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정중심 읽기와 연계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의 효율적 방안

        이소의(Lee, So-Eui)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논총 Vol.46 No.-

        이 연구는 대학글쓰기 교육에서 기존의 글쓰기에만 국한 되었던 수업 패턴의 한계에서 벗어나 과정중심 읽기와 연계된 효율적인 글쓰기 지도 방안을 실제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논의 된 방법들은 경성대학교에서 글쓰기 교양교과목으로 지정된⟨사고와 표현⟩수업에 활용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과정중심 읽기에 대한 이해와 읽기 전․중․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경험하게 한 다음 읽기를 통해 확장된 사고력을 바탕으로 글쓰기와 연계를 시도하게 했다. 읽기자료를 효과적으로 읽었다고 하더라도 그 내용을 자신의 표현으로 바꾸어 나타내기는 쉽지 않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읽기자료를 마인드맵, 토의토론, 질문지활용, 문학관계도, 인물연대기, 신문 만들기, 인생 곡선, 벤 다이어그램, 전략적 읽기(KWL, SQ3R)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게 했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통합된 사고력을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개요를 구성하여 두 가지 글쓰기 과제를 제출하도록 했다. 과제를 수행하면서 과정중심 읽기 수업 모형을 자세히 이해하고 적용하여 글쓰기로 연결하는 과정을 익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텍스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능동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던 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제시된 수업모형 중에서는 토의토론이 가장 많이 활용 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마인드맵, 신문 만들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정중심 읽기와 연계한 글쓰기 교수법이 대학생 글쓰기 능력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Presented research propose the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method for college students using process-based reading while deviating from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writing courses. The research has been presented based on the case of <Thinking and Expression> class at Kyungsung University where the author applied the improved metho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between reading and writing, students were requir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and reinterpret the reading materials which enable them to effectively organize and create their own writing outcomes. The process contains th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mindmap, and newspaper production. Students who were instructed by this method presented significant improvement throughout the semester and created better writing samples than ones with conventional writing curriculum. This research would provide fruitful implications for revised writing instruction method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챗GPT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대응 방안 연구 - 과정중심 글쓰기의 가치 재인식과 내실화를 중심으로

        박상석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6

        챗GPT가 성장하며 한쪽에서 글쓰기 교육을 향한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다.이러한회의론을 들여다보면 그 안에서 글쓰기를 대하는 결과중심의 시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현재의 글쓰기 교육에서 과정중심 글쓰기의 실천에 미흡함이 있음을 자각하고 반성하게 된다.과정중심 글쓰기가 교육에 보편화된 것은 그것이 글쓰기 교육의 목적을 매우 잘 구현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챗GPT시대에도 글쓰기 교육의 목적이 바뀌지 않는 한 과정중심 글쓰기는 충실히 이행되어야 한다.글쓰기의 과정은 필자의 내면에서 수행되며,각각의 과정은 글쓰기 작업 전반에 걸쳐 서로서로 유기적으로연결된다.그러므로 그 과정의 일부라도 챗GPT에 맡긴다면 글쓰기 수업의 교육 효과가 감소되기 쉽다.글쓰기 교육에서 챗GPT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향후의 연구는 그러한 방안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전통의 과정중심 글쓰기로 얻는 효과보다 큰지 그렇지 않은지를 신중히 따져 보아야 한다.역설적이게도 첨단의 챗GPT시대에 글쓰기교육이 가장 주력해야 할 일은 전통의 과정중심 글쓰기 교육을 내실화하는 것이다.과정중심 글쓰기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 중 특히 중요한 것 한 가지는 글쓰기에서 필자의자기체험을 활성화함으로써 자기 글을 향한 애정과 이해도를 높여 글쓰기 과정의 역동성을 살리는 것이다. As ChatGPT grows, skepticism toward writing education is being raised on one side. If we look into this skepticism, we can discover a result-oriented perspective on writing. This made us realize and reflect on the shortcomings in the practice of process-based writing in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The reason why process-based writing has become common in education is because it can very well realize the purpose of writing education. Even in the ChatGPT era, process-based writing must be faithfully implemented as long as the purpose of writing education does not change. The writing process is carried out within the writer, and each process is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out the writing process. Therefore, if even part of the process is left to ChatGP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writing classes is likely to be reduced. Future research exploring ways to utilize ChatGPT in writing education must carefully consider wheth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such a method are greater than those obtained from traditional process-based writing. Paradoxic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writing education in the era of cutting-edge ChatGPT is to strengthen the traditional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Among the ways to improve process-based writing, one particularly important thing is to enhance the dynamism of the writing process by activating the writer’s self-experience in writing.

