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詩序」와 朱熹의 시 의식

        천기철(Chun Gi-chul)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20 No.-

          詩序는 시의 작자, 유래, 의도 등에 대해 해석을 붙인 序說이다. 이는 ??시경?? 해석의 길잡이 역할을 해왔다. 그만큼 시서는 ??시경?? 해석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시경학자들은 그것의 신뢰문제를 두고 뜨거운 논쟁을 벌였다. 송대 이전의 학자들은 대부분 시서를 子夏가 지었다고 생각했다. 만약 자하가 시서를 지었다면 시서의 ??시경?? 해석은 절대 적인 권위를 지닐 수 있다. 왜냐하면 자하는 공자의 제자로서 ??시경??의 刪削 過程을 직접 보았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시 경?? 해석으로부터 해방되어 보다 자유롭게 ??시경??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시서의 ??시경??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시경??에 대한 자유로운 해석은 시서의 작자문제로부터 가닥을 잡아야 했던 것이다. 송대에 이르러 주희는 ??시경?에 대해 나름대로의 해석체계를 갖추려고 했다. 그는 이 일을 해내기 위해서 시서의 작자문제를 거론했다.   본고는 주희가 시서의 작자문제에 대해 어떤 이의를 제기하며, 그로부터 어떠한 결론에 이르는가를 우선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주희가 시서를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그의 ??시경?? 이해는 어떤 한계를 지니게 되었는가를 밝히는 것으로 결론을 삼았다.   본고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머리말에 이어서 Ⅱ장에서 시서의 작자 문제에 대해 오랫동안 복잡한 논란이 일어나게 된 실제적인 이유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시서의 작자문제가 제기되는 과정과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주희가 ?시서?를 이해하게 된 과정과 그가 내린 결론들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검토하였다. 특히 그의 시서론의 전개가 그 앞 시대의 연구업적들과 어떤 연관을 맺으며, 그가 ?시서?를 어떻게 이해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Ⅳ장에서는 ?시서?에 대한 검토와 정리를 마친 그가 실제로 ??시경??을 어떻게 이해했으며, 그 이해에는 어떤 특징 과 한계가 있는가를 ??詩序辨說??의 내용을 통해 밝혀보았다. 결론에서는 앞서 밝혀진 사실들을 정리하였다.   Siseo(詩序) is an introduction to poems with attached interpretations of authors, their intentions, the derivation of poems and the like. Accordingly, it carries much weight in the interpretation of She King(詩經; the Book of Poetry). However, scholars of She King had heated debates about its reliability. Most of the scholars of the pre-Song dynasty period thought the author of Siseo was Jaha(子夏). If Jaha wrote it, the interpretation of She King could be absolutely authoritative, because it can be presumed that as a disciple of Confucius, Jaha himself saw the editing process of She King. Therefore, in order to be liberated from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She King and to interpret it more freely, scholars had to raise objections to Siseo"s interpretation of She King. They had to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author of Siseo first for free interpretation of She King. Joohee planned to make a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She King during the Song(宋) dynasty. He discussed the problem of the author of Siseo in order to carry it out.   In the first place, this thesis examined what objections Joohee had raised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author of Siseo and what conclusions he had drawn from them. Next, it arranged how Joohee had understood Siseo. Lastly, it was concluded by finding out what limitations his understanding of She King had come to have.   This thesis is largely composed of four parts. Chapter Ⅱ, following the preface, examines the actual reasons for the occurrence of a long complicated controversy over the author of Siseo. It deals with how the problem of the author of Siseo was raised and what the result was. Chapter Ⅲ examines how Joohee came to understand Siseo and what conclusions he reached about it through concrete data. In particular, it focuses on how his theory about Siseo was related with his study achievements and how he understood Siseo. Chapter Ⅳ finds out how Joohee actually understood She King after reviewing and arranging Siseo and what features and limitations his understanding had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Siseo-byeonseol(詩序辨說). The facts found out above are arrang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시경》의 여성 화자 시에 대한 다산 정약용의 인식 -정약용의 《시경강의》를 중심으로-

