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공무원 노동조합 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김기인(Kim, Kee-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공무원 노조활동의 효과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노조활동의 효과성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그리고 독립변수로 노조제도, 노사관계, 동료인식, 관리자의 태도, 노조몰입, 노사문화, 노조참여 등 7가지를 설정하여 경상남도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공무원 노조활동의 효과성 측면에서 조사대상 공무원의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무원 노조활동의 효과성에 영향이 있는 요인으로는 노사관계, 노조참여, 노조몰입, 노사문화, 관리자의 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수의 하위부문인 효용성과 공익성 부문에서는 조사대상인 지방공무원의 경우 공익성 부문보다 효용성 부문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공무원 노조활동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노조활동 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노조활동의 근간이 되는 노조제도 요인이 노조활동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공무원 노조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ausal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union activity of the government employees' union (GEU) for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The effectiveness of union activity of the GEU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even explanatory variables are union system, employer-employee relation, co-worker awareness, attitudes of managers, union commitment, union culture, and union particip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local government employee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have high awareness level of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GEU. Second, the explanatory variables, listed in order of strength of impact on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GEU, are employer-employee relations, union participation, union commitment, union culture and attitudes of managers. Third, for the two dimensions of dependent variable - utility and public benefit,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rate utility higher than public benefit.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union activity of GEU. In addition, we suggest improving union system,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activities of GEU, as the system was found not to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union activity of GEU.

      • KCI등재

        공무원노동조합의 조직형태 변경

        이재용(Lee Jaeyong) 한국법학회 2016 법학연구 Vol.63 No.-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변경은 1997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하 ‘노조법’이라 한다)의 제정 시 도입되어 기업별 노동조합이 산업별 노동조합의 지부 등으로 전환하는데 활발히 이용되었다. 최근에는 산업별 노동조합의 지부나 분회 등이 다시 기업별 노동조합으로 전환하는데 조직형태 변경을 이용하게 되면서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대법원은 전원합의체판결을 통해 산업별 노동조합의 지부, 분회 등 산하조직이 비법인사단(근로자단체)으로서 노동조합에 준하는 실체를 갖는 경우 독자적으로 조직형태 변경을 결의할 수 있다고 판시함으로써 그간 논란이 되었던 조직형태 변경의 주체로서 노동조합의 개념을 분명히 하였다. 2006년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하 ‘공무원노조법’이라 한다)이 시행되면서 공무원도 제한적인 범위에서 노동조합을 조직하고 활동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러나 조직형태 변경에 관한 사례나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조직형태 변경에 관한 노조법의 규정은 공무원노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조직형태 변경을 둘러싼 법적 쟁점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헌법과 공무원노조법, 국가공무원법, 지방공무원법 등 관련법령은 공무원노조활동에 대한 특별한 규율을 예정하고 있어 이러한 범위 내에서 공무원노동조합의 조직형태 변경에도 특수성이 존재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무원노조의 조직형태 변경의 특수성을 밝히고자 하며 이를 위해 3개의 대표적 사례를 검토한다. 이 사례들은 공무원노조법에 따라 적법하게 설립된 노동조합이 아닌 비합법단체의 지부가 조직형태 변경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합법노조에서 비합법단체로의 조직형태 변경도 허용될 수 있는지 같은 공무원노동조합에 특유한 쟁점에 관한 것들이다. 관련법령은 공무원의 신분상 특수성을 고려해 공무원의 노동운동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공무원노조법에 따라 설립된 공무원노동조합의 정당한 활동만을 보호하고 있다. 공무원노동조합의 조합활동으로서 공무원노동조합의 조직형태 변경도 이러한 한계를 준수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현행법상 노동운동을 할 수 없는 비합법단체로의 조직형태 변경은 단결력의 강화등 조직형태 변경의 인정 취지에 반하고, 조합활동으로서 목적의 정당성도 결여된 것이란 점에서 원칙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고 본다. After the labor union structural change was introduced (Article 16, Paragraph 2) in legislating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in 1997, enterprise trade unions were actively used for conversion to Industrial trade union subordinate bodies. Recently, branches or local chapters of Industrial trade union tend to be converted to enterprise trade union again, and the conversion is paid attention to as the form of structural change was used. Recently, through ‘all members of supreme court judges’ decision,’ the Supreme Court manifested the concept of labor union as the subject of structural change which had been at issue by ruling that they can decide on their structural change if branch organizations including industrial trade union’s branches, local chapters, etc. exclusively have the substantiality of so called labor union as non-corporate worker organizations. In the enforcement of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law in 2006, public officials were permitted to organize and perform labor union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public officials’ labor union structural changes, lacking little accumulation of sufficient cases. It is true that regulations of labor union law regarding structural change are applied for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in the same way, bu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legal issues surrounded (for example, the concept of labor union as the subject of structural change) by structural change. Still, related laws and ordinances such as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law predict special regulations on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activities, and within the domain, there also is a peculiarity of structural change in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culiarity of structural change in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ree representative cases related with structural change of public officials’ labor union. The cases comprised unique issues in public officials’ labor union such as whether outlawed trade union branches that were not established as a labor union according to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law can be the subject of structural change, and in opposition to that, whether a legal labor union can be permitted to make structural change into a outlawed trade union. Related laws including the constitutional law,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law, national public officials’ law and local public officials’ law in principle prohibit public officials’ labor movement in considering public officials’ peculiarity in social standing, and protect justified activities of public officials’ labor union established according to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law. As part of labor union activities, it is natural to abide by these boundaries for the structural change of public officials’ labor union.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structural change of public officials’ labor union with no permission of labor movement under the operative laws into outlawed trade union cannot be permissible in principle as it is opposed to the purport of authorization of structural change for solidarity reinforcement, and is lacking in the justice of the objective as union activities.

