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 for measuring a cross-national variability in response styles

        이주연(Juyeon Lee),장윤선(Yoonsun J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국가 간 응답 양식의 차이를 탐색하고, 하나의 통계 모형 안에서 주요 관심 구인과 응답 양식을 각각의 잠재변인으로 측정함으로써 관심 구인 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리커트 4점 척도 문항을 통해 측정된 관심구인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에서 국가 간(between-country), 국가 내(within-country) 극단 응답 양식(ERS)의 차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다층 문항반응나무모형(ML-IRTree: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층 문항반응나무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PISA 2015 자료 가운데 과학 교과의 성취동기와 흥미에 대한 35개 국가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ERS의 국가 간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다층 문항반응모형을 통해 ERS와 동시에 추정된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동기 구인 간 관계는 응답 값의 단순 합으로 계산된 구인 간 관계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또한 측정된 ERS 수준은 과학 관련 구인(성취동기 및 흥미) 및 수준(국가 간 또는 국가 내)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리커트 척도를 통해 측정되는 구인의 국가 간 비교연구에서 응답 양식 측정의 필요성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detect the variability of response styles across countries and examine the impact of measuring response styl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and response styles or educational outcomes. To simultaneously measure extreme response style (ERS) in a four Likert-type rating scale at the within- and between- country levels, we proposed a multilevel item response tree model (ML-IRTree). The empirical study was illustrated with the motivation and attitude scal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and learning experience of a science subject in a total of 35 countries of PISA 201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cluding ERS in the ML-IRTree produced the moderate chan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compared to simple sum score analysis. As not in line with previous findings (Ju & Falk, 2019; Lu & Bolt, 2015), the larg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and ERS was captured. In addition, the paradoxical finding with respect to the association between substantive constructs and the achievement scores was observed at between-country level. The study s empirical evidence motivates researchers to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response styles in cross-national studies.

      • 국가간 다문화정책 비교연구

        이상주,전미숙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6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6 No.-

        최근의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급격하게 변화해 가고 있다. 세계화의 영향,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등으로 인한 국내 체류 외국인이 2012년 말 144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차원에서의 체계적인 다문화정책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간 다문화정책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의 체계적인 다문화정책 수립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초기 지원과 결혼 이민자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서 최근 다문화가족으로 분류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유 학생, 난민 등 다문화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포괄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간 다문화정책비교를 위해 북미(캐 나다, 미국), 유럽(독일, 영국, 프랑스), 호주, 아시아(일본, 한국)의 다문화정책을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미국가인 캐나다는 다문화모델을 지향하고 있으며 다문화주의가 가장 잘 실현되고 있는 국가이다. 미국은 문화적 다원주의의 태도를 갖고 다문화수용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유럽국가인 독일은 차별배체모델에서 사회통 합정책으로 방향을 바꾸어 가고 있으며 영국은 문화적 다양성과 기회의 평등과 보장으 로 정책을 선회하여 다원주의를 통한 평화로운 공존을 주장하고 있다. 프랑스는 동화주의모델을 추구하지만 사회문화적 차이를 제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호주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제시하면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각종 지역사회단체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통합적인 정책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아시아국가인 일본은 다문화공생의 개념아래 중앙정부차원이 아닌 풀뿌리 시민운동단체에 의한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은 중앙정부 주도의 하향식 정책과 서비스의 중복이 주를 이루고 있다. 향후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가 협력하여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정책이 재정립되어야 한다. Recent Korean society is rapidly being changed 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stay in Korea amounts to over 1.44 millions at the end of 2012 due to influence of globalization,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inflow of foreign laborers. Thus, the necessity to build systematic multicultural policy in national level is coming to the 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systematic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society by analyzing international multicultural policy. Korea‘s multicultural policy shows its limitation that it cannot comprehensively solve dynamic and various desires, which happen in multicultural families like North Korean defectors, foreign students, refugees who are recently classified as multicultural families, being focused only on initial support and marriage migrants . This study compared multicultural policy of North America (Canada, U.S.), Europe (Germany, England, France), Australia, Asia (Japan, China) for comparison of international multicultural policie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Canada in North Korea aims at multicultural model and well realizes multiculturalism. U.S. goes to the direction of accepting multiculture with attitude of cultural pluralism. A Europe country Germany is changing its direction from discrimination exclusion model to social integration policy, and England asserts peaceful coexistence through pluralism by turning its policy to cultural diversity and guarantee of equality in opportunity. France makes effort in order to remove sociocultural difference, though pursuing assimilation model. Australia realizes integrated policy whil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and various local social organizations perform their role, respectively with respect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suggestion of social equity. An Asia country Japan promotes a program by grass-roots citizen movement groups, not in central government level, under the concept of multiculture coexistence. In Korea duplication of central government-led top-down policy and service is a main flow. In the future Korea‘s multicultural policy should be for social integration re-established in systematic and effective way, with cooperation of central government, local autonomy organization, and private organiza