      • KCI등재

        대학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과정 중심 글쓰기 협력학습을 바탕으로 -

        배보은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7 No.-

        Kyungnam University has been steadily reorganizing its college writing textbooks since 2003 by applying a paradigm shift in writing education. In 2020, we are preparing a textbook called 'My Writing' as an experience-based competency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class model that allows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urse-based collaborative writing class in line with the 'My Writing' textbook. we first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course-based writing collaboration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minimizes the involvement of professors,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process of learners solving problems themselves through dialogue and negotiation with colleagues. Knowledge of the performance of writing is achieved through learner-centered practice and repetitive writing experience by acquiring procedural courses. During the semester, learners will complete three to four chapters of writing, which is the basis for five paragraphs of writing. I conducted thought training(free association), five paragraphs of writ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to improve the specific skills of self-reflection, writing, and collaboration skills. In this paper, as a method of course-based writing collaborative learning, we will present in detail the methods of “co-review” and “co-author writing”. First, there is a 'personal review' in “co-review” to make the basic framework of writing aware of how to write a schematic diagram as a basic writing exercise. And there is a 'group review' to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overall evaluation methods of writing, such as empathy, constructiveness, narrative skills, performance and integrity. Second, “co-author writing” is an activity in which several learners complete a piece of writing based on a peer consultation process. Through co-author writing, both learners who are proficient in writing and learners who are not, promote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review the procedural process of writing. 경남대는 2003년 이래, 글쓰기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를 적용하여 대학글쓰기 교재를 꾸준히 개편해 오고 있다. 2020년에는 경험 기반 역량 교육으로써의 글쓰기 교재를 편찬했는데 본고는 이 교재에 맞추어 과정 중심의 협력글쓰기 수업을 능동적으로 임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과정 중심 글쓰기 협력학습의 의의와 필요성을 살펴본다. 협력학습은 교수자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학습자들이 동료와의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교육 방법이다. 글쓰기의 수행 지식은 절차적 과정을 습득하는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실습과 반복적인 글쓰기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학습자들은 한 학기 동안 글쓰기의 기본인 5단락 글쓰기를 3~4편 완성하게 된다. 필자는 자기성찰 능력, 쓰기 능력, 협업 능력이라는 세부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고 훈련(자유 연상), 5단락 글쓰기, 협력학습을 실시했다. 이 중 본고에서는 과정 중심의 글쓰기 협력학습 방안으로 “합평”과 “공동작가 글쓰기”를 통한 협력학습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합평”은 기초 글쓰기 훈련으로 글의 기본 체계인 개요도 작성법을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개인 합평’과 공감력, 구성력, 서술력, 수행력 및 성실도와 같은 글의 전반적인 평가 방법을 숙지하기 위한 ‘조별 합평’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공동작가 글쓰기”는 동료 협의 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학습자들이 한 편의 글을 완성하는 활동이다. 공동작가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에 능숙한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 모두에게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도모하고 글쓰기의 절차적 과정을 복습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과정 중심 글쓰기의 관점에서 본 치유의 글쓰기

        정성미(Jung Sung mi)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1

        This paper has a promise that Healing Writing is progressing on general writ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to use the major writing concepts to explain a process of Healing Writing in conventional models for Process-based Writing and secondly to study the differentiations of the process of Healing Writing from general writing. In section 2, the important concepts are examined which are related to Healing Writing in the process of general writing. There are rehearsal, reviewing, working memory, long-term memory, text interpretation and reflective thinking which are researched. Also the process of healing writing is going on the steps of rehearsal- text searching- text selection- writing- reviewing- combination. Reflective thinking affects the whole process. In section 3, the process is tried to be investigated. 본고의 목적은 치유의 글쓰기 과정이 별도의 과정이라기보다는 일반적 글쓰기 과정 안에서 진행된다고 전제하고, 기존의 과정 중심의 글쓰기 모형에서 치유의 글쓰기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중요 개념을 활용하여 치유의 글쓰기 과정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2장에서는 일반적 글쓰기 과정에서 치유의 글쓰기 과정과 연관된 중요 개념을 살폈다. 준비(rehersal), 검토하기(reviewing), 작업 기억(working memory) 장기 기억(long-term memory), 텍스트 해석, 반성적 사고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치유 글쓰기의 과정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치유의 글쓰기는 준비→텍스트 탐색→텍스트 선택→쓰기→점검→통합의 과정을 거치며, 전체적으로는 반성적 사고 위에서 진행된다. 3장에서는 치유의 글쓰기 각 단계에 해당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과정 중심 대학 글쓰기 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 울산과학기술원의 <한국어 글쓰기> 교과를 중심으로

