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고논문 : 중국(中國) 한자교육(漢字敎育) 연구(硏究)의 성과와 전망

        한연석 ( Youn Suk Ha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중국의 識字敎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되어 파급력과 공신력이 크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識字敎學法은 대략 ``注?提`` 識字敎學,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猜認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計算機輔助識字, 解形識字, 多媒體熟語識字, 字形識字敎學法(筆劃分析法, 偏旁分析法, 結構分析法, 歸類利用法, 演示識字法, 謎語法), 字義識字敎學法(造字分析法(六書)), ?幼兒科學漢字敎育法, 科學分類識字, 潛能識字, 電腦雙평識字, 雙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及識字敎學硏究 등이 연구되었다. 중국 학교의 語文교육은 국가에서 반포한 「語文敎學大綱」에 의해 이루어진다. 「語文敎學大綱」은 敎學目的, 敎學要求, 敎學內容, 課外活動, 敎學中의 주의 점, 학년별 교학주문이 제시되어 있다. 2001년 반포된 『語文課程標準』은 1, 2학년 1600?1800자, 3, 4학년 2500자(累積), 5, 6학년 3000자(累積) 교학을 요구하는데, 이는 전 단계 『語文敎學大綱』보다 識字量이 500자 더 증가한 것이고, 1, 2학년에서 집중식자를 요한다. 初等學校識字敎育은 어문교학대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識字敎學重點은 識字, 寫字, 평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口語交際, 語文綜合活動 등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寫字, 偏旁 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자음, 字義 장악하기 등을 실시하는데, 구체적으로 圖形識字, 聽讀識字, 朗讀法, 誦讀法, 육서원리, 편방결구, 한자쓰기, 종합적인 운용을 실시하여 성취한다. 최근 초등학교 識字敎學의 큰 틀이 변화하고 있다. 능동적 식자교육과 한자의 형, 음, 의를 통한 聯想 식자교학을 위해 지금까지 실시된 先평音識字를 先漢字識字로 바꾸었다. 중국은 간화로 인해 부수이용, 구조분석 등을 통한 전통 육서 교학 실시가 우리보다 불리한 반면, 생활언어나, 문장을 활용할 수 있어 우리보다는 식자 방법이 다양하다. 중국의 識字敎學法 중 謎語法, 컴퓨터를 활용한 ``字中字法,`` 破字 식자법 등은 우리가 관심을 가질만하다. 앞으로 중국의 식자교학 연구는 획기적이고 새로운 방법보다는 과학기기를 활용한 식자교학, 창의적, 능동적 식자교학법 연구를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Most studi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ve great ripple effects and confidences because they are carried out as research projects by country, state, or city. Deliver high-level in two large and reputable. Those researches so far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sound, and meaning. Secondly, researche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astly, researches utilizing modern science and civilization like computer. Recent researches are focused on learner`s interest, active participation, respect for learners, creative education, and independent learning.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Chinese school is carried out by the distributed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It presents the purpose of education, cont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es, and educational level per grade. ``The standard for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 published in 1993 requires to teach 1600 ~ 1800 characters in Grade 1&2, 25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3&4, 3,0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5&6. 500 characters to be learned are increased more than Phase I,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 It requires teaching characters intensively in Grade 1&2. Memorizing characters, writing, mastering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reading, dictation, and speaking are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astering characters by figures, dictionary, and radicals are also carried out. Recently, the framework of elementary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 is changing. The first thing to teach for the new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as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prior to Chinese character. But, Chinese character is the first,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is the next at the moment because Chinese want to change the education from the passive way to active way.

