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축구에서 팀경기력 개념 도입의 타당성 검토

        윤영길,김정수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4

        [Purpose]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team performance, which has previously been considered as the total sum of individual performances. [Method] The concept of team performance was extracted by a co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gathered from middle school football player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xtracted concept, football experts' opinions were collected. [Results] The idea of team performance, categorized by Footballship, Team Capability, Personal Capability, Communication among Members, has been taken differently from the total sum of individual performances. Footballship is the virtue that should be materialized, and simultaneously earned during the game. Team Capability is a available resource for team's performance, Personal Capability is a available resource for a player's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among Members is the intimacy of communication between coaches and players. The conglomeration of experts' opinions on the concept of team performance and its components shows that team performance is evidently different from the total sum of individual performances. [Conclusion] The following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uggest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team performance. Team performance exists, standing distinct from the sum of individual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eam performance will contribute not only to understanding performance, but also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and managing the team. Interest of the sport society is looked forward to. [목적] 본 연구는 축구에서 팀경기력 개념을 도입하고 도입한 팀경기력 개념의 타당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중학교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의 귀납적범주화와 탐색적요인분석을 진행해 팀경기력 개념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팀경기력 개념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축구전문가를 대상으로 추출된 팀경기력 개념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축구 팀에서 개인경기력의 합과는 다른 개념으로 팀경기력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팀경기력은 팀이 경기에서 발현하는 경기력으로 축구정신, 팀전력, 개인전력, 팀구성원소통으로 구성된다. 축구정신은 축구를 하면서 체득되는 동시에 구현해야 하는 가치, 팀전력은 경기에서 발현되는 팀의 플레이 특징, 개인전력은 경기에서 나타나는 선수 개인의 플레이 특징, 팀구성원소통은 팀에서 선수와 지도자의 상호작용 친밀도를 의미한다. 팀경기력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축구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팀경기력 개념과 구성요소는 개인경기력의 합과는 다른 팀경기력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축구의 팀경기력 개념을 도입하고 도입한 팀경기력 개념의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축구에서 개인경기력의 합과는 구분되는 팀경기력이 존재하고 이러한 팀경기력에 대한 이해는 경기력 자체의 이해는 물론 훈련이나 팀 운영 효율성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팀경기력에 대한 체육학계의 관심이 확대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지능 논의를 통해 본 축구 경기력 논의의 향배와 시사

        윤영길 ( Young Kil 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1

        스포츠과학에서 경기력 향상은 핵심 주제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경기력 자체에 대한 논의가 배제된 스포츠과학 논의가 진행되어 경기력 논의의 타당성 문제를 야기해왔다. 이 연구는 축구 경기력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지능 논의를 준거로 축구 경기력 평가 요소의 향배를 진단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축구 경기력 이해를 위해 지금까지 진행된 지능과 축구 경기력 논의를 고찰하고, 지능 논의를 정리해 축구 경기력 이해를 위한 개념 틀을 구축하였다. 축구 경기력 논의를 지능의 개념 틀에 투영해 축구 경기력의 향배와 시사를 논의하였다. 축구 경기력 논의는 체력, 기술, 경기운영, 심리 등 선수의 내적자원과 전문지원 인력의 도입, 사회적 책임 등의 외적환경을 다루고 있다. 인간 지능 논의는 고전지능이론, 다중지능이론, 성공지능, 도덕지능 등 내용지능에서 방법지능으로 확장되고 있다. 고전지능 관점은 체력과 기술 중심의 축구 경기력 논의로, 다중지능 관점은 심리요인, 전술운용 등을 반영한 축구 경기력 논의로, 성공지능 관점은 경기분석관, 재활트레이너, 멘탈트레이너, 피지컬트레이너 등을 도입한 축구 경기력 논의로 확장된다. 특히, 유럽축구연맹의 RESPECT 캠페인, 국제축구연맹의 사회적책임 프로젝트 등을 감안했을 때 향후 축구 경기력 평가에 도덕지능의 반영은 확대될 것이다. 이 연구가 축구계는 물론 체육계, 더 나아가 체육학계의 경기력 이해 확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framework of understanding football performance. Researcher review was conducted to organize perspectives for football performance and drew implications as well as drift of football performance based on intelligence approach. Discussions for intelligence had been proceeded in concepts of learning ability, multiple intelligence, successful intelligence, and moral intelligence. Discussions of football performance approaches fitness, skill, and strategies in traditional intelligence aspects. The multiple intelligence perception discusses perspective, mentality, body, and analysis. The successful intelligence perspective deals with creativity, practical intelligence, and football talents. However, specific discussions for moral intelligence have not been progressed yet. FIFA’s social responsibility project and UEFA’s RESPECT campaign reflect that the discussions of football performance develops in a way of the moral intelligence. In European football, issues regarding value, such as RESPECT and against Racism, are currently emerging.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European football, the global football leagues will share the issues related to value in the near future. Given the fact that discussion for intelligence had been proceeded learning ability, multiple intelligence, successful intelligence, and moral intelligence, the moral intelligence will be a main concern in the further football performance discussion. The moral intelligence will be incorporated into football performance evaluations soon. Furthermore, teams and players will strive to place efforts in order for pursuing value and reputation as factors of performance.