        정윤나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4

        본고의 목적은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시도할 수 있는 과정 중심 접근법 기반의 글쓰기 교육 모형을 제시하고 교육의 의의를 확인하는 것이다.이를 위해 울산과학기술원의 교양과목인<한국어 글쓰기>교과의 개발과정과 수업 구성 및 내용을 소개하고, 수업의 전반부인 표현하는 글쓰기 단계에서 학습자가 작성한 과제의 후기를 중심으로 학습자 반응을 살펴보며 교육의 의의를 짚어보았다. 표현하는 글쓰기와 학술적 글쓰기,두 개의 단계로 구성된<한국어 글쓰기>수업에서 학습자들은 이론 학습과 실습을 병행하며 한 학기 동안 두 편의 글을 쓰게 된다.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이 수업의 전반부 ‘표현하는 글쓰기’ 단계에서 학습자들은글쓰기의 과정과 방법을 배우고 실습하며,쓰기의 기본 원리를 경험적으로 습득하게된다.이때,이들은 아는 것의 층위에만 머물던 자신의 글쓰기 지식을 실제 글쓰기 수행에 적용하는 연습을 하게 되고,모든 실습 과정에서 실시한 후기 작성을 통해 자신의 글쓰기 과정을 관찰하고 점검하며 글쓰기 활동을 조정하는 훈련을 하게 된다. 본고에서 소개한 글쓰기 교육의 의의는,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글쓰기 지식을 실제 글쓰기 수행에 적용해 활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는 점,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글쓰기의 과정과 방법을 경험적으로 이해하여 모든 글쓰기 단계의 의미와 이 단계들이 회귀적으로 이어지는 흐름을 알게 해 주었다는 점,자신의 글쓰기 과정을 파악하여 글쓰기 활동을 조정하며 이끌어 갈 수 있는 힘을 기르게 해 주었다는 점에 있다.이로써, 글쓰기 교육에서 실제로 써 보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과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이에 대해 소통하는 것의 효용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과정 중심적 글쓰기 교육과 상호텍스트성

        송명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교양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and Intertextuality. Emphasizing intertextuality in writing education should wipe out learner’s prejudice about writing. Also writing education based on intertextuality should be writing education method emphasizing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The Learners tend to think an inborn talent in writing commonly. However not the inborn talent but the effort composed a piece of writing. In other words, a piece of writing was built by intertextual effort communicating with others. The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in a university education showed this. This study proposed feedback in the outlining for actualizing the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The outlining was connected with the whole process of writing. Therefore the feedback in the outlining has on effect on aiming for the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based on intertextuality.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e sense that it emphasized intertextual effort communicating with others in writing and proposed the feedback in the outlining for actualizing the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본고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상호텍스트성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학습자가 글쓰기에 대해 갖고 있는 재능과 관련된 편견을 불식시키고 또한 학습자가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한 과정 중심적 글쓰기를 충실하게 이행할 수 있는 교육 방법으로 개요쓰기 단계의 피드백을 제안했다. 학습자들은 한 편의 글이 타고난 재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낭만주의에서부터 비롯된 작가의 천재성이 문학에서의 표현론, 글쓰기에서의 표현주의를 거치면서 글과 재능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려는 인식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한 편의 글은 재능 못지않게 자료로 구체화된 타자와의 끊임없는 상호텍스트적인 노력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는 현재 대학 글쓰기 교재가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한 과정 중심적 글쓰기를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음을 밝혔다. 둘째, 대학의 글쓰기 교재에서 지향하고 있는 과정 중심적 글쓰기 교육을 현실화하는 방법으로 개요쓰기 단계에서의 피드백을 제안했다. 글쓰기의 전체 과정과 긴밀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 개요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학습자들이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한 과정 중심적 글쓰기를 지향하게 하는 교육적 효과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상의 논의는 학습자들에게 글쓰기 과정에서 필요한 상호텍스트적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학습자로 하여금 상호텍스트성에 기초한 과정 중심적 글쓰기를 지향하게 하는 실제적인 교수 방법으로써 개요에 대한 피드백을 제안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연암 박지원의 글쓰기 과정 고(考)

