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클로트론실에서의 중성자계측기 선량 측정비교 연구

        지남준(Nam-Joon Ji),안성민(Sung-Min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

        사이클로트론 가동 시 발생되는 중성자 선량을 고정형계측기와 휴대용계측기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 하고, 계측기 간의 선량의 측정치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실험 기간 중 휴대형 계측기의 교정은 3회 실시하였으며 각 회별 12회, 총 36회의 측정값을 2012년 6월부터 2014년 2월까지 2주에 1회씩 고정형과 휴대형을 이용하여 선량을 측정 비교 하였다. 휴대형과 고정형 계측기의 각 회차에서 측정 결과 통계치가 각 0.186, 0.511, 0.05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 휴대형 계측기의 교정주기에 맞춰 고정형계측기의 편차가 없다면 고정형계측기는 굳이 교정을 받지 않아도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고비용이 드는 중성자계측기를 설치하는 것 보다 상대적으로 저비용인 Alarm meter를 설치하여 관심준위이상 계측이 되었을 때 휴대형계측기로 측정을 한다면 사회적 비용의 절감되는 효과도 있으리라 판단된다.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neutron dose when running cyclotron in fixed type measuring machine and portable type measuring machine, we performed this study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doses in both measuring devices. We performed correction 3 times for the portable type during the experiment. We measured the values 12 times for each correction, so total 36 times by using the fixed type and portable type once every 2 weeks from June 2012 to February 2014. The statistics for the portable type and fixed type for each experiment showed 0.186, 0.511, and 0.057, which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unless there is deviation based on the correction period of the portable type, correction of fixed type wouldn’t be necessary. Also, reduction of social costs may be achieved if we install an alarm meter, which is relatively low priced compared to the high cost neutron measuring machine, when detecting higher level than the interested standard level.

      • KCI등재

        계절별 온도 변화에 따른 계측 변위 특성

        김진환(Jin Hwan Kim),이종현(Jong Hyun Lee),유완규(Wan Kyu Yoo)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12

        우리나라의 도로, 철도, 교량, 항만 등 주요 산업 기반시설들이 노후화됨에 따라 시설물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계측기를 활용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가 수행되고 있다. 계측기를 이용한 산업 기반시설의 유지관리 분야의 시장 규모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나 계측기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외부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사계절이 뚜렷하여 계측기 주변의 온도 변화가 큰 폭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온도변화-계측변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절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가 계측기 변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비탈면에 설치한 계측기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변위 특성을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일부 현장에서 나타나는 계측기상의 지반 변위는 실제 변위가 아닌 온도 변화를 반영하여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도 변화가 심한 지역에서의 순수 계측변위가 계측기를 설치한 시설의 위험징후를 반드시 반영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산업 기반시설에 대한 정밀한 계측을 위해서는 구조물 변위, 지반변위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의 상관성을 고려한 모니터링 계획이 필요하다. The measurement of the conditions of industrial infrastructures as a means to determine the rate of deterioration of various structures such as roads, railroads, bridges, ports, etc. are quickly becoming important in South Korea. The maintenance market with measuring instruments has become bigger but the research for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s which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is insufficient. In order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by the seasonal chang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measurement instruments installed in domestic slope, and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measured displacements due to seasonal temperature changes. This study shows that collecting and analyzing technical data and systematic and specialized research for monitoring soil behavior affect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s are needed for the nation’s major industrial infrastructures.

      • KCI등재

        비부착, 비접촉 방식의 계측기를 이용한 반구대암각화 암반 절리면의 계측

        김재현,이상옥,정광용,한민수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6

        울주군 대곡리 일대의 대곡천은 가지산 도립공원에서 양산단층을 가로질러 태화강 합류지점 에 이르는 계곡과 암반이 발달된 지역이다. 계측할 반구대 암각화 암반은 광물학적 풍화, 절리, 하부 의 세굴이나 공동이 확인되었다. 본 계측은 반구대 암각화가 세겨진 암반의 절리면을 대상으로 단기 간 계측을 수행하였다. 기존 광섬유를 이용한 계측값(Ch4 150 μm)과 비교하여 비부착, 비접촉식 계측기는 300μm의 변위값이 계측되었다. 향후, 시간대별 조도값에 적합한 HSV값의 적용과 다양한 계측경험이 누적될 경우, 본 계측기는 다양한 문화재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Daegokcheon Stream in Daegok-ri, Ulju-gun, is an area with a developed valley and bedrock from Gajisan Provincial Park to the confluence of the Taehwa River across the Yangsan Fault. To measure the rock of Bangudae petroglyphs, the mineralogical weathering, joints, and scours or cavities at the bottom were confirmed.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for a short period of time on the joint of the bedrock on which the Bangudae petroglyphs were engraved.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 obtained using existing optical fiber (Ch4 150 μm), a displacement value of 300 μm was obtained using the non-attached, non-contact type of measuring instrument. In the future, it is inferred that this instrument could be used for various cultural properties if the HSV-value suitable for illuminance and various measurement experiences are stored.