      • KCI등재

        육상선수의 경기력 발달주기와 단계별 심리경험

        김덕현 ( Deok-hyeon Kim ),윤영길 ( Young-kil Yu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2

        [목적] 본 연구는 육상선수의 경기기록을 토대로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발달단계의 연속체인 경기력발달주기를 도출한 후 경기력발달주기의 심리경험을 추출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은퇴 육상선수 56명이 경기기록을 제공하였으며, 10명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비율기록에 장단기 이동평균과 회귀식기울기를 활용해 경기력발달단계를 구획하고, 연속체인 경기력발달주기를 도출하였다. 경기력 발달주기 심리경험 추출을 위하여 심층면담 후 주제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육상선수의 경기력발달단계는 비율기록에 장단기 이동평균을 산출하고, 장기이동평균이 산출되지 않는 초기 20% 출전비율의 회귀식기울기 평균차를 토대로 입문기, 상승기, 절정기, 쇠퇴기로 구획하였다. 둘째, 경기력발달주기는 경기력발달단계의 연속체로 입문기는 0<비율기록≤7로, 경기기록이 급상승하는 시기이다. 상승기는 7<비율기록≤60으로, 선수가 성장하는 선순환 시기이다. 절정기는 60<비율기록≤74로, 절정의 기록이 유지되는 시기이다. 쇠퇴기는 74<비율기록≤100으로, 경기기록이 하락하는 시기이다. 셋째, 경기력발달주기에 걸쳐 육상선수의 신체지능은 타고난 신체적 우월성을 토대로 기술력이 상승하다 정점에 이루러 유지되다 하락 추세에 진입한다. 경기지능은 경기운영능력과 종목지식이 미숙한 상태에서 점차 성숙하면서 자기화를 지향한다. 심리지능은 초기 심리적 위축을 극복해 자신감을 형성하며 정점에서 심리적 부담을 경험하다 이내 자신감이 하락한다. 환경 맥락에서 경기기록은 초기 급상승하다 완만한 상승을 이어가며 정점에 이르러 유지되다 하락 추세에 진입한다. [결론] 육상선수의 경기력발달주기는 입문기, 상승기, 절정기, 쇠퇴기의 연속체로 구현되고, 경기력발달주기 심리경험은 신체지능, 경기지능, 심리지능, 환경맥락이 주기를 형성한다. 경기력발달주기에 대한 육상계의 관심을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tion the stages of performance development based on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performance records, derive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hich was a continuum of the development stages, and extract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METHODS In this study, 56 retired track and field athletes were provided with competition records, and 10 athlete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ge of performance development partitioned using long and short-term moving averages and regression slope in PRR, a continuous of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as derived. To extract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a subject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an in-depth interview. RESULTS First, the track and field athletes' performance development stage calculated short and long-term moving averages in the PRR. Based on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regression slope of the initial 20% CPR in which the long-term moving average was not calculated, it was divided into beginning, rising, peak, and decline periods. Second,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as a continuum of the stage was of performance development, and the beginning period was 0 < PRR ≤ 7, it was a time when the competition record rises sharply. The rising period was 7 < PRR ≤ 60, which was a virtuous cycle time of growth athlete. The peak period was 60 < PRR ≤ 74, which was a time when the peak record was maintained. The decline period was 74 < PRR ≤ 100, which was a time when the competition record was downward. Third, throughout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physical intelligence of track and field athletes was based on their natural physical superiority, the technical skills rises and remains at its peak and then enters a downward trend. Competitional Intelligence aims to become personalization as it matures gradually while its competit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game knowledge are immature. Psychological intelligence overcomes the initial psychological atrophy to form confidence, and after experiencing psychological burden at the peak, confidence decreases. In the environmental context, the competition record rises in the early stages, continues to rise, peaks, and enters a downward trend. CONCLUSIONS Track and field athletes'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was implemented as a continuum of beginning, rising, peak, and decline periods, a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span formed a span of physical intelligence, competitional intelligence, psychologic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al context.