      • KCI우수등재

        이동통신서비스 확산에 대한 국가 간 영향

        주영진(Young Jin Joo) 한국전자거래학회 201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국가 간 이동통신서비스의 확산과정에서 국가 간 영향에 의해 한 국가에서의 확산성과가 다른 국가의 확산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대부분의 이동통신서비스 확산에 대한 국가 간 비교연구들은 주로 국가별로 추정된 확산과정에 대해 사후적인 비교분석이 일반적인 것에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이동통신서비스의 확산이 국경을 넘어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실을 보다 적절히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다국가 확산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과 중국, 미국, 일본, 홍콩 등 5개국에서의 이동통신서비스의 확산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이동통신서비스의 확산은 한국, 미국, 일본, 홍콩 등 주변 국가들에서의 이동통신서비스의 확산에 유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The diffusion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in a country could be affected by the diffusions of the services in her neighbor countries. Previous studies on the diffusions of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among countries have been mainly focussed on the comparison after individual diffusion estimation. However, it would be natural to think the diffusion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in one country could affect to and be affected by the diffusion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in her neighbor country. In this study, we have applied the multinational diffusion model to model the crossnational effect in the diffu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China, Korea, U.S., Japan, and Hong Kong. Among these 5 countries China is the latest country to adopt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we were interested in whether the diffu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Korea, U.S., Japan, or Hong Kong has affected the diffu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China or not. In our application result, the diffu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China has been affected significantly by those in all of the 4 neighbor countries.

