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관광분야 사회적 기업의 가능성과 방향

        김균목,고동완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1

        Social enterprises have amassed numerous special interests in a wide range on various fields in South Korea. This article explores the potential for social enterprise opportunities in the context of tourism development; a topic which has so far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reveals the relationship of tourism with social enterprises in the context of the emergent trends of New Tourism and community-based tourism; both of which have address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 This study purports that a social enterprise, when effectively marketed and managed, can be a suitable vehicle for the promotion of tourism's social responsibility management and the viability of a community-based tourism. The research additionally ascertained is the importance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field of tourism to be aware of tourists' consumption patterns, the socially weak as well as the numerous interest groups and shareholders amongst the community. Lastly, this study discuss the opportunities for the promotion of creative social entrepreneurs in the field of tourism. 사회적 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논의를 관광분야로 전이시키기 위한 논의의 틀을 발전시키고 그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기존 대량관광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관광의 흐름과 지역사회 관광의 맥락에서 사회적 기업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등장한 관광분야 사회적 기업이 관광의 새로운 흐름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으며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관광분야 사회적 기업이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수단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광분야 사회적기업은 관광객의 소비패턴의 변화, 지역관광의 활성화의 계기,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관광분야의 관심의 필요성 등에 주목하고 관광분야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관광기업과의 연계 및 창조적인 관광분야 사회적 기업가의 양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관광도시브랜드 자산이 관광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수지,김정희 한국문화산업학회 2019 문화산업연구 Vol.19 No.4

        This study purpose to identify the impact of tourism city brand equities on tourism satisfaction and tourism recommendation intent, and to develop a marketing strategy that conforms to tourist cities that can identify tourist behavior and generate favorable responses by utilizing the construction of tourism city brand equit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by a survey of tourist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urism city brand assets showe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tourism city brand awareness, tourism city brand quality, and tourism city brand image. Second, among the factors that make up tourism city brand equities, the city tourism brand quality and city tourism brand image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ourism satisfaction. Third, among the factors that make up tourism city brand equities, the tourism city brand awareness and tourism city brand ima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ourism recommendation intention. Fourth, Touris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ourism recommendation intention.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city brand assets, tourism satisfaction, and tourism recommendation intention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eneral brand asset theory can be applied to tourist city brands, and building tourism city brand assets suggests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tourism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s. 본 연구는 관광도시브랜드 자산이 관광 만족도와 관광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관광도시브랜드 자산을 활용하여 관광객 행동을 규명하고 호의적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관광도시에 부합하는 마케팅 전략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델을 개발하고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관광도시브랜드 자산은 관광도시브랜드인지도, 관광도시브랜드품질, 관광도시브랜드이미지로 구성된 다차원적 특성을 보였다. 둘째, 관광도시브랜드 자산을 구성하는 요인들 중, 관광도시브랜드 품질과 관광도시브랜드 이미지는 관광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관광도시브랜드 자산을 구성하는 요인들 중, 관광도시브랜드 인지도와 관광도시브랜드 이미지가 관광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광 만족도는 관광 추천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관광도시브랜드 자산, 관광 만족도, 관광 추천의도 간의 관계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으며, 관광도시브랜드 자산이 관광 추천의도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보다 관광 만족도를 매개로 관광 추천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인 브랜드자산이론을 관광도시브랜드에도 적용가능함하며, 관광도시브랜드자산 구축은 관광만족도와 관광추천의도를 제고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힐링열풍과 관광개발: 개념, 사회문화적 배경과 사례