      • KCI등재후보

        字形分析原則과 "集中識字法"小考

        韓鐘鎬 한국중국언어학회 2002 중국언어연구 Vol.14 No.-

        先識字后讀書,是學習語言的規律. 識字是語文敎學的‘入口’, 又是閱讀寫作的前提和基礎. 因此, 識字敎學歷來是語文敎學的重点, 識字方法的硏究一向受到人們的重視. 旣然識字是閱讀和寫作的基礎, 나요, 지유저개기초찰실료, 才能提高閱讀與寫作敎學的質量. 這就是本文撰寫的重点. 集中識字, 在開始階段先集中時間和精力識字. 方法是按照漢字結構規律把常用字歸類, 以基本字帶字, 敎一批字, 讀幾篇文章. 集中識字根本上符合漢字的特点. 每個漢字包括音, 形, 義三個要素, 識字敎學的目的就是要求學生讀准字音, 認淸字形, 理解字義, 達到音形義全面掌握. 集中識字的效果, 引起了廣大敎師的關注. 所以我把集中識字的敎學方法用于漢字敎學. 實驗班的主要任務是: 擴大識字量, 提高讀寫的能力. 我先‘看圖識字’敎學之后, 교급학생일백개구자솔흔강적독체자. 這不僅擴大了識字量, 而且提高了學生分析合體字的能力. 再采用集中識字, 基本字帶字的敎法增補一百個形聲字. 實驗班的學生已初具識字能力, 漢字的間架結構也掌握比較好. 실험반학생재집중식자과정중학습운용흔다적독체자, 正確地竝合豊富的合體字, 正確的表達各個字的音, 形, 義. 我想集中識字法必將進一步促進識字敎學的發展, 又進一步提高敎學質量.

      • KCI등재

        韓,中 漢字敎學 比較 硏究

        한연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8 No.-

        중국의 漢字敎學은 중학교까지 3500자(초등학교 3000자)를 실시하되, 초등학교 1, 2학년에서 집중적으로 실시한다. 漢字敎學法은 우리와 중국이 유사하지만 중국이 우리보다 다양하다. 우리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이, 중국은 상형을 통한 圖形識字, 따라 읽기의 聽讀識字, 운문 읽기의 朗讀法, 생활을 주제로 한 誦讀法, 會意形聲原理 識字, 偏旁 활용 識字 등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실시한다. 우리와 중국 모두 한자교학은 필획, 필순, 편방부수, 자전 찾기, 圖畵 등을 이용하지만 중국은 漢語倂音을 교학하고, 이를 통해 識字敎學을 하기도 한다. 중국은 간체자로 인해 육서 이용, 결구 분석 등을 통한 敎學이 불리하지만 聲讀, 문장 읽기를 통한 識字敎學은 유리하다. 최근 중국의 일부 초등교재는 先倂音敎學에서 先漢字敎學으로 바뀌었는데, 그 이유는 先倂音, 後漢字敎學이 한자의 形音義 사이의 聯想작용을 방해하고, 한자를 저열한 문자로 인식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의 ‘漢字敎學法은 聲符활용 敎學法, 결구분석을 통한 字源활용 교학법, 만화, 그림, 사진, 컴퓨터 등 매체를 이용한 교학법이 연구되었다. 우리의 교학법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구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주된 요인은 개인적 연구로 파급력이 약하고, 안정성, 효율성이 검증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雙倂電腦識字, 解形識字, 電腦字根識字,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 등이 연구되었다. 중국의 識字敎學法 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지방정부 차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되고 실험을 거친 것들이라 공신력이 크다. 최근 중국의 한자교학은 학습자의 흥미, 능동적 참여, 학습자 존중, 창의적 교육, 독립적 識字를 추구한다. 중국의 식자교학법 중 謎語法, 字中字法, 노래나 韻律있는 문장을 활용한 破字 識字法은 관심을 가질만하다. 우리나 중국 모두 그림, 말풍선, 만화, 사진,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 매체를 활용하여 한자를 교학하지만 매체이용은 우리가 중국보다 다양하고 화려하다. In China,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carried out intensively at the first and second grade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students are educated with 900 basic Chinese characters in the middle school. In China, they are educated with 3000 characters in the elementary school. We sometimes teach Chinese characters using radicals or analyzing the structures. In China,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carried out through figure, listen & repeat recitation and the principles of combination and formation. Both Korea and China teach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stroke order, radical and look-up Chinese dictionary, but China unlike Korea (Chinese-what Chinese people say and write) sometimes teaches Pinyin(倂音) and educates students with Chinese characters using Pinyin(倂音). Since simplified characters have been used in China, they have disadvantages in analyzing and teaching characters compared to Korea where traditional characters are being used. However, they have advantage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reading the sentences compared to Korea. The recent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s been changed from teaching Pinyin(倂音) at first to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t first. The reason is that students recognize Chinese characters as low level characters and get the passive learning attitude if they are taught Pinyin(倂音) at first and then Chinese characters later.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there are many methods of education being studied such as a method utilizing the audio part, a method analyzing and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a method using various media including comics, painting, photography and computers. In China, many methods have been studied such as Bunsan composition(education by dispersing the class)(分散識字), Jipjung compositi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s intensively carried out in low grades)(集中識字), Bugeon composition (education by analyzing the radicals of Chinese characters)(部件識字), Jami composition (education using enigma)(字謎識字), Jari composition(字理識字), Jageun composition(字根識字) and computer composition. Since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s been conducted and gone through experiments with supports from national, provincial or city governments, the spread and credibility of research are great. To the contrast,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onducted as private projects and its spread is weak. Among method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methods of education using enigma and songs are worth learning in Korea.

