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판 대학생 진로설계검사 타당화

        강수민(Soomin Kang),문명현(Myunghyun Moon),이윤주(Yoonjoo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담현장에서 대학생의 진로발달을 평가하기 위해 Savickas 외(2018)의 학생용 진로설계검사(SCCI)를 한국판 대학생 진로설계검사로 타당화하였다. 본 검사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문항반응이론의 Rasch 모형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먼저 SCCI의 문항을 번안하고, 우리나라 대학생 진로발달과업에 필요한 문항을 추가하여 예비검사용 문항 총 4개요인 38문항을 제작하였다. 예비검사는 전국 대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개요인 28문항으로 나타났다. 본검사는 전국 대학생 566명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4개요인 17문항을 최종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최종문항이 원척도(SCCI)의 심리적 구인을 반영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인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최종문항은 진로적응모형에 부합하였고, 진로성숙도와 진로적응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최종문항의 문항적합도와 분리신뢰도 검증결과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나 본 검사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업수준을 변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종문항이 도출된 문화적 배경과 향후 진로상담현장에서 검사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validated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SCCI) by Savickas et. al.(2018) to evaluate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in Korean counseling field. In this research, Rasch model from item response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validity evaluation. First, items of SCCI were translated and items necessary for the career development tasks of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added. A pilot test of 38 items with 4 factors was conducted for 205 college students. Next, the final test consisting of 4 factors and 28 items was conducted on 566 college students nationwide. Korean version of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showed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ce validity. The final items were corresponded with career adaptation model and correlated with career maturity and career adaptability. Moreover the result of item fit and separated validity, the final form was to discriminate the mastery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tasks. Finally, base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cultural background from which the final form was derived and the practical plan in the career cou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Kolb의 경험학습이론 관점에서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 학습 경험의 학습양식과 경험학습 단계에 대한 관계 연구

        최순리(Soonri Choi),강수민(Soomin Kang),송지훈(Jihoon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기간 동안 비대면으로 진행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과 학습 경험의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Kolb의 학습 양식과 경험 학습 단계에 따른 경험 학습 단계별 구성 요인들의 관계를 확인했다. 방법 자료 수집은 경기도 소재 S대학교에서 3학기(2020년 1학기부터 2021년 1학기)동안 개인정보동의를 받아서 진행된 에세이 111편을 문서 분석하였다.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을 분석하기 위해서 첫째,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Kolb의 학습 양식에 따른 범주화 과정이 이뤄졌으며, 범주화된 수치를 Kolb의 경험학습 이론 단계를 기준으로 산포도로 확인하고 학습 양식별 특징을 범주화된 내용 기준으로 제시했다. 둘째, 경험 학습 단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분석된 범주화 내용을 Kolb의 경험 학습 이론에 따라 재구성하여 구성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했다. 결과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양식은 확산자와 적응자가 높은 유형으로 나타났고, 수렴자와 융합자가 낮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경험학습 단계에 따른 영향 관계는 구체적 경험 단계에서 상황 노출의 부정적인 학습 경험이 긍정적인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반성적 관찰 단계에서 행동 수정을 하고 부정적 정서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추상적 개념화 단계에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원적 자원이 활용되고 학습에 적용하여 능동적 실천 단계에서 학습 전략을 일반화 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상황에서는 정서적 측면과 학습에 대한 지원적 요소가 긍정적인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것을 확인했고, 이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Objectives This study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ccording to the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learning styles and experiential learning steps during an co-curricular program progressed online during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has been collected during 3 semesters (Semester 1 of 2020 to Semester 1 of 2021) in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are 111 essays used for a document analysis during this five-semester period. To analyze the learning styles o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two methods were employed. First, a categoriz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olb’s learning type using constant comparison, then the categorized data is expressed in a scatter plot based on the steps of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earning type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categorized data. Second, the categorized data that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was then reconstruct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making up the leaning steps. Results There were high percentages of “divergers” and “accommodators” among the students in this online co-curricular program, but less of the “convergers” and “assimilators” in the student group.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steps, it is shown that a concrete experience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learning through a negative learning experience, and a reflective observation stage allowed the students to modify their behaviors and refresh their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the studies. Additionally, students were able to utilize supporting resources to effectively use the program as well as applying them during a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ultimately learn to generalize their study strategy during the active experimentation stage. Conclusions Current study elucidated that emotional support and other supporting resources on the learning material facilitated positive learning experiences in an online co-curricular program, and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real-life ap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is article.

