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함의 : 경기도 사회적기업의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을 중심으로

        류호상,장인봉,염영배 경인행정학회 2013 한국정책연구 Vol.13 No.1

        최근 들어 고령화, 저출산, 경제침체의 문제가 연계되면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이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적기업과 연결시키려는 정책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과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시너지(Synergy)효과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Raw Data) 확보, 실증적 결과 도출과 정책적 함의에 초점을 두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사회적기업내 여성의 취업수준은 비교적 높았지만 이중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경우 30대는 출산, 40대는 육아로 인하여 경력단절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희망하는 고용형태 및 근로유형은 정규직, 전일제가 우세하였으나 실제로는 재취업은 계약직, 전일제의 고용유형 및 근로유형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자의 경우 임금수준이 중요한 요인인 것을 사실이지만 임금보다는 소질과 적성이 더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다섯째, 각 지자체가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여성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지원사업과 거점기관(예를 들어 여성새로비전센터)의 성과를 간접적으로도 확인하였다. 여섯째. 경력단절여성의 업무수행시 가장 어려운 요인은 ‘자녀양육과 교육문제’였다. 일곱째, 경력단절여성의 업무능력과 업무성과에 대하여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자는 긍정적이었으나 사회적기업은 비교적 부정적이어서 양측간의 현실인식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 경력 단절 여성의 무역 인력 전환을 위한 프로그램 연구

        배경원,김영욱 한국취업진로학회 2014 취업진로연구 Vol.4 No.2

        최근 국내의 경력 단절 여성의 수는 90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 등의 정부 부처에서 오래전부터 그들의 취업과 창업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 사후관리 프로그램들을 운영 중이지만 정부 부처 프로그램들의 전형적 문제인 접근성과 홍보의 부재로 인해 프로그램의 존재 여부를 모르는 경력 단절 여성이 대다수인 상황과 부족한 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 실무 능력 배양의 문제, 취업 알선 외 사후관리의 부재, 정부 지원 프로그램의 허점 등으로 처음의 취지와는 대조적으로 교육을 접하지 못한 경력 단절 여성 뿐 아니라 교육을 받은 경력 단절 여성까지 새로운 일자리의 기회를 온전히 제공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또한 국내의 경력 단절 여성들의 교육 및 취업을 위해 ‘여성 가족부’와 ‘여성인력개발센터’ 등 다양한 기관에서 프로그램들을 운영 중이지만 이 또한 접근성과 다양한 여건, 학력간 차이 등의 이유로 프로그램을 제대로 접해보지 못하거나 취업으로 이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경력 단절 여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연구의 주제에 맞추어 여성의 경력이 단절되는 시점 및 인구학적 분포와 영향요인을 통계청 및 한국 여성 정책 연구원, 여성가족부의 보고서와 통계를 종합 분석하여 파악할 것이다. 또한 경력 단절 여성을 위한 프로 그램들을 분석하고 그 프로그램들이 무엇인 지를 진단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가장 큰 주제이자 핵심인 경력 단절 여성을 어떻게 무역인력으로 전환할 것인 지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최근 국내의 경력 단절 여성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들의 취업과 창업을 위한 정부 및 민간단체의 교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들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런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정부 및 민간단체의 프로그램의 단점을 보완하고 경력 단절 여성이 이론적인 교육 후에도 수출의 활로를 원하지만 전문가의 부재 등으로 기회를 찾지 못한 중소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직접적인 제품의 수출 및 수입으로 실무 경험의 배양과 해당 업체와의 직접적인 취업으로의 연계 같은 확실한 사후 지원 관리 방법을 모색하고 제시 하여 경력 단절 여성의 좀 더 다양하고 확실한 교육 프로그램과 원활한 취업 및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취지를 두고 있다. The current employment outlook remains dire for many well-education young people who are even searching jobs overseas as an alternative to domestic employment. The Korean government is preparing practical alternatives for these young people as a means of combatting this crisis; however, research and existing opportunities for unemployed and laid-off women are minimal in comparison. The program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and “Wome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for unemployed and laid-off women face difficulties in vocational training due to differences in academic ability, personal working hours, family dependents, and other social issues. The number of unemployed and laid-off women in Korea exceeds nine million. Although th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and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are fervently addressing these concerns, specifically employment and assistance in starting a business, problems arise as qualified female candidates are unable to receive gainful employment primarily caused by a lack of accessibility to jobs and ineffective publicity on the programs that simply does not reach prospective women. Under these current circumstances, Korea has been creating Economic Integration “F.T.A” contracts with many countries creating the largest FTA territory in ASIA. In order to effectively accomplish trade, large and small-medium sized companies need global trading experts and well- educated bi-lingual women have been entering these jobs. Furthermor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trade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Alternative expressions è have been entering these jobs OR are needed for these jobs OR may enter these jobs. This has created the perfect opportunity for unemployed and laid-off women, who after receiving an education in practical international trading may pass various trading qualification examinations. Some candidates may have studied foreign languages or have the ability to work in a company but because of a lack of knowledge in global trading previously were not qualified. The result will be a “ Creative Economy” that merges this group of women with global trading. Global trading education for unemployed and laid-off women can supply needed employees for small-medium sized companies who want to expand their markets through trade. This model may be easily extracted a viable business model platform expandable into other sections and regions. In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unemployed and laid-women analyzing the time at which women discontinue in their employment and the associated distribution factors. We will also verify existing statistical data from Korean women related public institutions. In addition, we plan to diagnose and create an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 that will enable this particular demographic to enter the workforce as global trading experts both in Korea and overseas.