      • KCI등재

        中國 漢字敎育 硏究의 성과와 전망

        한연석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Most studi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ve great ripple effects and confidences because they are carried out as research projects by country, state, or city. Deliver high-level in two large and reputable. Those researches so far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sound, and meaning. Secondly, researche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astly, researches utilizing modern science and civilization like computer. Recent researches are focused on learner's interest, active participation, respect for learners, creative education, and independent learning.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Chinese school is carried out by the distributed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It presents the purpose of education, cont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es, and educational level per grade. ‘The standard for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 published in 1993 requires to teach 1600 ~ 1800 characters in Grade 1&2, 25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3&4, 3,0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5&6. 500 characters to be learned are increased more than Phase I,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It requires teaching characters intensively in Grade 1&2. Memorizing characters, writing, mastering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reading, dictation, and speaking are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astering characters by figures, dictionary, and radicals are also carried out. Recently, the framework of elementary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 is changing. The first thing to teach for the new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as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prior to Chinese character. But, Chinese character is the first,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is the next at the moment because Chinese want to change the education from the passive way to active way. 중국의 識字敎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되어 파급력과 공신력이 크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識字敎學法은 대략 ‘注・提’ 識字敎學,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猜認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計算機輔助識字, 解形識字, 多媒體熟語識字, 字形識字敎學法(筆劃分析法, 偏旁分析法, 結構分析法, 歸類利用法, 演示識字法, 謎語法), 字義識字敎學法(造字分析法(六書)), 嬰幼兒科學漢字敎育法, 科學分類識字, 潛能識字, 電腦雙拼識字, 雙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及識字敎學硏究 등이 연구되었다. 중국 학교의 語文교육은 국가에서 반포한 「語文敎學大綱」에 의해 이루어진다. 「語文敎學大綱」은 敎學目的, 敎學要求, 敎學內容, 課外活動, 敎學中의 주의 점, 학년별 교학주문이 제시되어 있다. 2001년 반포된 『語文課程標準』은 1, 2학년 1600〜1800자, 3, 4학년 2500자(累積), 5, 6학년 3000자(累積) 교학을 요구하는데, 이는 전 단계 『語文敎學大綱』보다 識字量이 500자 더 증가한 것이고, 1, 2학년에서 집중식자를 요한다. 初等學校識字敎育은 어문교학대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識字敎學重點은 識字, 寫字, 拼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口語交際, 語文綜合活動 등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寫字, 偏旁 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자음, 字義 장악하기 등을 실시하는데, 구체적으로 圖形識字, 聽讀識字, 朗讀法, 誦讀法, 육서원리, 편방결구, 한자쓰기, 종합적인 운용을 실시하여 성취한다. 최근 초등학교 識字敎學의 큰 틀이 변화하고 있다. 능동적 식자교육과 한자의 형, 음, 의를 통한 聯想 식자교학을 위해 지금까지 실시된 先拼音識字를 先漢字識字로 바꾸었다. 중국은 간화로 인해 부수이용, 구조분석 등을 통한 전통 육서 교학 실시가 우리보다 불리한 반면, 생활언어나, 문장을 활용할 수 있어 우리보다는 식자 방법이 다양하다. 중국의 識字敎學法 중 謎語法, 컴퓨터를 활용한 ‘字中字法,’ 破字 식자법 등은 우리가 관심을 가질만하다. 앞으로 중국의 식자교학 연구는 획기적이고 새로운 방법보다는 과학기기를 활용한 식자교학, 창의적, 능동적 식자교학법 연구를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漢文 敎育의 識字 敎育 問題와 方向