      • KCI우수등재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COVID-19로부터의 경험을 중심으로

        김유진(Yujin Kim),강수민(Soomin Kang)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1

        본 연구는 COVID-19 이전부터 혼란기를 지나, 2022년 연구 진행시점인 현재까지 모두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온라인 수업의 인식이 무엇으로 변하였는지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OVID-19 이전에는 온라인 수업이 온라인 공간 또는 매체를 활용한 학습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COVID-19 상황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은 불가피하게 온라인 수업을 교수법으로 수용함에 따라 충동적 변화를 경험했다. 이 변화는 세 가지 양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학습 경로를 명확히 따라올 수 있는 활동 설계, 온라인 수업의 한계 보완을 위한 교실 수업의 효율적 활용 방안 모색,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 경로를 이탈하는 학생들에 대한 문제 발생이었다. 셋째, COVID-19 이전과 비교했을 때 현재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실 수업의 교수법 중 하나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확장을 갖게 되었다. 이 변화는 두 가지 양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온라인’ 수업이 아닌, 온라인 ‘수업’을 교수법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식 생성, 온라인 ‘수업’에 적합한 에듀테크 적용 방법에 관한 고민 촉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초등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수업이 갖는 의미와 미래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연구의 제언사항으로 정리하였다. This study selected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d from before COVID-19 through the chaotic period to the present, at the time of research in 2022,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used narrative materials to find out what their perception of online class has changed As a result, first, the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before COVID-19 was recognized as a learning method using an online space or media. Second, in the context of COVID-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impulsive changes due to the inevitability of accepting online classes as a teaching method. This part could be specifically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Designing activities that can clearly follow the learning path in online classes, searching for efficient use of classroom classe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and problems for students who deviate from the learning path of online classes. Third, compared to before COVID-19,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expanded awareness of online classes a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of classroom instruction. This part could also be classified in two ways: Creating awareness to use online ‘classes’ as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online’ classes, and provoking concerns about how to apply Edutech suitable for online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the meaning of online classes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 were summarized as suggestions for the study.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교육 혁신 방안 탐색: 미네르바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정(Hyejeong Lee),임상훈(Sanghoon Im),강수민(Soomin Ka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2

        대학은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급격한 시대적 변화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대학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해야 하므로 그 본질 및 역할에 대한 전면적인 변화와 혁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고 있는 대표적 사례인 미네르바스쿨을 분석하고, 대학교육 혁신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미네르바스쿨은 대학 혁신 사례로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아 왔지만, 성공적으로 변화와 혁신을 이끈 핵심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미네르바스쿨의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으며,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내용 측면에서 첫째,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교과목 개설, 둘째, 역량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및누적 평가 체계 구축, 셋째, 역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팀 티칭 모델의 개발이다.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는 첫째, 사회적 실재감 극대화에 초점을 둔 학습 환경 구성, 둘째, 플립드러닝의 취지에 부합하는 철저한 사전 학습 유도, 셋째, 복잡한 현실 문제에 근거한 프로젝트 수업 지향, 넷째, 폐기학습에 근거한 역량 중심 교수법 프로그램 지원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이해와 시사점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실천적 전략의 토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niversities are criticized for failing to accept the rapidly changing needs of societ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ue to this, the need for sweeping changes and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has been constantly being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epresentative case of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o derive its implications. Minerva Schools was selected as a innovation case for this study. Minerva School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case of higher education innovation, but few studies have looked specifically at the key factors that have successfully led to change and innov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curriculum, firstly, a subject and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in conjunction with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Secondly, we need to consider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rubric and cumulative evaluation system. Thirdly, a team teaching model can be used for the evelopment of curriculum.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irstly, th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able to maximize social presence. Secondly, a thorough pre-learning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flipped learning. Thirdly, project-based learning with complex real-life problems should be widely adopted. Lastly,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teaching method program an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considered. The understanding and implications gained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a practical strategy for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 KCI우수등재

        소득계층별 활동공간의 비교 분석: 커널 밀도 기반의 분리 측정

        홍성연(Seong-Yun Hong),오지예(Jiye Oh),김예린(Yelin Kim),강수민(Soomin Kang)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2

        소득 수준, 또는 소득계층에 따른 거주지의 분리는 도시의 불균형한 발전과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요소로 오랫동안 연구됐다. 그러나 소득계층에 따른 공간적 단절과 고립은 비단 거주지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여러 장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6년 시행된 가구통행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소득계층의 활동공간 분포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서울과 인천의 공간적 계층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활동공간 내 다양한 장소의 소득계층별 커널 밀도를 중첩 분석한 결과, 거주지에 기반한 기존의 분리지표보다 소득계층 간 단절 정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장소의 유형에 따라 분리의 양상이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리 도시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계층화의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특정 장소에 한정되지 않은, 활동공간 전반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낮은 해상도의 표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탐색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나, 향후 보다 정교한 활동공간 데이터의 확보가 가능해진다면 좀 더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idential segregation by income has been a topic of research for several decades, as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cause unequal development in urban areas and conflicts in society. However, the segregation and isola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can happen not only in residential areas but also in other places of their daily activity spaces.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location and extent of activity spaces for different income groups and explore the spatial stratification of Seoul and Incheon, South Korea. The activity space of each income group was retrieved from the National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and its kernel density surface was compar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egreg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low household income experience more isolation and separation from those with a higher income level in schools and leisure areas than in residential neighbourhoods. This implies that the level of residential segregation can underestimate the current situation in society, and therefore,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exploring the degree of segregation in activity spaces should be more widely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