      • 부산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김선화(Kim, Sun-Hwa)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0 젠더와 사회 Vol.21 No.-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있는 경력단절여성 중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취업욕구를 조사하고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을 도모할 수 있는 지원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력단절여성들의 취업욕구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이들의 88.9%는 재취업을 원하고 전일제보다는 시간제를 더 선호하였다. 기혼여성이 재취업을 희망하지 않거나 시간제를 더 선호하는 이유를 자녀 양육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미혼 여성의 경우에는 자신의 시간을 갖고 싶어서 시간제 근무를 원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 선호직종으로는 전문직, 사무직 순으로 높이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이유는 생계유지 및 가계보탬, 자아실현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일에 대한 태도 역시 다소 높게 나타난다.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한 이유는 미혼여성의 경우 정보수집 능력미약, 직업훈련이나 취업과 관련하여 동기부여가 중요하므로 등으로 응답하였다. 기혼여성은 직업훈련이나 취업과 관련하여 동기부여가 중요하므로, 정보수집 능력미약 등 서로 다른 응답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력단절여성들은 경력개발 및 취업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훈련-보육-취업의 복지연계 서비스가 가장 필요하고 그 다음으로 자신감이나 적극성을 배울 수 있는 의식교육, 재직여성 직무능력향상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은 남성과 달리 자신이 속한 생애주기에 따라 직업과 관련하여 경력단절과 직업복귀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결혼, 출산, 양육, 나이에 대한 편견, 여성의 불안정한 고용 등의 장애요인으로 인해 노동시장의 재진입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력단절의 문제는 기혼여성만이 아니라 미혼여성에게도 나타난다. 결국 여성의 노동주기에 따른 경력단절 현상에서 일어나는 욕구를 파악하고 이 욕구가 충분히 채워질 때 경력단절여성의 노동할 권리를 보장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여성의 노동권 보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우선 성인지적 관점에서 여성인적자원을 개발해야할 것이다. 한편 부산지역의 특성과 연령.계층.가족상황 등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및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researching working desire on woman wanting job among career interruption women in Busan and through this, provide basic material for searching supporting method to help career interruption women reacquiring job. As a result of this study employment needs of career interruption women, 88.9% of them want to have job and like part time rather than full time. Married women say that the reason they don't want to have job and like part time is children nurturing, so the reason is same to quit the job. But at the case of unmarried women the rate which they want part time job due to having their own time is most high. The job which career interruption women like to have is to work as expert and in office. The reason that career interruption women want to be employed is to maintain living, to contribute household economy and self-realization. And the attitude on work is also somewhat high. Married women replied differently one another such as disability of collecting information and helping selecting suited job because of importance of giving motive related with job training and having job. As I know in these research result, women different from men have career interruption and job returning problem related job according to life cycle they belong to. And career interruption women are difficult to reenter labor market because of obstruction factor such as marriage, delivering, nurturing, bias of age. These career interruption problem is occurred to unmarried women as well as married women. Therefore when I know the desire occurred in the phenomenon of career interruption according to women's labor cycle and this desire is filled, career interruption women's working right is guaranteed. This, therefore, also solve the problem of women's labor right. So most of all I should develop women resource at the respect of gender awareness. While, development, supply and support of variou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Busan and age, level, family situation is needed.

