세계적인 학계 및 실무계의 조류이다. 이를 반영하여 헤이그국제사법회의와 유럽연합은 헤이그유가증권협약, 결제완결성지침 및 금융담보지침에서 간접보유증권에 관한 명문의 연결규칙을 도입하였고, 독일, 미국, 캐나다, 스위스, 대만 등도 국가적 차원에서 간접보유증권의 물권적 측면에 관한 명문의 연결규칙을 규정하기에 이르렀다. 비록 유럽연합의 결제완결성지침, 금융담보지침 및 독일의 예탁법(Depotgesetz)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결점과 헤이그유가증권협약, 미국, 캐나다, 스위스, 대만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결점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간접보유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증권소재지가 타당한 연결점이 될 수 없다는 인식 하에 이를 포기하고 ‘관련중개기관’을 중심으로 한 이른바 ‘PRIMA’ (Place of Relevant InterMediary Approach) 원칙을 기초로 연결점을 구축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간접보유증권 거래는 대규모의 빈번한 거래 및 서로 연계된 금융기관의 도산에 따른 시스템 위험의 증가 등 그 특수성으로 인해 상당한 예측가능성(predictability)과 사전적인 법적 확실성(ex ante certainty)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행 국제사법의 해석만으로는 간접보유증권 거래에 관한 명쾌한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제사법에 간접보유증권의 물권적 쟁점에 관한 명문의 연결규칙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명확한 연결규칙의 도입으로 거래당사자와 제3자에게 예측가능성과 법적 확실성을 도모할 수 있고 그 결과 불필요한 분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권거래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고에서는 향후 예정된 국제사법의 개정과 관련하여 간접보유증권의 물권적 쟁점에 관한 연결규칙의 신설안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한 기존의 유가증권 관련 규정의 개정안을 함께 제시한다. 간접보유증권의 국제재판관할에 관하여는 별도의 특별관할 규정을 둘 필요가 없음을 규명한다. In the modern era, investors usually do not hold securities certificates such as share certificates and bond certificates by themselves but hold them indirectly through intermediaries like securities firms and banks where they have securities accounts. For instance, when a Korean investor purchases certain shar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the shares certificates he bought are not distributed to him but are held with and safe-kept at the Korea Securities Depository (“KSD”), the sole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 in Korea. He indirectly holds the share certificates in custody with the KSD through his intermediary in the form of co-ownership and co-possession. The securities holding pattern has changed from a direct to indirect one, coupl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a private international law (“PIL”) analysis, the conventional common view was that proprietary aspects of securities transactions with foreign elements should be governed by the law of the place where securities certificates are located (the lex cartae sitae). However, it is also a common view that the lex cartae sitae cannot be applicable to indirectly held securities, also known as intermediated securities, because one of the fundamental purposes of PIL - finding a closest connection with the questions in dispute - cannot be attained if the lex situs rule applies to intermediated securities. Hence, the Hague Conference and European Union adopted the Hague Securities Convention, Securities Settlement Directive, and Financial Collateral Directive, which abandon the lex cartae sitae as the proper connecting factor and instead introduce specific PIL rules tailored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The United States, Germany, Canada, Switzerland, and Taiwan also take the same statutory measures of adopting special PIL rules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The PIL rules introduced by such countries and international and regional instruments, though different in detail, at least have the common feature in that they give up the lex cartae sitae and adopt the Place of Relevant Intermediary Approach (“PRIMA”), which focuses on relevant intermediaries as the most appropriate connecting factor in determining the law applicable to the proprietary aspects of intermediated securities. Intermediated securities transactions involve massive, frequent and speedy deals. The intermediated system could face systemic risks due to complex linkage between intermediaries if an intermediary in the system becomes insolvent. Thus, such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d securities transactions and the intermediated system require substantial predictability and ex ante certainty. This necessitates a clear and specific PIL rule for proprietary aspects of intermediated securities in the future Korean PIL Act because application of the PRIMA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Korean PIL Act has limitation. A clear connecting factor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in the Korean PIL Act will bring predictability and ex ante certainty to relevant parties and third parties. Thus it may prevent unnecessary disputes in advance and contribute to vitalisation of cross-border securities transactions. In this respect, this paper presents a proposal for new PIL rules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in relation to the expected amendment to the Korean PIL Act.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for a special jurisdiction rule for intermediated securities in the Act.

