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부수혜자와 기부자 특성의 상호작용을 통한 기부의도 효과에 관한 연구

        오민정(Oh, Min Jung),박종철(Park, Jong Chul),정진철(Jung, Jin Ch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기부문화 확산을 이루기 위해 기부의도를 높이는 선행변수와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기부관련 연구들이 기부자 특성을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기부자의 특성(도덕적 정체성)과 수혜자의 특성(세대별, 책임소재)의 상호작용에 의한 기부의도의 영향력을 찾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설계는 기부수혜자를 노인과 어린이로 구분하고, 기부자는 두 가지 특성(기부자의 도덕적 정체성과 책임이 수혜자 당사자에 있는지 여부)으로 구별하였다. 연구 결과, 수혜자가 노인보다 어린 아이일 때 기부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덕적 정체성과의 상호작용 여부를 검토한 결과, 노인보다는 수혜자가 어린이인 경우 기부자의 도덕적 정체성과 기부의도는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부의도를 규명하는데 기부자와 수혜자, 그리고 기부유발상황 등의 적절한 상황조건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부문화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개인기부가 이루어지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구별하고, 기부자의 기부동인을 자극할 수 있는 맞춤형의 차별적인 접근 및 마케팅 소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that increase the donation intention and the mechanism of donation because donation intention and behavior should be promoted to achieve donation culture expansion.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the influence of donation intention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donor characteristics (moral identity) and beneficiary characteristics (generation difference, the locus of control) is. This study carried out the experimental study to carry out the study purpose. Experimental design distinguishes donors as elderly and children, and donors as two characteristics (moral identity of the donor and locus of contro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donor intention increased when the beneficiary was younger than the elderly. Also, when a donation target is a senior, the donation intention increases when the locus of control is perceived to be to the others rather than me.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or not they interact withmoral identity, donors" moral identity and donation intention showa positive relationship when the beneficiary is a chi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ppropriate conditions for contributing donors and beneficiaries to identify donation intentions, and to examine their differential impacts. To increase the donation culture,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which individual donations are made and to provide customized discriminative approaches andmarketing appeals that can stimulate donor donation drivers. 본 연구는 기부문화 확산을 이루기 위해 기부의도를 높이는 선행변수와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기부관련 연구들이 기부자 특성을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기부자의 특성(도덕적 정체성)과 수혜자의 특성(세대별, 책임소재)의 상호작용에 의한 기부의도의 영향력을 찾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설계는 기부수혜자를 노인과 어린이로 구분하고, 기부자는 두 가지 특성(기부자의 도덕적 정체성과 책임이 수혜자 당사자에 있는지 여부)으로 구별하였다. 연구 결과, 수혜자가 노인보다 어린 아이일 때 기부의도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덕적 정체성과의 상호작용 여부를 검토한 결과, 노인보다는 수혜자가 어린이인 경우 기부자의 도덕적 정체성과 기부의도는 긍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기부의도를 규명하는데 기부자와 수혜자, 그리고 기부유발상황 등의 적절한 상황조건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부문화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개인기부가 이루어지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구별하고, 기부자의 기부동인을 자극할 수 있는 맞춤형의 차별적인 접근 및 마케팅 소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that increase the donation intention and the mechanism of donation because donation intention and behavior should be promoted to achieve donation culture expansion.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the influence of donation intention with the interaction between donor characteristics (moral identity) and beneficiary characteristics (generation difference, the locus of control) is. This study carried out the experimental study to carry out the study purpose. Experimental design distinguishes donors as elderly and children, and donors as two characteristics (moral identity of the donor and locus of contro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donor intention increased when the beneficiary was younger than the elderly. Also, when a donation target is a senior, the donation intention increases when the locus of control is perceived to be to the others rather than me.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or not they interact withmoral identity, donors" moral identity and donation intention showa positive relationship when the beneficiary is a chi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ppropriate conditions for contributing donors and beneficiaries to identify donation intentions, and to examine their differential impacts. To increase the donation culture,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which individual donations are made and to provide customized discriminative approaches andmarketing appeals that can stimulate donor donation drivers.

