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직골 증대술에서 $\beta$-Tricalciumphosphate/Hydroxyapatite 골 이식재 입자 크기의 영향

        허중보,정동희,김지선,신상완,Huh, Jung-Bo,Jung, Dong-Hee,Kim, Ji-Sun,Shin, Sang-Wa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0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8 No.4

        연구 목적: $\beta$-Tricalcium phosphate/Hydroxyapatite ($\beta$-TCP/HA) 입자가 혼합된 합성 골 이식재의 particle size가 토끼의 두개골에서 타이타늄 메쉬를 이용해 시행된 골유도 재생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여섯 마리의 수컷 뉴질랜드 산 백토끼 (5 kg)를 이용하여 실험 하였다. 토끼 두개골의 정 중앙을 절개하고 전층 판막을 형성하여 박리하였다. 두개골의 네 부위에 6 mm 직경의 트레핀 바 (XTP 5406; Dentium, Seoul, Korea)로 원형의 홈을 형성한 후 blood supply를 위해 원형의 홈안에 1 mm 직경의 라운드 바로 다섯 개의 작은 구멍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네 개의 홈 위에 표준화되어 맞춤 제작된 반구형 타이타늄 메쉬 (높이 3 mm, 직경 6 mm; Dentium, Seoul, Korea)를 위치시키고 세 개의 2 mm 길이의 티타늄 핀 (Dentium, Seoul, Korea)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대조군은 이식재를 포함시키지 않았고 나머지 타이타늄 메쉬들은 실험군으로서 서로 다른 세 가지 크기의 이식재를 각각 담아서 고정하였다. 이식재 ($Osteon^{(R)}$, Dentium, Seoul, Korea)의 성분은 HA와 $\beta$-TCP ($\beta$-TCP/HA)가 혼합되어 있는 합성골 이식재이며 실험군으로 사용한 이식재의 크기는 각각 small (0.3 - 0.5 mm), medium (0.5 - 1.0 mm), large (1.0 - 2.0 mm) size 였다. 8주의 치유기간 후에 토끼를 희생시킨 후 조직 표본을 제작하고 CCD 카메라 (Polaroid DMC2 digital Microscope Camera (Polaroid Corporation, Cambridge, MA 02139, USA))가 부착되어 있는 광학 현미경 (Olympus BX, Tokyo, Japan)을 이용하여 두 가지 배율 (12.5배, 40배)로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다. 신생 골부위와 남은 골이식재 부위의 넓이를 측정하여 타이타늄 메쉬 내부 공간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구하였다. 그 수치들을 Mann-Whitney U-test와 Wilcoxon signed rank-tes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alpha$ = .05). 결과: 대조군과 $\beta$-TCP/HA를 이식한 나머지 세 군의 신생골 형성을 비교하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beta$-TCP/HA를 이식한 군에서 신생골 형성이 더 많았다 (P = .003). 서로 다른 particle size 간 비교에서는 신생골 형성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형성된 수직골 총량 (신생골과 이식골의 면적의 합)을 각 그룹 간에 비교해 보면 대조군보다 $\beta$-TCP/HA를 이식한 군이 통계적으로 더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P = .001), 특히 $\beta$-TCP/HA 이식 군간 비교에서는 medium size 군이 large particle size 군보다 통계적으로 더 큰 면적을 나타내었다 (P = .039). 그러나 large particle size 군과 small particle size 군 사이 그리고 medium size 군과 small particle size 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5). 결론: 티타늄 메쉬를 이용한 수직골 증대술에서 $\beta$-TCP/HA 합성골을 사용하는 경우 수직골 형성에 기여하며 특히 medium size (0.5 - 1.0 mm)의 $\beta$-TCP/HA 이식재가 large size 이식재 보다 더 우수한 수직골 형성의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sizes of $\beta$-TCP/ HA particles on vertical bone augmentation using titanium mesh in the cranium of rabbits. Materials and methods: Six white rabbits weighing 5kg were used. Four circular grooves of 6mm diameter were made by trephine, and five small holes were drilled in the inner surface of each circular gooves. Different sizes of grafts (small 0.3 - 0.5 mm, medium 0.5 - 1.0, large 1.0 - 2.0 mm) were placed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groups. Titanium mesh (height 3 mm, width 6 mm) was placed. After 8weeks healing period, the rabbits were euthanized, and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findings. New bone formation and remaining graft area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ratio of areas occupying the inner space of titanium mesh.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 rank-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pha$ = .05).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beta$-TCP/HA graf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new bone formation (P = .003). Comparing different sizes of $\beta$-TCP/HA,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new bone formation. The vertical bone formation (i.e. new bone and graft area)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beta$-TCP/HA groups (P = .001). In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sizes of $\beta$-TCP/HA, medium size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area than large particle size group (P = .039). Conclusion: The use of $\beta$-TCP/HA with titanium mesh showed a higher vertical bone formation, particularly the medium sized $\beta$-TCP/HA particles (0.5 - 1.0 mm) produced better results in vertical bone augm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골결손을 동반한 하지 장관골 불유합의 치료