      • 여성의 경력단절 원인 및 재취업 방안 연구

        김경아 한국시민윤리학회 2016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경력단절 원인과 현황 그리고 재취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했다. 여성의 경력단절 주요 원인은 결혼, 임신과 출산, 건강 그리고 가사(집안 일) 때문이었다. 그 외 다른 직장으로 이직 또는 창업, 소득과 보수가 적어서 그리고 근무환경 등 구조적 문 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경력단절 여성의 고학력화 현상과 시민운동의 발달, 자녀수의 감소, 여성의 교육기회와 사회참여확대가 재취업의 동기가 되었다. 또한 경제활동과 가정이라는 한 정된 영역에서 생활하면서 단절감과 소외감을 느껴, 경력단절 여성 스스로 자아를 찾고 사회 에 소속감에 대한 욕구가 생겨나면서 재취업에 동기가 생겼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 첫째, 임신과 출산, 자녀양육이라는 점을 고려해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여성들에 대해 갖고 있는 성, 연 령 차별 등의 사회 구조적 인식과 문제점도 고쳐야 할 것이다. 넷째, 자아실현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여성능력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다섯째,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직업경력, 설계, 취업상담과 취업정보 획득을 위한 다양 한 채널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The main reasons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were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health and housework. There were also structural problems such as job turnover or start-up, income and pay, and working environment. And Career interrupted Women have a desire to work due to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the development of civil movements,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children,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women and the increase of social participation. Also while living in a limited area of economic activity and family, she feeling disconnection and alienation, she has a desire to work.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ought to the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First, considering the fact that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we should quality-based part-time jobs expan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child-care facilities that can be trusted. Third, social structure recognition and problems such as sex discrimination and age discrimination for women should be improved. Fourth,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focusing on self-realization and women’s skills development programs are needed. Fifth, various channels should be constructed for job career, design, career counseling and job information acquisition for the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 개발: FREEDOM Mode

        박경은 한국커리어·학습코칭연구소 2024 커리어·학습코칭연구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자료 분석 및 문헌고찰을 분석을 토대로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에서 필요한 구성요소를 추출한 후 1차 전문가 인터뷰와 2차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은 도입, 진행, 평가의 3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의 각 단계의 내용 타당성을 점검했다. 셋째,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 진행 단계인 코칭 대화 진행과 전문가들이 추출한 코칭의 필요 요소들을 결합하여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FREEDOM 코칭 모델로 명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경력단절 청년층 여성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코칭 모델 개발은 경력단절 청년층 시기 여성이 전문코치와 함께 자기 통제에 근간을 두며 자기 스스로를 이끌어 나가는 리더십을 바탕으로 스스로 자신의 강점과 잠재력을 깨달아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과 성장을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aching model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brea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model for improving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consisted of three stages: introduction, progression, and evaluation. Second, the content validity of each stage of the coaching model for improving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was checked. Third, it was named as a FREEDOM coaching model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career-interrupted young women by combining coaching conversation progression. The conversation progress of FREEDOM coaching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young women with career breaks is as follow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coaching model for career-interrupted young women will help women to realize their strengths and potential and act and grow to achieve their goals based on self-control with professional coaches