        정소연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4 No.-

        While Zhu Xi(朱子) the songs of 《Shi-Jing(詩經)》 by a civilian man and woman, it has been discussed that King Jeong-jo and Dasan Jeong Yak-yong show a governic view. However, this paper focused on Dasan’s 800 answers to King Jeong-jo’s questions on 《Shi-Jing(詩經)》, where Jeong-jo and Dasan’s opinions are divided again relating to the female speaker’s poems in 《Shi-Jing(詩經)》. Chapter 2 examined the fact that Dasan thought 《Shi-Jing(詩經)》 has not women’s poetry, but he recognized the existence of a female speaker, not because it was a woman’s work, but because it was a literary formulation method of the deceased. The main contents of Chapter 3 are as follows. Dasan read 《Shi-Jing(詩經)》 as a servant, he discussed how to show a different position from King Jeong-jo. In addition, Dasan Jeong Yak-yong revealed that he sees men and women equally as a poet and reads objectively the voices of female speakers with a spirit of satire. Dasan Jeong Yak-yong is evaluated to have shown a way of interpreting poetry that not only escapes the passive female image of waiting for the male lover or husband, but also deviates from the metaphor of the monarch as a subject. Dasan is meaningful in highlighting the new aspect of female speakers in ancient times’ women poetry by capturing that female speakers of ancient times can make their voices with keen precision by pointing out the times and reality’s problems. 주자가 폐서(廢序)관의 입장에서 《시경(詩經)》을 민간 남녀의 노래로 보는 것에 반해, 정조나 다산 정약용은 존서(尊序)의 입장에서 경세적 시경관을 보인다고 그간 논의되었다. 그러나 본고는 정조와 다산의 의견이 다시 나뉘어지는 지점이 주자의 음시(淫詩)관과 주자가 여성 화자를 음부(淫婦)로 보는 그 자리에 있음을 포착해 여성 화자 시를 다산이 어떻게 읽고 있는지 정조의 800여 개의 물음에 다산이 답한 《시경강의(詩經講義)》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시경》의 여성 창작 여부에 대한 다산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다산은 《시경》에 여성 시인의 작품이 없다고 여겼지만 여성 화자의 존재는 인식하였다. 다산은 단순한 여성적 소재나 비유를 여성의 일이라는 편견으로 보지 않고, 여성 화자로 말하는 것은 고인의 작시법으로서 문학적 형상화의 방법이라고 보았다. 또 정조는 임금의 입장에서 유리한 해석을 위해 주자설과 같이 여성 화자의 시를 음시로 보려는 시각을 가진 반면에 다산은 팽팽한 긴장감을 보이며 대립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다산이 ‘하이풍자상(下以諷刺上)’의 시경관을 가지고 신하로서 정조와 어떻게 다른 입장을 보이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 또 주자가 음시로 본 시들과 여성 화자를 음녀로 본 시들에 대해 다산은 여성 화자 시가 애정시의 영역을 벗어나 사회와 현실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음을 지적하고, 남녀를 대등하게 인식하여 재해석을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시경》에 대해 주자가 음시라고 보거나 여성 화자를 음란하다고 본 시들에 주목함으로써 이 지점을 통해 다산과 정조의 시경관이 서로 달라지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또 기존의 교화적이고 의리지학적인 시각에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여성 화자 시에 대한 다산의 인식을 드러낼 수 있었다. 다산 정약용은 《시경》의 남성 시인이 여성 화자의 페르소나로 임을 기다리는 수동적 여성상에서 벗어나 사회 현실에 대해 비판적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하로서 군주를 향하는 비유를 벗어나는 시 해석법을 보여주었다. 다산의 《시경》 해석은 고대 여성 화자 시가 얼마든지 시대와 현실을 예리하게 지적하며 그 목소리를 낼 수 있음을 포착해내어 고전시가(古典詩歌) 여성 화자의 새로운 면모를 부각시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시경강의보유(詩經講義補遺)』 특징 연구 — 『시경강의 』와 비교를 중심으로

        차영익 중국문화연구학회 2024 중국문화연구 Vol.- No.63

        다산 정약용은 18, 19세기 초에 걸쳐 경학사의 한 획을 긋는 사람이다. 그의 경학적 특징은 청대 고증학과 한학과 송학을 겸한 경세치용적 학문이라고 정의된다. 그의 경학적 특징은 육경사서에 들어있는 경학사상을 연구하면 그의 전체적인 경학적 특징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산 경학의 전체적인 면모를 알기 위한 일환으로 그의 시경학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산의 시경학은 『시경』이 윗사람을 풍자하기 지어졌다는 관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민간가요인 국풍을 사대부가 임금을 간하기 위해 지었으며, 평천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시경강의』는 1791년 다산이 초계문신으로 있을 때 정조가 『시경』에 대해 질문한 800여 조목에 대한 답문형식으로 지어졌고, 이후 1809년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완성한 것이다. 약 20년간에 걸쳐 『시경강의』를 완성하였지만, 정조의 질문에 답한다는 한계가 있어서 다하지 못한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 위해 지은 것이 『시경강의보유』이다. 그동안 다산의 시경학에 관한 연구는 『시경강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시경강의보유』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본 논문은 『시경강의보유』의 특징을 규명함으로써 다산 시경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시경강의보유』는 대체로 분량이 적고 설명이 간략하여 시경강의에서 빠진 부분을 보충하는 서적 정도로 취급하여 그 가치를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다산이 『시경강의보유』 서문에서도 지적하다시피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부분의 '백 분의 일'도 말하지 못했다는 말이 조금 과장되었다 하더라도 소홀히 여길 부분이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시경강의보유』를 지을 때가 다산의 후기 경학적 특징을 드러내는 시기라 간과해서는 안 될 부분들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부분들에 단서를 얻어 그 대략적인 특징을 살펴보되, 다산의 경학적인 특징과 연관시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SiGyongGangEu(詩經講義) of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was an answer sheet to JeongJo(正祖)’s 800 questions of SiGyong(詩經). DaSan stressed the exegesis of the words in SiGyong. DaSan had a critical point of view to the JuHui(朱熹)’s theory. He interpreted the preface of SiGyong as an application to the actual government, not a simple commentary. Before Dasan, Shi-Jing-Xue(詩經學) emphasized the method of edifying the people through ‘Onyudonhu(溫柔敦厚)’ and added or revealed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presented in Zhu Xi’s Collection of Commentaries of Poetry(詩集傳). Dasan’s Shi-Jing-Xue was based o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letters, and the understanding of shixu(詩序) was important. This is also applied to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from SiGyongGangEu(詩經講義). Since SiGyongGangEu(詩經講義) is in the form of answering Jeongjo’s questions, the reason why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was built was that he included what he wanted to say about Sigyeong in addition to Jeongjo’s questions.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overall meaning of Dasan’s Shi-Jing-Xu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ntents missing from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With this inten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overall meaning of Dasan’s Shi-Jing-Xue by adding the meaning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of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First, Dasan determines the details of the reservation of the judgment of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from the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For example, the judgment was put on hold in the 「SiGyongGangEu(詩經講義)」, which is praised or satirized, but the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confirms it as a satirical poem. Second, Dasan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Gyong as a a GanSeo[諫書: document in which a servant tells the king to correct wrong or wrong things]. Dasan stipulates that the duty of poetry is to satirize reality by stating old things. This characteristic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Han Dynasty’s Mosiseo[毛詩序] and was manifested in Dasan’s sense of problem at the time. In conclusion, we can get closer to the overall aspect of Dasan’s 「SiGyongGangEuboyu(詩經講義補遺)」 through a broad analysis of Dasan’s Shi-Jing-Xue(詩經學).