        선두훈 ( Doohoon Sun ),박병섭 ( Byeong-seop Park ),전태현 ( Taehyeon Jeon ),이승구 ( Seung-koo Rhee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1

        목적: 1980년 5월 이래 골결손을 동반한 하지 장관골의 불유합 62예를 치험하고 골유합의 방법과 연령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남성이 51예, 평균 연령 38세였고, 7세 미만 소아가 6명이었다. 대퇴골 17예, 경골 37예 및 경비골 동시 손상이 8예였다. 골결손의 정도는 평균 7 cm (4-23 cm)였고, 7 cm 이내(24예)는 금속판 고정과 다양한 자가 골이식을, 7 cm 이상(38예)은 생비골 이식, 신연 골 형성술 등을, 소아에서 정상 비골의 경골화와 하지의 180도 회전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판정은 불유합의 크기와 연령에 따른 치료 결과에 국한하였다. 결과: 골유합은 평균 27개월이 소요되었으며, 하지 부동 없이 치유된 11예를 제외한 51예에서 평균 2.8 cm의 하지 부동을 보였다. 7 cm 이내는 약간의 골절부 단축과 여러 골 이식술이, 7 cm 이상은 생비골 이식이, 신연 골 형성술 등이, 소아에서는 정상 비골의 경골화 및 하지 회전 성형술도 효과적이었다. 예후는 소아에서, 대퇴부가, 비골 골절이 없는 경골만의 골결손 예에서 좋았다. 결론: 치료 시 연령과 골결손의 정도에 따른 골유합 수술이 필요하였고 장기 치료에 따른 치유 후 장해 정도가 커서 골절 전문 정형외과 의사의 치료 및 환자의 정신적 안정이 요구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end results of th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wide gap non-unions of the long bones in the lower extremiti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62 cases of wide gap unions, with a mean age of 38 years, were included for analysis. Study cohort included six children under the age of seven years. The average size of established bone defect was 7 cm (4-23 cm). Bone defects under 7 cm were treated with plating and various bone grafts, and those over 7 cm were managed with vascularized fibular graft (VFG), distraction-osteogenesis, tibial strut, plating and etc. Two boys with a defect of the whole tibia but with an intact fibula were treated with tibialization of intact fibula and with rotation-plasty of the leg. Their end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time of bony un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atment of defect size of the long bone as well as their age. Results: Bony unions were obtained for an average period of at least 27 months. Fifty-one cases showed an average leg-length discrepancy of 2.8 cm, and 11 cases showed no leg-length discrepancy. The VFG, distraction-osteogenesis, and tibial cortical-strut graft and plating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non-unions of wide, long bone defections (>7 cm). The prognosis was more favorable in children, muscular femur, and in cases with tibial defect but intact fi bula. Conclusion: Various bone union technique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considering the ages of patients and the size of bone defects. Due to severe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of patients during the long-treatment period, specialized orthopedic doctors for trauma and mental care were necessary.