      • KCI등재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 그릿의 관계

        원지은(Won, Ji Eun),이동운(Lee, Dong Woon),이근철(Lee, Keun Chul)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4

        목적: 현재 연구의 목적은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 그릿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비확률표집 중 의도적표집 방법을 적용해 대한탁구협회에 등록된 선수 194명을 표집하였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IBM SPSS(Statistics 25.0, AMOS 23.0 그리고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 그릿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 유지와 인지된 경기력에서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 중 자신감과 불안조절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변인들 간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그릿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탁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적 측면의 관련 지식을 선수나 지도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우수선수를 양성할 수 있는 체계적 기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performance, perceived performance, and grit, and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ble tennis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Methods: Purposive sampling which was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as used, and online survey was employed to the target population (table tennis players with the Korea Table Tennis Associ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size of 194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AMOS 21.0, and PROCESS macros 3.5) to perform. Result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perceived performance, and grit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except for consistency of interest in sub-factor of grit and confidence and anxiety control among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performance in perceived performance.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and perceived performance, grit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Conclusion: The findings could provide the players or coaches with relevant psychological knowledg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able tennis and a systematic foundation for training outstanding players through this.

      • KCI등재후보

        씨름선수의 자기관리가 자신감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경수 ( Kyung Su Kim ),천길영 ( Gil Young Chun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씨름 선수의 자기관리가 자신감 및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씨름선수의 배경변인에 따라 자기관리, 자신감, 경기력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다음, 자기관리가 자신감,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자신감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 현재 서울·경기 지역을 비롯한 대·중·소도시에 중·고, 실업팀 씨름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400부를 배포 회수하여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적합하지 않은 자료 40부를 제외하고 36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WIN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특성에 따라 자기관리, 자신감, 경기력에는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소속에 따른 자기관리에서는 실업팀 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훈련관리에서는 대학교와 실업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감에서는 신체적/정신적에서는 중·고등학교 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능력입증에서는 실업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기력에서는 실업팀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자기관리와 경기력에서 10년이상이 10년미만보다 높게 나타났다. 출전횟수에 따른 자기관리에서는 대인관리와 훈련관리에서는 30∼50회미만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입상경험에 따른 자기관리와 경기력에서는 우승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는 자신감,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자기관리의 하위요인 중 정신관리는 자신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지지, 신체적/정신적, 능력입증 그리고 경기력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인관리는 코치지도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신감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자신감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지지는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elf-management on self-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s of Ssireum players. The Survey was executed for the students-athletes in middle school, high school, university and a business team,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he valid samples of 360 persons have been used for the analysis. As a data analysis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rea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executed, using Window SPSS Ver. 17.0 progra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 in self-management, self-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s accor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Second, self-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s was influenced by self-management. Third, athletic performances was influenced by self-confidence.

