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지역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기억 전승 : 『湖西忠義行略』을 중심으로

        정욱재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시민인문학 Vol.45 No.-

        『호서충의행략』은 ‘先烈遺蹟表闡會’라는 단체에 의해 1949년 8월에 간행되었다. 조악하게 인쇄된 팸플릿 형태의 자료로 9장의 분량에 수록된 인물도 2 2명에 불과하다. 저자는 현재 알 수 없으나 수록 인물과 서술 방식 등을 통해 저자의 성향을 짐작할 수 있다. 즉 22명의 수록 인물 중에 상당수가 유림이자 의병이며, 문장 표현 등이 한문 형식으로 볼 때, 저자는 유학을 깊이 배운 인물로 추정할 수 있다. 충남지역에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존재하고 있었지만, 『호서충의행략』에 22명만을 선정하여 수록한 것은 적어도 저자의 생각에 그들이 충남지역을 대표하는 자랑스러운 인물들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기려수필』등에 미처 수록하지 못했던 인물들도 기록하여 당대까지 전해진 기억을 잊지 않 도록 후대에게 전승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호서충의행략』은 해방 직후 혼란스 러운 시대적 상황 속에서 충남지역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기억을 정리하여 후세 에 전승하려는 노력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transmission of memories on the independence activists of Chungnam area, as seen in the memoir of the 『Hoseochungeuihangnyag』. The memoir was published in August 1949, by the group known as the 'Seonyeolyujeokpyocheonhoe (先烈遺蹟表闡會)'. The 9 page long, crudely printed pamphlet only contains memoirs of 22 independent activists of the era. The writer of the memoir is still unknown, but the directions and dispositions of the writer is evident by the choice of the subjects and description of the memoir; as most of the activists wer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in the Righteous Army, and the writing forms and styles of the memoir, it is estimated that the writer of the memoir was a trained Confucian scholar. In the writer's point of view, the 22 activists in the 『Hoseochungeuihanghyag』 were the illustrious representatives of the Chungnam independence activists. It must also be noted that the memoir transmitted records of the activists who were omitted in the 『Giryeosupil』. The 『Hoseochungeuihangnyag』 may have less value as historic material as the 『Giryeosupil』, but the writer's effort to record and transmit memories on the Chungnam independence activists in the turbulent times of 1949, shall be noted.

      • KCI등재

        일제강점기 經學院 講士의 위상과 활동

        정욱재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6 No.-

        This study gave an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ion and activity of the instructors (Gangas) of Kyunghagw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period.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was an honorary post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official office organization of Kyunghagwon. And ye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the instructors, attaching importance to those of Kyunghagwon. In the 1910s-1920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selected unilaterall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ose selected were figures with high reputation and study, who got strong persuasion and conciliation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ome strongly resisted while others finally yielded and participated, some of whom were disciples of famous schools through the theory of Wijungchugsa (Defending Orthodoxy and Heterodoxy), and there were even figures who had done the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 1930s, even the figures who could not be considered Confucian scholars were selected a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nd this flow was further strengthened in the 1940s, which was a state of war.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was an honorary position, who did not receive monthly pay except for annual allowance and travel expenses. In addition, until the 1930s, as the term in office was not prescribed for the instructor of Kyunghagwon, it was a tenured post unless the instructor resigned. Sinc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avorably treated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those whose ability was recognized could become Kyunghagwon Boojehak and Daejehak, which belonged to its official office organization. Som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appointed as Jungchuwon officials, or Jungchuwon officials were appointed as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ccordingly,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had a status that could not be regarded as a simple honorary position. The main missions of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ere holding Seokjeonje, having a lecturing tour, and contributing poetry and prose, which continu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era. Especially, the lecturing tour of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was mostly concerned with the contents to justify and praise Japanese colonial rule, using the doctrine of Confucianism, which sometimes were published in Kyunghagwon Magazine. In addition, the instructors of Kyunghagwon acted as a mere tool of Japanese colonial rule, e.g. composing Sino-Korean poetry praising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Japanese imperialist war of aggression. Especially, entering the 1940s, they coerced colonial Korean people into a voluntary human and material sacrifice for the Japanese invasion war, advocating the so-called ‘Whangdo Confucianism.’ Following ‘Whangdo Confucianism,’ they broke off from the high-level Confucian ideas achieved in the previous age while contributing to leaving the evil of cutting off from the developmental flow of Korean Confucian ideas. 이 글은 일제강점기 경학원 강사(講士)의 선정과 시기별 활동의 특징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경학원 강사는 경학원의 공식적인 직제에 포함되지 않은 명예직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경학원 강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강사의 선정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다. 1910년대~1920년대 경학원 강사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선정되었고, 선정된 사람들은 명망과 학문이 높은 인물들로 조선총독부의 강력한 설득과 회유를 받았다. 이를 강하게 저항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결국 굴복하여 참여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들 중에는 위정척사론으로 유명한 학파의 제자와 독립운동을 하던 인물도 있었다. 1930년대부터는 유림이라 볼 수 없는 인물들도 경학원 강사로 선정되었고, 이 흐름은 전세체제기인 1940년대에 더욱 강화되었다. 경학원 강사는 명예직으로 월급은 없고 연수당과 여비만 지원받았다. 또한 1930년대까지 경학원 강사의 임기는 규정되지 않아 본인이 스스로 사임하지 않은 이상 사실상 종신직이었다. 조선총독부는 경학원 강사를 우대하여 능력을 인정받은 경학원 강사는 공식 직제인 경학원 부제학•대제학이 될 수 있었다. 일부 경학원 강사는 중추원 참의로 임명되거나 중추원 참의가 경학원 강사로 임명되는 등 경학원 강사는 단순 명예직으로 치부할 수 없는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경학원 강사의 주 임무는 석전제 거행•순회강연•시문 기고로 일제강점기 내내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특히 경학원 강사의 순회강연은 유교의 교리를 이용하여 일제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찬양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며, 그 내용이 경학원잡지 등에 실리기도 하였다. 또한 경학원 강사는 일본 천황과 일제의 침략전쟁 등을 찬양하는 한시를 짓는 등 일제의 주구로 활동하였다. 특히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이른바 ‘황도유학’을 주창하여 식민지 조선인에게 일제의 침략전쟁을 위해 자발적으로 인적•물적 희생을 하라고 강요하였다. 그들은 ‘황도유학’을 추종하여 전시대에 이룩한 높은 수준의 유학사상을 단절시키는 한편, 한국 유학사상의 발전적 흐름을 끊는 폐해를 남기는 데 일조하였다.