      • KCI등재

        국가 간 대학원 교육의 교육투자수익률 비교 분석

        이호준(Lee Ho Jun),양민석(Yang Min Seok),이현국(Lee Hyun Kook),정지혜(Jeong Ji Hye),유지은(Yoo Ji Eun),정동욱(Jeong Dong Wook)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turns to graduate school Education(RGE) among nations and to explore factors on changing of return to education. For this, we utilized 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of 15 nations, which is develop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e also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PSM) to reduce sample selection bias. Furthermore, we converted RGE into effect-size, and investigated corelation between effect size and nation characteristic variables(economic, education)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RGE is significantly positive among 13 nations (10.5~30.1%P) except for 2 nations including Czech and Italy. Korea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RGE of 16.4%P. Second, While effect size of RGE has positive corelation with R&D investment of GDP (corr: .21), it has negative corelation with unemployment rate (corr: -.23) and average years of schooling (corr: -.34). This results show not only does graduate school education have research function, professional improvement, it also has economic effect like wage premium. In addition, the result implies that RGE is related to supply-demand of high quality human in the labor marke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at not only graduate school policy be debated in terms of training nation's human capital considering economic effect, but proper policy also be required of supply-demand angle.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간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국가 간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수준의 특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성인역량조사(The 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데이터를 활용하여 OECD 15개 국가에서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표본선택편의(sample selection bias)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하였으며, 내생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인의 역량점수와 전공 및 세대의 고정효과(fixed effect) 등을 통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15개 국가 중 우리나라를 비롯한 13개 국가에서 대학원 교육의 긍정적인 투자수익률(10.5~30.1%P)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원 교육의 교육투자수익률은 실업률(상관계수: -0.23), 국가평균교육연한(상관계수: -0.34)과 부적상관을 갖는 반면, 국가 GDP 대비 R&D 투자비율(상관계수: 0.21)과는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원 교육이 개인의 전문성 향상뿐만 아니라 임금 상승 등의 경제적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말해주며, 대학원 교육의 투자수익률이 고급 인력에 대한 노동시장의 수요-공급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원 교육이 가지는 경제적 효과를 고려하여 국가인력양성 측면에서 대학원 지원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고급인력의 공급과 수요 측면까지 고려한 올바른 대학원 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 국가공간정보화정책 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 : 구법과 신법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진,Kim, Tae-J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6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 등에 관한 법률(구법/NGIS Act, 2000)이 폐지되고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신법/NSDI Act, 2009)이 제정되면서 국가 공간정보 정책 평가시스템에는 많은 변화가 발생되었다. 구법과 비교할 경우 신법은 국가 공간정보 정책의 추진체계가 일원화되었다는 장점은 있으나 예산 요구권의 약화로 공간정보 정책의 법적 실현가능성은 약화되었다는 논의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구법에서 신법으로 법률이 새롭게 제 개정되면서 나타난 평가체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구법과 신법에서 규정한 국가공간정보 정책 평가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평가 제도에서 나타난 변화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주된 연구방법은 구법과 신법의 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비교 분석대상은 평가추진체계, 평가주체, 평가대상 및 범위, 평가결과의 활용, 평가전담기관 등이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할 경우 국가 공간정보 정책 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으로는 평가목적의 명확화, 평가 전담기관 제도의 활성화, 평가결과와 인센티브 및 예산 연계성의 강화, 공간정보정책의 사전 사후 연계성 강화 방법론 모색, 상향식과 하향식 접근이 결합된 평가지표의 개발 방안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evaluation systems o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NSIP) has been changed, since the Establishment and Use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t(NGIS Act, 2000) was abolished and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NSDI Act, 2009) was enacted. As compared to the NGIS Act, the policy evaluation systems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re regarded as unified and centralized. However, some argue that the claim of budget and the legal feasibility of the NSIP was weakened. Given the different views on the two law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evaluation system by comparing the NGIS Act and the NSDI Act. A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is employed. The subjec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evaluation mechanism, evaluator, evaluation target and range, after-assessment utilization, and agen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it is recommended that the clarification of evaluation purposes, institutional enhancement for evaluation agency,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es, the combination of top-down approach and bottom -up approach, and the increased linkage between budget and evaluation result.

      • KCI등재

        가계부채 문제와 복지국가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동호 ( Dong Ho Jang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4 사회복지정책 Vol.41 No.4

        본 연구는 가계부채 문제와 복지국가의 관계를 국가 간 비교의 관점에서 탐색하였다. 국제개발협력기구(OECD)와 유렵연합통계사무소(Eurostat)의 가계부채 및 사회경제 관련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먼저 OECD 18개국을 대상으로 복지국가, 금융자본, 가계부채의 총량적 관계를 살펴 본 후, 에스핑-엔더슨(1990)의 세 가지 복지국가 체제를 대표할 수 있는 6개 국가를 선정하여 국가별 가계부채 문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금융자본이 급성장한 나라들에서 가계부채가 증가하였으며, 가계부채 규모가 큰 국가들 중에는 높은 탈상품화 수준을 자랑하는 덴마크도 속해 있다. 둘째, 저축률이 높고 가족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보수주의 복지국가에서 가계부채의 규모는 가장 작았다. 셋째, 생계형 부채인 현금대출가구비율은 탈상품화 수준이 낮은 자유주의 복지국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보수주의 복지국가에서 높고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노인세대가구ㆍ빈곤가구ㆍ실업가구의 가계부채 규모는 다른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지만 노인세대가구를 제외하면 연체율은 훨씬 높았다. 특히 조합주의와 자유주의 복지국가에서의 연체율이 사회민주의 복지국가에 비해 훨씬 높았다. 신용카드 대금 연체가구의 비율도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에서 가장 낮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은 오늘날 가계부채가 빈곤층과 저소득층 그리고 실업가구의 경제적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복지국가가 이러한 문제 해결과 관련해 긍정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debt and the welfare state. Using the data from OECD and Eurostat on household debt and socio-economic status, etc,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among the welfare state, financial capital and household debt across 18 selected OECD countries, and then attempted to figure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household debt and arrears among six selected European countries covering Esping-Andersen(1990)``s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ehold debt-to-income ratio rose sharply in the countries where the financial market had risen recently; one of them is Denmark, that is very famous for the high level of de-commodification and of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 Secondly, the household debt-to-income ratio was comparably low in the Corporative welfare state that are very famous for high saving rates as well as strong reliance on family ties. Third, the ratio of household with high cash loans, credit card loans and arrears was the highest in the Liberal welfare state, middle in the Corporatist welfare state, and the smallest in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Fourth, the size of household debt was small among households of the elderly, the poor and the unemployed, while the household debt in arrears was considerably at large among them; the household debt in arrears in general and credit card debt in particular were particularly very small in the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compared to the other welfare state regi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welfare state may mitigate the financial situation of low-income households that has been worsened by household debt.

