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에서의 문화다양성에 관한 시론적 고찰: 관광권리를 중심으로

        손신욱 ( Son Shin-wook ),김봉석 ( Kim Bong-seok ) 한국관광산업학회 2021 Tourism Research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관점에서 문화다양성에 대한 개념의 변화 및 의미 확장과정을 고증하고 관광분야의 법률적, 학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문화다양성에 대한 학술연구, 국제기구의 보고서, 국내 정책보고서 등을 검토한다. 선행연구를 분석을 통하여 관광분야의 문화다양성을 위한 관광분야의 과제를 도출한다. 연구를 통하여 문화다양성에 대한 담론 형성을 시도함은 물론이고 관련 분야 정책기획자와 실무자에게 관련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세 가지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관광법제 측면을 검토한 결과 이미 상호주의적 문화다양성과 관련한 시책을 규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관광진흥법 상 관광권리의 명시와 권리 주체에 대한 명확화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의 법 목적성에 문화다양성과 관광권리 인식을 포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 학술적 차원에서 문화다양성 연구는 인종, 민족, 언어 등 초기 수준의 연구에 한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 관점에서 문화다양성의 분류연구 및 영향관계 분석 연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책적으로 관광으로 인한 사회·문화 영향 파악을 위한 관광 영향평가의 제도화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기본법에 근거하여 사회·문화적 영향 평가와 연계하여 관광의 사회·문화 영향을 평가하는 방안 등의 문화다양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from a tourism perspective. In addition, it attempt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legal, academic, and policy fields. For this purpose, academic research on cultural diversity, report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omestic policy reports are reviewed.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asks in the tourism field are derived for cultural diversity in the tourism field. In addition to attempting to form a discourse on cultural diversity through research, it is intended to present relevant implications to policy planners and practitioners in related fiel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task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tourism legislation, it was found that policies related to reciprocity cultural diversity are already being regulate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larification of tourism rights and clarification of the rights subject were required under the Tourism Promotion A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include cultural diversity and awareness of tourism rights in the legal purpose of touris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cultural diversity at the level of tourism academics was limited to research at the initial level such as race, ethnicity, an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a classification study of cultural diversity and an analysis of impact relation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institutionalize tourism impact assessment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tourism. In addition,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measures to cultivate cultural diversity such as measures to evaluate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tourism in connec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impact assessment were found to be required.

      • KCI등재

        관광소비자의 권리침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OTA를 대상으로 -

        김진용(Kim, Jin-Yong)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3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OTA를 이용한 관광소비자의 권리침해 경험을 분석하여 경험의 개별적 특성과 사실적 구조 및 공통적 본질 구조를 발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관광소비자 권리침해, 현상학적 연구에 대한 개념적 고찰이 이루어졌으며,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연구문제는 시간적 흐름에 따른 관광소비자의 권리침해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문제유형화-상황적요인-평가의 구조로 구성되어 제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적절성과 충분함을 기준으로 권리침해 경험이 있는 관광소비자 9명이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은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Giorgi(1975; 1985)의 현상학적 연구기법이 적용되었다. 분석결과 의미단위 203개와 이를 학문적 용어로 변환한 의미단위 33개, 하위주제 12개, 주제 6개가 도출되었다. 상황적 구조진술은 연구 참여자 특성과 함께 6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으며, 일반적 구조 진술에서는 내용적 흐름에 따라 관광소비자의 권리침해 경험이 일반적 경험으로 구조화되고 공통적 본질이 제시되었다. 연구의 한계로는 연구대상의 한계와 주관적 해석의 한계가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광소비자의 권리침해 경험을 통하여 본질구조를 제시함으로써 OTA를 대상으로 발생하는 실질적 문제들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ights infringements experience of tourism consumers using OTA by apply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o discov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ctual structure, and common essential structure of the experience.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of tourism consumers rights infringements and phenomenological study and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were discussed. The research problem was composed in the structure of ‘problem categorization-situational factors-evalu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rights infringements experience of tourism consumer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9 tourism consumers who had rights infringements experience on the basis of appropriateness and sufficientness. The analysis method was based on Giorgi(1975; 1985)’s five step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03 meaning units were converted into academic terms and ultimately derived 33 transformed meaning units, 12 sub-subjects and 6 subjects. In the contextual structure statement, 6 subjects and 12 sub-subjects were described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general structure statement, according to the flow of contents, the rights infringement experience of tourism consumers was structured as a general experience and the common essence was presented. As a limitation of the study, the limitation of the study subject and the limitation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ractical problems that occur in OTA by presenting the essential structure through the rights infringements experience of tourism consumers.