      • KCI등재

        주상골 불유합에 대한 관절경적 골이식술 및 Kirschner-강선 고정술

        이영근,전무헌,이하송 대한수부외과학회 2020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5 No.2

        Various surgical techniques, such as corticocancellous or cancellous bone graft and other vascularized bone grafting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treat scaphoid nonunion. However, open grafting with dissection of wrist capsule and ligaments damages the joint and hence can lead to increased stiffness of the wrist and hand. Arthroscopic assisted bone grafting and percutaneous fixation have advantages such as minimal surgical trauma to the scaphoid blood supply and its ligament connection and provide a thorough wrist assessment, comprehensive approach for scaphoid nonunion and its sequelae in a minimally invasive manner. This article briefl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natomy of the wrist and scaphoid, and reviews the technique of arthroscopic bone grafting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scaphoid nonunion. 주상골 불유합을 치료하기 위해 지금까지 다양한 개방적 골이식 방법들이 소개되어왔다. 하지만 개방적 방법들은 수근관절막과 인대 손상을 유발해서 관절의 강직을 초래할 수도 있다. 관절경적 골이식술 및 경피적 고정술은 주상골의 혈액공급 및 주상골에 연결된 인대들에게 외과적 손상을 최소화하는 장점을 가진 방법이다. 또한 최소 침습으로 수근관절을 평가하고 주상골 불유합과 동반된 추가적인 손상을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 본 종설에서는 주상골 불유합 치료에서 관절경적 골이식술이 왜 필요한지 수근관절 및 주상골의 해부학적 측면에서 알아보고, 주상골 불유합 치료에 대한 관절경적 골이식술 및 경피적 Kirschner-강선 고정술에 대해 기술하도록 한다.

      • KCI등재

        백제의 骨族 의식과 골족 範圍

        노중국(Noh Choong-Kook)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0

        백제의 친족집단은 혈연관계의 近遠 여부에 따라 子弟, 骨族, 宗族으로 구분된다. 골족은 중국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우리나라 고대사회의 특징적인 표현이다. 初期百濟의 골족의 범위는 『駕洛國記』에 1호당 인구가 750명으로 나오는 것 등에서 미루어 同高祖8寸의 범위를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앙집권체제가 갖추어진 漢城도읍기에 골족 범위는 契王과 近肖古王과의 관계에서 미루어 同高祖8寸으로 볼 수 있다. 이때부터 골족과 종족은 구분되었다. 熊津도읍기의 골족의 범위는 한성도읍기와 큰 변화는 없었다. 다만 왕족도 骨族과 非骨族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경계선 역시 동고조8촌이었다. 泗?도읍기에 와서 성왕은 禮制를 재정비하고 이의 실행을 강력히 추진하였다. 건국 시조 東明을 모신 祠堂을 훼손한 것이 그 사례가 된다. 이 과정에서 골족의 범위도 축소되었다. 축소된 골족의 범위는 당에 들어가 살았던 백제 유민들의 묘지명에서 家系를 증조까지 한 것에서 미루어 同曾祖6寸으로 볼 수 있다. 골족의 범위는 喪服制와도 관계된다. 백제의 喪禮에 의하면 부모와 남편喪 때 자식과 처는 3년 服을 입었지만 나머지 친족[餘親]은 喪을 마치면 곧바로 복을 벗었다. 이 餘親이 바로 골족이다. 골족의 범위는 연좌제와도 연관된다. 죄가 가벼울 경우 처자에게만 연좌가 적용되었지만 무거울 경우 골족까지 확대되었다. Baekje’s relative group is divided into sons and brothers, goljok (restricted relative clan) and blood clan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r and near. Goljok(骨族) is a vocabulary which was used only in the Ancient korean society. The sphere of the Goljok at the early Baekje comprises the eight degrees of kinship under one ancestor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opulation of one village is 750 as is indicated at the 〈Garakgukgi〉. The sphere of the Goljok at the period of Hansung Baekje with the centralization of administrative power includes the eight degrees of kinship if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Gye and King Geunchogo. From that time, Goljok and Jongjok(宗族) was divided. The sphere of the Goljok at the period of Hansung Baekje remained without great change at the period of Woungjin Baekje. But, the royal family was divided into Goljok and non-Goljok. The dividing line is the eight degrees of kinship under one ancestor between them. At the period of Sabi Baekje, King Sung executed energetically realization of the ceremony system. A good example is the damage of the King Dongmyung shrine who is the founder of the Baekje dynasty. During the process, the sphere of goljok was reduced. The reduced sphere of goljok comprises the six degrees of kinship if we consider the names that the remained Baekje people who lived in the Chinese Tang dynasty left at their tombs. The sphere of the Goljok is related to the mourning clothes. According to the mourning ceremony at the Baekje dynasty, the son and wife of the defunct took the mourning clothes for three years, but the remained relatives took off them just after the ceremony. In this case, the remained relative is the goljok. The sphere of the goljok is related also to the gulty-by-association system. In case of the light guilt, only the son and wife of the criminal was punished as criminal. When the guilt is grave, the punishment was extended to the goljok.