      • KCI등재

        터널계측용 록볼트축력계와 지중변위계의 불량원인 파악과 검증방법에 대한 연구

        김영배,노원석,이성원,전훈민,이강일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22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4 No.5

        Instrumentations are essential in NATM tunnels, however measuring instruments are installed and applied without performance verification procedures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on methods, procedures, regulations, etc.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s.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relating to the verification and calibration of instruments were investigated and necessities for accreditation standards were proposed. In order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defects, an external inspection was performed on rock bolt stressmeter and rod extensometer, which are measuring instruments with relatively complex structures. For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these instruments, verification devices were developed that can load step-bystep and the causes of defects were identified in measuring instruments of nine domesticmanufacturers. Through the performance test, a number of measuring instruments were found to be defective. It was important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s in the state of a finished product and accordingly performance inspection methods and procedures we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eparingrelated regulations for verifying instrument performance and selecting instruments in the field. NATM 터널에서 계측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나 계측기의 신뢰도를 검증할 방법, 절차, 규정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함으로 인해 터널에서 계측기가 성능검증 절차 없이 설치 및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계측 검 ‧ 교정 관련 규정을 조사하고 공인 인정기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터널계측기 중 록볼트 축력계와 지중변위계를 대상으로 계측기의 불량원인을 외관검사로 파악하였으며 성능검사를 위해 단계별 하중 재하가 가능한 검증 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9개 계측제조업체의 정밀계측기 불량원인을 파악하였다. 개별센서 위주의 성능테스트도 중요하나 완제품 상태에서 검증 절차를 통과해야 함이 필수적이므로 이에 따른 성능검사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향후 계측기 성능검증을 위한 관련 규정 마련과 현장에서 계측기를 선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속철도와 도시철도 장대터널 계측기기의 정상 작동율 산정연구

        우종태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속철도와 도시철도 장대터널 계측기기의 정상 작동율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장대터널에서 스마트계측과 계측관리 기술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연구방법: 고속철도 장대터널 3개 노선인 수서평택선, 경부선, 호남선과 도시철도 장대터널 2개 노선인 서울도시철도 5,6,7호선과 9호선을 대상으로 장대터널별 6∼8종류의 계측기기에 대하여 정상 작동율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상호 비교를 실시한다. 연구결과: 계측기기의 정상 작동이 높은 순서는 수서평택고속철도 92.1%, 서울도시철도 5,6,7호선 85.8%, 서울도시철도 9호선 85.2%, 경부고속철도 80.5%, 호남고속철도 46.7%로 나타났다. 결론: 3개 고속철도 장대터널 계측기기의 정상 작동율 평균은 83.4%이며, 2개 도시철도 장대터널 평균은 85.5%를 보여 편차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속철도와 도시철도 5개 노선의 장대터널 계측기기의 정상 작동율 평균은 84.2%를 보였다.

      • KCI등재

        수돗물 공급관로 내 수질문제 인지를 위한 계측기 위치결정

        이찬욱(Lee, Chan Wook),이용준(Lee, Yong Jun),박지승(Park, Ji Seung),유도근(Yoo, Do Gue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1