        宋秉烈(Song Pyung-nyul)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한문 교육에서 "識字 敎育"이란 漢文이나 漢字語에서 필요한 기본 어휘인 한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교수-학습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한문과의 교수-학습을 낱글자 중심으로 진행시키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다.<BR>  전통적인 식자 교육은 주로『千字文』과『類合』,『訓蒙字會』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세 가지 학습 요소가 제시되었다. 첫째, 낱개의 한자에 釋音(뜻풀이와 음)을 다는 것이다. 둘째, 유사한 뜻을 지니거나 같은 부류의 한자와 유사하거나 같은 계통의 사물이나 개념의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다. 셋째는 상대자나 유사자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이다. 이 가운데 釋音式 식자 교육은 한문이 모든 생활과 학문의 중심 역할을 하고, 많은 시간을 한문 교육에 투자하던 전통 시대부터 실시했던 방법이다. 그러나 다양한 학문이 존재하고, 교육과정의 편제에서 적은 단위로 운영되는 현재 한문 교육의 환경에서는 석음식 식자 교육은 학습자에게 부담을 준다. 따라서 현행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許愼이 제기한 製字原理인 "六書"만이 식자 교육의 학습 요소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근대 갑골이 발견되고 난 이후에 허신이 풀이한 字源의 일부에서 오류가 발견되고 있다. 육서의 제자원리는 학습요소로 여전히 필요하지만, 그것만으로 식자 교육의 학습 요소를 다 갖추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오늘날 학습 환경에 맞는 식자 교육의 다양한 학습요소를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BR>  이에 식자의 원리를 중심으로 세 가지 학습 요소를 제시한다. 첫째, 독립적인 어휘로서 한자를 학습하며, 복체자의 字素(grapheme)로서 기본 한자를 학습한다. 기본한자는 도형의 원리(상형 원리)로 학습하며, 복체자의 자소로 활용되는 것임을 학습한다. 둘째, 응용자인 복체자는 결합의 원리로 학습한다. 셋째는 뜻 중심 결합법으로 만들어진 한자와 음 중심 결합법으로 만들어진 한자를 분류하여 학습한다.<BR>  이러한 세 가지 방법은 석음 중심의 학습이나 육서와 같은 제자원리와 분명히 다르다. 석음 중심의 학습은 낱개의 한자를 끊임없이 반복하여 학습효과를 떨어뜨린다. 육서는 낱글자에 대한 자원 중심으로 문자학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나, 때로는 불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며 또한 낱개한자 자원에 대한 이설이 많다. 이는 학습자에게 혼란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육서의 학습은 인정하되 혼란을 줄이도록 해야 한다.<BR>  반면에 새로이 제시한 세 가지 학습 요소는 석음을 단순 반복하는 기존의 학습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육서와 같은 문자학적 방법보다 앞서 기초적인 원리로 한자를 학습할 수 있다.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iteracy education refers to various methods of instructing/learning fundamental characters in Classical Chinese or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is is an alternative to singlecharacter-based instructing/learning method in general Chinese characters education.<BR>  Traditional literacy education, based primarily on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Yuhap, and Hunmongjahoe, offered three learning factors. First, matching its meaning and sound to a single character (semantic-phonetic method). Second, classifying characters by similar meanings or categories. Third, focusing on antonymic and synonymic characters. Among these methods, literacy education based on semantic-phonetic method is suitable for traditional era, when Classical Chinese dominated daily lives as well as scholarly studies and considerable time was invested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 cannot function appropriately in contemporary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ince there are various fields of studies nowadays and Classical Chinese takes only small part in current education system. These circumstances lead the six writings, or Liu Shu(the six categories of Chinese characters), composition theory suggested by Xu Shen, to the only acknowledged learning factor for literacy education. Since the discovery of the Oracle-Bone Inscriptions, however, inaccuracies have been found in Xu Shen"s definition of origins of characters. Composition theory of Liu Shu is necessary. Still, learning factors of literacy education are not fortified enough. Therefore, various learning factors that correspond current educational circumstance need to be presented.<BR>  Here I suggest three learning factors based on principles of literacy. First, characters as both independent vocabulary and grapheme in compounds; study them with pictographic principle and usage of grapheme as well. Second, study compounds with compositional principle. Third, classify semantical compounds and phonetical compounds.<BR>  These three methods are quite different with learning with semanticphonetic method or composition theory of Liu Shu. Learning with Semantic-phonetic method reduces learning efficiency by repeating single characters over and over. Etymologic approach of Liu Shu occasionally requires inappropriate technical knowledge. Besides, students get confused with conflicting opinions on each character"s origins. Therefore, studying Liu Shu should be admitted on the condition that such confusion is excluded as much as possible.<BR>  On the other hand, these three new learning factors would overcome simple repetition of semantic-phonetic method. Futhermore, they present an easier way of studying Chinese characters than that of Liu Shu does.

