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의 무단통치와 경학원

        정일균 ( Ii Guun Jeong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6

        이 논문은 일제 무단통치기의 경학원(經學院)의 제도적 연원, 그 제도적 구성과 주요사업, 경학원의 기능적 성격을 중심으로 그 주요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경학원은 애초 “經學을 講究□ 며 風敎德化□ 裨補□을 目的”으로 하는 ’교화기관’ 을 표방하며 출범함으로써 조선총독부가 초기 식민체제를 구성하는 양대 통치기구, 즉 ‘형정(刑政)’과 ‘교화(敎化)’의 지배틀을 완비하는 데 있어 후자의 측면을 대표하였다. 이로써 조선총독부는 경학원을 통하여 ‘군사지배’로서의 무단통치의 본질에 대한 호도, 대한국(對韓國) 식민지 교육방침의 관철, ‘식민주의적 담론’의 생산 및 유포를 통한 식민 헤게모니의 창출, 식민초기 지방에 대한 통제력 및 치안의 확보 등에 실로 다대한 도움을 받았다. 이처럼 경학원은 일제의 대표적인’이데올로기적 통치기구’로기 초기 식민지배체제의 구축에 있어 일개 교화기관의 범위를 벗어나는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점은 경학원이 결코 종래의 성균관을 단순히 관습적으로 계승한 소치가 아니라, 처음부터 조선총독부의 식민통치적 구상과의 긴밀한 관련성 하에서 완전히 새롭고도 치밀하개 구성된‘발명품’임을 의미하는바, 이는 또한 경학원이 총독의 특별‘직속기구’로서 출발했던 사실을 통해서도 잘 간취할 수 있겠다. 결국 이러한 사실은 일제의 경학원을 단순히 성균관을 계승한 기구로 인식하는 피상적 견해나, 일제의 무단통치를 단지‘억압적 통치기구’에만 의존한 폭력적 지배체제로 설명하는 일면적 입장에 대한 근본적 재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institutional origin, the organizations, the main activities a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hakwon(經學院, The Academy of Confucian Classics Studies) in Korea during the military colonial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Especially, Gyeonghakwon which at the outset was established as an ‘enlightenment apparatus’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朝鮮總督府) had taken important roles in putting a varnish on the military colonial rule, achieving colonial educational policy that aimed at obscuring Korean people, creating colonial hegemony through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colonial discourses’ and securing a bridgehead for public security and control over districts in Korea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s mentioned above, Gyeonghakwon that was a representative ‘ideological domination apparatu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had carried out multiple functions which exceeded those of a simple enlightenment organ in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means that Gyeonghakwon was a brand-new, finely worked-out ‘contrivance’ in relevance to the early colonial domination plan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rather than a result of inheriting Seonggyungwan(成均館, The National Confucian College of Joseon Dynasty) mechanically. And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fact that from the first Gyeonghakwon started as ‘a special organ’ belonging directly to the Joseon governor-general as well. In conclusion, all these fac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fundamentally a superficial view which recognizes Gyeonghakwon as an organ inheriting Seonggyungwan mechanically, or a one-sided view which perceives the military colonial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s a pure violent domination system only depending upon the ‘repressive domination apparatuses’ of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 KCI등재