      • KCI등재

        경력단절 여성의 도움추구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전연숙,주영아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경력단절 상태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도움추구를 하는 경험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46명의 경력단절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했고 분석은 CQR-M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 경력단절여성의 도움추구에 5개의 영역과 3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경력단절 이유로는 일과 가정의 양립의 어려움, 회사 사정으로, 진정한 삶의 질을 추구, 소진과 권태, 다른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 건강상의 이유로, 일에 대한 성취감의 부족 등 7개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단절 후 변화된 점은 아무 일도 못할 것 같은 무기력감, 막연한 안도감, 재취업에 대한 압박감, 생활변화의 적응 어려움, 미래와 노후불안, 새로운 삶의 목표 생김, 사회로부터의 소외감 등 7개의 범주로 심리정서적인 내용이 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 후 도움추구 행동을 한 이유는 나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서, 상담 및 조언을 얻기 위해서, 진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심리적 불편감 해소를 위해서의 4개 범주이며, 셋째, 실제로 해 본 도움추구 행동의 내용에는 심리상담, 재취업 관련 학습, 직업 경력 상담, 정보수집의 4개 범주로 나타났다. 넷째, 어떤 도움추구 내용이 효과적이었는가는 심리적인 도움, 경제적인 지원, 직업상담, 학습, 육아지원으로 5개 범주이며, 다섯째, 도움추구행동을 하지 않은 이유로는 어떻게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지 몰라서, 도움이 필요하지 않아서, 도움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스스로 해결해야한다고 생각해서의 4개 범주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력단절 여성의 도움추구 행동경험과 도움추구 내용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측면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의 도움추구에 대한 경험과 관련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경력단절여성의 도움추구를 통해 도움추구행동의 긍정적, 부정적인 변화와 경험을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이 도움을 원하면서도 도움을 회피하고 도움추구를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고 심리적, 사회적 지원을 보완하고 조력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대한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심리적 상담과 진로지원에 관한 다각적인 도움체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이 수도권 지역의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주관적 관점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질적 연구의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다각적인 방법으로 심층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iencing help-seeking behavior based on career interrupted women. For this, total of 46, age from 20 to 50, career interrupted women were surveyed and CQR-M(Consensual Quantitative Research - Modified: Modifi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After the analysis, six regions and 34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result from the help-seeking behavior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the result was organized in the order of high frequency along with the key themes that represent each category well. First, the reasons to stop career appeared into 7 categories : the difficulty of working both in home and company, company situation, pursuing the quality of real life, burnout and boredom, choosing another profession, health reasons, and lack of a sense of accomplishment. Second, changes after stopping career were divided into 7 categories such as helplessness feeling nothing to the work can't be done, a vague sense of relief, pressure for re-employment, difficulties of adapting life-change, insecurity of future and getting old, finding the purpose of a new life, and alienation from the society. Third, the contents of help-seeking were appeared into 4 categories such as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re-employment learning, job career counseling, and information gathering. Fourth, economic assistance, psychological help, career counseling, learning, advice and encouragement, and nurturing support are categorized to be perceived as an effective aid. Fifth, the reasons for not seeking help were categorized into 4 categories : no need of help, no available information, thought that one might not be a help, thought that one must address by oneself. With this information,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career interrupted women's changes after career interruption, and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experiencing help-seeking behavior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help seeking behavior of career interrupted women are suggested. First, through help seeking of career interrupted women, comprehensive search for negative and positive changes and experiences of its behavior were conducted. Second, understanding the reason why career interrupted women avoid help while they are seeking must be done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supports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importance of multilateral assistance system for effective and specific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career support for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was suggested. There could be difficulty to generalize this fact due to s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subjects were targeted career interrupted women in metropolitan areas. Also, since qualitative research can not exclude subjective point of view, diversified research is needed in future.

      • KCI등재

        경력단절 기간에 따른 취업준비행동이 재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

        모정희(Mo, Jeong Hee),김금란(Kim, Keum Ra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현대사회의 여성들의 역할과 지위는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결혼과 동시에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남성과 달리 경제활동을 중단함으로써 경력단절을 겪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뷰티 관련 직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경력단절 기간에 따라 재취업에 대한 취업선택 동기 및 취업준비 행동이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직업교육의 실증적 검증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경력단절 여성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윈도우용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성개념 변수들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기간에 따른 뷰티관련 재취업의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력단절 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단기간(1년 미만),이 가장 높고, 장기간(3년 이상), 중기간(1년-3년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관련 직업훈련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선택 동기가 재취업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년 미만의 경력단절 여성은 개인적 동기(β값=.328, t값=3.601, p<.001)가, 3년 이상 경력단절 여성도 개인적 동기가(β값=.625, t값=5.644, p<.001)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1년-3년 미만의 경력단절여성의 경우는 사회적 동기측면이 재취업의사(β값=.350, t값=2.191, p<.05)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단절기간에 따른 취업준비행동이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단기 경력단절 여성의 경우 단기간의 경우 취업준비행동을 제외한 계획(β값=.278, t값=3.302, p<.01), 준비(β값=.224, t값=2.557, p<.05), 기대(β값=.362, t값=4.194, p<.001)가 취업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 기간 경력단절여성의 경우 기대(β값=.296, t값=2.062, p<.05)만이다. 따라서 경력단절 여성의 경우 단절 기간에 따라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차이가 있어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경우에 조직적 차원에서 기간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더 좋은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positions of women in modern society are getting higher, as their economic activities are interrupted due to pregnancy, child delivery and nursing, their career discontinu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n reemployment according to career discontinuity periods in career discontinuity women who were participating in a beauty-related job education program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long with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jo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areer discontinuity women who were living in Gwangju and Jeonnam and they were surveyed with a use of a questionnaire. Using SPSS 21.0, thi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test, a descriptive statistical test, a factor analysis, a reliability test, a correlations analysis that indicate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of constructs and a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when this study investigated beauty-related reemployment intention according to career discontinuity periods,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iod and the intention was the highest in a short period (below 1 year of career discontinuity), followed by a long period(above 3 years) and then an intermediate period(1 to 3 years). Second, when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s of job selection motives of career discontinuity women who were participating in beauty-related job education on reemployment and business inauguration intention,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For both the subjects who discontinued career for below 1 year and above 3 years personal motive (β value=.328, t value=3.601, p<.001 and β value=.625, t value=5.644, p<.001) had positive effects, but for those who discontinued career for 1 year to below 3 years, social motives had positive effects on reemployment intention (β value=.350, t value=2.191, p<.05). Third, whe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n reemployment, it was discovered that as for the subjects who discontinued career for a short period, it was discovered that except employment behaviors, plans(β value=.278, t value=3.302, p<.01), preparation(β value=.224, t value=2.557, p<.05), expectation(β value=.362, t value=4.194, p<.001) had positive effects on reemployment intention. However, forr those who discontinued career for an intermediate period, only expectation (β value=.296, t value=2.062, p<.05)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reemployment intention. Therefore, as career discontinuity periods of women had different effects on reemployment, if organizations develop education programs in consideration of periods, it is assured that results will be better.