      • KCI등재

        삼연 김창흡의 시경체 한시와 시경론과의 관련성 - 다산 정약용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진영 ( Kim Jinyou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3 No.-

        시경체 한시란 『시경』의 형식 및 체제를 본 따 지은 한시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삼연 김창흡(1653~1722)이 독자적인 시경론 저술을 남기는 한편 다수의 시경체 한시를 창작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의 시경체 한시와 시경론 사이의 관련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다산 정약용(1762~ 1836)의 경우와 비교해봄으로써 조선후기 한시사 및 시경학사의 한 국면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삼연의 시경체 한시는 초기에는 민요의 정취를 재현하는 작품들이 지어졌으나, 중기 이후로는 특정 인물과의 일상적 교유를 바탕으로 한 贈詩가 많이 지어졌다. 그리고 설악산 은거시기에는 작자의 일상생활과 주변풍경을 소재로 하여 「파경집구」라는 집구시가 창작되었다. 다산의 시경체 한시는 초기에는 벗에 대한 찬미, 유배지에서의 신세 한탄 등 개인적 상념을 읊는 작품들이 창작되다가, 1806년 이후부터는 현실 비판적 성격이 짙은 愛民詩 계열이 주를 이루게 된다. 1809년에 지어진 「전간기사」는 그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주제·소재 면에서 삼연의 시경체 한시에 개인적 서정의 면모가 두드러진다면, 다산의 시경체 한시에는 사회적 서정의 면모가 두드러졌다. 삼연과 다산의 시경체 한시에 나타나는 ‘개인적 서정’과 ‘사회적 서정’의 차이는 양자의 시경론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될 수 있다. 삼연의 시경론은 주자의 국풍민요설을 지지하는 宋學 쪽에 가까웠고, 다산의 것은 「毛詩序」의 美刺說을 지지하는 漢學 쪽에 가까웠다. 삼연은 국풍민요설을 바탕으로 ‘자연발생적 서정시’로서 민요가 지닌 천진성을 높이 평가했다. 나아가 사대부 한시가 이를 배워 그 천진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산은 미자설을 바탕으로 하되, 사대부로서 지니는 풍간의 책무를 더욱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견해를 폈다. 그리고 스스로가 맹자가 말하는 大人이 되어 시로써 군주의 마음을 바로잡고자 하였다. 그들은 각자가 파악한 『시경』의 精髓를 작품화하여 시경체 한시로 구현해낸 것이었다. Shijing(詩經) style poetry means a poem whose form and style imitates that of Shijing. Focusing on the fact that Samyeon(三淵) Kim Changheup(金昌翕, 1653~1722) not only left his own Shijing-hermeneutics(詩經論) writing but also wrote a number of Shijing-style-poem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Shijing style poetry and his Shijing-hermeneutics. At the same time, I also try to compare this to the case of Dasan(茶山) Jeong Yagyong(丁若鏞, 1762~1836), so that we can explore a facet of the poetry writing and Shijing-hermeneutics during the late-Joseon(朝鮮) period. Samyeon’s Shijng style poetry, in early stage, was mainly composed of the works reproducing the taste of folk song; but later, gift poems related to companionship with specific persons were frequently created. During his secluded days in Mountain Seorak(雪嶽山), Samyeon compiled A Collection of Cento Poems Composed of Phrases from Shijing(葩經集句) portraying the poet’s everyday life and landscape around him. Dasan’s Shijng style poetry, in early days, was composed of works describing the poet’s personal emotions such as admiring friend or dwelling on his misfortune in exile; but after 1806, poems with social themes like describing the weary life of peasants became mainstream. Reportage on Rural Incidents(田間紀事), written in 1809, was a typical example of such poems. The theme or subject of Samyeon’s Shijing-style poetry more focused on personal lyricism whereas that of Dasan’s more focused on social lyricism. The thematic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ets’ Shijing style poetry can be explained through their Shijing-hermeneutic viewpoints. Samyeon’s viewpoint was more close to the Song School(宋學) Shijing-hermeneutics which supported Zhu Xi(朱子)’s theory that Guofeng(國風) is mainly composed of folk song; whereas Dasan’s viewpoint was more close to the Han School(漢學) Shijing-hermeneutics based on the Commentary on Shijing by Mao School(毛詩序) claiming that Guofeng is mainly composed of socio-historical poems. Based on the Zhu Xi’s Guofeng theory, Samyeon emphasized the naturalness of the folk song as a spontaneous lyric poetry. He also proclaimed that literati’s poetry should learn folk song and recover the naturalness. Based on the socio-historical viewpoint about Guofeng, Dasan paid more attention to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literati as a poet. And he himself tried to become the Great Man(大人), as Mencius(孟子) said, and alert king’s mind through poetry. Samyeon and Dasan had different thoughts about what the essential theme of Shijing was, and they embodied it in the form of Shijing style poetry.

