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론사 사이트의 네트워크 광고가 언론사 사이트 및 기사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윤택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광고PR실학연구 Vol.10 No.4

        언론사 사이트 네트워크 광고의 선정성에 대한 문제제기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청소년유해사이트 지정 논의가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언론사 사이트의 네트워크 광고의 문제는 단순히 청소년, 혹은 성인에게 유해한 광고메시지를 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를 게재하는 사이트의 신뢰성, 그 사이트에서 노출되는 기사의 신뢰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평가가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론사 사이트에 게재되는 네트워크 이미지 광고의 선정성 및 텍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네트워크 광고의 허위·과장성에 대해 일반 수용자들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고, 언론사 사이트 및 언론사 기사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 언론사 사이트에서 선정적 광고를경험했다는 인식정도와 해당 사이트 및 제공되는 기사의 신뢰도 하락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언론사 사이트에서 허위 및 과장 광고 인식정도와 해당 언론사 사이트및 여기에서 제공되는 기사의 신뢰도 하락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Questions about the suggestive nature of network advertisements displayed in news websites have been raised continuously. Initiall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discussed designating such sites as ‘Websites Harmful to Juveniles.’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network advertisements in news websites not only deliver harmful messages to youths and adults, but they also affect the credibility of the websites in which they are displayed, and the news articles published by these websites. As such, this research analyzes how general users evaluate the suggestive nature of network image advertisements, the deceptive and exaggerative nature of network text advertisements displayed in news websites, and the influence such ads have on the credibility of the news websites and their articles.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suggestive advertisements in news websites and decrease in the credibility of such websites and the articles published by them. Moreover,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deceptive and exaggerative advertisements in news websites and decrease in the credibility of those news websites and their articles.

      • KCI등재

        애니메이션의 실재성에 관한 담론 연구

        이용수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9

        Animation is not a media form which seeks picturesque reality. But we can still discuss about reality of animation. Probably, it is considered a kind of different aspect from general meaning of reality. We generally evaluate reality of animation on the quality of story plausibility or movement smoothness rather than likeness of visual form. Basically, we can criticize on reality but not discuss conceptually. It is because we has considered reality as degree of likeness between references and objects. However, this kind of likeness is not a valid concept on philosophical and academical aspects. We have a base on which we can consider reality as a comprehensive feeling that we all share. If we reconsider reality as emotional sympathy through this base, we can easily refute the general idea that animation has sought a different or isolated kind of reality from general. Shifting the perspective, reality become a thing expressed from distinction not likeness. This is not only strategy of animation. This paper will prove that differentiation of reality and exaggeration is useless notion in an academical aspect through documentary survey and case studies. reality of animation generally reveals through exaggeration of movement, and it is a strategy related to manipulation of sensory ratio and emotional line of a certain scen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in thinking more basically and conceptually about why the exaggeration comes to be distinguished and customized. 애니메이션은 사진적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미디어 형식은 아니다. 하 지만 그렇다고 애니메이션에서 리얼리티를 논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아 마도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리얼리티의 의미와는 조금 다른 측면에서 다루 어지고 있는 것 같다. 대체적으로, 애니메이션의 리얼리티는 시각적 형상 의 닮음보다는 스토리의 개연성, 움직임의 부드러움 같은 미덕에 근거해 서 평가되고 있는 것 같다. 기본적으로 리얼리티는 비평할 수는 있어도 개념적으로 논할 수 있 는 영역은 아니었다. 이는 표상과 대상이 얼마나 닮아 있는가 하는 핍진 성을 리얼리티의 중심으로 보아 왔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핍진성은 철학 적으로나 학술적으로 타당한 개념이 아니다. 리얼리티라는 것을 하나의 공동체가 공유하는 감정의 포괄적 실체로 볼 수 있는 근거가 있다. 그 근 거를 통해서 리얼리티라는 개념을 정서적 공감이라는 측면에서 재고할 수 있다면, 애니메이션이 일반적 인식과는 동떨어진, 또는 다른 종류의 리얼 리티를 추구한다는 일각의 생각을 충분히 반박할 수 있을 것이다. 관점을 바꾸면, 리얼리티는 유사성이 아니라 차이로부터 발현되는 것이 된다. 이 는 비단 애니메이션만의 리얼리티 전략이 아니다. 본 논문은 문헌조사와 사례를 통해 실재성과 과장성이라는 이분법적 구도가, 최소한 개념적으로는, 무력한 구도라는 점을 논증한다. 애니메이 션의 실재성은 주로 움직임의 과장성을 통해서 드러나며, 그 과장성은 감 각비율의 조작과 관련된 전략이며 장면의 감정선과 조화하여 드러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애니메이션의 리얼리티로서의 과장성이 어떤 이유로 해 서 발현되고 고착된 것인지를 좀 더 개념적으로, 근본적으로 사유해 보는 데에 있다.

