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고문화로 다시 찾는 동아시아 고대사와 한국역사

        황혜숙 ( Hyo Sook Hwang ) 택민국학연구원 2010 국학연구론총 Vol.0 No.6

        우리는 실제의 역사와 기록된 역사의 차이를 구별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역사는 사가의 관점에 따라서 다르게 기록되고, 역사기록이 반드시 역사의 진실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중국인이 쓴 동아시아 고대역사는 부도지 와 환단고기 의 역사와 판이하게 다르지 않은가? 중국의 역사는 마고문화를 창조하고 수호해 온 상고대 한국역사를 부인하는 것에서 시작하나. 중국적 민족주의 혹은 팽창주의 사가들은 마땅히 중국 이전의 마고문명을 부인해야 했는데, 그래야만 한국의 상고사도 고스란히 지워 버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마고문화와 한국 상고사를 지워 버린 후 고대 중국 사가들은 동아시아 역사가 마치 중국 가부장들에 의해서 시작된 것처럼 조작해 왔다. 역사가 논증될 수 있는 연구에 의해서 하나의 사실로, 다시 말하면 객관적으로 기술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은 너무 순진한 것이다. 중국과 일본의 지성인들이 기록한 가짜 역사가 ‘논증’이 되어서 정사로인정되고 있지 않은가? 역사는 항상 그러했듯이 누가, 언제, 무엇을 목적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쓰인다. 필자의 논지는, 한국인이고대 한국인의 마고문화의 관점에서 한국역사와 동아시아 고대사를 다시 쓰자는 것이다. 중국과 일본 역사가 정사가 되는 한, 한국의 고대사와 문명은 말살, 축소, 왜곡, 강탈을 당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역사기록의 힘은 또한 국가 경제력과도 관계가 있다. 경제력을 가지고 일본인은 지식인들을 생산해 냈고, 그 지식인들은 미국과 구미의 대학에서 일본적 관점에서 쓰인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를 전파해 왔다. 일본의 기록된 역사는 A.D. 5세기경에서 시작되는 것이 전부이니, 일본인 학자들은 중국의 고대사를 빌어서 일본이라는 민족국가와 문명의 시작을 설명해 왔다. 전 지구적으로 파산된 가부장적 국제정치와 외교제도는 경제력과 군사력을 통해서 ‘진리’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새겨야 한다. 예를 들어, 필자가 박사 학위를 끝내고 미국 대학에서 교직을 찾으면서 알게 된 사실은, 일정한 기금을 기부하면 미국에 있는 명문 대학에서 종신 교수직 자리를 하나 만들 수 있으며 원하는 과목을 가르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본인 학자들이 이런 식으로 미국과 유럽의 학계로 진입했음은 명백하다. 이 시점에서 한국인은 진실과 경제력둘 다를 사용해 잃어버린 마고문화의 역사를 되찾고 동아시아 역사를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21세기의 지구적 가부장사회 공동체에서 개개인은 민족 단위로, 국가 단위로 인식된다. 따라서 한국인은 누구나 국제사회에서 한국이라는 민족, 한국이라는 나라가 어떻게 알려져 있느냐에 따라서 평가된다. 국제사회를 움직이는 힘은 겉으로는 정치적, 경제적 힘에 의존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국제정치, 국제경제를 움직이는 주체는 민족과 국가를 대표하는 개인들이다. 쉽게 말해서,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가진 나라의 개인들은 쉽게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역사와 전통문화가 알려지지 않은 나라의 사람들은 언제나 부모 없는 아이처럼 보호 받지 못한다. 한 민족이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가와는 별개로, 국제사회에서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발표하 느냐에 따라서 그 민족의 정체성이 규명되고 그 민족의 위치가 결정된다. 자신의 역사를 자랑스러워하는 민족은 세계에서 당당한 민족이 된다. 우리가 미래에 어떤 한국인이 될 것인가는, 우리가 얼마나 충실하게 우리 역사와 전통문화를 되찾아 밝히는가에 달려 있다. 한국인이 잃어버린 역사를 되찾는 일은 시급한 과제이다. 국제 학계에서 한국 인문학이 얼마나 저조하고 비참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인식하는 사람이 별로 없고, 또 그러한 상황에 대해서 깊이 한탄하며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지성인도 별로 눈에 뜨이지 않는다. 오늘날 많은 한국인이 구미에 유학을 하고 있지만, 국제학계에서 차지하는 한국의 인문학의 자리가 얼마나 구차하고 미미한지를 알고 돌아가는 한국인은 별로 없다. 왜 한국인이 이렇게 되었단 말인가? 동시대의 한국인은, 한국 역사는 물론 한국의 신화, 한국의 인류학, 한국의 고고학, 한국의 문학, 한국의 종교학, 한국의 여성학을 다시 세우는 일이 얼마나 절박한 과제인가를 인식해야 한다. 필자가 마고문화의 문맥에서 한국이라고 말할 때는 민족주의적 의미로서의 한국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대해서 앞에 언급하였다. 