        『심경부주』에 드러나는 경의 개념,작용,효과 그리고 그 너머의 교육적 메시지

        서명석 ( Myoung Seok Se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4

        성학에서 경(敬)이 차지하는 위치는 무엇인가. 이것을 해명하는 작업 앞에 이 글이 놓여 있다. 경은 성인됨의-배움[聖學]으로 가는 유일무이한 통로다. 그러므로 누구나 성인-역에 도착하려면 경-열차를 반드시 탑승해야 한다. 왜 그러한지 이 안에다 상세하게 밝혀 두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경의 의미는 무엇이고, 성리학의 담론구조 속에서 경이 어떤 위치에 있으며, 경이 심학과 만나면서 어떤 효력을 발휘하는지 말이다. 그 결과 경은 심학을 구성하는 핵심적 요소였으며, 이 경으로 말미암아 『심경부주』의 심학담론이 21세기 동양의 전통담론으로 여전히 견고한 성채를 확보하고 있었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 교육이 현재 이와 같은 심학적 장치가 완전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현행 담론에서 참담한 교육적 파열음이 더욱 크게 나오는 것이다. 경을 한마디로 응축해서 말하면 인간이 성인됨으로 나아가는데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존재의 두뇌처다. 이런 경으로 말미암아 존재는 더욱 격조가 높아질 수 있다. 그래서 인간다움의 한없는 추락을 부채질하는 현 세태에 경이 한줄기 존재론적 구원의 빛을 발출한다. 따라서 심학의 교학장치가 없는 오늘날 우리 교육은 매우 위태로워 보인다. 이런 관점에서 경학(敬學)은 우리들에게 현행 교육담론에 대한 깊은 반성과 함께 그것의 새로운 해체적 재구성을 교육적으로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무엇이리라. This paper highlights the active role played by mindfulness[敬] in the diagram of the study of the mind. Drawing on contents from Sim-Gyung-Bu-Ju[心經附註] text, the paper explore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indfulness that has led to self-cultivation theory in Neo-Confucianism. The major conclusions are centered on putting complex meaning in charge of mindfulness. This involves making sage learning[聖學], that is learning to be a sage[心學], on key function during its design and its management. It attempts to reveal the point of a powerful weakness in contemporary education. This work requires a re-conceptualization of modern education to capitalize on mindfulness`s pedagogical potentials. Therefore, discourse of mindfulness is a full and systematic tradition of both philosophical framework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to self-cultivation in East Asia. This has significant messages for 21st century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후보

        조선 왕들의 경서류 언해에 대한 인식과 활용

        이기대(Lee, Gi-Dae)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4

        경서류 언해는 국가적 간행물이었던 만큼, 언해의 과정에는 조선의 왕들이 중심에 위치해 있었다. 따라서 왕들의 언해에 대한 인식을 중시하면서 경서류 언해를 살펴보면, 경서류 언해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접근이 용이해 진다고 할 수 있다. 경서류 언해는 기본적으로 경서의 교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해 간행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한자음을 단일화하고 해석과 현토에서의 사투리를 교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서류 언해가 교정되는 과정을 통해, 조선의 왕들은 조선시대 유학이 주자학으로 고착화되어 가는 과정을 인식하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아울러 조선 후기에 들어 경서류 언해가 발췌되는데, 이 과정에서 조선 왕들은 왕실 인물들의 교육에 발췌된 경서류 언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조선 왕들의 인식을 토대로 경서류 언해에 대한 시각을 다변화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후 경서류 언해에 대한 연구에서도 다양한 접근의 가능성을 용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s much as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Korean annotation) had been the national publication, the Joseon kings had been placed in the center of the process of Eonhae. Accordingly, examining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according to kings’ sight, it can be said to come to be easy for the social and cultural approach to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which had been apt to be lost before.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is what was published basically in order to increase educational performance in Gyeongseo(經書). It can be said to have been effective for allowing language in the center and region to be consistent in this process. That is because of having unified Chinese characters and having changed a dialect, which was reflected in analysis and Hyeonto(懸吐) in the process of Eonhae(諺解). Even the Joseon kings emphasized this point. Also, through the process of being corrected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the Joseon kings is revealed to have been recognizing the process that the Confucianism in Joseon period was fixed into Neo-confucianism. In additi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is extracted with ente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this process, the Joseon kings aimed to apply the extracted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to education for loyal-family figures. In this way, a sight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could be diversified on the basis of the Joseon kings’ recognition. In this sense, even a research on Gyeongseoryu(經書類) Eonhae(諺解) hereafter can be said to necessarily admit possibility of diverse approaches.

      • KCI등재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 : 정완영론 A View on Jeong Wan-yeong