      • KCI등재

        수혜자 특성과 제시 형태가 기부자의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민 한국생산성학회 2023 生産性論集 Vol.37 No.3

        내가 속한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유대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내집단 편향은 기부 행동에서도 나타나 내집단 수혜자와 외집단 수혜자 각각에 대해 기부자들은 태도와 인식을 다르게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혜자가 누구이냐는 기부행동에 매우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기부 수혜자가 각각 기부자의 내집단일 때와 외집단일 때 어떠한 방식으로 수혜자를 제시하는 것이 기부의도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기부 수혜자를 식별가능하게 제시 vs. 통계적으로 제시와 도움이 필요한 상태 제시 vs. 도움을 받은 상태 제시의 두 가지 제시 방법이 수혜자가 내집단일 때와 외집단일 때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321명의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내집단 수혜자가 기부 대상자인 상황에서 기부자들은 식별이 가능한 수혜자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를 보여줄 때 기부의도가 가장 높았으며 외집단 수혜자가 기부 대상인 경우에는 도움을 받아 행복한상태의 소혜자를 여러 명 보여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 캠페인을 집행하고자 하는 자선단체에게 매우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기부의도: 수혜자 상황과 기부자의 지식수준

        권재오(Kwon, Jae Oh),이유미(Lee, Youmi),김석영(Kim, Seogyoung),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1

        일상에서 기부관련 이야기를 듣는 건 어렵지 않다. 설사 직접 기부를 하지 않더라도 일상에서 기부광고를 접할 수 있는 기회는 흔한 일이다. 기부광고에서는 수혜자 상황이 가장 주목받는다. 어떤 기부광고는 수혜자의 상황이 생존이 힘들 정도로 불우한 모습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또 어떤 기부광고에서 수혜자의 상황은 극한 생존 상황은 아니다. 문맹 또는 질병과 같이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부가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수혜자의 상황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부자의 지식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수혜자의 모습이 생존이 힘들 정도로 극한의 상황으로 제시되는 경우, 이성보다는 인류애적인 감성에 의해 기부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기부자의 지식수준에 의한 영향력은 사라질 것이다. 그렇지만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부가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기부광고가 제시되는 경우에는 기부에 대한 기부자의 이성적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수혜자 상황은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문맹으로 고통 받는 상황보다는 극한의 생존 상황으로 제시될 때, 기부자의 기부의도가 더 높았다. 기부자의 지식수준은 기부의도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그렇지만 수혜자의 상황과 기부자의 지식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수혜자가 생존의 극한 상황으로 고통스러울 때에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기부가 필요할 때에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수혜자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기부 상황에서는 지식수준이 낮은 기부자에 비해 지식수준이 높은 기부자의 기부의도가 더 높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기부자의 지식수준에 따라 기부광고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는 기부자가 왜 기부하는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It is not difficult to hear about donations in everyday life. Even if you don t donate directly, it is common to see donation advertisements in your daily life. In the donation advertisement, the situation of beneficiaries is the most notable. Some donation advertisements are presented in such a poor way that the beneficiary s situation is difficult to survive. However, some donation ads are not extreme survival situations. It is suggested that donations are necessary for the better future of beneficiaries, such as illiteracy or disease. This study predicts that donor knowledge will affect the effect of the beneficiary s situation on the intention of donation. If the beneficiary s appearance is presented in an extreme situation that makes it difficult to survive, it will be donated by anthropomorphic sensibility rather than reason. Therefore, there will be no effect of knowledge level. However, if it is suggested that donations are necessary for the beneficiary s better future, rational judgment on donations is needed. Therefore, the level of knowledge of donors will affect the intention of don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neficiary s situation affected the intention of donation. When presented as an extreme situation of survival rather than suffering from illiteracy, the donor s intention to donate was higher. The donor s knowledge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don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beneficiary s situation and the donor s knowledge. When the beneficiary suffers from the extreme conditions of survival, the donor s knowledge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donation. However, when donations were needed for a better future for the beneficiary, the donor s knowledge influenced the intention of the donation. Compared to donors with lower knowledge levels, donors with higher knowledge levels had a higher willingness to donate. In previous studies, there has been no study of how donation advertising should be done based on donor knowledg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why donors donate.