        이진형,박종선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힐링관광(healing tourism)과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와 홈페이지 및 신문기사에 나타난 힐링 관광자 원개발 사례분석을 통하여 탐색적 수준에서 힐링관광이 나타나게 되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찰해보고, 의료 관광, 건강관광, 웰니스관광과 힐링관광간의 개념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힐링의 개념을 도입한우리나라의 세 가지 관광개발 사례를(장흥 편백숲 우드랜드, 홍천 선마을 힐리언스, 제천 리폼 포레스트) 비교해 봄으로써 힐링관광개념을 도입한 관광개발이 어떠한 속성을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찰 하였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나라에 불고 있는 힐링열풍이 관광개발에 지속적으로 적용될 것인지 여부에 대 해서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힐링과 힐링관광은 학문적인 용어라기보다는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 산업체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일종의 마케팅 용어에 가깝다는 점과 학문적으로는 웰니스관광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힐링관광은 개념적으로 보았을 때 크게 보아 헬스케어 관광 작게는 웰니스관광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명상, 요가, 트레킹(trekking), 스파(spa), 음식을 통한 치유를 그 핵심 콘텐츠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힐링열풍은 무제한의 물질주의와냉혹한 경쟁이 팽배해 있는 우 리나라에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추후지자체나 관광기업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관광객들의 힐링 니즈를 잘 파악하여 새로운힐링 관광자원이나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나가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연구의 말미에서 힐링관광과 관련된 추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일본 및 중국인의 한국관광동기와 관광이미지 인식차이 연구

        허범영,정익준 동북아관광학회 2012 동북아관광연구 Vol.8 No.2

        특정국가가 자국을 방문하는 외국관광객의 관광동기와 관광 후의 관광이미지가 어 떠했는가를 이해하는 일은 그들을 대상으로 전개하게 될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하다. 이런 관계에서 본 연구는 한국을 관광목적지로 정하고 방한한 일본과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그들의 관광동기와 관광이미지를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관광동기에서 중국인들은 지인과의 유대강화 및 관계향상 그리고 사회적 지위향상을,일본인들은 한국문화의 이해와 경험, 자기발견 및 내적욕구충족을 중요한 관광동기임이 밝혀졌다. 한편, 관광이미지에서 중국인들은 관광인프라의 구축과 관광정보획득의 편리성을, 일본인들은 한국을 역사와 문화의 나라, 관광안전의 보장과 관광수용태세가 잘 완비된 국가라 인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발견점들은 향후 한국의 관광정책당국자들이 두 나라의 관광객들을 한국으로 많이 유치하기 위한 마케팅전략의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무장지대(DMZ) 일원 관광객의 관광동기 - 관광목적지 간의 비교 -

        김재호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motivations of the Korean DMZ tourists and to determine if there was motivation differences between tourists visiting two different areas of the DMZ: Gangwon area and Gyeonggi/Incheon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000 tourists visiting the Korean DMZ in the winter of 2009.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DMZ tourists' motivation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education,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escape and convenience-of-visit.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demonstrated that DMZ tourists’ travel motivation differed from the destination they visited. Specifically, those who visited Gyeonggi/Incheon area of DMZ had higher motivations of attractiveness of destination and escape than those who visited Gangwon area of DMZ. In contrast, those who visited Gangwon area had higher motivation of connivence of visit than those who visited Gyeonggi/Incheon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oints were made from the perspectives of DMZ tourism marketing and policy. 본 연구는 DMZ의 평화적 이용과 접경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위해 이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관광동기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관광동기를 교육성, 지역 매력성, 탈일상성, 방문 편리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시․군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DMZ 관광동기의 하위 요인인 교육성, 지역 매력성, 탈일상성, 방문 편리성 동기 모두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 방문 지역별로 관광동기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광역단위에서 교육성 동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DMZ 관광객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동기이며 일반적인 추구편익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연구결과 경인지역의 시군을 관광하는 방문객의 동기는 주로 탈일상성과 방문 편리성이, 강원지역의 경우 탈일상성과 교육성 동기가 방문을 주도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러한 방문동기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에 맞는 DMZ 관광 프로그램과 시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은 내국인의 DMZ 관광동기에 대해 경인지역과 강원지역의 10개 시․군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관광동기를 파악․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DMZ 관광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세부적인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관광객 유치 확대 사례 연구 - 중국의 아웃바운드정책과 일본의 유치활동을 중심으로 -