      • KCI등재

        本庵 金鍾厚 詩經說의 특징과 의미 - 朱熹 『詩集傳』에 대한 객관적 검토의 측면에서

        홍유빈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2 No.-

        본고는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였던 本庵金鍾厚(1721-1780)의 詩經說을 검 토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논문이다. 그는 관료로서 우의정까지 오르고 대제학으로 서 학술적 조예도 깊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그의 문집인 『本庵集』에는 그가 작성한 『小學』 및 四書三經에 대한 註解가 남아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력이나 업 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經學에 대한 연구는 『尙書』에 대한 연구 외에 드문 실정이 다. 결론적으로 볼 때 본암 김종후의 시경설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朱熹의 『詩集傳』에 대한 비판적 검토라 할 수 있다. 다만 주희의 시경설 전반에 대한 총체 적인 비판은 아니며, ‘箚錄’이라는 제목대로 『시집전』 가운데 의심이 드는 구절을 가져와서 분석하는 미시적인 작업이었다. 그러나 당대 조선에서 주류였던 주희의 시경설을 조목조목 검토하고 비판하는 자체가 의미있는 시도라 할 수 있으며, 부분 에 대한 공박인 만큼 예리한 측면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비판의 근거로서 『毛詩正義』에 수록된 漢代의 注疏를 적극 활용하였다는 것은 당대 특히 그가 속해 있던 老論내에서는 드문 일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논의의 대상으로 본암 본인과 같은 계열인 삼연 김창흡의 설도 10여 차례 가량 언급하는데, 조선 시경학의 가 치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생각 된다. 한편 삼연의 시경설에 대 한 검토는 같은 계열이자 동년배인 담헌 홍대용도 실시한 바가 있다. 다만 담헌의 경우에는 삼연의 설에 대해 비교적 주관이 개입된 평가를 함에 비해, 본암은 앞서 언급한 漢代의 注疏나 여타 字書들을 통해 검증하고 증명하는 객관적인 면모를 보 인다. 물론 당대인 18세기조선 시경학에 있어 少論인 석천 신작(1760-1828)의 경 우 漢‧唐의 訓詁를 집성하였고, 南人인 성호 이익(1681-1763) 역시 자신의 시경설 을 개진하는 데에 漢代의 注疏를 인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암 김종후의 경우처럼 『시집전』의 구절을 제시하고 그것과 注疏의 내용을 일일이 검토하는 작업은 보 기 드문 일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주희의 시경설을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시도는 그 가 속한 老論의 시경학에서 뿐 만 아니라, 少論과 南人을 포함한 조선 시경학 전체 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本庵金鍾厚(1721-1780)’s 詩經說 and the characteristic of his 詩經說. He was a government official in Chosun Dynasty and reached to 右議政and grand priesthood(Dae Jae Hak) with profound academic depth. In addition, he wrote 『本庵集』, which was written about 『小學』 and the interpretation of 四書三經. By the way, except of his research about 經學, there were little of research regardless of his career and work. As a result, in summary of 本庵金鍾厚’s 詩經說is critical review about 朱熹’s 『詩集傳』. But, it was not total critic about 朱熹’s whole 詩經說, according to the title of ‘箚錄’ it was a microscopic work to bring the suspicious phrase from 『詩集傳』. However, it was a meaningful try, itself, to examine and criticize of 朱熹’s 詩經說in detail because 朱熹’s 詩經說was a main stream in Chosun Dynasty. Besides, it was very deep and sharpt since it was not whole parts. In addition, it was rare to do this kind of work in the party of 老論which he belonged to since he actively use the 注疏 of Han Dynasty was written in 『毛詩正義』. In addition, he mentioned about the same party, 三淵金昌翕’s study 10 times, it was meaningful since he recognized of Chosun 詩經學’s value. The review of 三淵’s 詩經說was done by 湛軒洪大容, who was the same party and contemporary. But in the case of 湛軒, he evaluated of 三淵’s study with subjective nuance, 本庵examined of 注疏in Han Dynasty and other 字書with objective posture. Of course, in 18 century of Chosun 詩經學, 石泉申綽(1760-1828) who belonged to 少論 collected 漢‧唐’s 訓詁, 星湖李瀷(1681-1763) who belonged to 南人referred to 漢Dynasty’s 注疏in order to insist of his 詩經說. But in the case of 本庵 金鍾厚, he brought of the phrases of 『詩集傳』 and compared to the contents of 注疏one by one was very rare work. This kind of try with objective evaluation of 朱熹’s 詩經說was very meaningful not only in his party, 老論’s 詩經學, bust also in 朝鮮詩經學which included 少論and 南人as a whole.

