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lb의 경험학습이론 관점에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 학습 경험의 학습양식과 경험학습 단계에 대한 관계 연구

        최순리(Soonri Choi),강수민(Soomin Kang),송지훈(Jihoo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기간 동안 비대면으로 진행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과 학습 경험의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Kolb의 학습 양식과 경험 학습 단계에 따른 경험 학습 단계별 구성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했다. 방법 자료 수집은 경기도 소재 S대학교에서 3학기(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1학기)동안 개인정보동의를 받아서 진행된 에세이 111편을 문서 분석하였다.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첫째,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Kolb의 학습 양식에 따른 범주화 과정이 이뤄졌으며, 범주화된 수치를 Kolb의 경험학습 이론 단계를 기준으로 산포도로 확인하고 학습 양식별 특징을 범주화된 내용 기준으로 제시했다. 둘째, 경험 학습 단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된 범주화 내용을 Kolb의 경험 학습 이론에 따라 재구성하여 구성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했다. 결과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은 확산자와 적응자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고, 수렴자와 융합자가 낮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경험학습 단계에 따른 영향 관계는 구체적 경험 단계에서 상황 노출의 부정적인 학습 경험이 긍정적인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반성적 관찰 단계에서 행동 수정을 하고 부정적 정서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상적 개념화 단계에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원적 자원이 활용되고 학습에 적용하여 능동적 실천 단계에서 학습 전략을 일반화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상황에서는 정서적 측면과 학습에 대한 지원적 요소가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during an co-curricular program progressed online during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has been collected during 3 semesters (Semester 1 of 2020 to Semester 1 of 2021) in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are 111 essays used for a document analysis during this five-semester period. To analyze the learning styles o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two methods were employed. First, a categori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olb’s learning type using constant comparison, then the categorized data is expressed in a scatter plot based on the steps of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ing type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ategorized data. Second, the categorized data that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was then reconstr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making up the leaning steps. Results There were high percentages of “divergers” and “accommodators” among the students i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but less of the “convergers” and “assimilators” in the student group.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it is shown that a concrete experience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learning through a negative learning experience, and a reflective observation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modify their behaviors and refresh their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the studies. Additionally, students were able to utilize supporting resources to effectively use the program as well as applying them during a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ultimately learn to generalize their study strategy during the active experimentation stage. Conclusions Current study elucidated that emotional support and other supporting resources on the learning material facilitate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in an online co-curricular program, and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real-life ap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 KCI등재

        식문화적 경험에 따른 문화적 소통을 위한 디자인 연구

        김화영 ( Kim Hwa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모든 인류의 문화는 상대성을 갖는다. 인간이 위치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생활환경과 생활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디자인은 한 시대 혹은 한 지역의 역사, 사회, 지리적 특성을 내재하며 인간의 다양한 생활양식을 상징하는 전유물이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기본 생활양식인 의식주 중에서 식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인을 통해 문화적 소통을 이루기 위한 디자인 단계별 프로세스를 연구하였다. 문화적 소통을 위한 단계별 디자인 연구는 1) 리서치·분석 단계, 2) 정의·통합·가이드라인 도출 단계, 3) 문화 가이딩 툴 제안 단계, 4) 문화 학습 단계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단계별 연구 방법에 따라 각 문화별 상차림 및 식사 방법과 식사 행위에 대한 내용을 일러스트와 목업으로 제작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최종작품에서는 인지, 이해, 경험을 통하여 식 문화적 학습을 돕는 디자인 작업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작품 포스터는 문화별 식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인쇄 매체물로 시각적 인지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 작품 영상은 문화별 식사 방법에 대해 비교하며 간접 경험을 통하여 문화별 식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영상 매체물로 지각적 이해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 진다. 세 번째 작품 식기는 문화별 식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식기류 디자인으로 감각적 경험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 문화 소통을 위한 단계별 디자인 연구와 문화 학습을 위한 작품 연구를 통하여 문화별 식문화에 대한 기호 및 상징을 도출하고, 이를 디자인 언어로 해석하여, 공통된 디자인 언어로 표현하며 디자인을 통한 문화적 소통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언어적 소통을 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디자인 언어를 통한 문화적 소통 및 교류가 더욱 다양화되고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Culture of all mankind has a relativity. The living environment and lifestyle vary depending on the era and region in which humans are living. Design is an exclusive symbol of the diverse lifestyles of human beings, embedded in the historical, soci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period or region.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the food culture among the basic human living condition;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ried to establish 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design. Stage of design research for cultural communication was conducted in the progress of: 1) Research and analysis stage, 2) Define, integrate, and guideline derivation stage, 3) Cultural guiding tool proposal stage, 4)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chieving stage. The contents of table settings, eating methods, and eating behaviors per culture was organized through illustration and practice models on each stage. With this basis, final work was created to establish food culture communication which helps learning based on human recognition, comprehension and experience. The first Poster work is a printing medium that introduces the overall contents of various food culture and is learned through visual recognition. The second Video work is a moving video medium that compares eating methods by culture and helps understanding through indirect experiences and learns through perceptual understanding. The third Tableware work is a ceramic medium that directly experiences food culture and is learned through sensory experiences. Design research stage to achieve cultural communication and works for cultural learning were conducted to derive sign and symbol for different food cultures, interpreted them as design languages, and expressed into common design languages. Through this study, it looks forward to cultural communication and exchanges through design languages which is based on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various culture beyond verbal communication will be more diversified and active.