      • KCI등재

        初學 敎材 『童蒙須讀千字文』 硏究

        김혈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0 No.-

        “CheonJaMun(千字文)”is from middle age, regard as basic text book for Chinese Character in the Chian, korea, and Japan. But in the point of collected Character’s usage is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Chinese Character. For example, compared with 900 basic Chinese Character set for middle school in korea, 357 character is not stored in this book. Cause of this problem, from 20th century, especially Chosun by Japanese colonial, some of writter remake same frame text book with CheonJaMun(千字文). This study is reported to the academia, DongMongSuDokCheonJaMun(童蒙須讀千字文), one of that time piblished, and research its value. Through research we can find this book is one of mimic book, and also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전통시대 식자 교재는 주흥사의 『千字文』이었다. 이 책은 식자 교재로서 결코 적합한 책이 아니다. 선정된 글자 1,000자에는 한문교육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글자가 많이 누락되어 있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 중에서 『千字文』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무려 375자가 될 정도로 『千字文』에는 빠진 기초한자가 많다. 20세기 전후에 『千字文』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식자 교재가 저술되었는데, 특히 일제 강점기에 많은 대안 『千字文』류의 책들이 전통 한학자들의 손에서 만들어졌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한 『童蒙須讀千字文』은 분류 대안 식자 교재로 개발된 책이다. 『童蒙須讀千字文』은 小岡 金泰麟에 의해 1925년에 만들어진 책이다. 소강 김태린은 평생 고향 淸道를 떠나지 않으며 전통 학문인 유학을 공부한 在地 士族 출신의 학자이다. 그는 교육적 실천과 경험을 통해서 『千字文』의 문제점, 특히 字義에 종류별 분류가 되지 않음으로 해서 동몽들이 쉽게 한자를 익힐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千字文』인 『童蒙須讀千字文』을 저술하였다. 『童蒙須讀千字文』의 식자 교재로서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千字文』과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와 선정된 글자를 상호 비교해본 결과, 『童蒙須讀千字文』에는 두 자료에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글자를 많이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童蒙須讀千字文』은 『千字文』에 사용하지 않은 글자가 615자이고, 중학교 기초 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698자였으며, 양쪽 모두에 사용되지 않은 글자는 모두 602자이다. 『童蒙須讀千字文』에 새로운 글자 602자를 새로 추가하였다는 사실은 이 책의 독창적이고 고유한 모습으로서 자기 존재를 뚜렷하게 한 것이지만, 한편 그 독창성이 식자 선정의 보편성에 어긋나게 되었다. 따라서 『童蒙須讀千字文』은 글자 선정에 문제가 있는 책이고, 따라서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요컨대 『童蒙須讀千字文』은 별종의 『千字文』이라는 의의는 가질 수 있으나, 기존 『千字文』의 대안이 되는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은 아니라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동아시아 한자(漢字),한자교육(漢字敎育)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初學敎材『童蒙須讀千字文』硏究