        최근 인천광역시 적수사태로 관로 내 수질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수질문제의 발생은 물 공급시스템에대한 사회적인 불신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상황 수질 문제인지를 위한 계측기설치 위치 결정 방법론을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관로별 유향의 민감도를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정상 및 비정상 상황을 가정하여관로별 민감도를 분석하였으며 관로의 민감도는 물의 흐름방향이 변화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정상상황에서의민감도는 낮으나 비정상상황에서의 민감도가 높은 관로를 계측기가 우선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관로로 정의하였다. 제안된방법론을 대표적인 가상관망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질계측기 위치 결정 방법은 향후 비상시를고려한 계측기 설치 위치 결정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importance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pipes has been recently highlighted through the Red-water phenomenon in the city of Incheon. This study proposed a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during abnormal water quality issues. The proposed method focuses on analyzing the sensitivity of the flow path through a pipe. Additionally, this flow sensitivity through the tube is analyzed by considering both normal and abnormal conditions. The sensitivity of a pipe is the rate at which the water-flow direction changes. Further, a tube with low sensitivity under normal conditions but high sensitivity under abnormal conditions is the pipe for which the instrument should be first install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ology to a conventional virtual network. It is expected that, in future, the propos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water quality gauges could be a useful tool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instruments during emergencies.

      • KCI등재

        핵의학 계측기기 및 감마카메라의 정도관리 연구

        손혜경,김희중,정해조,정하규,이종두,유형식 한국의학물리학회 2001 의학물리 Vol.12 No.2

        목적: 최근 국내의 핵의학 계측기기 및 감마카메라의 정도관리 수행현황을 파악하고, 핵의학 계측기기와 감마 카메라의 정도관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방 법: 최근 국내의 핵의학 계측기기 및 감마 카메라의 정도관리 수행현황은 총 53개 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들의 정도관리 연구는 Capintec의 CRC-15 기종의 dose calibrator와 Tc-99m 35.52 MBq을 사용하여 2분 간격으로 정밀도를 측정하였다. Nucleus사의 기종의 Thyroid Uptake system은 Tc-99m 5.14 MBq을 이용하여 1분 간격으로 10초동안 정밀도를 측정하였다. 지름이 15 cm이고 높이가 각각 12 cm, 30 cm인 원통형 팬텀과 TC-99m을 이용하여 저에너지 고해상도 조준기가 부착된 CeraSPECT$^{TM}$의 예민도를 측정하였다. CeraSPECT$^{TM}$와 일반 평면카메라와의 예민도에 대한 특성비교를 위하여 Varicam (Elscint Ltd, Israel) 감마 카메라로 영상을 얻었다. CeraSPECT$^{TM}$로 획득한 자료로 각 슬라이스에 대한 보정상수를 계산하였다. Elscint 사의 Varicam 감마 카메라의 정도관리를 위해 저에너지 고해상도 조준기를 부착하고 140 keV 중심20% 에너지창, 256$\times$256 또는 512$\times$512 메트릭스 크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평면 예민도, 균일도, 계수율 및 공기중과 산란매질에서의 공간 분해능을 측정하였다. 결 과: 핵의학 계측기기 및 감마 카메라의 정도관리 수행율은 dose calibrator와 well counter의 경우 매우 저조한 수행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외 감마 카메라 등은 대체로 양호한 수행율을 나타내었다. dose calibrator의 정밀도 측정은 $\pm$1.4%(<$\pm$5%)의 결과를 얻었고, thyroid uptake system의 정밀도 측정은 chi^2=29.7(>16.92)의 결과를 얻었다. Varicam 감마 카메라의 경우 슬라이스들간에 전반적으로 균일한 민감도를 보여주었으나 CeraSPECT$^{TM}$ 의 경우는 위쪽과 아래쪽 부분의 슬라이스들은 민감도가 두드러지게 떨어져 있었고 팬텀의 중심부분 슬라이스들은 민감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산한 보정 상수를 이용하여 CeraSPECT$^{TM}$로 얻은 환자 자료를 보정하였을 때 보정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균일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감마 카메라의 시스템 평면 예민도 측정 결과는 4.39 CPM/MBq 이었으며, 시스템 균일도는 첫 번째 검출기와 두번째 검출기가 각각 2.14%, 3.79%로 나타났다. 시스템 계수율 측정의 경우 입력 계수율 R_20%가 각각 102,407 counts/sec (head 1), 113,427 counts/sec (head 2)일 때 20% 계수율 손실이 발생했을 때의 측정된 계수율 C_20%는 각각 81,926 counts/sec (head 1), 90,741 counts/sec (head 2) 이었다. 공기 중에서의 시스템의 공간 분해능은 FWHM이 8.16 m, FWTM이 14.85 mm이었고, 산란매질에서는 시스템의 공간 분해능은 FWHM이 8.87 mm, FWTM이 18.87 mm이었다. 결 론: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검사를 위해 정도관리는 필수이며, 이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실질적인 수행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ing nuclear medicine quality control in korea and to test selected protocols of quality control of nuclear medicine counting system and gamma camera. Materials and Methods: Fifty three hospitals were includ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nuclear medicine quality control in korea. The precision of dose calibrator and thyroid uptake system was measured with Tc-99m 35.52 MBq for 2 minuets and Tc-99m 5.14 MBq for 10 sec every one minute,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of CeraSPECT$^{TM}$ with low energy high resolution parallel hole collimator was measured using two cylindrical phantoms with 15 cm in diameter and 12 cm and 30 cm in heights containing Tc-99m. The correction factor for sensitivity of CeraSPECT$^{TM}$ was calculated using phantom data. The system planar sensitivity, uniformity, count rate and spatial resolution were measured for Varicam gamma camera with low energy high resolution parallel hole collimator using 140 keV centered 20% energy window, 256$\times$256 or 512$\times$512 matrix sizes. Results: The quality control of dose calibrator and well counter were showed poor performance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control of gamma camera and other systems were showed relatively good performance status. The results of precision of dose calibrator and thyroid uptake system was $\pm$1.4%(<$\pm$5%) and chi^2=29.7(>16.92),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he sensitivity of CeraSPECT$^{TM}$ was higher in center slices compared with the edge slices. After correction of nonuniform sensitivities for patient data, it showed better results compare with prior to correction. System planar sensitivity of Varicam gamma camera was 4.39 CPM/MBq. The observed count rate at 20% loss was 102,407 counts/sec (head 1), 113,427 counts/sec (head 2), when input count rate was 81,926 counts/sec (head 1), 90,741 counts/sec (head 2). The spatial resolution without scatter medium were 8.16 mm of FWHM and 14.85 mm of FWTM. The spatial resolution with scatter medium were 8.87 mm of FWHM and 18.87 mm of FWT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and to perform quality control of nuclear medicine devices.vices.