      • KCI등재

        최근 공무원노사관계의 법적 쟁점과 과제

        이재용(Lee, Jaeyong) 한국법학회 2017 법학연구 Vol.67 No.-

        공무원노조법이 제정•시행된 지도 10년이 넘었다. 2016년 말 기준 150개의 공무원노동조합에 19만여 명이 넘는 공무원이 가입해 있을 만큼 공무원노동조합은 외형상으로는 눈부신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i) 공무원노동조합은 아직도 ‘노동조합 할 권리’의 보장을 외치며 공 무원노동조합 활동을 제약하고 있는 공무원노조법의 개정과 (ii) 공무원과 공무원노동조합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 (iii) 10년 넘게 교착상태에서 빠져 있는 단체교섭 재개와 실질적인 단체교섭권 보장 등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친 노동성향의 정부 출범과 무관하지 않지만 공무원노조법 제정•시행과정에서 노정된 해묵은 문제들이라는 점에서 개선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때가 되었다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무원노조의 요구와 관련 제20대 국회에 제출된 공무원노조법 등 관련법률의 개정법률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노동조합 할 권리’와 관련해서는 가입범위 확대가 핵심 쟁점인데 근무조건이 열악한 소방공무원의 노동조합 가입을 우선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반면 근로시간면제제도 도입은 이에 대한 충분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고 보기 어려워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다음 ‘공무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정치적 표현의 자유부터 허용하고 이후 정당활동과 관련된 기본권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해 가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집단행위의 금지 조항 삭제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끝으로 ‘단체 교섭권 보장’과 관련해서는 교섭창구단일화 과정에서 신설 노조의 단체교섭권이 불합리하게 장기간 침해될 수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해석론과 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peration, etc. of Public Officials’ Labor Un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ublic Employees’ Labor Union Law” was enacted and enforced. As of the end of 2016, more than 190,000 civil servants have joined the 150 civil service unions, so the civil service unions have grown remarkably in appearance. However, (i) Civil servants’ unions are still calling for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trade unions, and amending the Public Employees’ Labor Union Law that restricts civil service union activities, (ii) ensuring political fundamental rights of public officials and civil service unions, (iii) ensuring the substantial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resumption of collective bargaining that has been inactive for more than 10 years, etc. This situation is not irrelevant to the launch of Mun Jae‐in’s government, but it is time to seek ways to improve the Public Employees’ Labor Union Law in that it is a longlasting problem that has been in the process of enacting and enforcing the law. This study focuses on the amendment bills of related laws such as Public Employees’ Labor Union Law submitted to the 20th National Assembly in relation to the demands of such civil service unions. With regard to the right to trade unionism,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membership is a key issue, and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participation of firefighting service public officials with poor working conditions in the labor union.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e Time-off system, a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fficient public consensus has been formed, it was evaluated negatively. Next, regarding the guarantee of political basic rights of public officials, this study proposed a policy of granting general political freedom of expression to civil servants, and then gradually expanding them to basic rights related to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emoval of the prohibition clause of collective activities will be the starting point. Finally, regarding the guarantee of collective bargaining right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of new unions may be violated for a long time due to delays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a single bargaining channel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노동조합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채진(Jin Chae)(蔡鎭)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7