      • KCI등재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 재건술의 합병증

        김갑중(Kap Jung Kim),이상기(Sang Ki Lee),전충엽(Chung Youb Jeon),마창현(Chang Hyun Ma),김수민(Su Mi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목적: 장관골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44세였으며 남자 4예, 여자 3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8개월이었다. 기능적 평가는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주기적 방사선 촬영을 통해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최종 추시 시 종양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환 부위는 대퇴골 5예, 상완골 1예, 경골 1예였다. 최종 진단은 악성 골육종 4예, 다발성 골수종 2예, 법랑종 1예였다. 이식된 동종골의 평균 길이는 165 mm였다. 동종골 내고정은 금속정과 금속판 고정 4예,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2예, 나사못 고정 1예였다. 평균 유합 기간은 14.5주였다. 최종 추시 시 평균 MSTS 점수는 20점(67%)이었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불유합 3예, 내고정물 파손 1예, 감염 1예였다. 최종 추시 시 지속적 무병 상태 5예, 유병 상태의 생존 2예였다. 3예의 불유합 중 2예의 환자에서 자가골 이식술과 반 피질 동종골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장관골에서 발생한 악성 골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은 매우 유용한 수술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동종골 이식 부위와 숙주골 경계 부위의 불유합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s of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wide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long bone,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44 years old. Male was 4 cases, and female was 3 cases. Mean follow-up period was 38 months. The m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score at final follow-up was evaluat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via periodic radiologic follow-up. Oncologic results were analyzed at final follow-up. Results: The primary malignancies occurred at femur in 5 cases, humerus in 1 case and tibia in 1 case. Pathologic diagnoses were osteosarcoma in 4 cases, multiple myeloma in 2 cases and adamantinoma in 1 case. Mean length of allograft was 165 mm. Fixations of allograft were intramedullary nailing with additional plate in 4 cases, intramedullary nailing in 2 cases, and screw fixation in 1 case. Mean time to union was 14.5 weeks. Mean MSTS score at final follow-up was 20 (6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onunion in 3 cases, implant failure in 1 case, and infection in 1 case. Oncologic outcomes were continuous disease free in 5 cases and alive with disease in 2 cases at final follow-up. Autologous bone graft and hemi-cortical onlay graft were performed in 2 cases of nonunion. Conclusion: Allograft reconstruction following wide resection of malignant bone tumors in long bone was effective surgical option. However, the possibility of nonunion between host bone and allograf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소아청소년에서의 거골 골연골 병변