      • KCI등재

        유도창명회의 창명(彰明) 연구

        정욱재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7 No.-

        This study analyzed Changmyeong, the Journal of Yudochangmyeonghoi in Jeollanam-do organized as part of the Japanese imperial cultural policy in the 1920s. Confucians’ groups in Gyeongsang and other provinces in the 1920s were commonly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groups organized by the lead of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and colonial officials. Changmyeong is a product of the Japanese imperial cultural policy in the 1920s, which is not a material that contains new concerns with Confucianism or reflections on the times.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was brought up as the purpose of the publication, outwardly; however, the substantive intent was to promote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make the Confucians in colonial Joseon conform to that so that they would acknowledge it. Although Changmyeong already has a limitation, Changmyeong can be utilized as the historical data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see the social aspec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if you examine it, breaking from the perspective of pro-Japanese vs. anti-Japanese along with the criticism of historical materials. If Changmyeong is looked at simply by the pro-Japanese frame, you would make a mistake burying the sense of historical realism of the time like the Confucians came in the conflict between moral obligation and survival. In other words, if the writings they left in Changmyeong were examined, breaking from the scheme of pro-Japanese vs. anti-Japanese, it is possible to see stereoscopically trends of the Confucians in the provinces and the situations of regions, which are difficult to see in public publications. In addition, the lists of each region inclu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local branch offices can give clues helpful for finding persons and facts buried in the history. 이 글은 1920년대 일제의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결성된 전라남도 유도창명회의 잡지 창명 을 분석한 글이다. 1920년대에 경성과 지방의 유림단체는 공통적으로 일제협력유림과 식민지 관료들이 주동이 되어 조직된 친일 유림단체였다. 창명 은 1920년대 일제의 문화정책의 산물로 유교에 대한 새로운 고민이나 시대적 성찰을 담은 자료는 아니다. 간행 목적도 겉으로는 유도의 창명을 내세웠으나, 실질적인 의도는 식민지 조선 유림에게 일제의 식민통치를 인정하도록 홍보하고 순응하게 하는 것이었다. 이미 한계를 가지고 있는 창명 이지만, 사료 비판과 더불어 친일과 반일의 시각에서 벗어나서 살펴본다면, 얼마든지 창명 을 일제강점기 사회상을 볼 수 있는 역사적 자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 단순히 친일의 프레임으로 창명 을 바라본다면, 명분과 생존의 사이에서 갈등하던 유림의 모습처럼 당대의 역사적 현장감을 사장시키는 잘못을 범하게 된다. 즉 친일과 반일의 구도를 벗어나서 그들이 창명 에 남긴 글을 살펴본다면, 관찬자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당시 지방 유림의 동향과 지역 사정 등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지방지회의 설립과 함께 수록된 각 지역의 명단은 역사에 묻힌 인물이나 사실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단서 등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초기 대종교의 역사인식과 ‘한국학’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와 『대동고대사론』을 중심으로-