      • KCI등재

        SNS 환경에서 지각된 자기표현 성향이 정보확산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동태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6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정보 제공자의 자기표현 성향(공적자기의식, 나르시시즘)과 정보 과장성이 정보 확산의향과 오프라인 대인관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 수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 수용자가 지각하는 정보 제공자의 자기표현 성향은 나르시시즘적 성향이 지각된 정보 과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공적자기의식 수준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정보 수용자가 지각한 정보 과정성 정도가 클수록 해당 정보의 전파 의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제공자와의 오프라인 대인관계 태도에 미치는 영향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의 의의는 온라인 정보 확산의 선행요인을 정보 제공자의 자기표현 성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정보특성 개념으로 정보 과장성의 역할을 규명했다는 점, 나아가 자기표현 성향이 온라인상의 정보 확산뿐 아니라 오프라인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까지 확인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기표현 성향을 보다 확장된 개념에서 연구하여 다양한 하위 구성개념들을 도출해 내고, 나아가 자기표현성향에 있어중요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는 인구통계특성을 고려한 확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effect of self-presentation(public-self, narcissism) and information exaggeration in SNS conditions on the information diffusion and personal relations. The empirical study is based on a field surve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perceived public-self on information exaggeration(Hypothesis 1) is not significant. But perceived narcissism positively affect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Hypothesis 2). It also reveal that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 negatively affect the intention of information diffusion(Hypothesis 3). Finally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 is found to negatively affect personalrelations(Hypothesis 4). The significance of present study is to extend scope of research which is related with new media communication. Especially, this studyemphasize the importance of self-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xaggeration in SNS conditions. This means corporation can manag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advertising information on SNS by managing the degree of self-presentation of them. And it also means that corporation has to manage perceived information exaggeration on SNS for building robust customer relationship and diffusing their information through all customer.

      • KCI등재

        비주얼과 텍스트의 과장성이 광고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철영 ( Chull Young Yi ),박정 ( Jeong Par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

        본 연구는 광고에서 과장과 비과장의 광고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비주얼의 과장과 텍스트의 과장으로 분류하고 제품 관여도에 따라서도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소구력 제고를 위한 크리에이티브 전략의 정교화 방법과 효과적인 광고 커뮤니케이션 제작을 위한 사고적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전조사를 통해 사실적인 비주얼과 카피, 과장된 비주얼과 카피를 선별하고 4종의 광고물을 고관여 제품과 저관여 제품으로 제작하여 총 8종의 인쇄 광고물을 만들어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광고의 과장성 측정, 광고효과 측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광고효과는 인지적, 감성적, 행동적 반응을 측정하여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비과장 광고보다 과장광고가 효과가 있었다. 특히 저관여 제품에서 비주얼의 과장의 광고효과는 두드러졌다. 과장광고는 비주얼의 과장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비주얼 과장에 카피 과장이 같이 적용될 경우는 오히려 광고효과는 반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광고 크리에이티브 표현전략을 전개할 때, 비주얼의 과장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카피는 사실적 메시지를 전달에 충실한 것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술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reative strategy enhancement methods and effective communication framework by evaluating how exaggeration in advertising effects advertising communications at different levels of product involvement of the consumers. Through pre-test, realistic and exaggerated visuals along with realistic and exaggerated text were selected to make 4 types of test ads. The variables measured in the research were product involvement, advertisement exaggeration and advertisement effect. Advertising communication effect was measured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As results, realistic ads are proven more effective than exaggerated ones, and advertising effect for exaggerated ads is greater with visual exaggerations. However, when exaggerated visuals are combined with exaggerated texts, advertising effects can be seriously declined.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these findings in creative development strategy, visual exaggeration should be actively utilized whereas the text should be restricted to convey realistic messages. Advertisers of low involvement products are encouraged to make best out of exaggerated visuals for better advertising communications effects.