필자는 마고문화의 연구자로서, 한국인이 궁극적으로 마고문화를 새로 밝히는 한국 인문학을 세계에 세우게 되는 날, 그때 인류의 지성과 도덕이 진일보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마고문화의 유산을 이어받았던 고대 한국인이 세세대대에 걸쳐 전하고자 했던 한국인의 인류에 대한 사명이다. Ma Gu (Chinese: 麻姑; pinyin: M?g?; Wade-Giles: Ma Ku; literally "Hemp Maid") is a legendary Taoist xian (仙"immortal; transcendent") associated with the elixir of life, and symbolic protector of females in Chinese mythology. Stories in Chinese literature describe Ma Gu as a beautiful young woman with long birdlike fingernails, while early myths associate her with caves. Ma Gu xian shou (麻姑獻壽"Ma Gu gives her birthday greetings") is a popular motif in Chinese art. Accurately translating Ma Gu into English is problematic, depending upon whether she was a "maid", "priestess", or "goddess" of "hemp", "marijuana", or something else. Victor H. Mair (1990) proposed that Chinese wu (巫"shaman"), pronounced *myag in Old Chinese, was a loanword from Old Persian *magu? "magician; magi", hypothetically comparable with Ma Gu. Chinese Ma Gu (麻姑) is called Mago in Korean and Mako in Japanese. Mago (마고, 麻姑) is a cosmogonic goddess in Korean creation myths. Hwang (2004:1) calls her "the Great Goddess" and proposes "Magoism, the archaic gynocentric cultural matrix of East Asia, which derives from the worship of Mago as creatress, progenitress, and sovereign." According to the Budoji, Korean mytho-history began with the "Era of Mago." Japanese Mako (麻姑) is usually a literary reference to the Chinese story (below) about Ma Gu``s long fingernails, for instance, Mako s?y? (麻姑?痒 "Ma Gu scratches the itch") metaphorically means "things going like one imagined". [edit] Cultic origins While Ma Gu folktales are familiar in East Asia, the sociologist Wolfram Eberhard (1943, 1968:123-126) was the first Western scholar to analyze them. He categorized Ma Gu under a cultural chain of Yao love songs and festivals. Based on references in Chinese texts, Eberhard proposed two centers for the Ma Gu cult, in the present-day provinces of Jiangxi and Hubei. Evidence for an "original cultic center" (1968:124) near Nancheng (南城) county in southwestern Jiangxi includes several place names, including two mountains. The famous Ma Gu Shan (麻姑山"Ma Gu Mountain") is located in Nancheng, and Taoists regard its Danxia Dong (丹霞 洞"Cinnabar Cloud Grotto", see Hahn 2007:29-30) as the 28th of 36 sacred dongtian (洞天"Grotto-heavens, heaven-reaching grottos"). The famous Tang Dynasty Daoist calligrapher Yan Zhengqing visited Mt Magu and inscribed the Magu Shan Xiantan Ji (痲姑山仙?記"Record of the Mountain Platform where Magu Ascended to Immortality"). A second Ma Gu Mountain is located in Jianchang county (建昌, near Nanfeng 南?). Ma Gu Wine (麻姑酒) is made in Jianchang and nearby Linchuan. In addition, Ma Gu is an alternate name for Hua Gu (華姑"flower maid") Mountain in Xuancheng county of Anhui. Evidence for a secondary area for the Ma Gu cult in Hubei includes the Song dynasty temple near Hankou, along with the Ma Gu Temple on Mount Heng. Several early folktales from Sichuan province associate Ma Gu with caves and one describes a shaman who invoked her. Regarding the traditions that she was born in Jiangxi and became an immortal xian in Shandong, Eberhard says. This ascent to heaven, typical of Taoists, connects her with the immortal saints, and indeed she is regarded as a symbol of long life and rebirth, and therefore in the Chinese drama, appears a good omen during birthday celebrations. (1968:124) Ma Gu can be literally translated "Hemp Goddess/Priestess". The Way of Infinite Harmony is a modern Taoist sect that worships Ma Gu and espouses the spiritual use of cannabis. Hellmut Wilhelm``s book review (1944:213) of Eberhard``s original German book (1943) suggested that Ma Gu was associated with cannabis. Eberhard dismissed this hypothesis in the English version.