        정욱재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7

        This articles reviewed and analyzed another stream of understanding on the Korean history by the cult of Daejonggyo, which had been relatively unknown to the academic community. The cult of Daejonggyo contributed in establishing national identity of Korea by stressing the historicity of the ancient king Dangun and the Dangun's Joseon and introducing the National Foundation Day in early 20th century, influencing the Korean nationalistic history studies in 1910s. Such understanding in history was established by Kim Gyo-heon, the 2nd Jongsa (leader) of the Daejonggyo. However, in the Daejonggyo, there was another stream of understanding in the Koean history that acknowledged the Gija and the Gija's Joseon, which had been considered just as important as the Dangun and his kingdom, and worshipped by th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until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at the worship on Gija and his Joseon was denied and the historicity of Dangun became more stressed. However the Daejonggyo, leading group in the worship of Dangun, did acknowledged the historicity on the Gija and the Gija's Joseon to some extent, and the evidences of the trend are 「Dangungyo-odaejongji-pomyeongseo(檀君敎五大宗旨佈明書)」 that had been passed to Na Cheol from the cult of Baekbong, and 『Daedonggodaesaron(大東古代史論)』 written by Park Eun-sik, which had been written in 1909 and in 1911, respectively. The two books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dealt with the Gija and his kingdom of Joseon, the Gija's Joseon, which had been denied of its existence by the Daejonggyo. 「Dangungyo-odaejongji-pomyeongseo(檀君敎五大宗旨佈明書)」 recorded the title, name, and achievements of the ancient king of Gija, acknowledging the historicity of the king yet maintaining the Gija's Joseon was absorbed to the Dangun's Joseon in the end. 『Daedonggodaesaron(大東古代史論)』 also acknowledges the historicity Gija's Joseon, yet clealy states that the kingdom was one of the descendents of the Dangun's Joseon, and was later assimilated to the people of Korea, denying the non-attributable records on the Gija, his title of king, and achivements. Acknowledgement on the questionable existence of the King Gija and his kingdom was soon denied by Kim Gyo-heon, and the history on the Dangun and the Dangun's Joseon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Daejonggyo in understanding the ancient Korean history, forming yet another part of the 'Koreanology.' 이 글은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대종교의 역사인식의 다른 흐름을 검토, 분석하였다. 20세기 초 대종교는 단군・단군조선의 역사성 강조와 개천절 도입 등으로 민족 정체성 수립에 기여를 하며 1910년대 민족주의 사학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단군과 단군조선의 역사성 강조라는 대종교의 역사인식은 대종교 2대종사 김교헌에 의해 수립되었는데, 이런 인식과 다르게 기자와 기자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지 않은 역사인식도 초기 대종교에 존재하고 있었다. 19세기 말엽까지도 단군과 단군조선 못지않게 기자와 기자조선의 역사성을 중요하게 다루었으며, 보수유림의 경우 기자 숭배 의식은 더욱 컸다. 그런데 20세기에 들어오면서 민족 정체성 만들기의 일환으로 단군・단군조선의 역사성 강조와 함께 기자・기자조선의 배제가 나타났다. 이런 경향을 선도한 것이 대종교였으나, 초기 대종교에는 기자와 기자조선의 역사성을 인정하는 흐름도 분명 존재하였다. 그것을 보여주는 자료가 백봉교단이 나철에게 전해준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와 박은식이 저술한 『대동고대사론』이었다. 1909년에 공개된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와 1911년에 저술된 『대동고대사론』은 대종교가 배제했던 기자・기자조선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는 기자조선의 국왕의 시호와 왕명 및 활동 등이 수록되었으며, 기자・기자조선의 역사성을 인정하되 단군조선에게 동화되었다는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대동고대사론』은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를 따라 기자와 기자조선의 역사성은 인정하였으나, 기자조선은 단군조선의 후예로 우리 민족과 완전히 동화되었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혔다. 그러나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에 기록된, 출처를 알 수 없는 기자조선 국왕의 왕명・활동 등의 내용은 수용하지 않았다. 초기 대종교에 존재하던 기자・기자조선의 역사성 인정은 바로 김교헌에 의해 부정되었고, 단군・단군조선의 역사성 강조와 기자・기자조선의 배제가 대종교의 주류 역사인식이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한국학’의 내용을 구성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했던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 Application of Graphene/polyaniline/poly(4-styrenesulfonate) hybrid film with a constant surface resistance on the flexible dipole tag antenna