        김진곤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4

        By analyzing the changes in China’s outbound tourism policies and examining Japanese recent inbound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for attracting more Chinese tourists, this study suggested policies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for attracting more Chinese tourists to Korea. To to this, literatures from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s and ministries of China, Japan and Korea were critically scrutinized. Results indicated that China has pursued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inbound and outbound tourism. Results also showed a critical change of Japanese tourism policy from its original outbound-centered strategy to recent inbound-centered strategy.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suggested that well formulated policies (i.e., improvement of market flexibility, development of high-valued products and promotion) have to be preceded for attracting more Chinese tourists to Korea. It also proposed effective cooperations among state,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본 연구는 중국 아웃바운드관광정책의 변화 분석과 일본의 중국관광객 유치사례 연구를 통해, 정부나 지자체가 중국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해 고려해야 할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중국 국가여유국과 중국사회과학원관광연구센터, 일본 관광청과 일본정부관광국의 각종 정책 자료와 국내의 기존 문헌자료 등을 주요 참고자료로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중국의 관광정책은 그간의 인바운드관광 위주에서 점차 인·아웃바운드관광의 균형발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고, 일본은 그간의 아웃바운드관광 위주에서 중국관광객 유치확대를 위한 적극적 인바운드관광정책을 펴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볼 때, 법·제도, 수용태세, 고부가상품 개발 및 홍보마케팅 측면으로 나눠본 중국관광객 유치방안과 한중 정부·지자체·민간업계 간 3각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중국관광객 유치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 할 수 있었다본문

      • KCI등재후보

        관광 SNS특성과 만족도 및 지속적 이용의도와의 관계연구 - 관광 SNS 이용목적을 조절변수로 -

        박현지,박봉규,김영하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정보기술과 융합된 서비스로서의 여행, 항공, 외식업 등 관광관련 분야에서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관광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 SNS특성이 관광객의 만족도, 그리고 지속적인 관광 SNS의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동시에 관광객의 SNS 이용에 대한목적 수준 정도에 따른 조절효과도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관광 SNS특성은 관광객의 만족도와 지속적인 관광 SNS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 SNS 이용목적이 변수간의 관계(관광 SNS특성→만족도, 관광 SNS특성→지속적 이용의도)에서 조절효과에 대하여 가설검증결과 관광SNS 이용목적 정도가 강할수록 품질 특성과 사회적 혜택이 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 SNS 이용목적 정도가 강할수록 품질 특성과 사회적 혜택이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관광SNS의 특성에 대한 연구 및 관광 SNS 이용목적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됨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라 할 수 있겠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tourism social network service(SNS) characteristics, tourism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e second is to examine how SNS usage purpose as a moderating variable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ourism SNS and tourism satisfaction,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ourism SN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r achieving the purposes, we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tourism and ICT theories.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by analyzing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survey research on users of tourism S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social network service have statistically impact on the tourism satisfaction.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social network service have partially impa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2) The tourism satisfaction statistically affects continuous use intention. 3) The moderating effects of tourism SNS usage purpo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nd another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re all partially positive.

      • KCI등재

        한·일 관광객의 온천관광지 선택속성의 비교분석 - Hofstede의 문화차원을 중심으로 -

        소네다 토루,최승담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9 觀光硏究論叢 Vol.31 No.2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pa selection attribut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ouris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adapted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Out of the six dimensions suggested by Hofstede, this study adapted four dimensions, and designed questionnaire accordingly.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including items related to four dimensions in the evaluation of spa selection attributes. The empirical data utiliz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Korea and Japan tourists who visited Yufuin spa, Japan.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verified in three dimensions from four dimensions investigated. For Korean tourists, the dimensions of masculinity and uncertainty avoidance were evaluated higher than Japanese tourists. On the other hand, Japanese tourists evaluated dimension of individualism higher than Korean tourists. The results generally supported the usefulness of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ourists’ cultural propensity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such variables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ourism destination and activity types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in depth research. 본연구의목적은문화적배경이다른한·일관광객이온천관광지선택속성에대한 평가 차이를 Hofstede가 제시한 문화차원의 관점에서 분석하는데 있다. Hofstede의문화차원이론에서 제시된 6개 차원 중 온천 관광지의 선택 속성과 연계되는 4개 차원을선정하여설문지를작성하여일본유후인 온천 관광지를 방문하는 한국과일본관광객을대상으로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분석결과총4개차원중3개차원에서통계적 유의성의 검증되었다. 한국 관광객의 경우 일본 관광객 보다 남성성과 불확실성 회피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 관광객의 경우 한국 관광객보다 개인주의 성향이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Hofstede가 제시하는 문화차원의 유용성을 전반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나 관광객의 문화적 성향은 관광 대상지의 특성 및 활동유형 등에 따라다르게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심층화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관광에서의 문화다양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관광권리를 중심으로