      • KCI등재

        기부 수혜자 유형과 소비자 조절초점이 공익연계 마케팅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아영(Nam, Ahyou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2

        본 연구는 공익연계 마케팅에서 사회적 책임 유형에 따른 기부 수혜자의 유형과 소비자의 조절초점 성향이 공익연계 마케팅 제품에 대한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의 소비자는 공익연계 마케팅에서 기부 수혜자 유형이 이해관계자일 경우가 공중일 경우보다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일 것이다. 반면에 예방초점의 소비자는 기부 수혜자 유형이 공중일 경우가 이해관계자일 경우보다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일 것이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조절초점 성향: 향상초점 vs 예방초점) X 2(기부수혜자 유형: 이해관계자 vs 공중) 요인설계방안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공익연계 마케팅 제품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향상초점의 소비자는 기부 수혜자 유형으로 이해관계자가 제시된 경우가 공중으로 제시된 경우보다 공익연계 마케팅 제품에 대해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이와는 반대로 예방초점의 소비자는 기부 수혜자가 공중인 경우가 이해관계자일 경우 보다 공익연계 마케팅 제품에 대해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이는 향상초점의 소비자는 공익연계 마케팅에서 기업의 법적·윤리적 책임 활동의 기부 수혜자인 이해관계자일 경우, 기업과 공익연계 마케팅, 기부 수혜자간의 관계적 정교화 정보처리를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예방초점 소비자는 항목 특수 정교화 정보처리를 하기 때문에 기업과 공익연계 마케팅, 기부 수혜자를 분리하여 각각 항목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보처리를 한다. 때문에 자선적 책임 활동의 기부 수혜자인 공중이 처해 있는 부정적 요소를 제거하려는 동기가 높아져서 기부 수혜자가 공중일 경우 공익연계 마케팅에 대해 더 호의적인 평가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공익연계 마케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부 수혜자의 특성을 기부 수혜자 유형으로 제시하여 공익연계 마케팅의 적합성 효과를 기부 수혜자 유형까지 확장하였다는데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consumers’ regulatory focus and donation recipients type for cause-related marketing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 be specific,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more promotion focus(vs prevention focus) consumers show higher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a stakeholder(vs public) is presented to the as a donation recipients or vice versa. This study adopted a 2x2 Factorial ANOVA Design(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x donation recipient type: stakeholder vs public) to prove the hypotheses suggested by the previous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promotion focus consumers exhibited more positive attitude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when stakeholder is presented than when public is presented as donation recipient, in the cause-related marketing. Comparatively, prevention focus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when public is presented than when stakeholder is presented as a donation recipient.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후보

        일본(日本) 초현기(初現期) 수혜기(須惠器)의 시원과 생산 배경

        박광춘 ( Kwang Choon Park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0 No.-