      • KCI등재

        국제 경영 분야의 국가간 거리 연구에 대한 지적구조 분석

        허지현 ( Ji Hyun Heo ),최룡 ( Long Cui ),권종욱 ( Jong-wook Kwon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3

        본 논문은 국가 간 거리 관련 연구의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하여 국제 경영 분야 학술지에서 기존 국가 간 거리 연구들의 지식 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심리학 및 사회학 학술지와 비교하여 새로운 국제 경영 연구 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계량 서지학적 분석인 Author Co-citation Analysis(ACA)의 새로운 접근방법을 채택하여 저자 별 클러스터 그룹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 간 거리는 다양한 주제를 가진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제 경영 분야에서는 기존 연구를 국가(national), 조직(organizational), 이론(theoretical) 및 글로벌 클러스터(Global approach)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심리학과 사회학 학술지의 비교분석에서는 향후 국제 경영 분야의 국가 간 거리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특히 본사와 현지 자회사 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개인 대 개인 수준의 클러스터들이 나타났으며, 향후 국제경영의 국가 간 거리 연구 분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pict the research paradigm of cross-national distance in International Business(IB) in order to gain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relevance of the research topic. In addition, comparisons were made with fields of psychology and sociology in order to seek further possible topics for inclusion in future IB research. Therefore, we adopt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ACA) bibliometric analysis as a new approach in hopes to lead the future research trends. The result indicate that distance is widely adopted in diverse studies. In the IB field, national, organizational, theoretical, and global approach clusters were classified. The analysis of Psychology and Sociology journals directs future research to the person-to-person level, which includes the distance between headquarters and local subsidiaries.

      • KCI등재

        GM에 관한 소비자 수용성 모형

        정석창(Seok_chang Chung),김종미(Jongmi Kim),이남영(Namyoung Lee),김욱(Wook Kim)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3

        본 연구는 GM기술을 이용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 수용성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한 개념모델을 탐색하고 이를 국가간 비교분석에 확장하려는 탐색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국내외 선행연구에 대한 광범위한 검토를 토대로 GM 소비자의 수용성에 대한 필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개념모델을 수립하였다. 대국민인식조사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GM수용성 모델의 일반적 적용가능성과 비교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럽3개국(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소비자를 분석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비교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와 유럽3개국 소비자의 GM수용성과 인과경로는 매우 유사한 양상을 띠어 일반화 가능성이 높은 모델임을 보여주었다. 다만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해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적 태도가 미치는 영향이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위험인식이 편익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유럽3개국 소비자들에 비해 한국소비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국가간 비교연구를 토대로 한국소비자의 수용태도에서 나타나는 특수성과 유사성, 그 원인을 설명하려는 체계적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for the cross-national study of the conceptual model generally to explain the consumers’ acceptance towards the GM(Genetic modification) technology and the products. The conceptual model is established including the essential factors, based on broad reviews of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of GM consumers’ acceptance. We tested the goodness-of-fit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n the empirical evidence by Korean public perception survey, 2015. Furthermore,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extant analysis of consumers in three EU countries, namely Spain, Italy and Gree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alysis, Korean consumers showed similarly causal patterns with the three EU countries’. It implies that the conceptual model of GM acceptance is generalisable.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four countries’ in the causality of general attitudes towards Science & Technology. Korean consumers are especially different from the EU ones, in that their risk perception h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benefit perception towards GM. This exploratory investigation implies the necessity of the cross-national study about GM acceptance, so as to explicate consumers’ attitudinal peculiarity and similarity towards the GM.