        김혈조 ( Hyul Jo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0 No.-

        전통시대 식자 교재는 주흥사의『千字文』이었다. 이 책은 식자 교재로서 결코 적합한 책이 아니다. 선정된 글자 1,000자에는 한문교육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글자가 많이 누락되어 있다.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 중에서『千字文』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무려 375자가 될 정도로 『千字文』에는 빠진 기초한자가많다. 20세기 전후에『千字文』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식자 교재가 저술되었는데, 특히 일제 강점기에 많은 대안『千字文』류의 책들이 전통 한학자들의 손에서 만들어졌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분석한 『童蒙須讀千字文』은 분류 대안 식자교재로 개발된 책이다. 『童蒙須讀千字文』은 小岡金泰麟에 의해 1925년에 만들어진 책이다. 소강 김태린은 평생 고향 淸道를 떠나지 않으며 전통 학문인 유학을 공부한 在地士族출신의 학자이다. 그는 교육적 실천과 경험을 통해서 『千字文』의 문제점, 특히字義에 종류별 분류가 되지 않음으로 해서 동몽들이 쉽게 한자를 익힐 수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千字文』인 『童蒙須讀千字文』을 저술하였다. 『童蒙須讀千字文』의 식자 교재로서 적합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千字文』과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와 선정된 글자를 상호 비교해본 결과, 『童蒙須讀千字文』에는 두 자료에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글자를 많이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童蒙須讀千字文』은『千字文』에 사용하지 않은 글자가 615자이고, 중학교기초 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글자가 698자였으며, 양쪽 모두에 사용되지 않은 글자는 모두 602자이다. 『童蒙須讀千字文』에 새로운 글자 602자를 새로 추가하였다는 사실은 이 책의 독창적이고 고유한 모습으로서 자기 존재를 뚜렷하게 한 것이지만, 한편 그 독창성이 식자 선정의 보편성에 어긋나게 되었다. 따라서 『童蒙須讀千字文』은 글자 선정에 문제가 있는 책이고, 따라서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요컨대 『童蒙須讀千字文』은 별종의 『千字文』이라는 의의는 가질 수 있으나, 기존 『千字文』의 대안이 되는 식자 교재로서 적합한 책은 아니라는 결론을 도출하게 되었다. “CheonJaMun(千字文)”is from middle age, regard as basic text book for Chinese Character in the Chian, korea, and Japan. But in the point of collected Character`s usage is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Chinese Character. For example, compared with 900 basic Chinese Character set for middle school in korea, 357 character is not stored in this book. Cause of this problem, from 20th century, especially Chosun by Japanese colonial, some of writter remake same frame text book with CheonJaMun(千字文). This study is reported to the academia, DongMongSuDokCheonJaMun (童蒙須讀千字文), one of that time piblished, and research its value. Through research we can find this book is one of mimic book, and also not suitable for beginner study.