      • KCI등재

        NCS 확산을 위한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과 커리어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서용한,야부 토스하루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2

        경력단절 여성은 NCS기반의 직업훈련과 개인중심의 경력관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해 있다. 경력단절 여성이 이런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경력관리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정체성이 요구된다. 특히,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이나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획일화된 관점에서 벗어나 세분화된 집단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재취업에 성공한 경력단절 여성의 적극적 경력관리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경력단절 여성의 적극적 경력관리행동이 경력전략과 경력성공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힌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패널자료를 토대로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과 일반 경력관리 여성으로 구분하여 이들 두 집단 간 경력관리 행동과 경력성공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일수록 경력전략으로 경력단절이나 경력이동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과 그렇지 않는 여성간 자기주도적 교육 참여정도와 훈련방법에 따른 교육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월평균임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career management concept is changing rapidly in the career management field in recent years. It becomes very difficult to have a lifetime employment within the same firm. As there is career interruption that is pervasive phenomenon in the women’s career management area, many academics and practitioners have been interested i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omen’s career-interruptions as the effective career strategy on career development actors and career success.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active career manage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d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proactive career management group and general career management group based on whether career-interruptions are voluntary or no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active development act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women’s proactive career management and general career management group. First, proactive-career women were more self-directed to lear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veloping skills through training. Second, the career success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and general career management group.