        이정환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정완영의 시조문학을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로 보고 그것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구현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의 시조는 景 속에 情을, 情 속에 景을 담고 있어서 실제적으로 景과 情의 엄밀한 경계를 긋기는 어렵다. 景情의 묘한 교직을 통해서 새로운 이미지 즉 境에 가 닿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는 시조이론서『시조창작법』에서 3장 6구 12음보라는 정형의 틀을 가진 시조에서도 그 핵심이 되는 종장에 그 境이 있다고 보았지만 다른 장에서도 그러한 예는 찾아 볼 수 있었다. 그가 끊임없이 추구한 세계는 경중정의 지향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 창출이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인의 정서에 깊이 뿌리내린 것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에서는 자연과 교감하는 정서의 깊은 호흡을 감지할 수 있고, 근원적인 향수와 생명의 久遠性을 읽을 수 있다. 즉 생명에 대한 경이가 절묘한 비유와 가락에 실려 높은 문학성을 획득한 세계를 구축해 온 것이다. 이것은 자연과 사물에 대해 새로 보고 느끼기와 그 형상화 작업에 부단한 천착을 해왔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The sijo world of Jeong Wan-yeong is concerned with the world of Kyeong(景) highlighted by Mind in Landscape.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look at how this comes to be materialized. It is hard to draw a line between Kyeong(landscape) and Jeong(mind) for his poems have landscape in the mind and have the mind reflected in nature. New images, or Kyeong(境) can be said to be created with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landscape (景) and mind(情). According to his theory on sijo, "How to Create Sijo", the regular forms of the Korean poem, sijo had Kyeong(境) at the end of the last chapter, which could be seen in other chapters. He constantly looked for the creation of new images through pursuing Mind in Landscape(景中情), which takes a deep root in the spirit of the Kioreans. His works enable us to perceive harmony and communion with nature, original nostalgia, and the permanence of life. His works were filled with the wonders of life with the help of delicate metaphor and rhythm. This seems to have been made possible because of a new and fresh look at nature and things along with the constant efforts of the poet.

      • KCI등재

        경무사·경부대신 임면과정과 활동(1894~1910)

        장경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2 서울학연구 Vol.- No.87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the appointment and dismissal process, as well as the list of, the head of the Gyeongmu Office(警務廳) established following the Gabo Reform(甲午改革), and to learn about the activities in the Seoul area.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a police officer’s position, the propensity and political position of those who have served as police officers, the evaluation of frequent person- nel changes, the understanding and control of the police organization, the political meaning of conflict and sacking, and involvement and appropriateness in work performance. The Police Department and a police officer were established after the Gao Reform, but it was repeatedly changed to several serious events threatening the king’s life, such as the upholding of Lee Jun-yong and the assassination of Empress Myeongseong, as well as the Chunsaengmun incident(春生門事件), until just before Agwan Pacheon(俄館播遷) was demolished. Jeong Dong-pa Lee Yun -yong served as a police officer for more than 100 days after the Chunsaengmun incident, and his service was considerably extended. For example, a police officer’s average ten- ure was less than 100 days at the time of the Gabo Reform. In July 1898, Ahn Gyeong-su, the first president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nd the Gyeongmu-sa, was implicated in a plot to depose King Gojong due to his political differences with the king, and he fled to Japan. And the imperial associa- tion, which included Jo Byeong-sik, staged an anonymous letter case and forcibly disbanded the Independence Association(獨立協會), resulting in yet another chaotic situation. In 1898, the police officer was changed 15 times due to numerous inci- dents, and the situation was eventually resolved in 1899. Shin Ta e -Hyu rejected Cho Byeong-advice sik’s to ignore the Independence Association’s petition and form his own security force. In 1900, Gyeongbu(警部) was established, and the Gyeongmu Office, which had been under the command of the inside, became independent, and the name was changed to Gyeongbu Minister.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the first Gyeongbu Minister was Cho Byeong-sik, the Gyeongmusa was changed to a means to strength- en the imperial power. At that time, when looking at the concurrent positions of the Minister of Police (Takjibu(度支部), Minister of the Army, etc.), his status seems to have been strengthened. However, in 1902, the police department was re-established, and Lee Yo n g -ik, the minister of Ta k j i , was appointed as a police officer, carrying out different security duties such as cracking down on economic crimes. Police officers were unable to take on any particular tasks after the Eulsa Tr e a t y (乙巳勒約), and police control was given to Japan without much opposition.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 이후 설치된 경무청의 책임자인 警務使와 경부 책임 자인 警部大臣의 임면과정과 명단을 정리하고, 그 활동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 표로 삼는다. 특히 경무사·경부대신 직책이 가진 의미, 이를 역임한 인물들의 성향과 정치적 입장, 잦은 인사 교체에 대한 평가, 경찰 조직에 대한 이해도와 장 악력, 갈등과 경질의 정치적 의미, 업무 수행에의 관여도와 적절성 등을 분석적 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경무사는 갑오개혁 이후 아관파천 직전까지 이준용옹립사건, 명성황후시해사 건 등 국왕의 신변을 위협하는 여러 중대한 사건들 등으로 반복적으로 바뀌었다. 춘생문사건 이후에는 이윤용이 경무사를 100일 이상 맡으며, 재임기간이 비교적 늘어났다. 예컨대, 갑오개혁 당시 재임기가 평균 100일 미만이었던 반면, 아관 파천 이후 1896년부터 1898년까지 김재풍은 7개월 가까이 경무사를 맡으며 경찰 치안업무 관련해서 여러 가지 업적을 냈다. 1898년 7월 경무사를 맡았던 독립협회 초대회장 안경수는 고종과 정치적 입장 이 달라 고종퇴위음모를 벌이다 발각되어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경무사에서 면 직되어 장기간 직임을 맡지 못한 김재풍도 이 운동에 가담하였다. 익명서사건을 일으켜 독립협회를 강제해산 시키는 등 혼란한 상황이 다시 발생하자 경무사는 1898년에만 무려 15번이나 바뀌게 되었고, 이는 1899년에서야 진정이 되었다. 신 태휴는 독립협회의 상소를 무시하라는 조병식의 말을 거부하고 나름의 치안정책 을 세웠다. 1900년에는 경부가 설치되었고, 종래 내부에서 지휘를 받던 경무청이 명칭 변 경 뿐만 아니라 독자적 관서로 거듭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경무사는 경부대신 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 당시 경부대신의 겸임한 직책(탁지부, 군부 대신 등)을 살펴보았을 때 그 위상이 강화되었다고 생각되나, 경부대신이 중요 직책과 겸임 하여 이 시기 활동은 특별한 것이 없었다. 다만, 1902년 경부가 다시 경무청으로 복설되고, 탁지부대신이었던 이용익이 경무사에 취임하면서 경제범죄를 단속하는 등 여러 치안활동을 벌였다. 을사늑 약 이후 경시총감들은 별다른 업무를 맡아 하지 못했다.