      • KCI등재

        국제유가 변동성의 비대칭성과 장기의존성

        윤성민,강상훈,하명신 한국산업경제학회 2007 산업경제연구 Vol.20 No.5

        국제유가 변화율의 시계열은 비정규성, 시계열 자기상관, 두터운 꼬리, 높은 첨도, 비대칭성 등과 같은 특별한 확률분포 특성을 보이고 있고, 그것의 변동성은 시간의존성, 변동성 군집성, 비대칭성, 장기기억 특성 등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유가 변동성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변동성 모형들을 이용하여 그것의 변동성 시계열에 내재되어 있는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인 비대칭성과 장기기억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유가 변동성에는 레버리지효과가 존재하지만, EGARCH 모형이나 GJR-GARCH 모형과 같이 비대칭성만을 고려하는 모형으로는 국제유가 변동성을 묘사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제유가 변동성에는 장기기억이 존재하지만, FIGARCH 모형과 같이 장기기억 특성만 잘 묘사하는 모형은 국제유가 변동성의 비대칭성을 고려하지 못하므로 불충분하였다. 셋째, FIAPARCH 모형을 이용하여 국제유가 변동성의 비대칭성과 장기기억 특성을 동시에 발견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넷째, 국제유가 변동성 모형을 추정하는 경우에는 잔차항에 대한 Skewed Student-t 분포 가정이 다른 두 분포 가정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exist some peculiar features in the volatility of crude oil price variation such as non-normality, serial correlation, fat-tails, excess kurtosis, volatility clustering, asymmetry and persistenc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symmetry and the long memory property in the volatility of oil price variation. For this purpose, we examine some GARCH class models accommodating these stylized volatility factors. From the estimation and diagnostic tests, we found some interesting results as follows; (a) Although there exists the asymmetry in the volatility of oil price variation, some models, such as EGARCH or GJR-GARCH, are not able to account for modeling volatility persistence or long memory. (b) In spite of modeling a long memory feature in the volatility of oil price variation, a FIGARCH model is not suitable for capturing the volatility asymmetry. (c) A FIAPARCH model can capture not only the asymmetry, but also the long memory property in the volatility of crude oil price variation. (d) In estimating long memory volatility models for the oil price variation, the assumption of a skewed Student-t distribution provides better performance than symmetric distributions.

      • KCI등재후보

        동시상장 기타 자본시장 국제화에 따른 국제사법 문제의 서론적 고찰

        석광현(Suk, Kwang Hyun) 한국국제사법학회 2014 國際私法硏究 Vol.20 No.2

        여기에서는 한국 자본시장의 국제화에 따라 제기되는 국제사법 문제에 대한 서론적 고찰로서 사법적(私法的) 법률문제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살펴 본다. 이를 위해 국제사법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국제사법 다양한 분야를 소개하고(Ⅱ.), 국제적인 증권의 발행과 상장(Ⅲ.), 자본시장법 위반에 따른 민사책임의 준거법(Ⅳ.), 유가증권, 특히 간접보유증권의 국제적 처분의 준거법(Ⅴ.), 국제증권거래와 복수예탁결제제도의 연계(Ⅵ.)와 외인법의 문제(Ⅶ.)의 순서로 논의한다. 국제적인 증권의 발행과 상장에는 원주 또는 DR의 발행이 있는데 원주발행 시에는 ① 국제회사법, ② 국제자본시장법, ③ 상장기준을 정한 거래소의 상장규정과 ④ 주식 양도와 관련하여 국제유가증권법의 문제가 제기된다. 제Ⅲ장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룬다. 제Ⅳ장에서는, 외국인이 한국거래소 상장증권에 관하여 외국에서 내부자거래, 시세조종, 부정거래행위 등 불공정거래행위를 하고 그 효과가 한국 내에 미친다면 민사책임의 준거법이 문제되는데 그 경우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정한 국제사법 제32조의 적용 여부가 문제된다. 이처럼 자본시장법 위반에 따른 민사책임의 준거법 결정이라는 국제사법의 한 분야를 ‘국제자본시장법’이라 할 수 있다. 제Ⅴ장에서는 유가증권, 특히 간접보유증권의 국제적 담보제공 기타 처분의 준거법을 다루는데, 여기에서는 이른바 PRIMA와 헤이그증권협약을 논의한다. 제Ⅵ장에서는 국제증권거래와 복수예탁결제제도의 연계와 관련된 문제를 다룬다. 국제증권거래에는 첫째, 외국투자자의 국내증권투자와 둘째, 국내투자자의 외국증권투자가 있는데, 이 경우 발생하는 복수예탁결제제도의 충돌에 따른 법적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제Ⅶ장에서는 외인법의 문제를 다룬다. 이는 상법과 자본시장법이 어느 범위 내에서 한국거래소에 주권을 상장한 외국회사에 적용되는지 여부와 그 범위의 문제이다. 요컨대 우리도 자본시장법이 규율하는 대상의 다양성을 충분히 인식하면서 적절한 연결원칙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자본시장법 전문가와 국제사법 전문가의 협력이 긴요하다. 자본시장법 분야도 또 다른 국제사법적 논점의 보고이다.