      • KCI등재

        유소년 농구선수 잠재력 진단을 위한 경기력검사 개발

        이기봉,김정준 한국초등체육학회 202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유소년 농구선수의 현재와 미래 경기력을 타당하게 측정하는 경기력검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 헌고찰과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경기력검사 측정변인을 탐색하였으며,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통해 최종 측정변인 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개발한 경기력검사의 타당성검증을 위해 참여한 전문가는 총 11명 이었다. 경기력검사를 적용한 실제 경기는 2021 KBL U-12 주말리그 결승리그 3경기였으며, 결승리그에 참가한 총 3팀의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발한 경기력검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실제 경기기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미래 잠재 경기력 예측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력검사는 드리블, 슛, 패스, 리 바운드로 구성되었으며, 측정변인은 평균 점수보다 총점이 현재와 미래 경기력 평가 점수와 상관이 높았다. 또한, 유소년 농구선수의 미래 수행력을 설명하기 위해 슛이 타당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더 많은 선수들을 대 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면 드리블, 패스, 리바운드 변인에서도 높은 설명력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formance test that reasonably measures the present and future performance of youth basketball players.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o explore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performance test. Operational definitions an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final measurem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through expert Delphi research. The validity of the finally developed performance test was verified. Eleven experts participated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performance test and evaluate the actual performance of youth basketball players. The performance test targets were three games in the 2021 KBL U-12 weekend league, with a total of 22 players from three team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performa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actual game reco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predict future potenti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formance test consisted of dribble, shot, pass, and rebound. The total score of measurement variables were correlated with the current and futur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than the average score. Also, shot was found to be a valid variable to explain the future performance of youth basketball players. If research is conducted on more players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show high explanatory power in dribbling, passing, and rebounding variables. If a follow-up study is conducted with more players, it will be possible to show high explanatory power in dribble, pass, and rebound variables.

      • KCI등재후보

        사격선수의 자신감 및 경기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기여도

        이동준,김화복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사격 선수들의 자신감과 선수가 인지하는 경기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 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전국의 사격 선수를 모집단을 설정한 다음 편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총 479부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의 관계는 2단계 절차로 분석하였는데 첫 단계로는 SPSS 18.0을 이용한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셀프리더십의 수준별 스포츠 자신감 및 경기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리 고 두 번째 단계로는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통해 요인 간 관계 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의 수준 별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에서는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은 선수집단이 낮은 선수집단에 비해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과 스포츠 자신감의 관계에서는 건설적 사고전략이 스포츠 자신감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셀프리더십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건설적 사고전략과 행동지향적 전략이 인지된 경기력 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tribution of self-leadership 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among Shooting players. In compliance with the purpose, total 479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f random sampling and utilized in the study.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was analyzed by two steps. As first step,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were analyzed from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As second step,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were analyzed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sports confidence of self-leadership by ability grouping and the difference of athletic performance,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self-leadership showed high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comparing with those of group with low level of self-leadership.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ports confidence, the contractive thought pattern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sports confidence.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behavior-focused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Fort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confidence and athletic performance, the sport confidence had positiv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 KCI등재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자기관리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 선수 및 입상경력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연구