      • KCI등재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오은진 ( Eun-jin Oh ),김소연 ( Soyeon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2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의 분석 범위를 `청년층`으로 한정하여, 그들의 경력단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여성가족패널」1-4차 자료(2007-2012년)이며, 청년층 여성의 경력단절 양상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차년도 자료에서 직업력 정보, 특히 경력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20-34세의 청년층 여성을 대상으로 4차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생존분석 중, 경력단절 여부와 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에 적합한Andersen Gill Model을 적용하여, 경력단절이라는 사건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위험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 여성은 종사하는 일자리의 사업체 규모가 100인 이상의 대규모인 집단에 비해, 10인 미만의 소규모일수록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약1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상 지위를 반영한 일자리 유형별로는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와 같이 전일제나 정규직에 비해 일자리의 안정성이 불리한 경우, 경력단절을 겪을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 경험에 의한 경력단절 위험률도 확인되었다. 청년층 기혼여성들은 비혼여성에 비해, 경력단절 위험률이 약 14배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결혼이 청년층 여성에게는 경력단절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료의 여성 응답자들이 기재한 자녀의 출생년도와 경력이 단절된 시점간, 혹은 경력유지자의 경우 관찰시점 간의 검토를 통해, 출산 시기 전후 1년 동안에 겪는 경력단절의 위험률이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는 점에서, 현행 경력단절 여성 대상 정책이 청년층의 임신, 출산 이전 시점에서의 경력단절 예방 정책으로서는 미흡함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년층 여성이 경험하는 일자리의 질을 개선해야할 필요성을 함의한다. 노동시장에 초기 진입한 청년층 여성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할수록, 시간제나 비정규직 일자리를 경험할수록, 동시에 결혼을 경험할수록 경력단절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는 점에 주목하여, 여성이 중간관리자로 성장하기 전에 노동시장에서 이탈하는 현상에 대한 개선정책과 심층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workplace condition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discontinuity.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is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 Panel 1-4 data collected between 2007 and 2012 by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lso, in order to take a closer look into the pattern of young women`s career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unemployment), the analysis was centered on young women at age of 20 to 34 who has documented career records from the beginning of the career. As for the analysis method, Andersen Gill Model, one of the survival analysis methods, was chosen as a right approach considering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women`s career change or the duration of career continuity to identify main factors of career continuity (the employed) and unemployment or career change. The analysis indicates that female youth who worked for a small business with less than ten employees are 12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job discontinuity than the counterparts who worked at a large scale of businesses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However, young female part-timers or casual workers who do not have much job privilege are more likely to be unemployed. Additionally, It is also confirmed that marriage status affects job discontinuity; married women in youth have 14 times higher possibilities to put a halt to their career than unmarried counterparts. This result implies that getting married can undermine the career continuity of female youth, evidenced by the birthdate of Female respondents` children roughly coincides with the time at which they left the labor market. In contrast, the childbirth does not seem to have a substantive impact on the females` job discontinuity based on the data of women`s job status one year before and after their childbirth, suggesting that the current policy designed to support women`s career does not play an effective role in preventing women from forsaking their career due to marriage.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working environments for young women. Taking into account that young women would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job discontinuity when their jobs are not secure and stable as a part-timer and casual worker and as they experience their one of the major life events;marriage, it is imperative that the policies be made to prevent women from leaving the labor market before they become a middle manager.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김난주(Nanjue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여성가족부가 2013년에 실시한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요인에 대해 각각 콕스비례위험모형과 이항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은 대졸 이상과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단순직보다는 나머지 직종, 제조업에서 일한 경우, 비임금근로자 보다는 임금근로자들의 재취업이 빨랐다. 경력단절 경험 후 재취업한 경력단절여성들의 고용유지는 무배우자인 경우, 재취업 목적이 생계책임인 경우, 경력단절 이후 직업훈련을 받은 경우 고용유지 확률이 높았다. 또한, 재취업한 일자리가 임금(소득)이 낮을수록, 근로시간이 짧을수록, 100인 이상보다는 30인 미만에서 일한 경우 고용을 유지할 확률이 높았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고용유지 분석 결과를 통하여 재취업은 고학력자들이 빨랐지만 그러한 여성들이 고용을 유지하는 데는 학력효과는 없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배우자로서 생계책임의 경력단절여성들이 고용을 유지할 확률이 높아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이 경력단절 이전 일자리로의 복귀가 어려운 가운데 일을 통한 자기계발보다는 부양자일 때 낮은 임금을 감수하고 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8세 이하 자녀가 없는 경우 재취업 이후 고용을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에서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유지를 8세 이하 자녀를 믿고 맡길 수 있는 공보육서비스 확충이 필요함을 재확인하였다.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고용유지를 위해서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 감소 상쇄를 위해 경력단절여성 대상 직업교육훈련 확대와 양질의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factors of deciding the reemployment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and of maintaining the employment after reentry to the labor market with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and Binary Logit Model respectively based on the source material, ‘Survey on the economic activity status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conducted in 2013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In case of career-break women’s reentry to labor market, as women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University graduate or above), had higher income level at a time when breaking the career, worked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or other working field rather than menial jobs and were a paid worker, not an unpaid worker, they could be employed again faster than others. In case of maintaining the reemployment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after experiencing the career-break, the probability of maintaining the career is higher when the women are spouse-less, have to earn a living or got a vocational training after the career-interrupted periods. Also, as the reemployed job has a lower income level, shorter working hours and less than 30 personnel rather than more than 100 personnel, the probability of maintaining the reemployed job is getting higher. The result of analyzing career-interrupted women’s reentry to labor market and maintaining the reemployment shows tha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are reemployed faster than others but there is no academic effect in maintaining the employment. The career-break women who are a spouse-less and a breadwinner show higher probability in keeping the employment. While career-interrupted women face hard conditions of returning to the job before interrupting the career, it was figured out that women accept low wage and maintain the job when she works to earn a living not to improve herself. To maintain the employment after the career-interrupted women reenter the labor market, it is needed to offset the career plateau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this research draws an implication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extending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and governmental support on qualified flexible part-time jo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