      • KCI등재

        퇴계 경(敬) 사상에 대한 칸트 선험윤리적 해석

        박종식 ( Park Jong-si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퇴계의 경(敬) 사상을 칸트의 선험윤리적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성학십도』의 경 사상을 『실천이성비판』의 도덕법칙과 비교하고자 한다. 퇴계의 리(理), 기(氣), 성(性), 정(情), 심(心) 등의 개념을 칸트의 자유, 선의지, 도덕법칙, 의무, 존경 개념과 연관해서 탐구할 것이다.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 개념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경은 유가의 수양론의 핵심에 해당되는데, 퇴계는 경을 학문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주장한다. 퇴계는 사물과 접촉할 때 생기는 인간의 욕망을 경 개념을 통해서 다스리고자 한다. 경은 인간의 욕망과 행위를 규제하는 개념이다. 외부의 욕망에 지배되지 않는 마음의 태도를 유지하려는 것이 경이다. 퇴계의 경 사상은 칸트의 도덕법칙과 선의지에 대한 존경 개념과 연결된다. 인간의 행위는 개인적 욕망에 근거한 준칙이 아니라, 보편적 도덕법칙을 따를 때 도덕적 행위가 된다. 선의지와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의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된다. 이 점에서 퇴계와 칸트는 인간의 욕망에 굴복하지 않고 도덕성을 회복할 수 있는 수양의 방법론으로서 경과 도덕법칙을 강조한다. 경향성과 애착으로부터 생기는 욕망을 억제하고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을 통해서 현상계를 넘어서는 것이 도덕적 행위이다. 도덕적 행위의 동기는 바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과 의무이다. 칸트는 인간은 현상 세계와 이념의 세계를 살아가는 이중성의 존재라고 한다. 욕망능력이 선의지와 도덕법칙을 향할 때 도덕적 존재가 되고, 욕망능력이 욕망 대상을 향할 때 현상적 존재가 된다. 퇴계는 이러한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마음을 하나에 집중하는 경의 활동이 필요하다고 한다. 칸트에게는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은 현실의 욕망대상이 아니라, 예지계의 도덕성을 향하게 하는 동기가 된다. 욕망과 도덕의 갈등을 주체의 자유로운 결단을 통해서 극복하는 것이 경의 활동이며,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이다. 이런 측면에서 퇴계와 칸트의 문제의식과 갈등의 해결방식은 유사하다. 시대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 본성에 근거한 보편적 도덕성은 유사한 형식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oegye's moral theory and Kant's moral theory. In particular, I examine Gyeong i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and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refore, I explore the similarities by comparing the concepts in Toegye's thought with the concepts moral law, duty, respect for moral law in Kant's moral theory. The concept Gyeong is the main concept to understand cultivation theory of Confucianism. The concept Gyeong claims to b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Sage Learning(聖學). The concept of Gyeong is to reflect on human desires and delicate movements in mind when coming into contact with objects. The concept of Gyeong is a concept that defines human moral behavior. The role of Gyeong is to remove human desires that occur at every moment. Kant also rejects sensory desire and tries to act in accordance with innate moral laws. Toegye's concept Gyeong is connected with Kant's concept respect for moral law.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s is the motive for moral behavior. Toegye and Kant emphasize concept Gyeong, moral laws as a methodology of cultivation that control one's desire and mind. Moral behavior is to suppress desires and emotions arising from tendency, and it is to lead to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Physical human beings have the duality living in the real world and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at the same time. Physical human beings constantly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reality and ideal. It is a human being who is of duality that has the ability to transcend human limits. It i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at he can transcend his own limits. In this way, Toegye's concept Gyeong and Kant's moral theory presuppose the good nature of human beings. The realization of nature in specific situations is explained by the revelation of innate nature(性) and emotions(情). Toegye tries to overcome this moral conflict through the activity of Gyeong, which focuses his mind on one. The feeling of respect for the moral laws is the driving force that directs the morality, not the desire of reality. Human beings have the dualtiy that live in the phenomenal and intelligible world. In this respect, the structure of moral theory between Toegye and Kant is similar, an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is similar. Morality appears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imes and cultures, but morality based on human universality is essentially similar. Toegye and Kant argue that the pursuit of happiness based on human desires is contrary to universal morality.