        日本 古墳時代 회청색경질토기인 須惠器(스에끼)에 대한 시원에 대해 많은 日本 고고학자는 가야토기의 관련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나 시원과 생산 배경에 대해 아직 일치된 견해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은 종래 日本 初現期 須惠器로 추정하던 大庭寺(오바데라)遺蹟 가마 외에 타 유적 출토 須惠器가 初現期의 것이 아닌 탓도 있겠지만 가야토기 지역색과 연대에 대한 한국 고고학자들의 최근 연구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탓도 무시할 수 없다. 종래 日本 최고식 須惠器로 평가 받던 5세기 초로 편년되는 大庭寺遺蹟 가마 출토 須惠器보다 선행하는 4세기 후엽의 자료가 京都 南部에 위치하는 宇治市에서 출토되어 初現期 須惠器의 시원과 생산 배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2004년 조사된 宇治市街(우치시가이)遺蹟 SD302 流路에서 개, 고배(무개고배·유개고배), 유공광구소호, 컵형토기, 소형통형기대, 발형기대, 옹, 호 등 다양한 류형식(기종)의 初現期 須惠器가 출토되었다. 이와 함께 출토된 미완성 목제품은 나이테연대측정법에 의해 A.D. 389年이라는 절대연대치를 얻을 수 있었다. 宇治市街遺蹟 SD302에서 출토된 須惠器는 지금까지 日本에서 출토된 경질토기 중에서 가야토기의 원형을 가장 잘 보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절대연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初現期 須惠器의 시원을 해결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자료가 된다. 다만 日本 初現期 須惠器의 시원을 구하는데 있어 큰 걸림돌은 가야토기 편년이 학자에 따라 일치하지 않아 비슷한 시간대의 가야토기의 지표를 찾을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가야와 倭의 같은 시간적 지표를 동반유물에 의해 설정하였다. 동반유물은 형식 검증 외에 시간의 지표도 될 수 있다. 즉 日本 宇治市街遺蹟 출토 무개고배·유개고배와 삼각집선문발형기대의 동반관계는 4세기 후반의 시간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음에 착안하였다. 만약 이러한 동반 관계가 가야토기에서도 확인된다면 가야·倭의 같은 시간적 지표가 구할 수 있게 된다. 가야의 4세기 유구는 합천지역, 함안지역, 김해지역에 집중하고 있으며, 무개고배·유개고배와 삼각집선문발형기대의 동반관계는 5개 유적에서 9예가 확인 되었다. 5개 유적에서 1예씩 선택하여 宇治市街遺蹟 출토 초기 須惠器를 비교한 결과 김해 화정 21호분 출토 토기가 가장 유사하였다. 이 외에 개, 컵형토기, 광구소호, 소형 원통형기대의 시원도 화정고분군 출토 토기에서 구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日本 初現期 須惠器의 시원은 金官加耶 토기라는 것을 명확히 할 수 있었다. 생산 배경은 金官加耶와 倭의 大和(야마도)정권과의 군사적 동맹 관계에 의해 金官加耶 陶工 파견이 있었다고 추정하였다. 대성동 13호분에서 출토된 백옥제 촉형석제품은 4세기 日本 지배자층의 권위를 상징하는 위신재로 출토 예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과 거의 같은 촉형석제품이 日本 奈良(나라)縣 新山(신야마)古墳에서도 출토되고 있어 4세기 후반 金官加耶와 倭의 大和政權과의 외교 관계를 알 수 있는 유물이다. 이 백옥제 촉형석제품은 제기적 성격이 강하고, 비실용적 화살촉이므로 군사 동맹을 상징하는 징표로 볼 수 있다. 倭의 大和政權은 지방 수장을 견제와 농업 생산력 향상을 위해 철 확보를 위해 혼신의 힘을 기울였으며, 金官加耶는 신라와의 전쟁을 통한 영토 확장 때문에 군사력이 절실했다. 가야와 倭의 군사동맹은 A.D. 400年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南征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지만, 4세기 후반 金官加耶와 大和政權의 군사적·경제적 밀월 관계는 金官加耶에서 倭로 陶工을 파견하는 계기로 발전하여, 日本에 須惠器가 생산되는 배경이 된다. Greyish-blue hard Sueki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artefacts of Kohun Period in Japan has been in the middle of dispute of its origin but most of Japanese archaeologists stand for the relation to the Gaya pottery. There are mainly two reasons of this. Firstly the Ohbadera kiln site where was presumed to be the early period of Sueki production was identified not belong to the "early stage". Secondly Japanese archaeologists were failed to resume the most recent research works conducted by Korean archeologist about locality and period of Gaya Pottery. The oldest early fifth century Sueki was known to be discovered from Ohbadera kiln site but earlier 4th century Sueki was