      • KCI등재

        『詩經』 風論 再考

        홍유빈(You-Bin H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본고는 『詩經』 篇章의 명칭 중 하나인 ‘風’에 대한 기존의 논쟁을 검토해 보고, 그러한 논쟁의 원인과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 논문이다. 주지하다시피 「毛詩大序」에서 ‘風’을 ‘風化’와 ‘諷刺’로 나눈 이래, 『詩經』 「國風」의 風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다만 「大序」의 風論에 대해 鄭玄과 孔穎達이 설명한 내용을 종합해 본 바, 「大序」에서 언급한 ‘風化’ 역시 ‘諷刺’에 속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詩經』 편장의 명칭인 「國風」의 風에 대해서는 다른 개념이 요구된다. 「國風」의 風의 의미를 알기 위해 먼저 ‘風ㆍ雅ㆍ頌’의 구분 문제를 짚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크게 ① 정사적 구분(내용 기준), ② 체제적 구분(수사법 기준), ③ 음율적 구분(연주스타일 및 음계)으로 구분하였다. 다만 이 중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기준은 시편의 내용이나 수사적 방식이 風ㆍ雅ㆍ頌의 작품들 사이 서로 넘나듦이 있다는 점에서 분류의 기준이 되기에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세 번째인 ‘음율적 구분’은 이러한 모순으로부터 자유로우며, 「關雎」 및 「雅」ㆍ「頌」을 음악으로 인식했던 공자의 태도와도 일치되는 면이 있다. 아울러 양계초를 포함한 근대 중국의 학자들 역시 ‘음율로서의 風’을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國風」의 風을 ‘반주가 없는 노래’인 ‘徒歌’로 보는 이러한 설은 음악적 성격을 강조했다는 의의는 있지만, ‘그것이 왜 편장의 기준이 되는가?’에 대해서는 미진한 부분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방산 윤정기의 견해가 주목되는데, 그는 「國風」의 風을 기후의 온화함과 사나움의 차이와 그에 따른 음률의 차이로 보아, ‘音律 혹은 樂名의 개념으로서의 風’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그는 『詩經』 편장인 ‘風ㆍ雅ㆍ頌’의 ‘風’은 음악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장르적’인 개념(【樣式】)으로, 周禮 에서 언급된 ‘風ㆍ賦ㆍ比ㆍ興ㆍ雅ㆍ頌’[六詩]에서의 ‘風(=諷)’은 ‘수사적’인 개념(〖詩體〗)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詩經 편장인 「國風」의 風이 ‘음악 양식으로서의 風(style)’이며, 수사적 기법인 ‘六詩’에서 말한 ‘풍자의 의미로서의 諷(satire)’과는 다름을 선명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風(⇒樣式)’과 ‘諷(⇒詩體)’을 구분해서 보는 ‘二元’ 혹은 ‘二分’적인 이해는 시경 국풍의 風論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의 대안이 된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debate on '風', one of the names of '『詩經』 篇章' and suggests the cause of such controversy and alternatives. As is well known, since the division of “風” into “風序” and “刺諷” in “毛風風”, the debate over the 風 of 『詩經』 「國風」 has continued. However, after synthesizing the contents explained by 鄭玄 and 孔穎達 about the theory of 風論 in 「大序」, it was confirmed that ‘風化’ was mentioned in 「大序」 also belonged to ‘諷刺’. Therefore, a different concept is required for the name of the chapter about the 風 in 「國風」 of 『詩經』. In order to know the meaning of “風” in 「國風」,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風ㆍ雅ㆍ頌’ was first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it was largely divided into political classification (based on content), syste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investigation method), and phonetic classification (performance style and scal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criteria among these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ar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at the content or rhetorical methods of the psalms cross each other between the works of 風, 雅 and 頌. In contrast, the third “phonological classification” is free from this contradiction,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Confucius' attitude, which recognized “雎關” and 「雅」ㆍ「頌」 as music. However, this theory, which sees the 風 of “「國風」” as “Song without accompani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musical character, but there are insufficient parts about “why is it the standard of the chapter?“ In this regard, the view of Bangsan Yoon Jeong-ki is noteworthy, and he derived “風 as a concept of 音律 or 樂名” by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ldness and ferocity of the climate and the resulting sound. In addition, he divided into ‘風’(【樣式】) of ‘風ㆍ雅ㆍ頌’ which is “genre” concepts based o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風=諷’(〖修辭〗) of ‘風ㆍ賦ㆍ比ㆍ興ㆍ雅ㆍ頌’[六詩] which is mentioned in 『周禮』. Through this distinction, it can be seen that 風 of 「國風」 is “style as a musical style”, is clearly different from 諷(satire) as a satire meaning. In this perspective, I think that the '二元' or '二分' understanding, which distinguishes ‘風(⇒樣式)’ and ‘諷(⇒詩體)’ is an alternative solution to ending the debate over the 風論 of 『詩經』「國風」.