      • KCI등재

        맥시멀리즘 특징을 이용한 메이크업디자인 연구 : 2005 S/S~2011 F/W 국외 컬렉션을 중심으로

        김현진,김혜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1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1 No.3

        오늘날 급변하고 있는 현대 사회는 20세기 후반 계속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대중예술 및 패션영역의 확대와 전통에 대한 우리의 기대가 파괴되고 재구성됨으로써 새로운 영역이 확장되고 있으며 이에 메이크업디자인은 디자이너가 표현하고자 하는 패션이미지와 디자인 컨셉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과 함께 패션트렌드를 주도하는 독자적인 디자인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전반에 대두가 되고 있는 복합적 요소로 조합된 맥시멀리즘(Maximalism)의 특성을 유형화하여 유형화된 특징들을 연대별 · 시즌별 메이크업디자인의 발표경향 분석과 유형별 메이크업디자인의 분석을 통하여 국외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디자인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연대별 · 시즌별 맥시멀리즘 메이크업디자인의 전체적인 발표경향을 통하여 장식성은 다소 낮은 출현빈도에도 불구하고 해를 거듭할수록 늘고 있는 추세의 발표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향후 국외 컬렉션에서는 꾸준하게 발표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맥시멀리즘 특징을 이용한 메이크업디자인의 유형 중 과장성은 기본적인 메이크업요소를 확대하거나 과장하여 기존의 정형화되고 완벽함에서 벗어난 이미지를 과도하게 극대화하여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장식성은 메이크업요소의 변형과 인체의 정형화된 아름다움을 고의로 부정하고 추상적이고 생물적인 조화로 해학적인 장식적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실험성은 이목구비 형태를 무시, 왜곡하거나 괴기스럽고 부자연스러운 이미지로 절망, 공포 등 미적기준에 어긋나는 극단적인 그로테스크(grotesque)한 감정과 동시에 예술적 효과와 퍼포먼스적인 효과를 혼합하여 나타내는 메이크업 현상이 두드러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자유롭고 주관적인 개성과 미적가치에 따라 폭넓고 다양한 기법으로 표현되어지고 있는 메이크업디자인의 무제한적 미의 수용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메이크업디자인의 표현영역 확대에 기여하고 새로운 표현가능성을 열어주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현대 니트 패션에 나타난 과장성

        유진희(Jin Hee Yoo),이연희(Youn Hee Lee) 한국복식학회 2014 服飾 Vol.64 No.8

        This research aims to explicate how we reveal our identity and emphasize beauty in our passion for beauty. It also attempts to find out our sense of beauty in exaggeration of visual expressions. The purpose is to represent how the contemporary knit fashion is various and exaggerated in our modern fashion world, and also to give the direction of new knitwear designs through the visual analysis of exaggerated knit fashion. Literature research was done by studying reference books and magazines, leading papers and based on a dissertation thesis. This study collected 787 designer’s works published in the world’s big Four collections from the 2000 S/S to 2011 S/S, in 23 seasons during 12 years. In answer to 9 experts about the criteria of classification, 520 works were chosen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xaggerated knitwear.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s: The type of exaggeration shown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was classified in three categories; Enlarge exaggeration, reduce exaggeration and transform exaggeration. As a sub-category, enlarge exaggera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Volume expansion and the expansion by the material, gauge and larger composition application expansion. Reduce exaggeration appeared as mini-reduction, skinny-reduction and transform exaggeration was respectively classified into deformation of the shape and patterns. The characteristics of exaggeration shown in contemporary knit fashion appeared as the new formative sense. In terms of fuller sense and surface, using various materials, gauge, changes in the composition represented challenges for textiles. The exaggerated contemporary knitwear expressed sex appeal using tight-fitting effect. Contemporary knit fashion simplified the design by taking advantage of the strong elastic attributes. It showed the beauty of women, expressed variability and limitless knit characteristics beyond the conventional thinking. In addition, it has been well represented as a form of freedom, amusement and diversity.