        우리나라의 노동조합에 대한 인식은 과거 경제성장과 독재정권의 유지라는 차원에서 접근하여 부정적 인식이 사회적으로 팽배해 있다. 그러나 오늘날 소방공무원의 근무조건 개선과 소방조직과 소방행정의 효과성 제고를 위하여 소방공무원의 노동조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설립에 관한 기본적인 노동조합 이론적 논의와 선진국의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활동의 실태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 노동조합설립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소방공무원의 노동조합 도입에 대한 이론적 단초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도입과 활동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도입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소방공무원 노동조합 도입에 대한 주장이 공익과 사회의 안전과 반드시 조화를 이루어야 될 것이다. 소방공무원 노동조합의 활동으로 생명과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안녕 및 질서 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에 있어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근무여건이 열악하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소방공무원 노동조합의 도입에 대한 당위성을 헌법적 해석 등 학문적 근거에서 찾아야 한다. 셋째, 국제노동기구(ILO), OECD 등 국제기구의 권고를 근거해서 노동조합의 필요성을 기술할 때는 반드시 권고라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넷째, 투쟁과 대결의 노사문화를 버리고 상생을 강조한 성숙한 노사문화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노동운동을 헌법과 법률에서 보장되는 제도적 기본권으로 인식하여 노동조합의 부정적인 인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다섯째, 근로여건의 개선을 위한 단체교섭이나 파업에 대해서는 이데올로기 접근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사회적으로 팽배했다. 노동조합 활동에 대해 이데올로기적 접근에서 벗어나 근로여건의 개선, 조직의 발전과 부정ㆍ부패의 근절 등의 접근으로 인식이 바꿔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ies on introduction and activities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centering on discussion over establishment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by covering discussion of labor union for establishment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for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First, argument for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should be harmonized with public interests and social security.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activities should consider the protection of citizens' life and asset and improvement of public order and welfare important. Second, it is well known that working conditions of fire fighting officers are poor and therefore the appropriateness of introduction of fire fighting officer labor union should be sought in scholarly basis such as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ird, when the need of labor union is described based on a recommenda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LO, and OECD, the recommendation must be emphasized. Fourth, mature labor-management culture that places an emphasis on win-win should be created. Labor movement should be recognized as the legal fundamental human right that is guaranteed by constitution and law. Fifth, in the past, Korean society had a negative view of labor union activities such as collective bargaining and strike for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due to the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by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public awareness of labor union activities should aim for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developing organization and eradicating corruption after emerging from ideological approach.