      • KCI등재

        馬祖 門下의 다양한 禪風 고찰

        정운스님(신명희) 한국선학회 2020 한국선학 Vol.0 No.56

        중국 당나라 때, 홍주종의 개조(開祖) 마조(馬祖, 709~788)는 조사선(祖師禪)의 조사이다. 마조의 문하는 기록마다 다른데, 적어도 88명에서 몇 백여 명까지 기록되어 있다. 제자들이 많다보니, 다양한 부류의 제자들이 있다. 먼저 교를 버리고 선을 선택한 사교입선(捨敎入禪) 수행자들이 있다. 두 번째 마조 문하에 여러 제자들이 있어서인지, 출가전이나 출가 이후에도 독특한 행적을 남긴 제자들이 많았다. 세 번째 부류는 특이한 집단인데, 재가자·비구니 여성 수행자, 그리고 독특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이다. 네 번째 부류는 마조에게서 심인(心印)을 얻은 뒤 은둔한 부류이다. 다섯 번째 부류는 중앙 제도권과 가까이 지내는 선사들이 있었는데, 이들로부터 마조선이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여섯 번째 부류는 한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선풍을 전개한 이들인데, 이들에 의해 마조선이 크게 발전되었다. 이 여섯 번째 부류에서 파생되어 신라 말기~고려 초기~고려 중기에 이르기까지 마조의 3세·4세·5세 등 다양한 제자들이 있다. 마조에 의해 당나라 때의 선사상이 발전하였고, 2대 제자와 3세에 해당하는 제자들에 의해 마조선은 중국 전역은 물론이요, 우리나라에까지 선풍이 전개되었다. 마조 문하에서 발전된 조사선이 근자에까지 전개되고 있음을 상기해 현 우리나라 선을 비추어보는 동기로 삼는다. During the era of the Tang Dynasty in China, the Buddhist monk Majo (709-788) of the Zen sect was the originator of the religious sect of the Zen thought that had been achieved by him, who was the founder of the school. The disciples of Majo are different in every record. At least 88 persons and up to over several hundred persons have been recorded. As there had been a lot of the disciples, there are the disciples of the diverse kinds. Firstly, there are the people who entered the Zen performance who threw away the religion and selected the Zen. The second kind is the people who had independently unfolded the Zen style in one region. Thanks to these people, the Majo Zen had been developed greatly. Regarding the third kind, by spending the time close to the central, institutional sphere, the Majo Zen had received the recognition from these people. The fourth kind is the kind who had lived in seclusion after obtaining the shimin from Majo. The fifth kind is an unusual group. They are the jaegaja and bhikkhuni (Buddhist nun) woman performers and the people who had unfolded the unique Zen style. Regarding the sixth type, there are the diverse disciples, including the third generation, the fourth generation, the fifth generation, etc. of Majo from the last period of Shilla to the beginning of Goryeo and to the last period of Goryeo. Thanks to Majo, the Zen thought at the time of the Tang Dynasty had developed greatly. And thanks to the disciples of the later generations and the disciples who pertain to the third generation, Majo Zen had been spread out widely not only in the whole region of China, of course, but, also,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 2016년을 중심으로 -

        이동희 ( Lee Dong-hee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이 글은 2016년도에 호남지역에서 발굴조사된 마한·백제 관련 주요 유적의 성과 외에도, 2016년도에 발간된 발굴조사 보고서와 논문을 살펴보고 호남지역의 마한·백제를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2016년도에 발굴조사된 유적조사 현황을 바탕으로 호남지역 마한·백제의 주요 논점을 검토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마한 기원과 관련한 분묘, 화천이 다량으로 출토된 광주 복룡동 토광묘의 성격, 경질무문토기의 하한과 타날문토기의 상한, 호남 동부권에 주로 분포하는 백제 산성의 의의와 백제의 지배형태 등이다. Ⅲ장에서는 2016년 발간 주요 보고서 및 논문으로 본 호남지역의 마한·백제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2016년에 발간된 호남지역 발굴조사보고서 가운데 마한·백제 관련 주요 유적은 마한 초현기의 분묘, 호남 최초의 빈(殯) 관련 의례유적, 철기 제작과 관련된 대규모 취락, 백제 오방성 가운데 하나인 정읍 고사부리성, 6세기대 전남동부지역의 백제 영역화를 보여주는 고분 등이 있다. 한편, 2016년에 발간된 논문 가운데 호남지역 마한·백제와 관련 연구 경향은 다음과 같다. 즉, 전북지역에서는 마한 성립기의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 전북지역 마한·백제 묘제의 양상과 의미, 익산과 마한·백제 등이 논의되었고, 전남지역에서는 영산강유역의 마한·백제 고분과 출토유물에 대한 글이 주를 이룬다. 즉, 묘제·토기·금동신발로 본 복암리 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복암리 출토 목간으로 본 나주의 위상, 영산강유역의 왜계 고분과 마한·백제·왜와의 관계, 서남해안 해상교통로와 백제·왜 관계, 영산강유역의 백제 지방도시, 마한토기의 정체성과 동북아시아적 의미 등이 거론되었다. 호남지역에서 마한의 상한, 마한·백제의 전환기, 5~6세기 고총의 피장자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지만, 쉽게 결말이 나지 않고 있다. 다른 지역에 비해 문헌이 빈약한 호남지역에서는 여전히 새로운 고고자료가 필요 하고,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Mahan and Baekje in Honam region of Korea by examining major remains related with Mahan and Baekje excavated and examined in Honam region in 2016 as well as the excavation reports and essays published in 2016. Chapter Ⅱ examined major issues about Mahan and Baekje in Honam reg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excavation of remains in 2016. Major contents of this chapter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ombs related with the origin of Mahan and the wooden coffin tombs of Bokryong-dong, Gwangju where ancient coins of China were found in a great quantity and the significance of Baekje fortresses mainly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the Honam region and the form of governance of Baekje. Chapter Ⅲ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on Mahan Baekje in Honam region through major reports and essays published in 2016. The trends of essays on Mahan and Baekje of Honam region published in 2016 are as follows; Studies conducted in Jeollabuk-do region mainly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during the establishment of Mahan and the meaning of Mahan-Baekje burial system in Jeollabuk-do, while studies conducted in Jeollanam-do mainly discussed Mahan-Baekje tombs on the side of Yeongsangang River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m and the sea lanes in the Southwest coast.