      • KCI등재후보

        『시경(詩經)』의「국풍(國風)」소고(小考)

        유형구 ( Hyeong Gu Y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4 No.-

        爲了使《詩經》對現代人修養人格、治國持家、改風易俗、建立健全的社會有所幇助, 本稿以國風作品爲對象, 進行詩歌選擇立對其內容進行硏究, 整理如下。第壹章, 在序論中, 首先通過察閱《三國史記》等史書來了解, 中國的《詩經》傳入我國的過程以及學習引進的內容, 其次, 對《詩經》進行槪括性解說。根據司馬遷在刪詩說中所說《詩經》最初有三千餘篇, 經孔子刪減爲三百十壹篇, 以及《墨子?公益篇》中 誦詩三百等句子, 得知自唐朝初期開始《詩經》爲三百五篇, 對于這壹異說進行了了解, 立對四家詩和風雅頌, 興賦比六義及毛詩序進行了硏究。第二章,《詩經》和韓國人的關系,依據曆史書了解到《詩經》傳入我們國家的過程和在各級學校中作爲敎材使用的來曆。第三章, 爲作品的內容硏究. 本章以十五國風爲對象, 介紹了從周南壹直到幽這些國家的地域和歷史, 立從壹百六十首國風詩中選出代表各國國風的作品, 立對內容進行了思考。1.《周南?關雎篇》描繪了健全男女君子和淑女想念立追求配偶以及追求到配偶之後, 琴瑟膠柱, 享受鐘鼓之樂夫婦愛。2.《召南·鵲巢篇》描繪了成爲諸侯新婦的成熟女性面貌。3.《패風·凱風篇》描寫了七兄弟的兒子的壹片孝心, 爲不能安慰母親而反省。4.《용風·柏舟篇》以共姜在定婚人死後, 堅守節操爲內容。5.《衛風·泣奧篇》考査了衛武公的治積。6.《王風·黍離篇》描述了大夫對西周崩壞的哀痛以及愛國憂民之情。7.《鄭風·女曰계鳴篇》描繪了夫婦互相勉勵的健全的生活面貌。8.《齊風·著篇》描述了新식婦出家的美好新婚情形。9.《魏風·陟岵篇》描寫了兒子被國家召集去行役, 對父母和兄弟的思慕之情。10.《唐風·실솔篇》描述了充實的度過農閑期的那種勤勉的生活態度。11.《秦風·小戎篇》描寫了士兵防禦夷狄的두志博博的精神面貌。12.《陳風·衡門篇》通過隱居君子的面貌諷刺了僖公的無能。13.《檜風·羔구篇》描述了大夫諷刺國王只追求侈奢, 對政治毫不關心, 立想離開國家的情形。14.《曹風·下泉篇》以讚美순伯幇助周王的勞苦爲主要內容。15.《幽風·破斧篇》主要讚頌周公東征建立的豊功偉績。第四章 爲結論篇, 對序論和本論中所描述的內容進行槪括, 記述。 이 小考는 『詩經』의 詩가 현대인에게도 인격을 수양하고 가정과 나라를 다스리며 풍속을 바꾸고 건전한 사회를 형성하는데 일조가 된다고 보아 전반(前半)의 「國風」을 대상으로 각 제후국의 작품 1편씩을 선정하여 그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제1장 머리말에서는 詩經이 우리나라에 수입된 과정과 학습하여온 내용을 살펴보았고 다음에 詩經에 대한 개괄적인 해설을 하였다. 이 詩經은 본래 3,000여 편이던 것을 孔子가 산시(刪詩)하여 311편이 되었다고 하는 사마천(司馬遷)의 산시설(刪詩說)과 묵자(墨子)의 「公孟」편에 "송시삼백(誦詩三百)" 등으로 보아 『詩經』은 당초부터 305편이다."라는 이설이 있음을 언급하고 이어 풍아송(風雅頌) 흥부비(興賦比) 등의 六義와 「毛詩序」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2장 "시경과 한국인의 관계"에서는 시경이 우리나라에 수입(輸入) 된 과정과 국학 국자감 태학 성균관 향교 서원 서당 등 각급 교육기관에서 수용된 내력을 삼국유사 등의 사서(史書)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 "作品의 內容硏究"에서는 먼저 「주남(周南) 」으로부터 빈풍(빈風)까지의 각국의 지역과 역사적 사실을 소개하고 선정한 시를 번역하고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주남의 관저(關雎)편에서는 건전한 남녀인 군자와 숙녀가 배우자를 그리워하며 구하는 모습과 구한 뒤 금슬 좋게 친애하며 종고(鐘鼓)로 즐기는 부부애를 살펴보았다. 「소남(召南) 」의 작소(鵲巢)편에서는 제후의 신부가 될 정숙한 여인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3. 「패풍(패風) 」의 개풍(凱風)편에서는 아들이 모친을 위로하지 못함을 반성하는 효심을 알아보았다. 4. 「용風」의 백주(柏舟)편에서는 공강(共姜)이 약혼자가 죽자 수절한 내용을 알아보았다. 5. 「衛風」의 기욱(淇奧)편에서는 "위무공(衛武公)"의 치적을 고찰하였다. 6. 「王風」의 서리(黍離)편에서는 서주(西周)의 붕괴를 애통하는 대부의 애국우민의 정을 알아보았고 7. 「鄭風」의 여왈계명(女曰계鳴)편에서는 부부가 서로 권면하는 건전한 생활 모습을 알아보았다. 8. 「齊風」의 저(著)편에서는 신부가 시집오던 신혼의 모습을 회상하는 내용을 알아보았고 9. 「魏風」의 첩고(陟岵)편에서는 나라의 행역에 나간 아들이 부모 형제를 그리워하는 심정을 살펴보았다. 10. 「唐風」의 실솔편에서는 농한기를 보람 있게 보내는 근면한 생활태도를 알아보았고 11. 「秦風」의 소융(小戎)편에서는 융적을 방어하는 씩씩한 병사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12. 「陳風」의 형문(衡門)편에서는 은거하는 군자의 모습을 통하여 희공(僖公)의 무능을 알아보았다. 13. 「檜風」의 고구(羔구)편에서는 대부가 사치만을 좋아하고 정치에는 관심이 없는 임금을 풍자하며 나라를 떠나려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14. 「曹風」의 하천(下泉)편에서는 주왕(周王)을 보익한 순백(순伯)을 찬미한 내용을 알아보았고 15. 「빈風」의 파부(破斧)편에서는 주공이 동정하여 세운 위대한 공업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제4장 "맺음말"에서는 연구를 진행한 내용을 요약 서술하여 끝을 맺었다.

