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장 ; 암로디핀 중독 환자의 임상양상

        전영우 ( Young Woo Jeon ),김재연 ( Jae Yun Kim ),박재석 ( Jae Seok Park ),박재만 ( Jae Man Park ),길효욱 ( Hyo Wook Gil ),양종오 ( Jong Oh Yang ),이은영 ( Eun Young Lee ),홍세용 ( Sae Yong Hong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2

        목적: 칼슘 통로 차단제는 흔히 사용되는 항고혈압 약제이다. 전세계적으로 사용량 증가에 따른 과량 복용에 대한 보고가 증가 하고 있지만 국내 보고는 미흡하다. 칼슘 통로 차단제 중 암로디핀은 매우 흔히 사용되는 약제이나 과량복용에 대해서는 임상의에게는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로디핀을 과다 복용한 환자들의 임상양상, 치료 경과, 합병증 및 예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에 약물중독으로 내원한 환자 중 암로디핀을 과량복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약물 복용량은 환자나 보호자 진술에 근거하여 체표면적당 약물 복용량(Billy`s BSA formula)으로 계산하였고, 응급실 내원 당시의 초기 생징후, 혈액 검사, 심전도 검사 등을 조사하였으며, 심전도 이상은 서맥, 방실 전도장애, QT, QRS 간격의 증가 중1개 이상의 변화가 있을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9명의 환자(남자 2명, 여자 7명)가 포함되었고, 체표면적당 암로디핀 복용량은 197.78±128.37 mg이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다른 종류의 약물을 같이 과량 복용했다. 9명의 환자 중 2명이 사망했고, 사망한 환자의 체표면적당 약물복용량은 343.5 mg/m2와 225.6 mg/m2이었고, 생존 환자 모두에서는 200 mg/m2 이하였다. 3명의 환자에서 glimepride를 같이 과량 복용했지만, 200 mg/dL 이상의 혈당 수치를 보였고, 이중에서 1명은 고혈당이 조절되지 않아 대사성 케톤산증이 진행되어 다장기 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심전도 이상을 보인 환자의 평균 체표면적당 약물 복용량은 197.1±92.3 mg/m2이었고, 심전도 이상이 없는 환자에서는 58.5±27.1 mg/m2이었다. 결론: 비교적 안전하다고 알려진 non-dihydropyridine계인 암로디핀도 과량 복용 시 고혈당과 대사성 케톤산증 및 심장 전도이상이 유발되어 치명적인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고혈당 발생은 나쁜 예후를 시사하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Calcium channel blockers (CCBs) are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that are used worldwide. CCB overdose h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use of these drugs. Although amlodipine is the most widely used CCB, many physicians are not familiar with amlodipine overdose. We report the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an intentional amlodipine overdos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visited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with an amlodipine overdose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10. We recorded the initial vital signs, blood chemistry, electrocardiography, and estimated amount of amlodipine ingested. Results: Nine patients were enrolled, of whom two patients died. Both patients who died had ingested more than 200 mg/m2 of amlodipine, while all of the patients who ingested less than 200 mg/m2 of amlodipine survived. Three patients had blood sugar levels exceeding 200 mg/dL and two of these died despite high-dose insulin therapy in combination with glucose infusion (hyperinsulinemia/euglycemia therapy). Although three patients also took a glimepiride overdose, none had hypoglycemia. The amount of amlodipine ingested relative to the body surfaced area (BSA) was 197.1±92.3 mg/m2 in patients with an abnormal ECG and 58.5±27.1 mg/m2 in patients with a normal ECG. Conclusions: Amlodipine overdose can induce hyperglycemia, resulting in lethal cardiogenic shock owing to the decreased calcium influx, inappropriate energy production, and weakened inotropic effect. Therefore, amlodipine-induced hyperglycemia indicates a poor prognosis. (Korean J Med 2011;81:208-214)