      • KCI등재

        마경(魔境)과 프로이드 자아방어기제의 상관성 연구

        홍유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화예술연구소 2015 불교문예연구 Vol.0 No.6

        이 논문은『좌선의(坐禪儀)』와『천태소지관(天台小止觀)』에 나타난 수행자를 방해하는 장애인 마경(魔境)·마라(魔羅)와, 프로이드(Freud)의 자아방어기제 (self-defense mechanism)를 비교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수행에 내적·외적 장애를 주는 마경과 인간심리를 불안하게 하고 마음에 왜곡되게 작용하는 방어 기제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마경을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상담 시 어떤 식으로 응용할 것인가에 대해 다루었다. 『좌선의』의 마경과『천태소지관』의 마사(魔事)는 수행도중에 찾아와 수행을 방해하는 마귀, 마군으로 수행을 하지 않는 일반인들에게 똑같이 나타나는 현상 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행과 무관하게 인간은 미래에 대한 불안과 걱 정, 과거경험의 그림자에 시달려 현재를 제대로 살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수행자가 자신의 내면을 반조하고 마를 알아차려 극복, 포용, 치유할 수 있다면 예비수행자인 일반인도 얼마든지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고 들여다볼 수 있을 것 이다. 모든 사람의 내면에는 참 성품인 불성(佛性)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의하는 초점은 다르겠지만 프로이드가 주장한 자아방어기제도 있는 그대 로의 내면을 드러내지 못하고 각 상황과 대상에 맞게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고통스러운 상황에 적응하려는 무의식적 노력이다. 방어기제의 사용은 불 안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인간관계에 있어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자아가 불안과 두려움에 대응하는 데 동원된 심리적 책략은 다양한 왜곡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수행을 방해하고 바른 깨달음을 얻으려고 하는 수행자의 선근을 파괴하는 마와 방어기제는 상관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에 선의 대표적인 수행법인『좌선의』의 마경과 프로이드의 자아방어기제 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이론이 서로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현대 상담에 어떻게 접목하여 현대인의 불안을 직시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to research for comparing the realm of mara disturbing disciplinants shown in Jwaseon-eui (the way of meditation) and Chentaisojigwan (Jigwan's meditation practice) and Mara, Freud's self-defense mechanism. And also it is a small consideration to find out correlations between the realm of mara giving intrinsic, extrinsic disturbances to practice and the defense mechanism functioning twistedly to each person's mind, interpret the realm of mara in modern meaning, and the way to apply it for counselling. The realm of mara of Seon master Jongsaek's Jwaseon-eui and Mara's disturbances of Chentaisojigwan are not phenomenons occurred to general people who do not practice, because they are devils, evil spirits disturbing practice when disciplinants are practicing. Nevertheless, whether we practice or not, we always feel uncomfortable and concerns of the future, the shadow of the past experience, so it's hard to make our lives happy. If practitioners illuminate one's mind and realize mara, overcome, embrace, and heal one's troubles, I think it is possible that pre-practitioners can see one's mind and heal their problems. Because Buddhahood (the real original mind) is placed on the inner mind of all the people. Of course the discussing point of view can be different though, Human's ego defense mechanism the great master of psychological analysis Freud insisted says that we cannot disclose our mind as it is, just play a role to protect ourselves against each situation and have an effort unconsciously to adapt suffering situations. Using defence mechanism can not only reduce anxiety, but comes to a positive social result and work in order. However psychological tactics used to cope with anxiety and suffering of ego show various distortions. In such an aspect, Mara disturbing practices and good roots of practioners who try to gain right enlightenment and Defense mechanism have a correlation.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the realm of Mara of Jwaseon-eui, the representative practice way of Seon and Freud's self defense mechanism. It has a purpose to find out what correlations these two theories have and how to apply to modern counselling and how to face and reduce modern persons' anxieties.

      • KCI등재

        天台의 魔障에 관한 고찰

        김종두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6 No.-

        止觀을 수행할 때에 魔의 일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다. 마의일을 잘 알아야 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고 對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지금까지 해왔던 수행이 물거품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옛날 선지식들은 수행자에게 마의일에 대해서 자주 주의와 경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수행방법이나 행위에는 관심을 많이 기울이지만 수행 중에 나타날 수 있는 장애인 魔事에 관한 대비는 부족한 것 같다. 깨달음을 이루기 위한 과정에서 도가 높으면 마도 성행하게 된다. 그래서 옛날부터 수행에는 반드시 장애가 따라온다고 한다. 즉 심리적 요인, 외부적인 요인 등의 다양한 조건들이 수행의 진전을 방해하며 번뇌를 일으키기도 하고 병을 얻게 하기도 하며 깨닫지 못했는데 깨달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智顗스님도 당시 금릉의 강단생활을 버리고 천태산에 들어가기 직전에 名利라는 軟賊 때문에 뼈를 깎을 만한 정신적 위기에 빠졌었고 華頂峰에서 수행할 때에 强魔와 柔魔의 유혹과 심각한 대결을 행한 사실도 있다. 이것이 부처님의 항마성도에 비교할 수 있는 화정봉의 頭陀開悟의 모습이다. 지의의 개오는 교학상에서 실로 중대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두타행의 실제 체험이 마사를 연구하고 그 폐해와 對治法을 강구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인간의 악한 마음의 작용을 마로 상징적으로 제시하고 그것을 유형적으로 세 가지로 정리하여 觀境으로 관찰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근본적인 대치법으로 圓融三諦의 원리에 의해 十乘觀法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It is important to know the evil obstruction (魔) when practicing Chih-kuan (śamatha-vipaśyanā, 止觀). Because we have to get a knowledge of evil obstruction to deal with it. Without it, our effort will come to nothing. Since early time, all the great enlightened masters (善知識) had warned and cautioned against evil obstructions. But, many practicer generally are not concerned about evil obstructions (魔事) but practicing method. Also they don't prepare for that. In the course of practice for enlightenment, the more they cultivate deeply, the more they face evil obstructions. From old times, there are inevitably evil obstruction in practice. It is diverse conditions of psychological factor, external factor etc. that interrupt progress, give rise to afflictions and seize them with a disease and make them claim to be enlightened falsely. When Chih-i (智顗) had been lecturing at Chinling (金陵) before went into Mt. T'ien-t'ai, he seriously suffered by the foe of fame and wealth. Also, he struggled with severe evil (强魔) and gentle evil (柔魔) as he was practicing in one of the peak of Mt. T'ien-t'ai. This is comparable to the subjection of Māra of the Buddha (降魔成道). It is dogmatically important to attain enlightenment of Chih-i. The experience of Dhūta (頭陀行) made him to study evil obstructions and take measures to it. Eventually he symbolically presented evil mind of human as evil obstructions, divided them into three types and made an observation with discerning dharma (觀法). Also he provided to apply the discerning dharma of the ten yāna (十乘觀法) by the principle of complete combination of the three dogmas (圓融三諦) as basic measures.