      • KCI등재

        소하천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유량계측기술 개발 및 적용성 검토

        정태성(Cheong Tae Sung),주재승(Joo Jaeseung),최현석(Choi Hyunsuk),김서준(Kim Seoju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6

        소하천은 상류에 위치해 하류에 위치한 국가 및 지방하천의 홍수피해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라 소하천 유역 내에서도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적절한 예방ㆍ대응 대책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하천은 미계측 유역으로 남아 있어 적절한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불어 국내 소하천은 22,800여개로 지자체 소하천 담당 공무원의 수에 비해 그 수가 너무 많아 홍수 시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소하천 계측이 가능한 CCTV 기반의 자동유량계측기술을 개발한다. 개발된 기술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립재난연구원에서 시범운영중인 울주군에 위치한 중선필천에서 유량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도플러유속계를 이용하여 실측한 유량과 위어 유량을 함께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실측 유량을 잘 재현하는 것은 물론 계측시간이 짧아 소하천의 첨두유량을 측정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본 기술은 수면과 직접접촉하지 않고도 소하천의 표면영상만을 이용하여 유속을 계측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량을 계측함은 물론 하천흐름과 현장상황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 소하천 홍수대응 지원도 가능한 지속가능한 계측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측기술로 인해 소하천에서의 모니터링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수집된 수리량 자료는 홍수량산정을 위한 설계기준 개정이나 소하천의 재해저감을 위한 소하천 홍수 예ㆍ경보시스템 고도화 지원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Small streams have flood effects on both national and local streams located further downstream. Moreover, damages are increasing in these basins, making the development of adaptive prevention and response measures an urgent necessity. However, the challenge is that small streams remain non-measuring sites. Furthermore, there are about 22,800 small streams, which are too many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measure during the flood season. Thus, in this study, a CCTV-based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technology was develop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in monitoring, and minimize the labor required. To evaluate the new technology, discharges were measured in Jungsunfil-chun of Ulju-gun, which is a test bed opera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and compared with the Aquatic Doppler Velocimetry (ADV) based discharges and the weir discharges. The results show that measurements using the new technology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DV based discharges. Furthermore, the new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pture peak flood discharges with short measurement times. Moreover, it is a sustainable measurement method to support flood control by verification of stream flow and situational influences, and provides stable measurements by using a non-contact measurement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 new technology may be u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onitoring sites, and the hydraulic data sets collected from various small stream test beds can be used to enhance the design code for estimating flood discharges and the small stream flood warning system to reduce damage in small streams.