      • KCI등재

        항우울제 과량복용에 의한 심장 독성 증상과 치료

        최경호,이경욱 대한정신약물학회 2008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9 No.6

        The mortality and morbidity in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overdose still remained high due to fatal cardiac toxicities despite their decreased prescriptions. Also,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AOIs) may show relatively high cardiac toxicities in excess or mixed overdoses.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and newer antidepressants have been known to be safe in overdose until recently. However, many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SRIs and newer antidepressants also showed serious and fatal toxicities in case of excess or mixed overdoses. Citalopram or escitalopram overdoses showed a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cardiac toxicity with a dose-dependent manner. Also, venlafaxine, bupropion and trazodone overdoses showed significant cardiac toxicities, although degrees of the toxicities are different each other. Especially, venlafaxine’s pattern and incidence of cardiac toxicities are the similar to those of TCAs. Mirtazapine and reboxetine show no significant toxicities in overdose although the present toxicological data are insufficient. To conclude, assessment of compliance, pharmacology education for patients and effective treatment may reduce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toxicities in overdose. 치명적인 심장 독성으로 잘 알려진 TCA는 여전히 높 은 사망률과 이환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넓은 치료용량범 위로 안전하다는 선택적 가역성 MAOI 역시 많은 양의 단일약물이나 복합약물 과량복용 상황에서 높은 비율로 심장 독성 증상을 보인다. SSRI 및 이후의 새로운 항우 울제들 역시 과량복용 상황에서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으 나, 많은 양의 단일약물이나 복합약물을 과량복용한 최근 의 사례 보고나 연구결과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심 각한 중독 증상과 심장 독성 증상을 보인다. 특히, citalopram, escitalopram은 정해진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높 은 비율의 심장 독성 증상을 보이며 venlafaxine, bupropion, trazodone도 용량의존성의 독성 증상과 심장 독 성 증상을 보인다. 특히, venlafaxine은 심각한 심장 독 성 증상의 발현 비율이 TCA와 거의 비슷하다고 한다. mirtazepine과 reboxetine은 과량복용 환자에 대한 독성 정 보가 충분하지 않지만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 미루어 중 독 상황에서 심각한 중독 증상 및 심장 독성 증상을 보 이는 것 같지 않다. 따라서 항우울제를 처방할 경우 약물 순응도를 확인하고 적절한 약물 교육을 실시하며 효과적 으로 증상을 안정시킴으로써 약물 과량복용으로 인한 심 각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음주 상태에서 Doxylamine(Zamero)의 과량복용 후 나타난 섬망상태 1례

        이철,백인호,박용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1 신경정신의학 Vol.30 No.5

        We report a case of delirium induced by doxylamine poisoning in drunkenness. The patient was a 31-year-old married businessman without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 He inqested overdose of doxylamine whole for the purpose of suicide. He showed a delivium caused by hypoglycemia and anticholinergic symptoms possibly inceduced by alcohol and doxylamine poisoning. The patient gradually recovered from delirium whith the administration of glucose and symptomatic treatment.

      • KCI등재

        서방형 Bupropion을 과량복용한 후 발생한 일과성 정신병 1예

        나경세,이소영,정한용 대한정신약물학회 2011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2 No.3

        Bupropion is a unique antidepressant with enhancing both noradrenergic and dopaminergic neurotransmission without altering serotonergic system. Given its pharmacodynamics and structural similarity to amphetamine, the possibility of bupropionrelated psychosis has been reported. The authors describe a 22-year-old woman who presented psychotic symptoms after taking 10 tablets of sustained release bupropion (bupropion SR) 150 mg (total 1,500 mg) and lorazepam 0.5 mg (total 5 mg). Visual hallucinations developed at 17 hours after overdose, while paranoid ideation and aggressive behaviors developed at 24 hours after overdose. The psychotic symptoms remitted on the fifth day of antipsychotics treatment. She remained psychiatrically stable without any clinically significant symptoms during 3-month follow-up. This case raises issue about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bupropion overdose and transient psych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