      • 마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특성

        정구민,권정숙 安東大學校 農業科學技術硏究所 1998 農業科學技術 硏究論文集 Vol.5 No.-

        마첨가 국수의 개발을 위해 밀가루에 열풍건조마가루와 냉동건조마가루를 각각 2, 5, 10% 첨가하여 건국수를 만들고, 이들의 물리적 성질과 조리성질을 조사하였으며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밀가루에 마가루를 첨가하면 국수의 폭은 0.5-4.8% 두께는 8.8-20.8% 줄어들었다. 국수의 색은 마가루의 갈변으로 다소 누렇게 변하였으며 첨가량이 클수록 심하였다. 마첨가로 국수의 강도와 휨성은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마국수는 밀가루 국수보다 취급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수의 조리 후 무게증가량과 조리부피는 마첨가량에 따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리손실은 마첨가 국수가 1.21-1.49g/25g으로 밀가루 국수의 1.15g/25g 보다 높았다. 이는 마의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4.74-4.96%)이 밀가루(2.69%)보다 높기 때문일 것이다. 관능검사 결과, 마가루를 2-5% 첨가한 국수가 5.4-6.4점을 얻어 밀가루 국수의 5점보다 높았다. Dried noodles were prepared by blending wheat flour with 2, 5, 10% hot-air dried Chinese yam powder (HD) and freeze dried Chinese yam powder (FD), respectively. Adding yam powder decreased width and thickness of noodles by 0.5-4.8% and 8.8-20.8% respectively. Color of noodles were darkened with addition of yam powder due to probably enzymatic browning. Adding yam powder increased strength and flexibility of noodles. Weight gain and volume of noodle after cooking were not affected by adding yam powder, but cooking loss was increased from 1.15g/25g for wheat noodle to 1.21-1.47g/25g for yam-added noodles because yam powders contain more soluble dietary fiber(4.74-4.96%) than wheat flour(2.69%). In sensory evaluation, noodles added with 2-5% HD and FD scored 5.4-6.4 point whereas wheat flour noodle was 5.

      • KCI등재

        韓․中 麻姑 敍事의 스토리텔링 전략

        강민경 동방한문학회 2023 東方漢文學 Vol.- No.97

        본고는 한․중 마고 서사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방향을 제시하여 마고를 현대에 되살리는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먼저 한․중 마고 서사의 문화콘텐츠 성공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마고는 고전 서사에서 드물게 여성 주인공인 서사이다. 창조신과 수호신의 성격도 갖추고 있는 마고는 오늘날에 진취적인 성격을 지닌 여성으로 형상화하기에 적당하다. 둘째, 마고는 한․중․일 동아시아 보편의 서사이기에 커다란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셋째, 마고 서사는 전 세계에서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生態 정신의 가치를 환기한다. 넷째, 마고는 젊은 여인과 할머니라는 양가 이미지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서 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한․중 마고의 연관성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중국의 마고 선녀와 한국의 마고할미는 완전히 별개가 아니었다. 중국의 마고가 한국으로 수용된 이후 마고할미로도 불리게 되었으며 한국의 거인 할머니 설화와 결합함으로써 힘이 센 거인인 마고할미가 탄생했다. 이를 바탕으로 마고의 명칭과 외형, 활동 공간, 인간과의 관계 등 마고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중국의 마고 선녀와 한국의 마고할미는 외형이나 활동 공간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인간과 떨어져서 살아간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지녔다. 마고의 특성을 토대로 마고의 어떤 요소를 스토리텔링으로 구현할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캐릭터 측면에서는 부드럽고 지혜로운 젊은 마고, 힘세고 다재다능한 할머니 마고 이미지는 기존의 전형적인 캐릭터에서 벗어난 새롭고 창조적인 캐릭터가 될 수 있다. 다음은 마고의 능력을 살펴보았다. 마고는 고전의 다른 인물들에 비해 다양하고도 비범한 능력을 소유하고 있으며 남성과 비교해 보아도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세 번째로 마고 서사의 갈등 구조를 세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보았다. 韓․中․日 공통의 서사인 마고 이야기를 선점하여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으로 구현한다면 우리 신화와 문화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마고 서사는 인류의 삶과 문명의 길을 제시하는 대안적 신화가 될 수 있다. 지구의 온갖 자연물을 창조한 자애로운 마고의 정신을 회복하여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모색해 가야 한다. 나아가 힘 있고 능력 있는 마고할미를 통해 할머니의 이미지를 새롭게 제고하고 남녀가 동등하게 공존하는 사회를 고민해가야 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ultural storytelling for the Korean-Chinese Mago narrative in order to revitalize Mago in the modern age. First, the potential for success of the Korean-Chinese Mago narrative as a cultural content was examined. Firstly, Mago is a rare female protagonist in classical narrativ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creator and a guardian deity, Mago is suitable for embodying progressive women in the present day. Secondly, Mago is a universal narrative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East Asia, giving it significant expandability. Thirdly, the Mago narrative revitalizes the value of ecological spirit, which is an urgent issue worldwide. Fourthly, Mago can create attractive characters by embodying both young women and grandmothers. Next, the relev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Chinese Mago were explored. The Chinese Mago and the Korean Mago grandmother were not entirely separate. After the Chinese Mago was accepted in Korea, she became known as Mago grandmother and, in combination with the Korean giant grandmother folktale, the strong giant Mago grandmother was born.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rmaid, such as the name, appearance, activity space, and relationship with humans, were summarized. Although the Chinese Mago and the Korean Mago grandmother differed in appearance and activity space, they shared the common aspect of living apart from huma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go, the elements of Mago to be implemented in storytelling were examined. First, in terms of characters, the gentle and wise young Mago and the powerful and versatile grandmother Mago images can become new and creative characters that deviate from the existing typical characters. Next, the abilities of Mago were examined. Compared to other characters in classical literature, Mago possessed various and extraordinary abilities, even surpassing men. Thirdly,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Mago narrative was considered from three perspectives. If the Mago story, which is a common narrativ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s implemented through cultural storytelling, it will be a valuable opportunity to introduce the attractiveness of our mythology and culture worldwide. The Mago narrative can be an alternative mythology that presents the path of human life and civilization. We need to revive the benevolent spirit of Mago, who created all kinds of natural phenomena on Earth, and strive to find a balance between nature and humanity. Furthermore, through the powerful and capable Mago grandmother, we can redefine the image of grandmothers and contemplate a society where men and women coexist equally.