        박수밀 ( Su Mil Park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8

        본고는 오늘날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에 대응하는 연암의 글쓰기 과정을 살펴, 오늘날 글쓰기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 것이다. 먼저 연암 글쓰기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의 글쓰기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암 글쓰기의 본질은 자연사물의 소리와 몸짓을 현실과 사회로 끌어올리는 데에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암의 글쓰기 과정을 논리적으로 재구성해 본 결과, ``탐구심으로 관찰하기 - 자연사물과 교감하기 - 초록하기 - 제목 정하기 - 협력적 글쓰기 - 수정하기``로 정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첫째, 연암의 글쓰기 과정은 오늘날 작문 모델과 부합하는 글쓰기 과정을 보여주고 있었다. 연암의 글쓰기 과정은 순차적이라기보다 회귀적이다. 관찰하기와 교감하기는 동시에 일어나기도 하며 글쓰기 과정은 반복되기도 하고 순서가 뒤바뀌기도 했다. 둘째, 연암의 글쓰기 과정에서 협력적 글쓰기가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그의 글쓰기 전략이 사회인지주의와 관련이 깊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의 글쓰기는 순전히 개인적인 사고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의 관계망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연암의 글쓰기에서 중요한 것은 실제 텍스트를 쓰는 과정에 앞서 텍스트를 쓰기 전 태도나 습관에 있다. 연암 글의 본질은 쓰기 전 활동인 자연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자연과 교감하는 심미 태도에 있었다. 연암의 글쓰기 과정으로 보건대 그의 글쓰기 전략은 오늘날 인지주의 작문 이론과 충분히 접맥가능하다고 본다. The study is to give help for today`s writing education, by comparing today`s writing education focusing on the writing process with Yeon Am`s writing process. First of all, it deeply concerns the nature of his writing, and then his writing process. The nature of his writing is to draw out the sounds and gestures of the nature things and to raise up to reality and society. In this terms, it summarizes his writing process systematically as follows; ``investigating with inquiring mind`` - ``communicating with the nature things`` - ``doing Ch`orok (selectively choosing)`` - ``titling`` - ``writing collaboratively`` - ``correcting``. As a result, firstly, Yeon Am`s writing process reveales the similar writing process model of today. His writing process is rather circuital than sequential. Investigating and communicating process happens sometimes at the same time, the writing process can be repeated and reversed. Secondly, in his writing process the collaborative writing is stressed, it means that his writing strategic has deep relationship with social cognitivism. His writing is made, not by and in his personal thinking, but by and in social networking. Thirdly, the most important point in his writing is not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texts, but the attitude and habit before writing the texts. The nature of Yeon Am`s writing depends on his activity before his writing, that is the aesthetic attitude to communicate with the nature and to investigate the nature deeply. In terms of his writing process, his writing strategic is closely connected with today`s writing theory of cognitivism.

      • KCI등재후보

        ‘수정하기’ 과정의 효율적 배치와 글쓰기의 역동성

        송명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7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problem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proposing a new model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The existing model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could not reveal the benefits of this writing education. The existing model of Process-Based Writing must be changed to the following. The first, revision process should be placed in the each of writing process. If revision process is placed in the each of writing process, the instructors can get involved in student’ writing process anytime. The second, the actual writing process is not sequential but recursive. However the existing model could not reenact this recursion. But the new model will show the dynamic writing process. The model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will continue to evolve in the future. Because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is Learner-Centered Education. In other words,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will be change for improvement student’s writing skills. 과정 중심적 글쓰기 교육은 학습자의 실질적인 글쓰기 능력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글쓰기 과정 모형’은 이러한 과정 중심적 글쓰기 교육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그래서 본고는 ‘수정하기’ 과정을 강조한 새로운 ‘글쓰기 과정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과정 중심적 글쓰기 교육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 효과를 강조하고자 했다. ‘수정하기’는 맞춤법, 띄어쓰기와 같은 글의 형식적 측면부터 주제, 글감과 같은 글의 내용적 측면까지를 아우르는 포괄적 개념이다. 그러나 현재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부분의 ‘글쓰기 과정 모형’은 ‘수정하기’ 과정을 가장 마지막 단계에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모형은 글쓰기 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수정하기’의 능동적 과정을 제대로 재현할 수 없다. 본고는 수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글을 쓰는 각각의 단계에 그에 알맞은 ‘수정하기’ 과정들을 배치하도록 제안했다. 각각의 글쓰기 단계에 ‘수정하기’ 과정들을 배치한 새로운 ‘글쓰기 과정 모형’은 학습자의 글쓰기 과정에 동참하는 교수자의 변화된 역할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또한 수정된 ‘글쓰기 과정 모형’은 글쓰기 과정의 선조성을 거부하고 과정들의 회귀성을 강조함으로써 글쓰기 과정의 역동성을 드러낼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은 ‘수정하기’를 강조한 새로운 ‘글쓰기 과정 모형’을 통해 과정 중심적 글쓰기 교육의 효율성을 강조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 연구