found from Uchisi (Southern part of Kyoto in Japan). This excavation then gives some novel perspectives on the origin of the Sueki. The Uchisigai site which was discovered in 2004 revealed several types of early Sueki from mounted cups, cup shape pottery, footed pottery, jar, and earthenwares with holes. Unfinished wooden wares with those pottery had been identified to AD 389 with the method of wood ring age determination dating. The Sueki found from the Uchisigai SD302 had shown the most similar shape with the Gaya pottery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absolute date.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to believe that this one from SD302 is very crucial object to understand the ealier stage of Sueki. One of the complicated dispute over here is that each scholar has assist different theory of Gaya pottery chronolog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ame period index had been set by accompanied goods of Gaya and Japan. Accompanied goods could be the period index. Uchisigai pottery such as mounted pottery with lids and footed cups with triangle delicate lines could be accompanied around late 4th century. Then, if the same patters of pottery in Gaya was confirmed, this links Gaya and Japan in the context of period index. 4th century Gaya sites were Hapcheon, Haman and Gimhae, and then 9 samples of mounted pottery with lids and footed cups with triangle delicate lines were found from 5sites around here. The pottery from 21st tomb of Hwajeong (Gimhae) had been identified as the most similar one with early Sueki of Uchisigai. Apart from that, the origin of the cups, small lips pottery, cylinder shape pottery can be defined from this site. From this result, it is definite that the early Sueki of Japan had been originated from the pottery of Geumgwan Gaya. It is highly possible that Yamado political regime of Japan might have political relation with Geumgwan Gaya and then the potters were distributed to Japan then. The white jade found from 13th Daeseongdong site is the dignity emblem of Japanese political power of 4th century and so small amounts were found from there. Nearly same objects were found from Sinyama tomb of Nara Japan, and this proves political links between Gaya and Japan. This white jade artefacts represent ceremony and unrealistic arms but it could be also army alliance between those two nations. Yamado regime of Japan had been focused its agricultural production development alongside with iron secure and this is because the regime needed to restrain the power from the local heads. In case of Geumgwan Gaya, they desperately wanted to have requisite arms and weapons as of the war with Silla. The military alliance between Japan and Gaya finally evoked attack from the Great Gwangaeto of Goguryeo in A.D. 400. However the political relation between those two nations had subsequently dispatched Gaya potters to Japan and this initially developed Sueki in Japan.