        손신욱 ( Son Shin-wook ),김봉석 ( Kim Bong-seok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관점에서 문화다양성에 대한 개념의 변화 및 의미 확장과정을 고증하고 관광분야의 법률적, 학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문화다양성에 대한 학술연구, 국제기구의 보고서, 국내 정책보고서 등을 검토한다. 선행연구를 분석을 통하여 관광분야의 문화다양성을 위한 관광분야의 과제를 도출한다. 연구를 통하여 문화다양성에 대한 담론 형성을 시도함은 물론이고 관련 분야 정책기획자와 실무자에게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세 가지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관광법제 측면을 검토한 결과 이미 상호주의적 문화다양성과 관련한 시책을 규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관광진흥법 상 관광권리의 명시와 권리 주체에 대한 명확화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의 법 목적성에 문화다양성과 관광권리 인식을 포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 학술적 차원에서 문화다양성 연구는 인종, 민족, 언어 등 초기 수준의 연구에 한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관점에서 문화다양성의 분류연구 및 영향관계 분석 연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으로 관광으로 인한 사회·문화 영향 파악을 위한 관광 영향평가의 제도화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기본법에 근거하여 사회·문화적 영향 평가와 연계하여 관광의 사회·문화 영향을 평가하는 방안 등의 문화다양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from a tourism perspective. In addition, it attempt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legal, academic, and policy fields. For this purpose, academic research on cultural diversity, report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omestic policy reports are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asks in the tourism field are derived for cultural diversity in the tourism field. In addition to attempting to form a discourse on cultural diversity through research, it is intended to present relevant implications to policy planners and practitioners in related fiel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task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tourism legislation, it was found that policies related to reciprocity cultural diversity are already being regulate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larification of tourism rights and clarification of the rights subject were required under the Tourism Promotion A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include cultural diversity and awareness of tourism rights in the legal purpose of touris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cultural diversity at the level of tourism academics was limited to research at the initial level such as race, ethnicity, an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a classification study of cultural diversity and an analysis of impact relation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institutionalize tourism impact assessment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tourism. In addition,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measures to cultivate cultural diversity such as measures to evaluate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tourism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assessment were found to be required.

      • KCI등재

        관광객의 랜드마크 인식요인이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영향 연구

        민계홍 ( Kye Hong Min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랜드마크에 대한 인식이 관광지에 대한 이미지와 관광객들의 행동의도 간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을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2013년 7월 13일부터 7월 21일까지 전주를 방문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은“관광객이 인식하는 랜드마크는 관광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세부가설 1-1의 관광객이 인식하는 랜드마크의 명소성 요인이 인지적 이미지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가설 1-2의 관광객이 인식하는 랜드마크의 전통성 요인이 관광지의 이미지인 정서적 이미지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2의 관광객이 인식하는 랜드마크 인식 요인이 행동의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3의 관광지 이미지는 방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4와 가설5의 방문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랜드마크는 관광객들에게 관광지 이미지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impacts does tourists` recognition on landmarks will have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 and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 The study method was to conduct a survey targeting the tourists who visited Jeonju between July 13 and July 21, 2013. As an analysis metho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a frequency analysis, confidenc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udy model hypothese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1 is "The landmarks that tourists recognize will affect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 The attraction attributes factor recognized by tourists in the detailed hypothesis 1-1 affected cognitive image. The tradition attributes factor of landmarks recognized by tourists in the detailed hypothesis 1-2 affected the emotional image, which is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 Second, the landmark recognition factor recognized by tourists in the hypothesis 2 affected tourist satisfaction Third,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 in the hypothesis 3 affected tourist satisfaction. Fourth, the tourist satisfaction. in the hypothesis 4 and 5 affected revisi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s a result,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landmarks play a pivotal role in enhancing tourists` image of tourist attr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