      • KCI등재

        중국 <마조(媽祖) 신화>의 서사적 의미

        임이랑 동아시아고대학회 2018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9

        마조(媽祖)는 중국의 해안 지역에서 현재까지 활발하게 숭앙되는 해신이다. 본고는 이러한 마조 신앙의 근간이 된 이야기를 신화로 전제하고 서사문학적 관점에서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에 따라 <마조 신화>를 구성하는 화소(話素)들을 최대한 수집하여 그 중 신화소로서 가장 핵심적으로 기능하는 것들을 선별하였다. 또한 <마조 신화>의 전체 서사를 세 유형으로 나누어 마조신의 성격과 직능을 규명하면서 동시에 <마조 신화>에 내재된 의미를 궁구해 보았다. 먼저 <마조 신화>의 핵심 화소들을 정리한 결과 생전과 사후를 기준으로 대별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생전의 화소들은 ‘가계-출생-능력-위기-최후’의 구성단계가 순차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영웅서사의 구조와 흡사하다고 판단되었다. 단, 주인공이 죽음으로 최후를 맞는다는 점에서 생전의 마조는 비극적 영웅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생전 서사에 갈무리된 이러한 결핍은 곧 마조의 재탄생으로 이어져 사후 서사의 새로운 발단이 되었다. 즉, 생전의 굴레를 탈각하고 화려하게 부활한 마조가 해상수호신으로서의 직능을 발휘하며 본격적으로 활약하는 것이 사후 서사의 핵심인 것이다. 이와 같이 생전과 사후의 화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마조 신화>는 ‘탄생과 성장담’, ‘시련과 좌절담’, ‘사후 행적담’의 세 유형으로 다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서사의 전·중·후반부에 대응된다고 보았다. 먼저 전반부는 비범한 탄생, 신이한 명명(命名) 단락 등을 통해서 임묵(林黙)이란 인물에게 관음(觀音)이점지한 신녀(神女)로서의 면모가 잠재되어 있음이 암시된다. 그러나 중반부에서는 초인적 존재가 감내해야 할 갈등과 좌절이 촉발되면서 임묵의 죽음이 그려지고, 이에 따라 후반부에서는 비운으로 절명한 임묵이 추앙되면서 인간들의 의식 속에 마조라는 신격으로 부활한다. 이후 마조는 주로 어선 보호, 해적 퇴치, 풍어 관장등을 담당하는데, 이러한 해상수호의 직능은 전통 용왕신의 불교적 변이형인 해수관음의 기능과 다르지 않고 또한 어촌 지역의 민속신에게 기대되던 역할이기도 하다. 따라서 마조는 민간에서 배태된 관음형 해상수호신이라고 규정할 수 있겠으며, <마조 신화>는 해수관음 설화와 임묵이라는 실존인물의 서사가 결합된 산물로 봐도 좋을 것이다. Mazu is the god of the sea actively worshipped at the coastal area in China until present. Assuming that the story which has become a basis for this Mazu faith is a myth, the paper has discovered the meaning from the viewpoint of narrative literature. After collecting as many motifs composing the Myth of Mazu as possible, the most fundamental function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mythmes. Also, characters and functions of Mazu god were established and the inherent meaning of the myth was thoroughly studied at the same time by dividing the whole narration of the Myth of Mazu into three categorie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organizing core motifs of the Myth of Mazu, the standard appeared to be classified as before and after death. Motifs of before death are determined similar to the structure of Heroic Narrative as the composition stage of 'lineage-birth-ability-crisis-end' are gradually applicable. It is known that Mazu during his life embodied the tragic hero in the way that the main character met his fate of death. However, this deficiency, which has ended in before-death narration, soon led to the resurrection of Mazu and became the root of after-death narration. In other words, the core of after-death narration is that resurrected Mazu exercises her function as the guardian of the ocean and plays an active part after getting released from her bondage as a human being before death. The outcome of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before and after life motifs has classified the Myth of Mazu into three categories: 'Birth and Growth', 'Ordeals and Frustration', and 'After-death Trails', which respectively corresponds to first․middle․latter parts. In the first part, through extraordinary birth and mysterious naming paragraph, it is implied that the person called Im-muk had a latent aspect of a goddess blessed by Buddhist Goddess of Mercy. In the middle part, however, the death of Im-muk was drawn followed by the conflict and frustration that a superhuman being has to endure, and in the latter part, Im-muk who passed away from her fate is revered and resurrected in the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as the divinity Mazu. Since then, Mazu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protection of fishing vessels, eradication of pirates, and management of a big catch. These functions of the ocean protec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function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which is the Buddhistic variation of the traditional dragon god, and also is the role expected to a folk god in the fishing village. Therefore, Mazu can be defined as the ocean guardian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who was once in the womb of the human being, and the Myth of Mazu can be regarded as a product that combined the narration of the existing person called Im-muk and the story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 KCI등재