      • KCI등재

        국가 간 비교를 통해 본 정부역량: 거버넌스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조희진 ( Cho Hee Jin ),권오영 ( Kwon O Young ),장용석 ( Jang Yong Suk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거버넌스의 핵심 주체라 할 수 있는 정부, 기업, 시민, 국제사회가 정부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전 세계 200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효율성은 정부 역량 증진에 도움이 되지 않았고, 정부의 책임성과 투명성은 정부 역량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참여와 국제사회에의 참여도 정부 역량을 증진시켰다. 반면, 기업의 명목적인 사회적 참여는 정부 역량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 국가들과 비 OECD 국가들로 국가군을 비교해 보면, 비 OECD 국가들은 정부 역량 향상을 위해 국제사회에의 참여를 높이고, 기업의 사회적 참여를 실질적으로 이끄는 노력이 특히 요구되었다. 이는 국가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정부 역량 증진을 위해 서로 다른 전략을 취사선택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보면, 위기 이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정부 역량을 저해하는 부정적 효과가 감소하였고, 정부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정부 본연의 역할보다 기업, 시민, 국제사회와의 협력이 더욱 중요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capacity and governance, analyzing the data of 200 countries from 2000 to 2012. Our study observes the efficiency,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cy of the governm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itizen participation, and embeddedness in global society as factors promoting government capacit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government efficiency does not directly enhance government capacity, while the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cy promote government capacity. Citizen participation and networking with global civil society increase government capacity, while companies` ritualistic activities of social responsibility hinder the promotion of government capacity. In the comparison between OECD and non-OECD countries, the analyses show non-OECD countries are required not only to raise participat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improvement of government capacity but also to promot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ese results imply that countries should select different strategies considering their own situations in improving government capacity. In addition,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the negativ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government capacity decreases after the financial crisis which indicates that government`s collaboration with companies, citizens, and international society works more effectively in improving government capacity during the period of post financial crisis.

      • KCI등재

        국가공간정보화정책 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 : 구법과 신법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진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9 No.6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 등에 관한 법률(구법/NGIS Act, 2000)이 폐지되고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신법/NSDI Act, 2009)이 제정되면서 국가 공간정보 정책 평가시스템에는 많은 변화가 발생되었다. 구법과 비교할 경우 신법은 국가 공간정보 정책의 추진체계가 일원화되었다는 장점은 있으나 예산 요구권의 약화로 공간정보 정책의 법적 실현가능성은 약화되었다는 논의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구법에서 신법으로 법률이 새롭게 제・개정되면서 나타난 평가체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구법과 신법에서 규정한 국가공간정보 정책 평가체계를 비교・분석하여 평가 제도에서 나타난 변화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주된 연구방법은 구법과 신법의 비교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비교 분석대상은 평가추진체계, 평가주체, 평가대상 및 범위, 평가결과의 활용, 평가전담기관 등이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할 경우 국가 공간정보 정책 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으로는 평가목적의 명확화, 평가 전담기관 제도의 활성화, 평가결과와 인센티브 및 예산 연계성의 강화, 공간정보정책의 사전・사후 연계성 강화 방법론 모색, 상향식과 하향식 접근이 결합된 평가지표의 개발 방안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evaluation systems o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NSIP) has been changed, since the Establishment and Use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ct(NGIS Act, 2000) was abolished and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NSDI Act, 2009) was enacted. As compared to the NGIS Act, the policy evaluation systems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re regarded as unified and centralized. However, some argue that the claim of budget and the legal feasibility of the NSIP was weakened. Given the different views on the two law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evaluation system by comparing the NGIS Act and the NSDI Act. A Comparative Analysis framework is employed. The subjec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evaluation mechanism, evaluator, evaluation target and range, after-assessment utilization, and agen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it is recommended that the clarification of evaluation purposes, institutional enhancement for evaluation agency,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es, the combination of top-down approach and bottom-up approach, and the increased linkage between budget and evaluation res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