      • KCI등재

        사회적 배제자들에게 쾌락재는 기부를 자극시키는가?

        오민정(Oh, Min Jung),박기경(Park , Kikyung),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배제 vs. 통제)조건에서 제품유형이 준거기준으로 제시되었을 때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수혜자의 표정(슬픔 vs. 기쁨)에 따라 기부자의 기부설득에 미치는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였다. 즉 기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쾌락적 제품을 구매한 기부자들의 부의도가 높았으며, 수혜자의 슬픈 표정이 기부자들의 동정심을 자극하여 기부행동을 높여주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회적 배제상황에서의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없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제품유형을 준거기준으로 제시하여 선택맥락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에서 제품유형은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혜자의 표정 역시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조절상황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제품이 실용적인지 쾌락적인지, 또한 수혜자의 표정이 슬픈 표정인지 기쁜 표정인지에 따라 기부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이 동시에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특히 사회적 배제 집단에게서 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배제집단의 기부자들이 실용적 제품을 준거기준으로 제시받았을 때는 수혜자가 웃는 표정을 보일 때 기부의도가 높아진 반면, 쾌락적 제품을 먼저 접한 기부자들의 경우는 슬픈 표정의 수혜자에게 높은 기부의도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duct type on the donation intention when the product type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social exclusion(exclusion vs control) and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donor`s donation persuasion according to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sadness vs happ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donors who purchased hedonic products had a high degree of donation intention, and the sad facial expression of the recipient stimulated the sympathy of the donors and increased donation.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the effect of product type and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on social exclusion.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effect of selective context by presenting product type as reference. But, in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the product type did not affect the donation intention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did not affect as a moderating variable either. However,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situation more deeply, we examined the effect of 3-way interaction to test whether the product is utilitarian or hedonic and whether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is sad or happy. As a result, interestingly, the product type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influenced donation intention at the same time, especially in the social exclusion group. In particular, donors of the social exclusion group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miling face when the utilitarian product, but in the case of donors who have first experienced hedonic products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ad expression.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배제 vs. 통제)조건에서 제품유형이 준거기준으로 제시되었을 때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수혜자의 표정(슬픔 vs. 기쁨)에 따라 기부자의 기부설득에 미치는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였다. 즉 기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쾌락적 제품을 구매한 기부자들의 부의도가 높았으며, 수혜자의 슬픈 표정이 기부자들의 동정심을 자극하여 기부행동을 높여주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사회적 배제상황에서의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없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제품유형을 준거기준으로 제시하여 선택맥락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 조건에서 제품유형은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수혜자의 표정 역시 조절변수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조절상황을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 제품이 실용적인지 쾌락적인지, 또한 수혜자의 표정이 슬픈 표정인지 기쁜 표정인지에 따라 기부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제품유형과 수혜자의 표정이 동시에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특히 사회적 배제 집단에게서 그 차이가 뚜렷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배제집단의 기부자들이 실용적 제품을 준거기준으로 제시받았을 때는 수혜자가 웃는 표정을 보일 때 기부의도가 높아진 반면, 쾌락적 제품을 먼저 접한 기부자들의 경우는 슬픈 표정의 수혜자에게 높은 기부의도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duct type on the donation intention when the product type is presented on the basis of social exclusion(exclusion vs control) and to examine the attitude toward donor`s donation persuasion according to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sadness vs happ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donors who purchased hedonic products had a high degree of donation intention, and the sad facial expression of the recipient stimulated the sympathy of the donors and increased donation.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the effect of product type and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on social exclusion.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effect of selective context by presenting product type as reference. But, in the social exclusion condition, the product type did not affect the donation intention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did not affect as a moderating variable either. However,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situation more deeply, we examined the effect of 3-way interaction to test whether the product is utilitarian or hedonic and whether the recipient`s facial expression is sad or happy. As a result, interestingly, the product type and the recipient`s expression influenced donation intention at the same time, especially in the social exclusion group. In particular, donors of the social exclusion group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miling face when the utilitarian product, but in the case of donors who have first experienced hedonic products a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recipient shows a sad expression.