      • KCI등재

        성리학의 경(敬)공부가 갖는 특수성에 관하여

        김기현(Kim Kee 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경(敬)은 공자 이래 유교의 윤리사상에서 어느 시대에나 중요시되어 왔다. 특히 송대(宋代) 에 성리학이 출현한 이후로는 필수적인 공부가 되었는데, 조선조의 윤리사상에서는 퇴계 이 황을 위시하여 남명 조식 및 율곡 이이에 이르기까지 주요 윤리사상가들 중에 경을 중요시하 지 않은 이가 거의 없다. 이 글에서는 유교 윤리사상의 경을 덕목으로서의 경과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으로 구분하고 서 중국과 한국의 윤리사상 역사에서 하나의 전통이 되어 있는 덕목으로서의 경과 북송(北 宋)시대 정(程)씨 형제에게서 시작된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을 종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은 성리학 이전에는 없었고, 성리학 이후에도 사실상 오직 성리학에서 만 필수적인 공부방법이 되었을 뿐 다른 체계에서는 공부방법이 되지 않았다. 또한 이것을 처음 제시한 정이(程頤)의 경공부론도 그 문하에서는 뚜렷하게 전승되지는 못하다가 남송의 주희(朱熹)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확실하게 성리학의 공부방법으로 확정된다. 향후의 도덕윤리 교육에서는 이 두 가지 경에 대하여 어느 것을 어떻게 연구하고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 것인 지를 다 함께 논구해야 하겠다. Jing has been a noteworthy concept in Confucian ethics ever since Confucius‘ age. Especially in Neo-Confucianism of the Sung Dynasty, it became essential in Neo-Confucian moral self-cultivation. And it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by all the major Neo-Confucians of the Chosun Dynasty, such as Lee-T’oegye, Cho-Nammyeong, and Lee-Yulgok. Dividing Jing into the categories of virtue and a method of self-cultivation,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Jing, which is an important virtue in the tradition of Chinese and Korean ethics and also has been a method of self-cultivation, which the Cheng brothers developed during the North-Sung Dynasty. There was no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before Neo-Confucianism arose. Even after the emergence of Neo-Confucianism,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did not belong to any Confucian thoughts, but was established as an indispensable part only present in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Jing proposed by the Cheng brothers scarcely passed from the masters to their disciples: it was determined by Chu Hsi of the South-Sung Dynasty. The author thinks that co-operation for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to the study and use of these two kinds of Jing.