      • KCI등재

        중동지역생산국 행위시각에서 본 국제석유가격변동 연구: “시장극대화” vs. “재정극대화”

        김연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1

        This paper will attempt to analyze the causes behind the cyclical structure of international oil price volatility where normal oil prices suddenly crash and later rise back to a high level agai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hoices and actions made by producing countries. Oil-producing countries are exceptional countries, ones where political and economic activity is centered around exporting of oil and division of oil dollars. National revenue of oil-producing countries largely depends on the single product of oil production and exportation, and with a complete lack of internal capital they are countries that cannot but depend on foreign capital for oil development. Existing theories on the development of producing countries mainly draw negative conclusions on the long-term development possibilities for these countries, but say that this is from an unequal structure in the trade relationship between producing countries and consuming countries mainly based on divergent opinions such as terms of trade. This paper intends to reconsider the issue of low development in producing countries through taking a look at why oil trading between producing and consuming countries so easily leads from a normal relationship to an abnormal one with rapid rises and falls in oil prices, as well as what sort of effect this abnormal relationship has especially on the development of producing countries. 본 논문은 적정유가가 폭락하여 저유가가 되고 저유가는 다시 고유가가 되는 순환구조(국제유가 불안)의 원인을 생산국의 선택과 행위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생산국의 발전에 대한 이론들은 석유생산국들의 장기적인 발전가능성에 대해 대체로 비관적인 결론을 내리고 있지만 주로 교역조건과 같은 이론에 근거하여 생산국과 소비국의 무역관계의 불평등구조 때문에 그렇다고 말하고 있다. 본 논문은 생산국과 소비국의 석유거래가 왜 정상적인 관계에서 유가 폭락과 폭등의 비정상적인 관계로 흐르기 쉬우며 이러한 비정상적인 관계는 특히 생산국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봄으로써 생산국의 저발전문제를 재고찰하고자 한다. 국제유가 불안은 저유가-고유가 순환구조의 형태를 취하며, 해외자본협력체제하에서 생산국은 저유가로 수출시장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 해외자본협력체제의 가장 큰 이익은 석유수출시장을 확대하고 안정된 석유수요를 창출한다는 것이다. 미국 주도의 해외자본과의 결탁은 이익도 있지만 폐해도 크다. 석유생산국은 국제석유정치의 구조적 제약 하에서 자신의 경제발전을 도모해야하기 때문에 국제석유정치의 구조적 특성상 생산국은 해외자본과의 협력체제만으로는 장기적 경제발전을 성취할 수 없다. 이 경우 생산국은 석유에서 창출되는 수익을 국유화를 통해 재정수입으로 환수함으로써 악화된 재정상황을 개선하게 된다. 재정극대화전략은 생산국들(OPEC)과의 협력을 통해 고유가를 통해서 실현된다. 본 논문의 주장은 국제유가의 폭락과 급등은 근본적으로 석유생산국과 선진소비국간의 무역에 있어 석유생산국에게 장기적으로 교역조건이 악화되는 병리적 국제석유정치구조와 병리적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한 생산국의 선택(저유가-해외자본협력체제 vs. 고유가-OPEC 협력체제)과 행위(시장극대화(market-share maximization) vs. 재정극대화(budget-maximization))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구조변화를 고려한 국제유가와 중국 물가지수의 관계에 관한 연구