        문광선 ( Kwang Sun Moon ),윤정욱 ( Jung Wook Yoon ) 대한무도학회 2016 대한무도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선수경력과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관리의 상호작용효과가 경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개인별 자기관리 전략을 강화하고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를 모집단으로 서울과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의 태권도 겨루기 국가대표 및 일반 선수 230명을 자기기입식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오류로 판명된 26부를 제외한 최종 204부가 통계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자료처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자기관리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자기관리 하위요인인 정신 및 훈련관리, 몸관리, 대인관리가 경기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수경력이 많을수록 경기력에 대한 몸관리의 상태가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것으로 선수경력이 적은 경우 경기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몸관리의 변화가 작지만, 선수경력이 많은 경우에서는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변화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관리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력의 변화에 대해서 입상경력의 상집단은 정신 및 훈련관리 차이가 하집단에 비해 변화가 매우 많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입상경력이 많은 집단의 정신 및 훈련관리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 효과는 입상경력이 적은 집단의 정신 및 훈련관리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보다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in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formance of the players of taekwondo competition - The study according to interaction effect of career of player and wi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final total players who had experiences of taekwondo competition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 To perform this empirical study,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from one firms through questionnaire and all measures were self-administered by respondents. To analyze this data, reliability test and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variable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 of taekwondo competition players. The questionnaires for the self-management had been developed by Kim(2011), Kim(2003) and Hye(2003), and, the performance had been developed by Yang(2012), Park(2004) and Chea(201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was showed that self-management has an big impact on performance of the players of taekwondo competition. Second, it was showed that body self-management was moderating effect 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layer career of the players of taekwondo competition. Third, it was showed that mental and exercise self-management was moderating effect 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win career of the players of taekwondo competition.

      • KCI등재

        대학 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이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원영인 ( Won Young-in ),심영균 ( Sim Young-kyun ),김지태 ( Kim Ji-tae ) 국기원 2018 국기원태권도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이 운동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대학 태권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대학 태권도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할당표집법을 통해 총 22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 되는 것으로 판단된 12부를 제외하고, 총 20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기초로 Window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학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은퇴불안(심리적 상태, 부상 발생, 경기력저하, 종목특성, 동료은퇴, 부모 기대)은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행위몰입과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심리적 상태, 경기력저하, 동료은퇴는 행위몰입과 인지몰입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기대는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상 발생과 종목특성은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은퇴불안(심리적 상태, 부상 발생, 경기력저하, 종목특성, 동료은퇴, 부모 기대)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기력저하는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모두 영향을 미쳤고, 동료은퇴는 승리 의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상태, 부상 발생, 종목특성, 부모 기대는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행위몰입은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ientif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of retirement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who are registered in the Taekwondo Association of Korea were set as the population. A total of 220 samples were collected. Except for 12 unsuitable answers, a total of 208 answers were used for analyses. Using the Window SPSS 22.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tirement anxiety (psychological state, injury, performance deterioration, item characteristics, peer retirement, parent expectation) partially influences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Specifically, psychological status, poor performance, and fellow retirement were found to affect both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Parental expectation had an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and the occurrence of injury. Second, retirement anxiety (psychological state, injury, performanc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athletes, fellow retirement, parent expectation) partially influences skill performance and victory will. The decrease in performance was found to affect both performance and victory intention. Peer retirement affected the victory wil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injury, event characteristics, and parent expecta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Lastly, exercise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cognitive commitment) partially influences skill exertion and victory will. Specifically, behavioral commitment was found to affect both performance and victory, and cognitive commitment did not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 KCI등재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신성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및 경기력에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각 변인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서울과 경기, 인천, 전북에 소재한 대학교 태권도전공 중 15개 팀에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무작위로 선정하여 표본을 추출하 였고, Window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스포츠 대처전략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포 츠 대처전략은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는 경기력에 부분적으 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교 태권도선수의 자기관리와 경기력 간에 스포츠 대처전략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수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대처전략,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추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와 척도 개발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Taekwondo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to contribute to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each variable. 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ceding study by 15 teams among universities in Taekwondo majors in Seoul, Gyeonggi, Incheon, and Jeonbuk, and randomly selected and extracted a sample. Analysis used the program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coping strategies. Second, the sports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Third, the self-management of college Taekwondo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formance in par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ports coping strategy partially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management and athletic performance of university Taekwondo athlet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thletes' self-management, sports coping strategies,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lat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eration effects and sca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