      • KCI등재

        주자 경공부가 갖는 교육 실천의 의미 -『자암일록』을 중심으로

        김영희 한국교육사상학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4

        Zhu-Hsi’s reverential carefulness (敬) begins with Gungri (窮理), but practice takes preced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practice. However, although Geogyeong (居敬) and Gungri (窮理) are conceptually different, they are interdependent and influence each other. This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education, where teaching and learning are separated from learning and practice. Reverential carefulness (敬) is not only a study method, but also a learning condition leading to true knowledge and virtue, and can be an end in itself. It was practiced and applied in daily life at Seodang in JaamIlrok. At Jaam Seodang, a boarding school where students lived together, their everyday lives were dominated by reverential carefulness (敬). There, reverential carefulness (敬) was both a condition for learning and a subject of study,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our education today. They cultivated the virtue of restoring good nature through reverential carefulness (敬), applying it in language and behavior a as meaningful, educational practice. 주자의 공부는 궁리에서 시작하지만, 경중으로 논하면 실천을 우위에 둔다. 거경과 궁리는 개념적으로는 둘로 나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를 촉발시키는 상호 의존적 관계에 있다. 이는 교수와 학습, 배움과 실천이 이원적으로 분리된 현대 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에 유의미한 교육적 실천을 제공한다. 경은 공부의 방법일 뿐만 아니라, 진지와 덕행을 가능하게 하는 배움의 조건이며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있다. 경공부의 정신은 조선말 서당의 학생들의 삶 속에서도 구현되고 있는데, 이는 『자암일록』을 통해서 확인되는 바이다. 자암서당은 기숙서당으로서 일상을 함께 하는 학생들로 구성되어 그들의 배움 영역은 지식 차원을 넘어 일상적 삶을 통한 공부로 점철되었다. 자암서당에서의 경공부는 배움을 위한 조건이자 하나의 공부 대상이라는 의미에서, 오늘날 우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자암서당에서는 경공부로 선한 본성을 회복하기 위한 덕의 함양이 ‘일상 자체’에서 전개되고 있었고, 언어와 행위에서 적용되는 경공부는 배움을 위한 실천적 조건이자 그 자체로 하나의 공부 목표라는 의미에서 유의미한 교육 실천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經學院 講士의 위상과 활동