        원두환,정수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china 's producer price index (PPI) and consumer price index (CPI) reflecting structure change. The Gregory-Hansen cointegration test was used to estimate the cointegration relationship and the breakpoint of the structural change, and the cointegration relation and the Granger causality were analyzed for the sub-periods before and after the structural change.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long run stable relation between international oil price and price indexes, but the relationship has weakened after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period prior to the structural change, international oil price has a Granger causality in PPI, but after the structural change, international oil price has a Granger causality in PPI and CPI. The results show not only the long-run stable relationship between oil price and prices, but also changes in short-term fluctuations are under way. Considering structural changes can more close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price indexes. 본 연구에서는 구조변화를 반영하여 국제유가와 중국의 물가변수 간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Gregory-Hansen 공적분 검정을 통해 공적분 관계의 여부를 살펴보았고 구조변화 시점을 구하였으며, 구조변화 시점 전후 부분 기간에 대해 공적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기에는 VECM 모형을 사용하고 후기에는 VAR모형을 사용하여 각각 Granger 인과성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국제유가와 물가변수 사이에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지만, 그 관계는 구조변화 이후 약해졌다. 구조변화 이전 기간 국제유가는 도매물가지수에 Granger 인과성을 갖지만, 구조변화 이후 기간 국제유가는 도매물가지수와 소매물가지수에 Granger 인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물가는 국제석유가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할 정도는 아니지만, 국제유가는 중국의 물가에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유가 변동은 생산비용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변화에 관계없이 도매물가지수에 일관성 있게 영향을 미쳤다. 구조변화 이전 기간에 국제유가가 소매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약했지만, 최근 들어서면서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국제유가와 물가의 장기적 관계뿐만 아니라 단기변동의 관계에도 변화가 진행 중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조변화를 반영한다면 국제유가와 물가변수 사이의 관계를 좀 더 엄밀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한국에서 환율 및 국제유가의 변화가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비선형효과 분석

        이선호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3 기업과 혁신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한국에서 환율과 국제유가의 변화가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장·단기적 비대칭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월별 자료를 사용한 비선형 자기회귀(NARDL)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때 분석 기간을 전체 기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및 이후 기간, 팬더믹 기간의 4가지로 구분하여 각 기간별 환율과 국제유가 변화의 전가 정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전 기간에 걸쳐 장기적으로 환율 및 국제유가의 변화, 국내 수요 증가가 소비자물가 변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국제유가는 비대칭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국제유가만이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 반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환율과 국제유가, 국내 수요 증가 모두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쳐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한국 경제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팬더믹 기간에는 장기적으로 환율과 국내 수요의 변화가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국제유가도 비대칭적 영향이 여전히 존재하였지만 비대칭적인 효과의 정도가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든 기간에서 환율의 전가 정도가 국제유가의 전가 정도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최근으로 올수록 이러한 전가 정도가 점차 증가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long-term and short-term asymmetric effects of changes in exchange rates and international oil prices on consumer prices in Korea.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Nonlinear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s (NARDL) model using monthly data from January 2000 to March 2023 was used. In addition, I divided the analysis period into four periods: the entire period,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pandemic period, and looked at the pass-through of changes in exchange rates and international oil prices for each perio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long-term changes in exchange rates,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domestic demand over the entire period affected changes in consumer prices. In particular, international oil prices had an asymmetrical effect on consumer prices. Also, in the period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ly international oil prices had an impact on consumer prices. However, in the perio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exchange rates,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domestic demand had an impact on consumer prices, confirming that structural changes occurred in the Korean economy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inally, during the pandemic, changes in exchange rates and domestic demand have had long-term effects on consumer prices. International oil prices also had an asymmetric effect. However, the difference in asymmetrical effects between the rising and falling periods of international oil prices h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ddition, the exchange rate pass-through was higher than the international oil price pass-through in all period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pass-through gradually increased as more recently.