      • KCI등재

        중국의 劈文切字와 字族文 識字 연구

        이권홍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41 No.-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식자는 ‘일반적’, ‘특수적’ 방법이 있다. 일반 방법은 식자는 쉬우 나 언어 환경과의 괴리를 피할 수 없다거나, 흥미 유발로 식자 능력을 배양할 수 있으나 한자 고유 의 규율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거나, 한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도외시하게 되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벽문절차’와 ‘자족문’이 특수 방법으로 벽문절차는 한자의 형․음․의 분석을 통해 관련된 부분을 도출해내고 독특한 연상법을 활용해 흥미를 유발하고 기억하게 한다. 그러나 한자의 규율을 무시하 는 문제에 따른 해설상의 오류를 벗어나기 힘들다. 한자 특성을 제대로 학습할 수 없게 만들고, 언어 환경도 고려하지 못한다. 자족문은 획기적이고 신선한 방법으로 평가받는다. 한자 특성을 고려해 파생을 활용하여 자족이 란 개념을 창출했다. 문장을 익히면서 문자를 익히고, 문자를 익히면서 문장을 익숙하게 하는 문장 과 문자 학습을 통일시켰다. 문장 학습으로 언어 환경을 잘 활용할 수 있고 개별 문자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어 특성을 살렸다. 그러나 자족문 방법도 중국 언어체계에서 활용도가 높을 뿐 우리 언어체계에서 쉽게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Chinese language learning method can be categorized into ‘general’ and ‘domain-specific’ method. To most Chinese, general usage of Chinese helps language acquisition and deepen interest to grow literacy. However, it destructs language environment, makes people hard to understand underlying rules of Chinese language, and leave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obsolete. Second category, domain-specific method can be further divided into “Chopp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Family”. The former method helps analyze the basic unit of sound and figure of Chinese character, and derives relevant principles. Also, it helps formulate unique mnemonic system, which, in turn, makes it easier to learn. However, this method ignores the basic rule of Chinese language, which leads to translation errors. This not only hinders people learning basic components of Chinese characters, but also it ignores language environments. “Chinese Character's Family” is considered to be innovative and creative method in teaching Chinese. “Chinese Character Family” is based on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nese language. This method integrates grammar and character learning process, so that people can learn Chinese character while learning sentence structures at the same time. It helps people make the most use of language environment by learning how to implement Chinese language sentences, and by enhancing understanding on each Chinese character. Although this has many potential as new language acquisition method, this is not applicable to Korean language since the structure of Korean is different from Chinese.

      • KCI등재

        현대의 식자(食者): 정체성에 대한 시론

        서종석(Jongseok SOH)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7

        Dans la société moderne, la question de l’alimentation et de la santé est devenue un sujet de débat actif dans tous les domaines de la politique, de la société et de l’économie. Au milieu de ces temps, il y a le «mangeur moderne». Cet article est un essai théorique sur son identité dans les changements de la société moderne. L identité du mangeur moderne est celle de la coexistence entre le mangeur et l’Autre. Cependant, le mangeur moderne n’arrive pas à coexister avec ce qu il mange, parce qu il ne connaisse pas l identité de la nourriture qu il consomme. L industrialisation et la mondialisation ont entraîné la reconstruction de la frontière entre la «bouche» de la communauté alimentaire et la «bouche» des individus, ce serait un facteur de souci, d anxiété et d incertitude pour le mangeur moderne. C’est pourquoi le mangeur moderne ne peut être un mangeur acteur. Le mangeur moderne, autonome et libre, est dans une situation où il peut choisir librement ce qu ils mangent, mais paradoxalement ils n ont pas le choix. Il est de plus en plus défini par son alimentation, ce qui entraîne une confusion croissante de l identité.