      • KCI등재

        茶山・舫山 詩經說이 지닌 복고적 성격과 그 경학사적 의미-「周南」과 「召南」을 중심으로-

        홍유빈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60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reconsider of 茶山 丁若鏞 and his grandson, 舫山 尹廷琦’s 詩經學. in terms of restorative perspective. In fact, restoration in 詩經學 means 毛詩說 of Han dynasty and 魯・齊・韓’s 三家詩說. And 舫山 also succeed 茶山’s this restorative pattern in his 詩經說. The previous researchers thought 丁若鏞’s 詩經學, which based on mainly 諫書論, had political characteristics. However, when we see the commentary of 周南 and 召南 in this paper,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refer 毛詩序 and 三家詩 and there were scholarly characteristics with little political characteristics. 詩經講義補遺, which was considered as 丁若鏞’s the latest part, had 諫書論’s suggestion, however, since 丁若鏞 had plenty of time in exile period and he studied about the ancient commentary such as 毛詩序 and 鄭玄’s theory. Therefore, this suggestion may put 丁若鏞 and 尹廷琦’s works in the field of scholarly works. On the other hand, 尹廷琦, who succeeded in 丁若鏞’s 補遺說, used more various and vast works such as 先秦諸家’s theory. And he approached 西漢今文學 with more restorative aspect in ancient commentary. And these restorative trends are as same as 詩經學 in 淸 dynasty which have restorative trends. In addition, when we examined of the interpretation of 詩經, 尹廷琦’s comments present the ancient’s commentary as well as his own opinion. For example, in 周南 芣苢’s case, 尹廷琦 thought even if someone had the weakness, the king should choose him because he had the strength. This opinion is the one that collaborates with 韓詩說 and 毛詩說. And in 召南 何彼穠矣’s case, the previous researchers considered it as “praise poem,” however, 尹廷琦 confirmed it as “satire poem” which followed 丁若鏞’s 補遺說. (This point of view was very rare and 方玉潤 in 淸 dynasty also had this perspective. This is very remarkable.) 尹廷琦’s 詩經說 was respect of the ancients’ commentary, but he proposed his own perspective as well. In the conclusion, 丁若鏞 and 尹廷琦’s 詩經說 are far from of their political characteristics. We can understand it with scholarly view. With given view, we need to examine in the field of 經學 itself. 본고는 조선후기 학자인 茶山 丁若鏞(1762~1836)과 그의 외손인 舫山 尹廷琦(1814~1879)의 시경학이 가진 복고적 성격의 의미를 되짚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복고성이란 시경학에 있어 다산의 후기설이 입론의 근거를 漢代의 ‘毛詩說’ 및 그보다 이전에 정립된 魯・齊・韓의 ‘三家詩說’에서 취하는 경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방산의 詩經說 역시 다산의 이러한 경향을 계승하여 보다 견고하게 다듬고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에서 다루어 볼 수 있다. 그리고 간서론을 위주로 한 다산 시경학의 이러한 경향에 대해 기존의 평가의 경우 그것을 다산 경학의 ‘정치성’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고에서 다룬 「周南」과 「召南」에 대한 주석을 보았을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모시서」와 「삼가시」를 두루 참고하는 등 기본적으로 ‘학술적 성격’을 띠며, 그 안에는 정치적 색채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다산의 후기설이라 할 수 있는 『시경강의보유』에는 간서론의 주장이 강하게 피력되고 있지만, 이 역시 유배기의 시간적 여유 속에서 「모시서」 및 鄭玄의 설을 재음미 하는 가운데 그 주장이 성립되고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학술적 영역 안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방산 윤정기는 이러한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방대한 자료를 가지고 선진제가의 설들을 참조하는 가운데 古注 안에서도 한층 더 복고인 西漢 今文學에 맞닿는 논의를 펼쳤다고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고적 특징은 동시대인 청대 시경학에서 점차 古注를 중시하는 복고적 경향과도 일맥상통한다. 한편 시편 해석을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방산의 설시는 古注를 참고하면서도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설을 개진하기도 하는데, 예컨대 「周南・芣苢」의 경우 방산은 『속집』에서 냄새가 고약한 질경이를 따는 것이 사람에게 나쁜 질환이 있지만 그럼에도 쓸 만한 재주와 덕행이 있으니 그것을 뽑아야지 버리면 안 된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韓詩의 설(⇐三家詩)’과 ‘求賢審官의 설(⇐毛詩)’을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召南」의 「何彼穠矣」편의 경우 이 시를 찬미시로 보는 ‘漢代의 古注’와 ‘朱熹의 新注’의 견해에서 탈피하고, 이 시를 풍자시로 본 다산의 『보유』의 설을 계승하여 이 시를 풍자시로 확정하였다. 이 시를 풍자시로 보는 견해는 드물다 할 수 있는데, 청대의 방옥윤 역시 이러한 시각을 가졌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렇게 淸代의 自得 계열과 조응하는 방산의 시경설의 의미를 논한다면, 방산의 시경설이 古注를 존중하여 삼가시와의 접점을 이루긴 하였지만, 그것에 종속되지 않고 자신의 생각을 가지고 독자적인 설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다산과 방산의 시경설은 그들의 經世論에 결부시키기에 앞서, 그 본연의 經學的 맥락에서 보다 자세히 이해될 필요가 있으며 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方玉潤 『詩經原始』 연구 ― ‘淫詩’ 혐의가 제기된 시들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이남종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2