      • KCI등재
      • KCI등재

        비대칭 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한 유가와 주가지수의 관계 분석: 유가증권시장을 중심으로

        김상배 한국재무관리학회 2019 財務管理硏究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symmetric effect of oil price on stock index returns in the KOSPI market. To do this, we adopt an asymmetric error correction model by applying the MTAR(momentum threshold autoregressive) model proposed by Enders and Siklos(2001). This study use the weekly KOSPI index, large-cap index, medium-cap index and small-cap index and WTI index. The sample period are from January 6, 2001 to December 13, 2018. We find that we cannot reject the null hypothesis of no cointegration from the conventional Johansen cointegration approach. However, the estimation results of KOSPI and large-cap indices from the DOLS cointegration method with considering the structural breaks show a long-run relationship with WTI, implying that ignoring the presence of structural breaks leads to spurious results. In addition, the results from the threshold error correction model revealed that four stock index returns react to the changes in oil price only in deviation from the long-run equilibrium above a threshold value. Turning to the short-run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nges in oil price influence four stock index returns positively. These results are robust either when we incorporate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interest rate, or when we adopt the EC-(E)GARCH-M model to consider the possible heteroskedasticity. Finally, we utilize the 22 sectoral indices for examining the asymmetric effect of oil price and find the similar results with the previous tests.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칭 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에서의 주가지수 (KOSPI지수, 시가총액규모별 지수, 산업별 지수)수익률과 국제 유가 변화율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Johansen 공적분검정 결과, 유가는 KOSPI지수 그리고 규모별 지수와 서로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2개 산업별 지수 가운데 5개 산업의 경우 유가와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TAR(momentum threshold autoregressive)모형을 적용한 경우 모든 지수는 유가와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가지수와 유가 사이의 관계를 분석할 때 구조적 변화뿐만 아니라 장기균형관계에서의 이탈 방향에 대해서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KOSPI지수와 세 가지 규모별 지수를 이용하여 비대칭 오차수정모형을 분석하였을 때, 주가지수가 국제 유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장기균형에서의 이탈은 지수수익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제 유가의 변화가 KOSPI지수, 대형주 그리고 중형주에 비대칭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기적으로 국제 유가의 상승은 KOSPI지수와 세 가지 규모별 지수 모두에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글로벌 경기확장에 따른 석유에 대한 수요 증가는 유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글로벌 경기확장은 수출주도형인 우리나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거시경제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원/달러 환율과 이자율을 추가한 모형과 이분산성을 고려한 모형과 산업별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국제유가 변동이 울산지역 산업에 미치는 영향

        황선웅(Sunoong Hwang),박하일(Hail Park),이지혜(Jihye Lee)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6

        본고는 국가간 연계성 분석을 위해 고안한 Global VAR모형을 응용하여 지역 내 산업간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부호제약(sign restriction)을 이용하여 원유 공급충격, 세계경기 수요충격, 투기적 수요충격 등 3가지 구조적 충격이 국제유가 상승 및 하락 시 울산지역 주요 산업의 생산에 미치는 비대칭적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고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유 공급충격과 투기적 수요충격에 의해 국제유가가 상승하는 경우 제조업 생산이 감소하는 반면, 세계경기 수요충격에 의해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제조업 생산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산업별 반응을 비교해 보면 원유 공급충격과 투기적 수요충격에 의해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대체로 자동차와 전기전자 산업의 생산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유가 상승 및 하락에 대한 생산 반응의 절대값이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유가 충격 효과의 비대칭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넷째, 울산지역 주요 산업에 대한 국제유가 충격의 1/3~1/4 정도는 지역 내 산업간 투입-산출 관계에 의한 간접효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considers cross-industry linkages in Ulsan region by using the Global VAR approach. In addition, “sign restriction” has been applied to investigate the asymmetric spillover effects on Ulsan’s major economic activitie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oil shocks, specified supply shocks, demand shocks caused by global economic activity and speculative demand shocks. Firstly, we find that a rise in oil price caused by supply shocks or speculative demand shocks decreases manufacturing industries’ output while that caused by demand shocks which come from global economic activity is shown to have opposite effects. Secondly, when categorized into industries, we show that both the automobile industry and electronic&electrical industries are severely depressed by oil price’s increase caused by supply shocks and speculative shocks. Thirdly, the effects of positive shocks and negative shock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Lastly, 1/3~1/4 effects of oil price changes on Ulsan’s major industries are found to be indirectly passed through the input-output relations across different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