      • KCI등재

        韓國의 ‘初級課程’ 漢字敎育 現況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39 No.-

        이 글의 연구 주제는 한국의 ‘初級課程’ 한자교육 현황 紹介에 있다. 연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 행하기 위해, 먼저 한국의 한자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究明한 다음, 초급과정의 槪念과 範圍, 초급 과정 한자교육 現況을 槪括的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한자 교수·학습 방법의 개념, 한자 영역 교수· 학습 내용,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考察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은 크게 國語敎育, 漢文敎育, 그리고 漢字文化圈 차원에서 그 위상과 성격을 究 明해 볼 수 있다.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漢文科’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分野이다. 그리고, 한국의 地理的·言語的·文化的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 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 한 현재의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共有하면서 活用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그림 1〉에서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初級’이란, 가장 낮은 段階나 等級을 말하고, ‘초급과정’이란 낮은 단계나 등급에서 시행되는 課 業의 程度를 말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그리고 중학교 時期 가운데, 학생 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초급과정 한자교육은 ‘入門期’ 한자교육으로 볼 수 있다. 다음은 한국 초급과정 한자교육 현황을 교육과정, 교재, 식자량, 교수자, 그리고 수업 시수를 기 준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다.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한문 敎授者와 한문 學習者가 한자를 가르치고 배우는 節次와 技法”을 말한다. 교사의 敎授와 학습자의 學習은 分節的이거나 獨立的이지 않다. 교사와 학습자는, 그리고 교수와 학습은 相互 連繫되고 相互 作用한다. 유아 한자 교재,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 그리고 중학 교 한문 교과서에 제시된 한자 영역 교수·학습 방법을 通察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節次, 過程, 段階를 기준으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분류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크게 (가)와 (나)로 區分된다. (가)는 ‘下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分散 識字’ 방법에, (나)는 ‘上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集中 識字’ 방법에 견줄 수 있다. ‘本文’의 경우, 成語와 漢文 文章이 제시되기도 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경우, 한글全用文, 國漢混用文, 國漢倂記文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標題字’의 경우, 2字에서 4字 정도로 새로 배울 한자[新習 漢字]가 제시된다. (가)와 (나)의 ‘漢字’는 주로 字源 학습법을 활용하여 신습 한자의 形·音·義를 가르치고 배운다. ‘活 用’에 동원되는 기법이나 활동은 다양하다. 本文之研究主題,在於韓國‘初級課程’漢字教育現況的介紹。在進入研究課題前,本文將先闡明韓 國漢字教育的定位與性格,再針對初級課程的概念與範圍、初級課程漢字教育的現況,作一概括的分 析。同時,本文也將考察漢字教授與學習的概念、漢字領域教授與學習內容、漢字教授與學習法。 韓國的漢字教育,大致可從國語教育、漢文教育、漢字文化圈三種層面,闡明其定位與性格。 韓國的漢字教育,是校園學科教育之一的‘漢文科’教育中,其中一項核心內容。由於韓國的地理、 語言、文化條件,使韓國漢字教育與國語教育或韓國語教育產生了密切的聯繫。另一方面,韓國與日 本、中國、台灣、香港等地,在歷史上乃至現今此一時代,亦曾以「漢字」做為該國文字或表記方 式。此即所謂「漢字文化圈」的概念,由〈圖1〉外圍點與線作用而形成。 所謂‘初級’,乃指最低的階段或等級;而所謂‘初級課程’,即是在最低階段或等級中實施的課業程 度。就韓國的漢字教育而言,在幼稚園、小學與中學期間,可依學生的選擇與否學習,故初級課程的 漢字教育,可視為‘入門期’的漢字教育。 漢字教授與學習法,即是指‘漢文教授者與漢文學習者,在教授與學習上的節次與技法’。教師的教 授與學習者的學習,並非脫節或獨立進行。教師與學習者,以及教授與學習之間,存在著相互連繫、 相互作用的關係。分析幼兒漢字教材、小學漢字教科書及中學漢文教科書中,所提出的領域教授與學 習法後,整理初級課程漢字教授與學習法如下。 以節次、過程、階段為基準,為漢字教授與學習法進行分類,則初級課程漢字教授與學習法可大 致區分為(1) 與 (2) 兩種。(1) 可稱為‘下向式語言理解處理模型’或‘分散識字’法;(2) 可稱為‘上向式 語言理解處理模型’或‘集中識字’法。‘本文’可指成語與漢文文章,在小學漢字教材中,則以全韓文、 韓漢混用文、韓漢併記文等方式呈現;‘標題字’可指二至四字的漢字生詞。(1) 與 (2)所列的‘漢字’, 主要使用字源學習法,教授與學習漢字生詞的形、音、義。‘活用’所使用的技法與活動,則各有不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