      • KCI등재

        교사의 문법 탐구 학습 경험과 탐구 단계 평가의 상관성 고찰

        양영희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9 No.-

        본 연구는 수요자 중심의 탐구 학습 모형 설계를 위한 과정으로, 탐구 학습 경험 정도를 ‘전혀 없었음, 가끔 있었음, 자주 있었음’의 집단으로 구별하여 이에 따른 탐구 단계에 대한 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탐구 경험이 ‘자주 있었음’ 집단의 결괏값이 다른 두 집단과 다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먼저 일반화ㆍ자료 분석ㆍ원리 발견 단계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는 교사들이 이 세 단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면서도 수업 시간에 많이 활용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가설 검증’이 4순위로 평정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다른 두 집단의 결과는 5순위로 문제 제기 단계 다음이었지만 이 집단에서는 문제 제기 단계보다 우선순위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가 교육 현장에 효율적인 문법의 탐구학습 모형을 개발하려는 데 있음에 주목하면 위와 같은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의미 있는 과정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consumer-centered inquiry learning model that aligns with teacher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Teachers' inquiry experience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never," "sometimes," and "often." Subsequently,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inquiry steps across these experience groups were analyzed. The findings revealed a distinct pattern for the "often"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Firstly, there was minimal variation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generalizing, analyzing data, and discovering principles. This suggests that teachers consistently value and utilize these three steps in their grammar instruction. Secondly, "verifying the hypothesis" was ranked fourth in importance by the "often" group, even surpassing "posing the problem." In contrast, the other two groups ranked "verifying the hypothesis" as the fifth, following "posing the problem." Given that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model of grammar inquiry learning for classrooms, these findings hold significance to identify these differences.

      • KCI등재

        일반논문 : 벤처기업의 단계별 국제화 경험과 학습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상규 ( Sang Gyu Park ),문휘창 ( Hwy Chang Moon ),차경천 ( Kyoung Cheon Cha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2

        벤처기업은 전략적인 성택에 의해 국제화를 추진하며, 사전 국제화 경험과 국제화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 경험을 내부지식으로 내재화 하여 경영성과를 달성한다. 특히, 국제화 단계가 높아질수록 국제화 경험과 학습역량은 축적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대표적인 수출 벤처기업 194업체를 대상으로 11년간 패널데이타를 분석하여, 가장 높은 국제화 3단계의 경영성과가 높은 지와 학습역량 항목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정기적인 수출이 발생하는 국제화 2단계와 현지거점을 확보하는 국제화 3단계는 단독으로는 경영성과에 (+)로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역량 변수인 ISO인증, 수출인증, 기술연구소, 상장여부, 벤처인증, 이노비즈인증 여부는 단독으로는 경영성과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국제화 시작단계인 1단계에서 벤처인증만이 조절효과를 보인반면, 기술연구소, 상장여부, 수출인증은 국제화 2단계와 3단계에서 경영성과에 오히려 (-)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국제화를 시도하는 벤처기업은 경영성과에 기여하기 위한 학습역량을 개발하여야 한다는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 하였다. Venture firms pursue internationalization as a strategic decision that turns international experience through learning process and prior international experiences into internal knowledge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firm`s performance. International experiences and learning capability will be further accumulated as the firm goes through a higher phase of internationalization. This paper verified that the highest 3rd phased international experiences can enhance and Learning capability can control the firm`s performance, using the eleven-year panel data of 194 exporting venture firms located in Seoul. According to this study, the 2nd and 3rd phases of internationalization influenced (+) at firm performance. And the learning capability indexes, proxied by ISO, Export, R&D, listing, venture certification and INNOBIZ, are solely also influenced (+) at firm performance. But, only venture certification is significantly controlled under 1st phase, R&D, listing, export are significantly controlled (-) under 2nd and 3rd phases with the firm performance. So, we also provided future study subjects that venture learning capability need to be develop for firm performance.

      • KCI등재

        Revisiting Experience-based Interdependent Translation Coursework Design: A Case Study

        조운익(Cho, Woonik)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21 통번역교육연구 Vol.19 No.2

        Literally, translation service-learning is an educational course in which translation majors can provide their knowledge and learning skills to local communities in many activity-based ways. In order to meet the main goal of service learning, the course, basically, should be pragmatic, progressive, experiential, meaningful, and in harmony with societal needs. It says that, in a large sense, colleges are a part of the local community and should interact in many ways. College translation courses can play a role in educating local participants, particularly for immigrant children. This course, therefore, mainly focused on voice training and translation activities for seventh to tenth graders from different cultural and language background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ranslation majors of B-University gained more knowledge and satisfaction from the course and considered this a course whereby they can both grow socially and educationally, equipped with the full responsibility as a member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