        《마도의 향불》의 대중성 연구

        김성환(Kim Sung-hwan)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본고는 방인근의《마도의 향불》을 통해 대중성이 형성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마도의 향불》의 통속적 소재의 성격을 파악함으로써 1930년대 대중성 형성의 특이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마도(魔都)’의 이미지이다. 1920-30년대 상해(上海)를 가리키던 마도라는 단어에는 일본 제국주의의 기획이 담겨있다. 방인근은 마도-상해의 이미지를 전환시켜《마도의 향불》에서 마도-경성의 이미지를 만든다. 여기서 저항의 의의를 찾을 수는 없다. 오히려 마도-상해의 이미지가 조선에 투사됨으로써 식민지 담론을 재생산하는 효과를 보인다. 마도-경성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마도의 향불》에서는 경성은 악의 소굴로 묘사되고 있으며 이는 조선 민족 전체의 타락을 증명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의 연애서사는 경성과 조선의 타락을 막기 위한 영웅적인 행위로 격상된다. 이때 조선민족의 타락은 식민지 사회 구조의 문제로 파악된다. 그 결과 사랑을 방해하는 인물의 악행은 개인의 타락으로 돌리 수 없다는 인식이 생겨나며 서술에서도 이들에 대해 동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조선민족 타락의 원인을 식민지 체제로 돌리게 되는 결과는《마도의 향불》에 나타난 대중성의 한 특징이다. 이러한 양가적인 태도는 소설의 대중성이 외부 사건의 개입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외부성의 특징은 소방수 윤보의 인물성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윤보는 아들 영철의 사랑이 완성되기를 염원하는 동시에 경성의 악마성을 막는 직업윤리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윤보는 소방제도와 동일시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식민지 권력 담론을 반복하는 듯이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가정을 지키고자 하는 욕망을 내보이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로 인해 윤보는 양가적인 특징을 가진 인물로 서술될 수밖에 없다. 양가성은 일본어 기표에서도 볼 수 있다. 인물들의 일본어 대화는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기술되는데, 이들의 일본어 능력은 사랑을 방해하는 힘의 상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동시에 일본어 기표는 주인공이 무의식적으로 정체성의 준거로 받아들이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조선인의 울분의 감정은 일본어 기표에 의해 언제라도 중단될 수 있으며, 소방수의 직무와 정체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작가는 인물의 정체성과 경성의 악마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랑의 완성에 지상의 가치를 부여한다. 이를 위해 주인공의 사랑은 빈민구제와 같은 사회사업을 통해서 완성되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때 사랑은 당시의 국제정세보다 더 가치 있는 것으로 묘사되어 사랑의 완성은 사회적 가치의 실현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이 때문에 주인공은 사랑을 포기함으로써 사랑을 완성할 수 있다는 모순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당시 대중이 경험할 수 있는 대중성의 한 양상이다. This study focuses on Bang In-Geun's Light of Evil City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popularity is more important than popularity itself for the study on 1930's novel. Researching into feature of conventional matter, singularity of popularity may be seen in this Study. 'Evil City(魔都)' is very matter for it. In 1920-30s the word 'Evil City' mainly indicated Shanghai and that word showed the will of japanese imperialism, which wanted to overcome passive adoption of the western modernity and project imperialistic power over the own border. In Korea, japanese will has been projected and imperialistic power was generally adopted. In this process Bang In-Geun tried to make the popular image of 'Evil City' in Light of Evil City. It means 'Evil City-Shanghai' be transformed into 'Evil City-Seoul'. This transformation don't have the reside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On the contrary the image of 'Evil City-Seoul' reproduces imperialistic discourse. Bang In-Geun described Seoul as Evil itself for making the image of 'Evil City-Seoul', which drives to improve korean people is corrupt. In this project, characters' love is raised as heroic actions for keep the corruption. And corruption of korean people was described a result of social troubles. According to this attitude antagonistic evil is not responsibility of personal fault. Narrator in novel has sympathetic attitude to evil antagonist. It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popularity in Light of Evil City. This ambivalent attitudes came from intervention of external events. Yubo(윤보)'s shows the ambivalence of popular novels narrative attitude. Yunbo, a fireman has to keep the peace of Seoul, so he represented the system of imperialistic fire fighting. but he shows a desire for fulfillment in fis family. Because of it Yunbo was described as ambivalent character. ambivalence can be seen in characters' conversation in japanese. Japanese speech is symbol of power, so evil antagonist speaks in japanese when makes evil plans. But japanese speech is the origin of identity of good korean character. protagonist character's defiant passions would be interrupted by japanese speech. Bang In-Geun endowed completion of love with primal value for overcome the problems of identity and evil. Loves can be completed through Social works. At this time love is described as more valuable thing than real world's event as international conflicts. Completion of loves means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in this novel. And contradictions that renounce of loves means completion of loves comes from this circumstances, which is a special quality of popularity of 1930's novels.