      • KCI등재

        논문(論文) : 부사 "직(直)"의 "간직(間直)" 의미 기능의 발전과 그 문법화

        박원기 ( Won Ki Park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近代漢語的副詞一般都有多種語義功能,本稿所硏究的“直”也有幾種語義功能。其包括:方式副詞、限定副詞、時間副詞、語氣副詞,而語氣副詞功能還有種:“簡直”意思、“竟然”意思、“一定、眞”意思,其中本稿主要硏究“簡直”語義的功能。副詞“直”的“簡直”語義功能語法化過程有些復雜,타的“簡直”義主要來源于動詞“直”(相當于~、等于、比如),而타的形式上的基礎是限定副詞‘直’所構成的‘“(A)+直+B+(耳)”,說話者用這種形式表達自己的確信、斷定等主觀性的見解。這個結構근動詞“直”的“比如”意思結合起來,誘發限定副詞“直”的轉喩上的變化,結果타的意思變成“簡直”的意思,能구表示[誇張性]。副詞“直”的“簡直”語義功能在魏晉南北朝時期最初誕生,“簡直”義副詞‘直’的形式和意味上的基礎是限定副詞‘直’所構成的‘“(A)+直+B+(耳)”,因此,誕生初期타的意思근限定副詞“直”有所混淆,這是一種過渡現象。到了唐宋時期非常發達,甚至出現근後綴結合的雙音節形式“直是”,但是到了明淸時期,타的出現頻率減少多了。現代漢語一般用雙音節副詞“簡直”,不太用“直”了。

      • KCI등재

        부사 ‘直’의 ‘简直’ 의미 기능의 발전과 그 문법화

        박원기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近代漢語的副词一般都有多種語義功能,本稿所研究的“直”也有幾種語義功能。其包括:方式副词、限定副词、时间副词、语氣副词,而语氣副词功能还有3種:“简直”意思、“竟然”意思、“一定、真”意思,其中本稿主要研究“简直”语义的功能。 副词“直”的“简直”語義功能语法化过程有些復杂,它的“简直”义主要来源于动词“直”(相當于~、等于、比如),而它的形式上的基礎是限定副词‘直’所構成的‘“(A)+直+B+(耳)”,说话者用这種形式表达自己的確信、断定等主观性的见解。这個结構跟动词“直”的“比如”意思结合起来,诱发限定副词“直”的转喻上的变化,结果它的意思变成“简直”的意思,能够表示[誇張性]。 副词“直”的“简直”語義功能在魏晋南北朝时期最初诞生,“简直”义副词‘直’的形式和意味上的基礎是限定副词‘直’所構成的‘“(A)+直+B+(耳)”,因此,诞生初期它的意思跟限定副词“直”有所混淆,这是一種过渡现象。到了唐宋时期非常发达,甚至出现跟後缀结合的雙音节形式“直是”,但是到了明清时期,它的出現频率减少多了。现代汉语一般用雙音节副词“简直”,不太用“直”了。

      • KCI등재

        남성복에 나타난 맥시멀리즘의 표현 특성 연구

        김지혜(Ji Hye Kim),유영선(Youngsun Yoo) 한국복식학회 2015 服飾 Vol.6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men’s fashion by analyzing changes related to excessive and decorative expressions of latest men’s wear design in the viewpoint of Maximalism, and using the results to develop a new fashion styl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Maximalism in men’s wear collection in the last 5 years can be classified as ‘Fusion Maximalism, ‘Decorative Maximalism’, ‘Exaggerative Maximalism``, ‘Humorous Maximalism``, and ‘Duplicative Maximalis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Maximalis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usion Maximalism creates new men’s fashion style by fusing designs from different cultures in clothing items as well as dismantling gender boundaries in clothing design, and by having designs which transcends time and space. Second, Decorative Maximalism expresses ambiguous decadence by implementing feminine decoration that applies handicraft technique, as well as exaggeratedly using details and trimmings of contrasting images, and applying women’s clothing items. Third, Exaggerative Maximalism represents extreme avant-garde that changes the idea of fashion design by changing the styling or the exaggerated silhouette. Fourth, Humorous Maximalism expresses not only the creation of new men’s fashion look, but also expresses humanism with exaggerative enjoyment and pleasant ideas. Fifth, Duplicative Maximalism expresses creative design by implementing vivid images of different period and culture, and reproducing successful images of the past into modern fash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