        정욱재,장정식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A PANI/PSS nanofiller was introduced into a multilayer graphene matrix by mechanical blending, creating a graphene/polyaniline/poly (4-styrenesulfonate) (G/PANI/PSS) paste. PSS increases the homogeneity, interfacial interactions, and mechanical interlocking between the multilayer graphene and PANI, resulting in a uniform surface resistance. High concentrations of PSS enhance surface adhesion property of the film to a flexible substrate. The screen-printed G/PANI/PSS hybrid film has the minimum surface resistance of approximately 10 ohms/sq with uniform 70 um thickness, and the surface resistance only increased by 10 ohms/sq after the 500 bending cycles. The G/PANI/PSS is patterned for the application in dipole tag antenna: it has a bandwidth of 28.7 MHz, a transmitted power efficiency of 98.5%, and a recognition distance of 0.42 m at a mean frequency of 910 MHz.

      • KCI등재
      • KCI등재

        일제강점기 宋柱憲의 생애와 활동

        정욱재 숭실사학회 2020 숭실사학 Vol.0 No.45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호남 유림 송주헌의 생애와 활동을 검토한 연구이다. 송주헌은 송병선 등에게 성리학을 배운 연재학파의 문인으로 성리학적 가치체계를 내면화한 인물이었다. 일제가 대한제국을 강점한 후, 그는 스승에게 배운 ‘義理之學’을 실천하는 것을 자신의 나아가야 할 길로 삼았다. 그는 만동묘가 있는 화양동과 단종과 그의 충신들의 위패를 모신 숙모전 등이 있는 동학 사를 왕래하며 2월과 8월 춘추 제사에 참여하는 등 위정척사의 의리를 고수하였다. 1919년 거국적인 3·1운동이 일어나자, 3·1운동에 공식적으로 참여하지 못한 상황을 반성한 유 림은 파리장서운동을 펼쳤고, 송주헌도 조선 유림을 대표하는 서명자로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하였 다. 그러나 그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바로 순종복위운동이었다. 이는 복벽주의적 독립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동지들과 함께 연명으로 순종이 복위하여 조선의 독립을 천명하라는 내용의 상소문을 작성하고 순종에게 직접 올리고자 하였다. 중도에 일본 헌병에게 잡히며 실패로 돌아가고, 그는 8개월 동안 감옥에 수감되어 고초를 겪다가 석방되었다. 그후 조선고사연구회에도 참여하여 일본까지 가서 독립운동의 의지를 밝혔으나, 결국 뜻을 얻지 못하고 은거하였다. 그는 비록 근대적 민족의식을 습득하지 못하고 평생 성리학의 세계관에서 벗어나지 못한 인물이었지 만, 일본을 ‘島夷’로 인식하고 죽을 때까지 타협하지 않고 저항의식을 견지한 인물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fe and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 Song Ju-heon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Song Ju-heon was a writer of Yeonjae School, who learned Neo-Confucianism from Song Byeong-seon, etc. and internalized the Neo-Confucian value system. After the Japanese Empire occupied the Korean Empire, he took the practice of ‘learning of moral principles (Euirijihak)’ he learned from his teachers as his way forward. He stuck to the loyalty of ‘protecting righteousness and excluding evil (Wijeongcheoksa) ,’ e.g. Participating in February and August ancestral rites held in Spring and Autumn, visiting Hwayang-dong where there is Mandongmyo Shrine and Donghaksa Temple where there is Sukmojeon that enshrined the memorial tablets of King Dangjong and his loyalists. As the March 1st Movement took place nationwide in 1919, Confucian scholars who felt sorry for the situation in which they had not officiall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carried out Korean Confucian Literati’s Petition to Paris Peace Conference (Paris-Jangseo Movement), and Song Ju-heon too participated as one of the signers representing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And yet, what he actively participated was the movement for restoration of King Sunjong. This had a character as a Monarchist Independence Movement. With his comrades, he prepared a public appeal by signing jointly to ask King Sunjong to restore and state Joseon’s Independence and would submit that directly to King Sunjong. Yet, that resulted in failure as he was caught by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He was imprisoned and suffered hardships for eight months till he was released. After that, he participated in the Early Joseon History Study Group and expressed his will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but he lived a secluded life at last, not being able to achieve his goal. Although he did not learn modern national consciousness and did not get out of the Neo-Confucian world view throughout his life, he was a person who recognized the Japanese people as ‘Island Barbarians (Doi)’ and held fast to the spirit of resistance without compromise till he died.