      • KCI등재

        공무원노동조합 가입범위 확대와 관련된 쟁점 검토

        조성일 동국대학교 비교법문화연구소 2020 比較法硏究 Vol.20 No.2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ETC.,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has not been changed since its enactment in 2006. However, as the current government promotes ratification of the fundamental conventions of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discussions on revising the scope of membership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to an appropriate level have begun and are proceeding, and related legislation has been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not all citizens agree with the government's legislative initiative. In particular, the sector that can be most affected by the ratification of the ILO Freedom of Association Convention is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of public officials, and it is true that there are quite a few people who express some concerns about this. In the case of public officials, negative perceptions are added to the expansion of the guarantee of basic labor rights for public officials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volunteers for the whole people and the specificity of their duties and status under the vocational public service system.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ensus on the extent to which it is appropriate to guarantee the basic labor rights of public officials and why. In addition, there seems to be a lack of perception on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e scope of membership of the public officials union is expanded to ratify the Freedom of Association Convention and the search for alternatives. In the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ILO Freedom of Association Convention will be reviewed, major arguments related to the scope of membership in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and the revised bill of the government legislativ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ETC.,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And based on this, we will consider ways to improve the system on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including the scope of membership in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은 2006년 제정된 이후 별다른 내용의 변경이 없었다. 그러나 현 정부가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ILO)의 핵심협약 비준을 추진하면서 공무원노동조합의 가입범위를 적정한 수준으로 개정하자는 논의가 시작되어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어 있다. 그러나 정부의 입법추진에 대해 모든 국민들이 공감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ILO 결사의 자유협약 비준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부문은 공무원노사관계라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일부 우려를 표현하는 국민들도 상당히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공무원의 경우에는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라는 점과 직업공무원제에 따른 직무와 신분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보장 확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더하다.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을 어느 정도까지 보장하는 것이 타당한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공감대가 아직은 부족하다. 또한 ILO 결사의 협약 비준을 위해 공무원노조의 가입범위를 확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안 모색도 부족해 보인다. 다음에서는 ILO 결사의 자유협약의 내용을 살펴보고, 공무원노조 가입범위와 관련된 주요 주장들과 정부 입법 공무원노조법 개정안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공무원노조 가입범위를 비롯한 공무원노조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생각해본다.

      • KCI등재

        공무원노동조합의 조직활동범위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recognition survey

        김재기 韓國行政硏究院 2002 韓國行政硏究 Vol.11 No.1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노동계와 공무원사회의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공무원노동기본권 보장문제에 대비하여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현실과 국민 및 노사관계당사자의 의식수준이 반영된 현실적합성 있는 공무원노동조합의 조직활동범위를 분석함으로써 정부의 공무원노동기본권보장에 관한 정책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공무원과 국민의 의식수준을 반영한 적실성 있는 공무원노동조합 조직활동의 범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에 관한 공무원과 국민의 의식수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대상 공무원에는 일반직 공무원 이외에 경찰직공무원, 소방직공무원, 기능직공무원, 고용직공무원을 포함시켰다. 실증적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현실과 의식수준이 반영된 적실성 있는 공무원노동조합 조직활동의 범위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공무원 단결체의 명칭은 공무원노동조합으로 하며 국가직은 전국 단위의 노동조합을, 지방직은 광역자치단체별 노동조합을 설립하도록 한다. 복수노조를 인정하지 않도록 하고 연합단체에의 가입을 제한하도록 한다. 노조 전임자 제도를 인정하되 전임자의 임금은 노동조합이 부담하도록 한다. 유니온 샵을 인정하지 않고 가입과 탈퇴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한다.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법규는 공무원 노동관계에도 적용하되 부당노동행위 구제는 미국의 연방노사관계청(FLRA)과 같은 특별기구에서 다루도록 한다. 정부측 교섭대표로는 대통령직속의 특별기구를 설치하여 담당하도록 한다. 특별기구는 가칭 공무원노동관계 특별위원회로 하고 공무원노동관계 업무를 전담토록 하여 미국의 연방노사관계청(FLRA)과 유사한 기능을 부여하도록 한다. 정책결정 및 순수한 관리권한 사항은 교섭사항에서 제외하고 단체협약체결권을 인정하되 단체협약이 법령·조례와 저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효력을 발생하도록 한다. 단체교섭이 결렬되더라도 쟁의 행위는 금지하도록 한다. In Korea, the basic labor right of public officials' has been excessively restricted. Recently, the rapid spread of public officials' claiming the right to make union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legislative direction for the organization activity range of public officials' union by analyzing empirically the consciousness of the citizens and public officials with using the analytic framework of the labor relation model. The survey for peoples' consciousness on the organization activity range of public officials' union has been conducted for public employees and citizens for two weeks. It includes the organiz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of public officials' union.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ologi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and t-test for comparing intergroup differences and finding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In conclusion, most of target citizens and public officials showed the affirma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ctivity range of public officials' union. With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paper presents the relevant legislation model of public officials' union in Korea.