        차봉준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3

        In this study, we proposed that the curriculum for writing class in the university should be prepared with a series of cyclic activities including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writing knowledge, academic communication by writing articles, and self-correction and evaluation on the writing text as the process of academic communication. We emphasized especially, that cultural writing course as the basic element for the study should be prepared with the proactive writ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organization of the students. In this regard, focusing on the teaching method discussion highlighting cultural writing course to improve the social and contextual writing skill, we discussed in this article that the course should be prepared with self-corrective ways related to the writing practices of the students as well as the process of peer student evaluation in detail. To do so, the discussion was continued focusing on Peer Assistant Learning, which was the language practice as the learning tool, for the writing practice in view of Social Constructionism. This is to suggest that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is possible to improve students’ writing skill and to develop the contextual writing knowledge in the discourse communication society by self-application process of this writing skill.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organization process of writing knowledge separately by students’ discussions and agreements for the education course of structured knowledge on the academic purpose text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 contents. From this discussion process, we emphasized that focusing on writing education should be to generate the knowledge required for writing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on the evaluation parameters and contents with the initiatives of the students and their peers.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수업의 교육과정이 학문적 소통의 과정으로서 글쓰기 지식 수용, 글쓰기 지식 적용, 쓰기 글을 통한 학문적 소통, 글쓰기 텍스트 자기 수정 및 평가의 순환적 활동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특히 학문을 위한 기초 소양으로서의 교양 글쓰기 교육 과정이 학습자의 주체적인 글쓰기 경험과 지식 구성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의에서는 교양 글쓰기 교육이 사회적, 맥락적 글쓰기 능력의 제고에 중심을 둔 교수 방안을 논의의 중심으로 하여 교육 과정에서 학습자의 쓰기 활동과 관련하여 자기 수정은 물론 동료 학습자의 평가 과정이 구체적으로 구성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쓰기 활동에 관련해서는 ‘학습도구로서의 언어활동’인 ‘협력학습’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쓰기 지식을 제고하고 이러한 쓰기 지식의 자율적 적용 과정을 통해 담화 소통 사회의 맥락적 글쓰기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그리고 교육 내용으로는 대학 글쓰기에 필요한 쓰기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목적 텍스트의 구성 지식을 교육하는 과정을 학습자의 토론과 협의를 통한 쓰기 지식 구성 과정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쓰기 학습자와 동료 학습자가 평가의 주체가 되어 평가 기준과 평가 내용을 논의하는 과정 속에서 글쓰기에 필요한 지식이 생성되는 것이 글쓰기 교육의 핵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했다.

      • KCI등재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수업 모델 및 사례 연구

        배혜진,권동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5

        Current general writing classes of colleges aim at process-based writing, but in reality, they are result-oriented, based on sequential writing. This causes a doubt about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mong learners. In order to promote sequential writing, which is the essential purpose of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in the general writing class, a consideration for a specific teaching model, its design and a practical alternative should be carried. As part of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based writing instruction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use of knowledge of majors among learners for 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makes it possible to attend classes actively and ultimately facilitates a sequential writing instruction, which is oriented in process-based writing educa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based writing teaching model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which is a basic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in the ISD model. Moreover, this study verifies that the teaching model using the Writing Across of Curriculum in general writing classes of colleges can lead to sequential process-based writing by showing real application cases in classes. 현재 대학의 교양 글쓰기 강좌는 과정 중심 글쓰기를 지향하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순차적 글쓰기를 통한 결과중심주의의 경향을 띈다. 이는 글쓰기 학습자들에게 글쓰기와 글쓰기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을 낳게 한다. 따라서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의 본래 목적인 순환적 글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수업 모델과 그에 따른 설계는 물론, 현실적인 대안에 대한 고민이 뒤따라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고민의 일환으로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을 제안한다. 본고는 학문적 담화 공동체로 구성된 학습자들의 전공 지식 활용이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과정 중심 글쓰기 교육에서 지향하는 순환적 글쓰기 교육이 가능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SD 모델 중 교수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에 따라 전공 지식을 활용한 과정 중심 글쓰기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 전공 지식을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델이 순환적 과정 중심 글쓰기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실제 수업 적용 사례를 통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