      • KCI등재

        일본 궁내청 소장 의병 사진 자료 검토

        정욱재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8

        이 글은 일본 궁내청 서릉부 궁내공문서관에 소장된 한국 전라남도에서 찍은 사진(韓国全羅南道での写真) 이라는 자료를 소개⋅검토하여 당대의 맥락에서 자료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총 5장의 사진과 사진 앞에 붙인 설명문으로 이루어진 이 자료는 각각 전해산(全海山), 강무경(姜武京), 심남일(沈南一)의 단독 사진과 전라남도 관찰사 신응희(申應熙)가 체포된 의병들 앞에서 훈계한 광경 사진, 강무경⋅심남일 등 5명이 함께 찍은 사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인정받은 신응희를 제외하고 전해산⋅강무경⋅심남일은 한말 호남의병장으로 일제에게 끝까지 저항한 인물로 유명하다. 한국 전라남도에서 찍은 사진(韓国全羅南道での写真) 를 통해 살펴본 전해산⋅강무경⋅심남일은 일제가 ‘폭도 수괴 중 거벽’ 등으로 평가할 만큼 그들을 곤욕스럽게 만든 의병장들이었다. 일제는 일제의 의병 탄압 작전이었던 ‘남한대토벌’을 펼쳐서 호남 의병부대를 잔혹하게 진압하였고, 이들도 결국 일제에 의해 체포되었다. 이 자료는 1909년 ‘남한대토벌’이 종료한 직후에 일본군이 자신들의 성과를 보고하려는 의도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 자료가 어떤 경로나 절차를 통해서 당시 일본 궁내성으로 들어갔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한국 전라남도에서 찍은 사진(韓国全羅南道での写真) 은 일제에 의해 잔혹하게 진행된 ‘남한대토벌작전’의 흔적과 한말 호남 의병장 등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담고 있다. 앞으로 사회과학적⋅역사적 방법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학문전공자의 시각에 따라 한국 전라남도에서 찍은 사진(韓国全羅南道での写真) 에서 더 많은 이야기와 정보를 찾아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나아가 이 자료를 통하여 일본 궁내청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한국 관련 자료가 다수 소장되었다는 점을 기억하고 조사 수집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This article introduces and reviews a collection in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of Japan, entitled Collection of Pictures Taken in Jeollanam-do, Korea (韓国全羅南道での写真; also referred as ‘The Collection’) , to explore its contextual meaning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The Collection consists of 5 individual pictures and their descriptions, including 3 individual portraits of Jeon Hae-san(全海山), Kang Mu-kyung(姜武京), and Sim Nam-il(沈南一), a scene of Sin Eung-hee(申應熙), the governor of Jeollanam-do at the time, disciplining the arrested ‘Righteous Army’, and a picture of 5 people, including Kang Mu-kyung and Sim Nam-il. Except Sin Eung-hee, who has been identified as a collaborator to the Imperial Japanese oppressors, the Collection depicts Jeon Hae-san, Kang Mu-kyung, and Sim Nam-il, three of the most famous leaders of the Righteous Army(義兵) in the Jeollanam-do area. This article introduces and reviews a collection in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of Japan, entitled Collection of Pictures Taken in Jeollanam-do, Korea (韓国全羅南道での写真; also referred as ‘The Collection’) , to explore its contextual meaning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The Collection consists of 5 individual pictures and their descriptions, including 3 individual portraits of Jeon Hae-san(全海山), Kang Mu-kyung(姜武京), and Sim Nam-il(沈南一), a scene of Sin Eung-hee(申應熙), the governor of Jeollanam-do at the time, disciplining the arrested ‘Righteous Army’, and a picture of 5 people, including Kang Mu-kyung and Sim Nam-il. Except Sin Eung-hee, who has been identified as a collaborator to the Imperial Japanese oppressors, the Collection depicts Jeon Hae-san, Kang Mu-kyung, and Sim Nam-il, three of the most famous leaders of the Righteous Army(義兵) in the Jeollanam-do area. From the descriptions in the Collection, Jeon, Kang, and Sim were three of the most resilient and troubling leaders in the Righteous Army, whom the Imperial Japanese officials claimed as ‘the biggest shots of the rebels against the Empire’. The Imperial Japan conducted brutal operations, namely the ‘Great Suppression in the Southern Korea’, against the Righteous Army in the Jeollanam-do area, and captured the three leaders in the process. The Collection is suspected to be produced in 1909, right after the end of the ‘Great Suppression in the Southern Korea’ operation ended, as a report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on their victory. However, there were no clear evidence on the routes or processes through which the Collection ended up in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