      • KCI등재

        수도권(인천, 경기, 서울) 지역별 공무원노조 특성이 공무원노조 활동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권기태(Ki-Tae Kwon),노재인(Jae-In Noh),김동원(Dong-Won Kim)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7 인천학연구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지역)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노조의 특성이 공무원노조활동(노조운영 효과성, 노조지도부,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에서 근무하는 전국공무원노조 소속 조합원 6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무원노조활동은 노조운영 효과성(노조몰입, 노조일상활동, 노조성과, 조합원의 노조만족수준), 노조지도부(조합원의견수렴, 의견반영, 지도부전문성, 민주성, 조합원이익대변의지),노사관계(상호신뢰성, 정부측 적극성, 노조간부 불이익, 조합원 불이익)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지역은 노조운영 효과성에서 타 지역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지도부 리더십에서는 인천지역이 서울지역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협력적 노사관계에서는 서울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공무원노조가 지역별 노동운동과 노조활동의 역사 속에서 잉태된 지역 고유의 성격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인천은 수도 서울에서 근접한 대도시이자 일제 이후 항구를 기반으로 성장한 주요 공업도시였다. 따라서 국내 다른 지역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노동자의 높은 밀집도, 빈번한 노사갈등, 잘 조직화된 노동운동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 공무원노조처럼 인천 내의 많은 노조들이 역사적으로 빈번하고 강성의 노동운동을 경험하게 되었다. 연구결과에서처럼 인천의 공무원노조도 효과적인 운영과 협력적인 노사관계라기보다는 강성의 노조지도부를 특징으로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노조활동의 특성과 공무원이라는 신분적 특성을 고려한 공무원노동조합의 활동방안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any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unions between three governm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Incheon city, Gyeonggi province and Seoul city on their Activities(effectiveness of union operation, union leadership, and labor relation). To do thi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611 members of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Union work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nion activities include effectiveness of union operation(commitment to the union, general activities in the un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union), union leadership(opinion collection, opinion application, leader’s expertise, democracy, and willingness to represent), labor relation(mutual trust, government’s initiative, and disadvantages to leaders, and disadvantages to union members). As a result, Gyeonggi, Incheon, and Seoul showed higher levels than the other areas of the metropolitan areas in effectiveness of union operation, union leadership, and cooperative labor relation, respectively. The result implies that public unions reflect their own intrinsic natures that have been conceived in the history of labor movement and actions by regions Incheon has been a big city close to Seoul, the capital, and a major industrial city based on a port since the Japanese colony. Hence, it has a high population density of workers, has driven frequent labor-management conflicts, and has a ground that enables wellorganized labor movement that does barely the other regions across the country. Many unions in Incheon, including public unions, have historically experienced frequent and strong labor movements. As in the result of the study, Incheon’s civil servant union came to have strong union leadership rather than effective operation and cooperative labor relation. Finally,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tudy propos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ctivity measures of public unions that would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public unions and special status as civil servants.