      • KCI등재

        관광사업의 공적규제 도입과 시장실패관리의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이응진 동북아관광학회 2019 동북아관광연구 Vol.15 No.3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necessities and Market failure’s management of public regulation in the tourism industry. Public Regulation in the Tourism Industry is a question which has been provided to the utility rights of mass tourism for policy makers. The Summary is a follows: It may be necessary for public regulation to alter the dependencies of location and the negative externalities of the increasing opacity in tourism management. In particular, methods on how to intervene in firms with the tourism industry have included public supply, structure regulation, conduct regulation, and leading regulation. What is nesessary with public regulation in the tourism industry is supervision on consciousness and cost, systems, and short, medium, and long terms areas of market failures. 본 연구는 관광사업에 있어 공적규제도입과 시장실패의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로국가사업으로서의 관광적 시점에서 국민의 ‘대중관광이용 권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관광사업에 관한 공적규제도입의 근거은 관광경영의 입지의존성, 부의 외부성의 증가, 불투명성으로 인해 관광시스템의 붕괴 메카니즘이 파생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국가가 관광사업에 어떻게 개입할 것인가에 대하여 국가가 관광사업의 시장실패의 의식적 및 비용적 관리의 필요성, 시장실패의 체계적 관리와 단기·중기·장기적 관리의 필요성을 분석하며 공적규제의 형태로 공적공급, 구조규제, 행위규제, 유도형 규제의 중요성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장애인 관광객의 이동권리 확보를 통한 인본주의적 융합문화의 실천 - 유니버설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

        이경찬,민웅기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7

        장애인들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활동상의 제약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장 애인들의 일상생활 외에 관광과 같은 탈일상적 활동에서의 이동권리 제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심층면접 분석결과, 장애인들은 관광과 관련하여 관광지로의 이동 전, 이동 시, 이동 후에 각각 복잡한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태도가 내재화되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과정을 통해서 장애인들이 관광활동을 통해 얻게 되는 편익을 높이고, 관광활동의 제약 요인들을 줄이기 위해서는 공공성에 기반을 둔 관광활동의 구조 체계와 콘텐츠 실행 간 정책 융합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정책의 구체적인 실천을 위해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애인들의 관광지로의 이동과 관광지 내 문화체험을 위한 이동권리 확보해 줌으로써 정책의 기본 원리인 인본주의의 실천을 가능하게 된다. 시장 논리로 운영되는 관광활동에 공공적 복지 논리가 더해진 융합문화는 이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해 실천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유형별 제약요인을 고려한 무장애 관광 코스 추천 알고리즘 개발

        조병주,고영관,고영대 한국호텔관광학회 2023 호텔관광연구 Vol.25 No.1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athematical algorithm to provide a tourism route that maximizes the satisfaction of disabled tourists with the trend that the number of disabled tourists and the recognition of tourism as a fundamental right spread around the world. The algorithm is based on preferences and stay times at tourist destinations, and these are derived through accessibility to tourist destinations for different disability types. The optimal tourism route is provided within the daily available tourism tim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s the accessibility of a tourist destination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disabled tourists rises, and the extended stay times decrease. An optimization technique based on a mathematical model composed of an objective function to maximize the satisfaction of disabled tourists and other constraint equations is applied. The results are derived using IBM ILOG CPLEX Optimization Studio. Through numerical experiments, tourist destinations with high accessibility were prioritized, and differences in tourist destinations visited by different disability types emerged due to variations in stay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balanced tourism participation for both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people by maximizing the tourism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lso, it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ourism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ople and to raise social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