        정욱재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6 No.-

        This study gave an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ion and activity of the instructors (Gangas) of Kyunghagw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period.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was an honorary post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official office organization of Kyunghagwon. And ye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the instructors, attaching importance to those of Kyunghagwon. In the 1910s-1920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selected unilaterall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ose selected were figures with high reputation and study, who got strong persuasion and concili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ome strongly resisted while others finally yielded and participated, some of whom were disciples of famous schools through the theory of Wijungchugsa (Defending Orthodoxy and Heterodoxy), and there were even figures who had done the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 1930s, even the figures who could not be considered Confucian scholars were selected a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nd this flow was further strengthened in the 1940s, which was a state of war.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was an honorary position, who did not receive monthly pay except for annual allowance and travel expenses. In addition, until the 1930s, as the term in office was not prescribed for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it was a tenured post unless the instructor resigned. Sinc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avorably treated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those whose ability was recognized could become Kyunghagwon Boojehak and Daejehak, which belonged to its official office organization. Som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appointed as Jungchuwon officials, or Jungchuwon officials were appointed a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ccordingly,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had a status that could not be regarded as a simple honorary position. The main missions of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holding Seokjeonje, having a lecturing tour, and contributing poetry and prose, which continu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Especially, the lecturing tour of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as mostly concerned with the contents to justify and praise Japanese colonial rule, using the doctrine of Confucianism, which sometimes were published in Kyunghagwon Magazine. In addition,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cted as a mere tool of Japanese colonial rule, e.g. composing Sino-Korean poetry praising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Japanese imperialist war of aggression. Especially, entering the 1940s, they coerced colonial Korean people into a voluntary human and material sacrifice for the Japanese invasion war, advocating the so-called ‘Whangdo Confucianism.’ Following ‘Whangdo Confucianism,’ they broke off from the high-level Confucian ideas achieved in the previous age while contributing to leaving the evil of cutting off from the developmental flow of Korean Confucian ideas. 이 글은 일제강점기 경학원 강사(講士)의 선정과 시기별 활동의 특징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경학원 강사는 경학원의 공식적인 직제에 포함되지 않은 명예직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경학원 강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강사의 선정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다. 1910년대~1920년대 경학원 강사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선정되었고, 선정된 사람들은 명망과 학문이 높은 인물들로 조선총독부의 강력한 설득과 회유를 받았다. 이를 강하게 저항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결국 굴복하여 참여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들 중에는 위정척사론으로 유명한 학파의 제자와 독립운동을 하던 인물도 있었다. 1930년대부터는 유림이라 볼 수 없는 인물들도 경학원 강사로 선정되었고, 이 흐름은 전세체제기인 1940년대에 더욱 강화되었다. 경학원 강사는 명예직으로 월급은 없고 연수당과 여비만 지원받았다. 또한 1930년대까지 경학원 강사의 임기는 규정되지 않아 본인이 스스로 사임하지 않은 이상 사실상 종신직이었다. 조선총독부는 경학원 강사를 우대하여 능력을 인정받은 경학원 강사는 공식 직제인 경학원 부제학•대제학이 될 수 있었다. 일부 경학원 강사는 중추원 참의로 임명되거나 중추원 참의가 경학원 강사로 임명되는 등 경학원 강사는 단순 명예직으로 치부할 수 없는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경학원 강사의 주 임무는 석전제 거행•순회강연•시문 기고로 일제강점기 내내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특히 경학원 강사의 순회강연은 유교의 교리를 이용하여 일제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찬양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며, 그 내용이 경학원잡지 등에 실리기도 하였다. 또한 경학원 강사는 일본 천황과 일제의 침략전쟁 등을 찬양하는 한시를 짓는 등 일제의 주구로 활동하였다. 특히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이른바 ‘황도유학’을 주창하여 식민지 조선인에게 일제의 침략전쟁을 위해 자발적으로 인적•물적 희생을 하라고 강요하였다. 그들은 ‘황도유학’을 추종하여 전시대에 이룩한 높은 수준의 유학사상을 단절시키는 한편, 한국 유학사상의 발전적 흐름을 끊는 폐해를 남기는 데 일조하였다.

      • KCI등재

        朱子 敬說의 體系的 理解

        尹用男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5

        敬은 선진시대부터 중시돼 왔지만 孔孟 이후 천여 년 동안 제대로 계승되지 못하다가, 宋代에 이르 러 程子가 敬을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朱子 등이 계승하면서부터 크게 중시되었다. 心은 精ㆍ神ㆍ魂ㆍ魄의 결합으로 구성되는데, 敬은 그 가운데 神, 즉 정신이 똑바로 서고 집중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정신차려, 정신집중이다. 이렇게 敬, 즉 정신차려 정신집중의 상태에 있을 때, 心 은 主一無適하고, 常惺惺하고, 其心收斂不容一物하고, 태도는 整齊嚴肅하다. 주일무적은 心이 한결 같음, 즉 정성을 주로 하고 있는 것이고, 상성성은 心이 항상 깨어 있는 것이고, 기심수렴불용일물 은 그 心을 수렴하여 다른 것을 하나도 용납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정신의 상태가 敬일 때, 心의 상태이다. 또 정신이 차려하고 心이 主一한 상태일 때, 그 외모는 整齊嚴肅하다. 이런 자연적인 경 은 仁愛에서 시작한다. 상대를 잘 사랑하기 위해서 정신차려ㆍ정신집중하여 대한다. 이때 외모는 공손하고 마음은 존경한다. 이를 합한 것이 恭敬이다. 상대를 어렵게 생각하며 잘 대하려는 것은 畏 敬이고, 조심하며 잘 대하려는 것은 敬愼이다. 自然敬이 되지 않을 때 노력하는 공부가 自家操存法이다. 이는 주일무적, 상성성법, 기심수렴불용 일물로 心의 현재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心을 조절하여 정신이 敬하도록 하는 공부 방법으 로 사용하는 것이다. 心은 최고 명령자라서 누구도 心에게 명령할 수 없으므로 몸가짐을 통해 간접 적으로 心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정신을 안정시키려는 것이 정제엄숙이다. 또 아무 할 일이 없을 때 정신이 차려한 상태로 앉아 있는 것이 靜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