      • KCI등재

        최근 공무원노사관계 제도 개정과 향후 입법방향에 대한 검토 — 공무원직장협의회 제도와 공무원노동조합 제도를 중심으로 —

        조성일 한국사회법학회 2022 社會法硏究 Vol.- No.47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ublic officials’ labor relation system, which has not changed much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UBLIC OFFICIALS' COUNCI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t on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in 1998 and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ETC., OF PUBLIC OFFICIALS' TRADE UN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t on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in 2005. With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in 2019, police and fire officials were allowed to join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in 2022 included changes such as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council,” “expanding the scope of membership,” “adding the basis for council activities during working hours,” and “disclosure of the implementation of agreements” in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system. In 2021, ILO's Convention 87 (Freedom of Association and Protection of the Right to Organise Convention) and Convention 98 (Right to Organise and Collective Bargaining Convention), were ratified, and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has changed the public officials’ trade union system, such as “abolishing restrictions on the membership according to grade,” “allowing fire officials to join the trade union” and “allowing retired public officials to join the trade union under the trade union rules.” Collective labor relations are aimed at allowing worker and employer to autonomously improve working conditions through collective bargaining on the basis of practical equality, but they are also aimed at promoting the common interests of worker and employer through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ollective bargaining through the public officials' unions, labor-management consultations through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can also play an important rol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act on the public officials, which limits the labor movement of public officials in principle. It is also necessary to ease restrictions on the scope of membership of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and the trade unions,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redesign the system so that the public officials' council and trade union system can play a complementary role through labor-management consult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1998년 「공무원직장협의회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이하 공무원직협법) 제정과 2005년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이하 공무원노조법) 제정 이후 별다른 변화가 없었던 공무원노사관계 제도에 최근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2019년 공무원직협법 개정으로 경찰과 소방공무원들의 공무원직협 가입이 허용되었다. 2022년 공무원직협법이 개정으로는 ‘연합협의회의 설립 허용’, ‘가입범위 확대’, ‘협의사항 추가’, ‘근무시간 중 협의회 활동 근거 마련’, ‘합의사항 이행현황 공개’ 등과 같은 공무원직협 제도의 변화가 있었다. 2021년 ILO 제87호 협약(결사의 자유 및 단결권 보호에 관한 협약)과 제98호 협약(단결권 및 단체교섭권 원칙의 적용에 관한 협약)이 비준되었으며, 2021년 공무원노조법 개정으로 ‘직급에 따른 공무원노조 가입 제한 폐지’, ‘소방공무원의 공무원노조 가입 허용’, ‘노동조합 규약으로 정하는 퇴직 공무원의 공무원노조에 가입 허용’ 등과 같은 공무원노조 제도의 변화도 있었다. 집단적 노사관계는 노사가 실질적 대등관계를 기초로 단체교섭을 통해 자율적으로 근로조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기도 하지만, ‘참여와 협력을 통하여’ 노사 공동의 이익을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도 한다. 공무원노사관계 또한 공무원노조를 통한 단체교섭의 방식 이외에도, 공무원직협을 통한 노사협의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무원의 노동운동을 원칙적으로 제한하는 공무원법의 정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무원직협과 공무원노조의 가입범위 제한을 완화할 필요가 있으며, 공무원직협과 공무원노조 제도가 노사협의와 단체교섭을 통해 상호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를 재설계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공무원 노동조합의 발전과 노사관계의 성격변화

        서광석(Kwang Suk Seo),안종태(Jong Tae Ahn) 한국경영사학회 2017 經營史學 Vol.84 No.-

        This explores the history and system of labor relations of civil servants of the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labor union. in addition to the changes in Korea. Through these studies by finding problems and clarifying on creation process and the actual condition. I try to find out solution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of labor relations in Korea. In this paper, those problems of civil servant labor relations are limited to the realm of the basic labor rights security, the workers’ rights of associ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pursuant to the Constitution, the approval of the unique non-registered union in our country and the differentiation of civil servant union. Firstly, labor relations of the civil servants are the problems of expansion or reduction. Also it is at the root of the problem of the status as a civil servant and a worker.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our government should convert the public administrative tasks that are difficult to be seen as the major task into field tasks boldly for raising public service and the three labour rights should be guaranteed at the level of the private union. And for public servants who are acting as agents on behalf of government to execute the national core tasks the current status guarantee should be preceded. The insufficiency of the labour right guarantee may be reinforced by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current public workplace council Secondly, because the non-registered union,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problem is caused by the government’ political power or policy problem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n new government located, if our new government takes into account consideration the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of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ILO) and try to arrange the non-registered union problem mutually with a mutual beneficial trus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non-registered union,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the problem may be solved by their conference. Thirdly, the differentiation of civil servant union organization mainly is due to double structure registered union and non-registered union, the nature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Resolving of the problem of the non-registered union, The Korean Government Employee’ Union is to improve even the differentiation of civil servant union organization affirmatively. This study raises the problems of civil union and labor relations and presents the solutions of those. Before taking interest in these solutions,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ffirmative and promising labor-management relations, having a forward thinking attitude of regarding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rade union officials as a true partner on government policy accomplishment and offering of administrative service. 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공무원 노사관계의 역사·제도와 우리나라 공무원 노동조합의 발전과정과 성격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재의 우리나라 공무원 노동조합 및 노사관계에 관하여 문제점을 찾아, 그 문제점의 생성과정과 실태 등을 밝히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공무원 노사관계의 문제는 노동기본권의 범위와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현상인 법내·법외노조, 그리고 단체교섭에서 나타난 공무원노조 조직의 분화를 중심으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여 그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공무원 노동기본권 범위는 노동기본권의 확대냐 축소냐의 문제로 국가에 대한 봉사와 신분보장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공무원으로서의 지위와 근로자로서의 지위 문제가 그 근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국가조직의 운영을 위한 핵심 업무로 보기 어려운 대민 행정업무 등은 과감하게 현업업무로 전환하여 공공업무의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노동3권은 민간노조 수준으로 보장하며 국가의 독점적 행정업무를 대신하여 행하는 대리자인 공무원에게는 현 수준의 신분을 보장하고, 노동3권 보장의 미흡한 부문은 현 제도인 공무원 직장협의회 기능을 강화하여 보완하면 될 것이다. 둘째, 법내·법외노조문제는 정부의 정치권력이나 정책의 문제로 야기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현 상황에서는 정부가 국제노동기구(ILO)의 국제노동기준 등을 고려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정부와 노조 상호간에 호혜적으로 신뢰를 가질 수 있는 제도적 해결방안을 강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무원노조 조직의 분화는 주로 법내·법외노조의 2원화와 중앙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법내·법외노조문제의 해결은 공무원노조 조직분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공무원노조 및 노사관계에 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부는 이러한 해결방안에 대한 관심에 앞서 현실적으로 활동하는 공무원노조 및 노조원을 정부정책수행이나 행정서비스 제공의 진정한 파트너로 인식하는 전향적인 태도를 가지고 보다 긍정적이며 발전적인 노사관계를 정립해 나가야할 것이다.