        송미현(Mi Hyun S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거골 골연골 병변은 거골의 관절연골과 연골하골에 분절과 분리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관절면에서 분절된 골연골편의 안정성과 크기에 따라 예후가 결정된다. 소아 및 청소년에서 발생한 경우 성인의 거골 골연골 병변보다 병변이 치유되고 증상이 호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소아청소년에서의 거골 골연골 병변은 초기 치료로 보존적 치료가 우선 시행된다. 하지만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거나 병변의 크기가 큰 경우와 전위가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권장된다.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에는 병변의 상태에 따라 골수자극술, 자가 골연골 이식술 등을 시행하게 된다.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OLT) is a disease affecting the subchondral bone and articular cartilage of the talus, which may cause fragmentation and displacement of the osteochondral lesion. The stability of the joint and the size of the lesion are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Conservative treatment is preferred in the initial treatment of OLT in skeletal immature patients because it has a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adult OLT in terms of the healing potential and improvement of symptoms. Surgery is recommended when the conservative outcome is unsatisfactory and the fragment is large or displaced. Surgical procedures, including marrow stimulation technique, autologous osteochondral transplantation, and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were perform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osteochondral lesion.

      • 동종골과 이종골을 층별로 이식한 상악동골이식술

        김경원, 이은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3 忠北醫大學術誌 Vol.23 No.2

        치조골의 흡수와 상악동의 함기화로 인하여 상악 구치부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상악동골이식술은 이미 보편화된 술식이며, 그 예후도 아주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조직은행 등을 통하여 다양 한 동종골 이식재들이 공급되고 있으며 또한 그 이식재의 특성도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종골 이식재는 비교적 흡수가 빨리 일어나는 단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보완으로 이종골이나 합성골을 섞어서 사용하여 이식재의 빠른 흡수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저자는 상악동골이식술 시 동종골과 이종골을 섞어서 이식하는 것이 아니라 상악동저의 환자의 자기 골조직과 접촉되는 부분은 동종골을 이식하고, 상부의 상악동점막에 접촉하는 부분은 이종골을 이식하 여 흡수에 보다 저항할 수 있도록 동종골과 이종골을 층상으로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양호한 결 과를 얻었다.

      • KCI등재

        주상골 잠김금속판을 이용한 불안정성 주상골 골절 불유합의 치료

        권영우,박지헌,최인철,남재준,박종웅 대한수부외과학회 2019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4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sults of treatment of unstable scaphoid nonunion using a wedge iliac crest bone graft and a volar locking plate and screw system.Methods: Seventeen patients a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average age was 30.4 years. The mean duration of non-union was 44.8 months. All patients underwent open reduction, wedge-bone grafting from the iliac crest, and internal fix-ation using a 1.5 mm volar locking plate and screw. The nonunion sites were scaphoid waist in 12 patients and proximal pole in 5 patients. The mean follow up periods after the operation was 10.2 months. The mean union time was determined with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scan. At final follow-up, range of motion (ROM) of the wrist, scaph-olunate and radiolunate angles, and height-to-length ratio were measured.Results: All 17 scaphoids united in a mean time of 7.9 weeks after operation. Both scapholunate angle and radiolunate angles are recovered within the normal range. The average extension-flexion arc of the injured wrists was 127.9 degrees, which was improved over 34% of preoperative ROM. Pro- and supination were normal. There was no hardware related problems and no plate removal was necessary during the follow-up period.Conclusion: The use of an anatomical 1.5 mm volar locking plate with an anterior wedge iliac bone graft provides op-timal stability for the unstable scaphoid nonunion. The rapid union after the plate fixation allowed earlier rehabilitation without cast immobilization which is usually performed with other fixation methods. 목적: 본 연구는 불안정성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를 위하여 쐐기형 장골이식과 주상골 잠김금속판 고정을 시행한 후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했다.방법: 총 17명(남자 16명, 여자 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평균나이는 30.4세였다. 수상 후부터 수술까지의 평균 기간은 44.8개월이었다. 총 17예의 환자 모두 전방 쐐기형 장골이식과 주상골 잠김금속판 고정을 시행했다. 주상골 불유합의 위치는 waist에서 발생한 경우가 12예, 근위부에서 발생한 경우가 5예였으며, 수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10.2개월이었다. 골유합은 수술 후 단순방사선촬영과 computed tomography 단면을 통하여 확인했으며 최종 추시 시 완관절 운동범위, 주상-월상골각과 요-월상골각, 주상골의 높이-길이 지수를 측정하여 비교했다.결과: 최종 추시상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유합까지의 평균 기간은 7.9주(범위, 6-12주)가 소요되었다. 주상-월상골각과 요골-월상각은 정상범위 내로 유의한 회복을 보였다. 수술 후 완관절 운동범위는 127.9° (59.1° 굴곡, 68.9° 신전)로 수술 전 보다 34%, 건측의 82.9%까지 회복되었다. 회외전과 회내전은 정상이었으며 추시 기간 내 내고정물로 인한 합병증은 없었다.결론: 불안정성 주상골 불유합에서 전방 쐐기형 장골이식과 주상골 잠김금속판의 사용은 우수한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금속판 고정 후 조기에 골유합을 얻고 석고 고정 없이 조기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거대 낭종성 골병소 또는 소파 후 잔유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동종 피질 지주골 이식술