      • KCI등재

        WTO보조금협정 상 시장비교기준(market benchmark)법리의 내용 및 한계

        유광혁(YOO Kwang Hyuk) 대한국제법학회 2013 國際法學會論叢 Vol.58 No.2

        지난 1995년 이래 지배적 통상레짐으로 자리매김한 WTO체제는 제반 협정들이 안고 있는 입법적 한계에 기인하여 Post-WTO체제로의 이행이라는 변혁의 기로에 직면해 있다. 특히 WTO보조금협정은, 반덤핑조사와 함께 무역구제조치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상계관세조사의 법적 기초를 제공하는데 보조금의 구성요소인 경제적 혜택의 평가 문제와 관련하여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부재라는 내재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WTO보조금협정은 국내기업이 당해 정부로부터 재정적 기여를 제공받아 경제적 혜택을 향유하였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 관련시장을 검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며 소위 시장비교기준 법리를 상정하고 있다. 동 법리의 내용에 따르면 상계관세 조사당국은 당해 사안과 가장 밀접한 관련시장을 먼저 획정하고 그 안에서 적절한 시장기준을 구하여 이와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경제적 혜택을 평가해야만 한다. 문제는 관련시장이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획정하는지에 관하여 WTO보조금협정이 자세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관련시장 획정기준의 부재는 시장비교기준 법리의 실효적 적용을 저해함으로써 동 협정의 형해화를 초래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항소기구 보고서가 회람된 Canada-Renewable Energy/Feed-In Tariff 사건에서 관련시장 문제가 주요 쟁점사항으로 검토되었다. 그러나 동사건에서의 관련시장 논의는 주로 관련시장의 개념 정립에 국한되고 있다. WTO보조금협정상 구체적 규정이 부재한 현 시점에서 관련시장의 획정기준을 수립하는 문제는 매우 난해한 것이 사실이다. 판단컨대 일차적으로 미국 경쟁법, 즉 독점금지법상 관련시장 획정법리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독과점사업자의 경쟁제한적 행위를 규율하기 위해 제정된 독점금지법은 경쟁제한성 판단을 위해 관련시장의 획정을 요구한다. 따라서 독점규제법상 관련시장 획정법리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WTO보조금협정 맥락에서도 준용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독점금지법과 통상법은 기본적으로 규율대상 및 목적이 상이한 법 분야에 해당하는 만큼 관련시장의 획정문제도 독자적 기준에 따라 검토될 필요가 있다. 관련시장이 적절한 시장기준을 채택하기 위한 외연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관련시장은 가급적 구체적이고 좁게 획정될 필요가 있다. 즉 문제가 된 정부조치를 다각도에서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당해 조치의 본질적 속성을 반영하는 관련시장을 찾아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모든 정부조치는 그 내용에 관계없이 조치시행주체 측면, 조치 측면 그리고 수혜자 측면에서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에 대한 고려사항으로는, 먼저 조치시행주체 측면의 경우 재정적 기여를 제공한 정부 내지 정부기관의 법적 성격 및 조치시행의도를, 조치 측면의 경우 수혜대상, 수혜기준, 수혜절차, 수혜내용 그리고 수혜조건을, 그리고 수혜자 측면의 경우 수혜기업의 규모 및 조직과 수혜의도를 들 수 있다. 관련시장은 사안별로 상기 고려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획정가능하다. Recently, the Appellate Body issued the final report on subsidy dispute concerning renewable energy between EU/Japan and Canada. The ruling of Appellate Body is posing fundamental question on the key subsidy jurisprudence of WTO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SCM”), which is market benchmark jurisprudence. Basically, the Investigation Authority should consider the real market situation in order to assess the amount of benefit enjoyed the recipient company. No doubt, such real market should be relevant market to the concerned governmental action, in other words, from the bilateral perspective, transaction between the company and government. Market benchmark jurisprudence is based on two key considerations: (ⅰ) the relevant market only can provide an appropriate basis for benefit assessment, (ⅱ) thus, the relevant market should be defined at all costs. However, texts of the SCM Agreement do not provide any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relevant market. These legislative flaws amplify fundamental doubt on primary subsidy jurisprudence, that is, market benchmark jurisprudence, which is attributed to conceptual ambiguousness and vagueness of relevant market. Facing negligence of elabor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relevant market so far, whether academically or practically, theoretical but highly pragmatic approach to define such concept can be suggested and it will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Definition process should be conducted base on phase-in analyzation by factors which requires to first consider three major factors of government, governmental measure and the recipient company, and next more detailed sub-factors to each factor. The overall examination on all these factors enables relevant market with sufficiently narrow outer limit to be defined.