      • KCI등재

        공무원 노동3권의 현주소와 과제

        김린(Lin Kim)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42 No.4

        공무원의 노동3권은 헌법에 언급된지 60년이 되었으나 일반 근로자와의 차별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2006년 공무원노조법이 제정되어 공무원의 노동조합가입이 인정되었고, 최근에는 조직율이 80%를 상회할 정도로 공무원 노동조합이 성장하였다. 외형적으로 큰 성장을 거두었으나 노동3권 보장은 녹록치 않았다. 헌법재판소에는 단결권, 단체교섭권, 단체행동권 등 다양한 관점에서 공무원노조법 규정의 위헌성이 제기되었지만 헌법재판소는 직업공무원제도 보호를 옹호하며 대부분 합헌을 선언하기에 급급했다. 이 과정에서 공무원들은 ILO 기본협약 중 노동3권에 관한 국제기준인 제87호 및 제98호 협약 등을 이 사건들의 심사척도로 적용하거나 해석기준으로 삼아달라는 주장을 하였으나 헌법재판소는 국내 비준이 되지 않아 국내법적 효력이 없다면 번번이 그 적용 내지 참작을 거부하였다. 즉, 국제노동기준과 동떨어진 우리만의 기준을 헌법재판소가 세워온 것이다. 그러던 중 2022. 4. 20. 드디어 ILO 제87호 및 제98호 협약이 국내에 발효되었다. 협약 발효에 맞춰 국회는 공무원노조법을 개정하여 공무원노조 가입대상을 확대하고, 그간 일반 노동조합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어온 근로시간면제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노동3권 침해의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헌법재판소가 합헌이라고 선언했던 여러 공무원노조법 상의 조항들은 기본협약 발효 이후에도 여전히 살아 있고 장차 문제가 될 것이다. 헌법재판소가 부디 국제노동기준을 깊이 이해해 우리에게 걸맞는 공무원 노동3권이 보장되길 희망한다. The Constitution of Korea has long laid down public officials’ right to independent association,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the “Right”). Nevertheless, the Public Officials Union Act (the “POUA”) did not come into force until 2006. Despite the enforcement of the POUA, the Right were not practically guaranteed. Public officials raised the issue of unconstitutionality of the POUA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the Constitutional Court, but the Court defended the protection of the vocational public officials system and ruled that most of them were constitutional. In the process, public officials insisted tha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RIGHT of the ILO Conventions should be applied for these cases,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repeatedly refused to apply them since they were not effective in Korea territory. In other word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established Korean standards that are far from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Meanwhile, on April 20, 2022, the ILO No. 87 and No. 98 Conventions finally came into effect in Korea. In line with the enforcement of these Conventions, the National Assembly revised the POUA to expand the scope of public officials' union membership, and introduced a working hours exemption system. However, the provisions under the POUA related to the Right, which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constitutional, will be issues in the future after the fundamental Conventions enters into force. I hop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deeply understand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and ensure the Right to fit for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