      • KCI등재

        계측기반모델에 의한 사장케이블의 장력 평가

        남상진,임성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교량의 상시계측자료인 고유진동수 및 고유모드를 기준으로 계측기반모델을 구성하고,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교량 공용상태에서 사장케이블 장력평가를 수행하였다. 케이블 설치 위치에 따라 하중유형별 케이블 장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정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케이블 계측장력은 케이블 설치위치에 따라 차이가 크지 않으나 설계하중을 적용한 해석결과보다 큰 값을 나타낸다. 계측기반모델에 대한 케이블장력분포는, 설계모델에 대한 장력보다 크지만, 계측장력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장기거동을 고려하여 사장교 케이블설계는 계측기반모델의 해석결과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많은 계측자료를 이용한 장기거동 분석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presents the recomposition of MBM (measurement-based model) using natural frequencies and modes from the usually measured data, and the evaluation of cable tension in service from the analysis results upon MBM of existing CSB (cable stayed bridge). The cable tension is shown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attached to cable and loading type. The measured cable tensions are not different distinctly according to position attached cable under dead and live loads, but larger than those under design loads. The distribution of cable tension calculated upon the MBM is similar to those of measured tension although the former is more than those of cable tension upon the design model. Considering to long-term behaviors of cable, therefore, the design of cable in CSB needs to apply the analysis results on MBM. For this purpose, future study needs lots of measured data and MBM is used to analyze the long-term behavior of cable in CSB.

      • KCI등재

        강소기업 (주)서진인스텍의 도전과 미래

        강길원(Kil-Won Kang),고영희(Young-Hee Ko) 한국경영학회 2019 Korea Business Review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서진인스텍(www.seojin.biz)의 지난 약 40년간의 도전과정과 핵심전략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 기업은 국내 산업용 계측기기의 개발-제조-유통업계의 선두주자이자 2017년 고용노동부장관이 인정한 강소기업이다. 1979년 창업 후 개인회사로써 초기보육과정을 거쳐 일본의 유명 산업용 계측기기 제조사인 노켄(Nohken Inc.(株)能硏工業)과 외국인합작투자에 의해 법인으로 전환 설립되었고, 일본 노켄의 기술이전과 지도로 당시 낙후된 국내의 수공업 기반에서 벗어나 선진기술과 경영전략 전반을 도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후 국내 경영여건과 산업환경의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제조품목과 경영시스템의 대대적인 수정을 통해 새로운 진화과정을 창출하였고, 일본 노켄에 새로운 제조기술을 이전해 주기도 하는 성과를 이루어냈으며 현재는 노켄보다 폭 넓은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품목의 제품개발을 자체자금 및 정부의 연구개발자금 지원을 통해 완성해가고 있다. 본 사례연구에서 우리는 이 기업의 전략적 진화과정에 네 단계의 진화과정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첫째, 창업과 선진기술의 도입 및 정착, 자체기술의 확보 및 축적 단계, 둘째, 두 차례에 걸친 경제위기 극복과정에서의 생존 및 진화 단계, 셋째, 사업 다각화 추진과 실패 극복 단계, 마지막으로 세계시장을 향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단계이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발전과정들이 국내시장의 범위에서 성공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겠으나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과정에서 또 다른 도전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사례를 통해서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모델을 제시하고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서의 발전을 위한 역량과 전략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bout 40 years challenge process and core strategy of Seojin Inc. It is a Korean Hidden Champion recogniz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2017 as a leader in the development,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of domestic industrial measuring instruments. Since its inception in 1979, it has been a private company and has been established as a corporation by foreign joint venture with Nohken Inc., a well-known manufacturer of industrial measuring instruments in Japan, through early childcare process. With the map, we set out to introduce the advanced technology and management strategy out of the domestic handicraft base which was backward then. In order to overcome the gap between domestic and industrial environments, Seojin Instec have created a new evolutionary process through major revisions of all manufacturing items and management systems, and have succeeded in transferring new manufacturing technologies to Nokken, Japan. Seojin Instec are developing various products that can be applied to a wider range of industries through self-funding and government R&D funding. In this case study, we learned that there were four stages of evolution in the companys strategic evolution. Up to now, it can be said that these developments were successful in the domestic market, but it is time for another challenge and strateg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lobal network. In this case, we will present the growth model of Korean SMEs and analyze their capabilitie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as a global mid-sized compa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