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서울 남산과 강원도 백적산의 신갈나무 숲에서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능의 비교

        임병선,김종욱,이규송,이점숙,김준호,이창석 한국생태학회 2003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6 No.5

        서울 남산과 강원도 백적산의 신갈나무 숲의 잎의 광합성 색소함량, 광합성능 및 증산율을 현장에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서울 남산의 신갈나무의 광합성능, 광합성 색소함량 및 비엽면적이 강원도 백적산의 것보다 낮았다 신갈나무 잎의 광합성 색소함량은 6월초에 강원도 백적산보다 서울 남산이 많았으나 그 이후에 후자에서 적었고 두 지역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8월 이후에 서울 남산의 신갈나무 잎의 일부에서 반점이 출현하였다. 비엽면적은 서울 남산의 것에서 작았다. 잎의 광합성능은 서울 남산에서 7∼9 월에 더 낮았다. To elucidate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ecophysiological properties of two Quercus mongolica stands at different levels of air pollution, photosynthetic capacity and chloroplast pigment were measured in leaves of Q. mongolica. Photosynthetic capacity,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and SLA (specific leaf area) of Q. mongolica leaves in polluted area were lower than those in nonpolluted area. Also, the chlorosis and mottling in some of leaves were observed in polluted area after August. Except for total carotenoid (P<0.05) the correlations between photosynthetic capacity and pigment content were not significant. Photosynthetic capacity of Q. mongolica leaves in polluted area was decreased after July.

      • KCI우수등재

        건조스트레스에 따른 옥상녹화 식물의 생리적 반응

        박성식,최재혁,박봉주,Park, Seong-Sik,Choi, Jaehyuck,Park, Bong-Ju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2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해 맥문동, 울릉국화, 비비추, 돌나물, 잔디의 내건성을 평가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평가를 위해 용적수분함량, 엽과 토양의 수분포텐셜, 엽록소 a와 b함량, 엽록소형광, 광합성율,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항산화물질을 측정하였다. 옥상녹화 식물의 내건성 측정결과, 무관수 일수가 경과하면서 용적수분함량 부족에 따라 식물은 점차 고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울릉국화가 가장 먼저 고사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잔디, 비비추, 맥문동 순이었으며, 돌나물은 고사하지 않았다. 비비추, 맥문동, 돌나물은 3주 이상 생존하여 내건성이 높은 식물로 판단되었다. 엽록소 a와 b는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났는데, 초기부터 중기까지 일정한 함량을 유지 후, 급격히 감소하는 I유형에는 비비추, 잔디와 초기에는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중기 때 급격히 증가 후, 감소하는 II유형에는 울릉국화, 맥문동, 돌나물로 구분되었다. 용적수분함량과 증발산량은 모든 식물 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엽록소형광 측정결과, 내건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돌나물이 가장 늦게 감소하였고, 잔디와 돌나물은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 후 고사하였다. 광합성, 기공전도도, 증산속도는 초기에 높은 활성도가 나타났으나, 용적수분함량의 감소로 인하여 식물체가 기공을 닫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물질 측정결과, 건조스트레스가 증가하면 항산화물질의 양 또한 증가하나, 높은 스트레스가 유지되면 이러한 화합물이 지속적으로 소비되므로, 항산화물질의 증감은 내건성 평가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drought tolerance of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Dendranthema zawadskii var. lucidum (Nakai) J.H.Park, Hosta longipes (Franch. & Sav.) Matsum., Sedum sarmentosum Bunge and Zoysia japonica Steud. for an extensive green roof. In order to assess drought tolerance of green roof plants, several criteria were measured such as volumetric water content, leaf and soil moisture potential, chlorophyll a and b, chlorophyll fluorescence,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rate and antioxidants. The results of the drought tolerance measurement of green roof plants focused on the gradually withering of plants from lack of volumetric water content. D. zawadskii was the first to show an initial wilting point, followed by Z. japonica, H. longipes and L. platyphylla in order while S. sarmentosum showed no withering. It was concluded that H. longipes, L. platyphylla and S. sarmentosum were highly drought tolerant plants able to survive over three weeks. Furthermore, chlorophyll a and b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ype I, which kept regular content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of the period and suddenly declined, like H. longipes and Z. japonica; and Type II, which showed low content at the beginning, sharply increased at the middle stage and decreased, like D. zawadskii, L. platyphylla and S. sarmentosum. Volumetric water content and the amount of evapotranspiration consistently declined in all plant species. The analysi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results that S. sarmentosum, which had relatively high drought tolerance, was the last to decline, while Z. japonica and S. sarmentosum withered after rapid reduction. At first,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ance and transpiration rate showed high activity, but they lowered as the plant body closed stomata owing to the decrease in volumetric water content. Measuring antioxidants showed that when drought stress increased, the amount of antioxidants grew as well. However, when high moisture stress was maintained, this compound was continuously consumed. Therefore, the variation of antioxidants was considered possible for use as one of the indicators of drought tolerance evaluation.

      • KCI등재

        Removal of Indoor Tobacco Smoke under Light and Dark Conditions as Affected by Foliage Plants

        Jee-Won Yoon(윤지원),Ki-Cheol Son(손기철),Dong Sik Yang(양동식),Stanley J. Kays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2

        실내식물[스파티필름(Spathiphyllum spp.),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이 담배연기(ETS)내 미세분진의 제거능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식물의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밀폐 챔버 내 미세분진 농도가 대략 182 ㎍ㆍm⁻³이 되도록 10분 동안 안정화시킨 후 PM10과 1.0, 0.5 ㎛의 감소량을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빈 챔버내에 주입된 미세분진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착과 침강에 의해서 자연적 감소가 발생되었으며, 식물 도입시는 광ㆍ암상태 모두에서 감소율이 훨씬 빨라졌다. 미세분진의 제거율은 광상태에서 식물종에 따라 유의성이 있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엽면적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엽면적으로 비교할 때 3종 중 스파티필름의 제거율이 광ㆍ암상태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 경우 암상태보다는 광상태에서 높았다. 또한 암상태에는 식물 종간 미세분진 제거율 및 호흡율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광상태의 미세분진 제거율은 광합성이 높은 종에서 높아, 광합성이 미세분진의 흡수와 같은 능동적 제거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icacy of three species of indoor plants (Spathiphyllum spp., Ficus elastica and Syngonium podophyllum) for the removal of environment tobacco smoke (ETS) particulate matter (PM) in the light and dark and changes in physiological responses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respiration) of the plants to ETS was assessed. Cigarette smoke was generated in sealed chambers to give an initial concentration of ~182 ㎍ㆍm⁻³ and after normalization (10 min) the concentrations of various size categories (PM₁₀, PM1.0, and PM0.5) were determined. ETS PM diminished with time due to adsorption and sedimentation. However, the decrease was accelerated by the presence of indoor plants in both the light and dark. Removal efficiency varied among species and was not correlated with leaf area. Spathiphyllum spp. had the highest removal efficacy on a leaf area basis among the species tested in both light and dark conditions, and removal was more efficient in the light than in the dark. In the dark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removal efficiency among species or in respiratory rate. The removal efficiency in the light was higher in species with higher photosynthetic rates, suggesting that photosynthesis may be involved in the accelerated remov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