        정양국,강용구,김철진,이안희,박정미,박원종,유현호,Chung, Yang-Guk,Kang, Yong-Koo,Kim, Chol-Jin,Lee, An-Hi,Park, Jeong-Mi,Bahk, Won-Jong,Yoo, Hyun-H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1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7 No.2

        목적: 사지 장골의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피질 지주골 이식술"의 치료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사지 장골의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대하여 내재형 동종 피질 지주골과 동종 망상골 이식술을 시행한 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6예에서는 추가적인 금속판 내고정술이 시행되었다. 원발병소는 단순 골낭종이 3예, 섬유성 이형성증에서 속발된 동맥류성 골낭종이 2예, 이전에 수술한 골시멘트를 제거한 후 남은 골 결손이 1예, 섬유성 이형성증이 1예였다. 3예에서는 최초 내원시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다. 골 융합의 진행, 생역학적 지지기능 및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5.4개월이었다. 결과: 전예에서 이식된 동종 피질 지주골은 숙주골과 융합되었으며 6예의 골간단부에서는 평균 4.2개월에, 5예의 골간부에서는 평균 5.8개월에 융합되었다. 부가적인 수술 등의 조치없이 7예 중 6예에서 생역학적 지지가 가능하였으며 동종골 이식과 직접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최종 추시시 기능적 평가상 평균 29.6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거대한 골 낭종이나 소파술 후 남은 골 결손부에 시행한 내재형 피질 지주골 이식술은 추가적인 생역학적 안정성과 나사못 고정의 골지주판을 제공하여 조기거동과 우수한 기능적 결과를 가능하게 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sult of inlay cortical strut bone grafts for large cysts or cavitary bone lesions in long bones.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ith large cyst or cavitary bony lesions were managed with curettage, allogeneic inlay cortical strut and cancellous bone grafts. Additional plate and screw fixations were performed in 6 patients. There were three SBCs, two FDs with secondary ABC changes, one FD and one post-cement spacer removal state. Three of them had pathologic fractures. Progression of bone healing and mechanical support and functional result were evaluat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5.4 months. Results: Incorporations into host bones were progressed in all, average 4.2 months in six metaphyseal regions and 5.8 months in five diaphyseal regions respectively. Full structural supports were achieved in all except one patient without any additional procedures. No allograft-related complication was developed. Mean functional score according to the MSTS criteria was 29.6 at last follow up. Conclusion: Inlay cortical strut graft provided additional mechanical stability and bone stock for screw purchase in large cyst or cavitary defects of long bones, which allow early mobilization and excellent functional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