      • KCI등재

        기부자의 정치성향이 수혜자 인식가능성 효과에 미치는 영향

        장윤정,석관호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2

        기부효과에 대한 선행문헌은 기부캠페인 효과가 기부수혜자를 인식가능한 한 명의 수혜자(single identifiable victim) 로 제시하는지 혹은 다수의 인식불가능한 수혜자(multiple unidentified victims)로 제시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수혜자 인식가능성 효과에 있어서 기부자의 정치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두실증연구는 기부자의 정치성향이 보수적일수록 다수의 인식불가능한 수혜자보다는 인식가능한 한 명의 수혜자를 제시하는 기부캠페인에, 기부자의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인식가능한 한 명의 수혜자보다 다수의 수혜자를 제시하는 기부캠페인에 기부의도가 더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은 수혜자 인식가능성 효과에 있어서의 정치성향의 조절효과는 지각된 수혜자 명확성에 의해 매개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무비율분석을 통한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수혜업체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권웅 ( Woong Kwo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6 No.2

        이 연구는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수혜업체의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재무비율분석의 계량적 검증을 통해 융자수혜업체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파악하고, 설문을 병행하여 융자사업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기금 융자지원을 받은 체육용구생산업체 16개 업체와 체육시설업체 18개 업체, 총 34개 업체의 재무제표를 확보하여 재무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재무제표를 확보한 34개업체를 대상으로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사업의 인식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에 참여한 총 21개융자수혜업체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방법은 최종분석 대상인 총 21개 융자수혜업체의 융자 전·후 5년 기간 동안의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분석하여 융자수혜업체의 경영성과(수익성, 성장성, 활동성, 안정성)를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수혜업체는 기금 융자를 통해 경영성과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성장성 분석에서 매출액증가율은 융자이후 2년간 지속적인 상승이 나타났다. 수익성 분석에서는 매출액순이익률은 융자수혜 1년 이후부터 꾸준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활동성 분석에서는 총자산회전율과 자기자본회전율이 기금 융자수혜 전보다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융자수혜업체가 융자지원을 통해 경영성과가 나타나게 되면, 융자사업에 대한 만족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는 수혜기관인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융자수혜업체들의 자원배분효과를 명확히 해주는 대안이 되며, 경영성과 평가의 피드백과정의 향상 및 이해에 대한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financial statu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financing; conduct a survey; examine overall awareness of the financing business through quantitative verification of the financial ratio analysis and use of financial statements of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funding by KSPO. To observe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funding by KSPO, companies producing instruments for physical training and companies involved in athletic facilities were selected as the collection group. From 1991, when the financing business was initially established, to 2005, 349 companies excluding those dually selected out of 417 compan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s a result of making a contact with all subjects, 97 companies excluding the ones that were non-cooperative, shut down and altered were selected as the final subjects for the analysis. Of the 97 companies benefiting from funding by KSPO, through internal cooperation and officially announced data provid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balance sheets and income statements of 34 companies were acquired and thus the financial ratio analysis was performed. In addition, for 97 companies with the financial statements in possession, a survey was carried out to measure cognition and satisfaction on the financing business of funding by KSPO. The responses from 60 companies excluding those non-responsive and insincere were used in the analysis. Lastly, a total of 21 companies, with the financial statements in possession, having provided identical responses on the survey were calculat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to secur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As for the method of investigation, the balance sheets and the income statements, the items for the financial statements of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funding by KSPO, were used for analyzing the tendency, starting from a year prior to the stage of making benefits from financing up to three years after the stage of making benefits from financing on the basis of that year the companies had benefited from financing. Then through the financial ratio, the business performance(profitability, growth, activity and stability) of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financing was sei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ducted.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funding by KSPO indicated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funding. In particular, as for the growth analysis, the rate of increase in sales indicated a consistent increase for 2 years after the funding. In the profitability analysis, the ratio of the net profit to the net sales indicated a consistent increase one year after the funding. In the activity analysis, the sales to total assets ration and the turnover of net worth increased in general compared to the time prior to the funding. In addition, as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funding by KSPO showed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e satisfaction on the financing business increased. Such increase becomes an alternative which definitizes effects of resource allocation for the companies benefiting from the funding, signifying implications on enhancement and understanding of feedback courses of management and evaluation.

      • KCI등재

        사회적 지지의 수혜 및 제공이 죄책감에 미치는 영향

        우지민,이유나,김수민,전학영,음정호,송해리,김기호,이장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guilt in an online community. A total of 75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ypes of social support groups: one where they would both provide and receive social support, one where they would simply receive social support, and one which was a control group. A guilt scale was completed to measure explicit guilt, and an IAT was completed to measure implicit guilt. After the participants in all groups had described their guilt experience in an online forum, the subjects received social support interventions in response to their stated and tested conditions, and then completed the guilt scale and the IAT again.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providing and receiving social suppor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explicit guilt than the participants in the receiving social suppor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ose in the receiving social support group reported lower guilt than those in the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for the IAT. These results showed that providing and receiving social support did not change the automatic association between oneself and guilt, but it could provide a new basis for reappraisal and possible assessment that the level of guil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was inappropriate.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사회적 지지가 죄책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총 75명의 참가자를 모집한 후 세 조건(사회적 지지 수혜 및 제공 집단, 사회적 지지 수혜 집단, 비-사회적 지지 집단)에 25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외현적 죄책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 상태 죄책감 척도를 실시하고 암묵적 죄책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 죄책감-IAT를 시행하였다. 모든 집단은 자신이 죄책감을 경험한 사건에 대한 글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하였고, 각자 할당된 조건에 해당하는 처치를 받았다. 사회적 지지 수혜 및 제공 집단은 타인의 글에 지지적인 댓글을 달고, 자신의 글에 달린 지지적인 댓글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지지 수혜 집단은 타인의 글에 중립적인 댓글을 달고 자신의 글에서 지지적인 댓글을 확인하였고, 비-사회적 지지 집단은 중립 댓글을 달고 자신의 글에서 중립 댓글을 확인한 후, 사후 상태 죄책감 척도와 죄책감-IAT를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 수혜 및 제공 집단과 사회적 지지 수혜 집단은 비-사회적 지지 집단에 비해 외현적 죄책감 수준이 낮았다. 외현적 죄책감에서 사회적 지지 수혜 및 제공 집단과 사회적 지지 수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암묵적 죄책감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지지의 수혜와 수혜 및 제공이 자신과 죄책감 사이에 암묵적으로 가지고 있는 관련성을 변화시키지 않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높은 죄책감을 부적절하다고 의식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