        ≪詩經原始≫는 淸 方玉潤(1811-1883)이 同治(1862~1874) 연간 저작이다. 方玉潤의 《詩經》 해석은 漢·唐代 詩經學 또는 宋代 詩經學의 울타리를 벗어나 經文 자체에서 의미를 추구하고 또 詩를 가지고 詩를 논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에 그의 저작은 崔述의 《讀風偶識》 및 姚際恒의 《詩經通論》과 함께 독립적 연구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본고는 ‘淫詩’ 혐의가 제기된 시들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詩經》의 ‘淫詩’에 대한 논의는 春秋 시기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으나 다수의 시편들에 대하여 淫詩로 규정한 이는 宋 朱子이다. ‘淫詩’로 지목된 시를 그대로 ‘淫詩’로 받아들일 것인가의 문제는 《詩序》 및 朱子 詩經學에 대한 수용과 배격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方玉潤은 ≪詩經原始≫에서 각 시편의 제목 아래에 새로 詩序를 제출하여 기존의 《詩序》를 대신하였으며, 〈自序〉, 〈凡例〉, 〈詩無邪太極圖說〉 〈詩旨〉 및 음시 혐의가 제기된 시편에 대한 釋義에서 朱子 詩經學의 주요 주제인 淫詩說을 부정하였다.

      • KCI등재

        朝鮮時代(조선시대) 詩經學(시경학) 속의 朱熹(주희) 詩經學(시경학) -수용과 재해석 양상을 중심으로-

        김수경 ( Su Kyung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7 No.1

        시경학이 한국 전통 시경학에 중요한 영향을 끼쳐왔음에 불구하고, 종래 조선시대 시경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주희 시경학과는 다른 성격 내지 반대되는 성격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주희설이 조선시대 시경학에 큰 영향을 끼친 만큼 그 수용 .해석 양상이 구멍되어야 조선시대 시경학의 전체 면모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소위 ‘반주자’ . ‘탈주자’로 일컬어지는 시경학의 성격도 보다 온전히 구멍될 수 있읍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시경학에 수용.재해석된 주희 시경학의 연모를 고찰하여 조선시대 시경학의 다층적 면모를 밝히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대상 주석서는 조선시대 주희설 수용 양상이 비교적 전형적으로 드러난 8종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다. 본고에서 고찰한 조선 시경학에 드러난 주희 시경학에의 접근 시각과 道學 思想, 詩義 脈絡, 문헌 대상으로서의 측면, 우리말 언어 전환 과정 네 가지 방면이다. 본고의 텍스트 선정이 주희 중심적 주석 경향을 모두 대변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조선시대 주희설 이해 양상을 전면적으로 고찰하는 데 발판 작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Zhu Xi`s Hermeneutics of Shihjing has been a great impact on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Korean study of her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has mainly focused on the perspectives different from Zhu xi`s. This study trend makes a great number of texts which are regarded as hermeneutics of pro-Zhuxi remain unstudied.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investigate the hermeneutics of pro-Zhuxi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aspect of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Zhuxi`s hermeneutics of Shihjing have various facets. Based on the fact, the study categorizes four point of views such a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philological characteristics,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language conversion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The research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which so-called follow Zhuxi`s hermeneutics can give different prominence to Zhuxi`s hermeneutics according to interpreters` interest or preference.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Korean traditional hermeneutics of Shihjing belonging to Zhuxi`s hermeneutics also have their own diver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