      • KCI등재

        마조(馬祖) 평상심(平常心)의 이중적 고찰(考察)

        박규리(Kyu Ri Par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平常心是道는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의 禪旨를 대변하는 주요명제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평상심``이라는 말은 그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쉽고 편한 느낌으로 인하여 특별히 우리에게 친근한 개념이 되었다. 그러나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이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발동시키며 살아가는 평상심과 같은 것일 수는 없다고 짐작된다. 그렇다면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과 일상의 삶 속에서 통용되는 평상심은 과연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馬祖語錄』에서 말하는 평상심은 흔히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 의미의 평상심과는 다르다. 마조의 ``평상심``은 모든 인간과 사물이 가지고 있는 진실한 體性인 ``法性``에 상응한 모습 그대로인 一心의 本來淸淨地으로써, 깨달음 자체를 말한다. 따라서 마조가 제시하는 평상심을 체득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작위 분별적 사유의 틀을 넘어서는 직관과 통찰이 필요하다. 한편, 마조가 말하는 평상심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작동시키며 살아가는 그 마음과 전혀 별개인 것만도 아니다. 평상심이란 諸法의 근원으로서의 心地를 통칭하면서 또한 외부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도 종합적으로 뜻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마조는 개인이 각자 속한 세계, 그 현장에서 살아가며 일으키는 마음 자체를 구도의 직접적인 대상으로써 평상심이라 일컫기도 한다. 그렇다면 마조 평상심의 다각적인 의미의 실체와 그 해석에 관한 접근법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해법으로써 평상심을 본질과 작용의 이중적 측면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평상심의 眞義와 그 구체적 含意를 조명하는 일이 본 논문의 세부적 목표가 된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 마조의 주요 테제 중 하나인 ``평상심`` 자체에 국한하여 진행되었다는데 그 독창적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평상심``에 대한 막연한 추측과 그로 인한 해석적 오류를 줄임으로써 마조선의 핵심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실천적 계기가 되리라 전망한다. The ordinary mind is Tao(平常心是道)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rases that express the very core of Ma-tsu Tao-i`s(馬祖道一, 709-788) Seon(禪, Ch`an, Zen) doctrines. It is tantamount to saying ``Tao is nothing but the ordinary mind of us.`` This proposition of Ma-tsu is as perplexing as a kung-an for us, because we regard Tao as something very special, transcendental and super-empirical. Although the term ordinary is tricky, at least it seems clear that what Ma-tsu calls the ordinary mind cannot be the same as our mind we activate in our everyday routines. What are the differences? What did Ma-tsu want to mean when he still chose the term ordinary? The purpose of thesis is to find out answers to those questions. To say the conclusion first, what Ma-tsu yu-lu(馬祖語錄) calls the ordinary mind is different, but not separate, from our ordinary mind. It is different from our ordinary mind in that it refers to Ma-tsu`s enlightenment itself and thus implies the very core of the Patriarchal Seon that was originated from Ma-tsu. In order to attain what Ma-tsu calls the ordinary mind, we need to overcome and go beyond the ``ordinary`` mode of our mind for an insight and intuition into the truth. We, unenlightened ``ordinary`` persons, do not have such an insight and intuition. Ma-tsu`s ordinary mind, however, is not completely separate from our ``ordinary`` mind that operates in our everyday activities. It refers to ``the mind as the origin of all dharmas`` on one hand, and also to our mind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outer world. Each individual person activates his/her mind in all the diverse modes in the milieu of his/her life. When Ma-tsu said The ordinary mind is Tao, he meant that our mind itself, in all the variety of modes in the midst of our lives, is what we should get enlightened to in our efforts for attainment of Tao. Here lies the revolutionary feature of Ma-tsu`s doctrine that cannot be seen in previous Seon masters` teachings. The two facets of Ma-tsu`s oridinary mind may be called, for convenience, ``the noumenal mind`` and ``the phenomenal mind`` respectively. ``The noumenal mind`` refers to the mind as the original truth itself. It is called ordinary in that sense. ``The phenomenal mind`` refers to the mind in samsara, i.e., in everyday lives of sentient beings. It is also called ordinary, but here in the sense of ``routine`` or ``of the ordinary (unenlightened).`` Seon is all about enlightenment. Enlightenment in turn is all about liberation from the grasp of or attachment to any frame of conventional dichotomous concepts. A concept is established depending upon its opposite, i.e., only when it is located in a dichotomous pair. ``Buddha`` for example is meaningless without ``sentient beings.`` The noumenal mind, or the mind of Seon enlightenment, likewise, is meaningless separately from the matter of the phenomenal mind, or the ordinary mind of ordinary people. These two facets of Ma-tsu`s ordinary mind thu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i and y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