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본 『성교요리문답』의 한문 저본 연구

        조현범 수원교회사연구소 2021 교회사학 Vol.- No.19

        19세기 조선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연구하려면 신자들이 읽고 암송했던 한글 천주교 문헌들을 분석해야 한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성교 요리문답』, 『천주성교공과』, 『주년첨례광익』, 『성경광익』, 『신명초행』 등 의 한글 천주교 문헌을 간행하였다. 라틴어나 프랑스어 등으로 된 유럽 문 헌을 참고하면서 중국 천주교에서 번역 내지 편역한 한문본을 대본으로 하여 한글본을 만든 것이었다. 그러므로 한글 천주교 문헌을 연구하면 19 세기 조선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생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으 며, 이와 동시에 천주교의 전파와 수용 과정이 지니고 있었던 종교적 관념 의 다층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글 천주교 문헌 『성교요리문답』은 매우 가치 있는 문헌이다. 1860 년대 초에 초판이 나온 이래 목판 또는 활판으로, 순 한글 또는 국한문 혼 용으로 수없이 판을 거듭하면서, 1934년에 새로운 교리서 『천주교요리문 답』이 나올 때까지 70여 년 동안 조선 천주교회의 유일무이한 공식 교리 서라는 평가대로 신자들의 교리 지식이나 영세, 고해, 성체, 견진 등 각종 성사 생활의 실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성교요리문답』 역시 다른 한글 천주교 문헌들과 마찬가지로 한문본을 저본으로 하여 번역한 것이다. 그런데 한글본에는 한문본을 번역한 문장과 이에 대해서 번역자 가 다시 뜻을 풀이한 역주 문장이 섞여 있다. 그리고 한문본의 문장을 그대 로 직역한 부분도 있고, 조선 신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글을 다듬어 바꾼 부분도 들어 있다. 한글본 『성교요리문답』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한문 저본이 무엇이었는지를 찾아내는 작업이 요청된다. 그래서 1860년대에 나온 한 글 천주교 문헌 『성교요리문답』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위하여 그 한문 저본을 탐색하는 기초 작업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1788년의 『聖事問答』, 연도 미상의 삼본문답 『領洗問答』, 호주 국립 도서관 소장의 『聖敎要理問答』, 그리고 한국교회사연구소 소장의 『聖敎要理問答』이 한글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보았다. 한글본 『성교요리문답』과 한문본 『聖敎要理問答』 사이의 긴밀한 연관 관계는 분명하게 확인된다. 해당 문답의 문장도 대부분 일치한다. 하지만 한글본과 한문본 사이에 결정적인 차이가 있다. 그리고 문헌상으로는 연관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판본인 사본문답 『영세문답』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한글본 『성교요리문답』을 번역 저술하는 과정에서 한문본 『聖敎要理 問答』을 중심적인 저본으로 활용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외에도 여러 종류 의 교리문답 문헌들이 조선 천주교 내에 들어와 있었고, 그 일부를 실제로 참고하였던 것으로 추측한다. In order to study the religious life of Korean Catholics in the 19th centur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Korean Catholic literature that believers read and recite. French missionaries published Catholic literature such as Catholic Catechism, Prayer Book, Liturgy Manuel and Meditation Guidebook into Korean. While referring to European literature in Latin or French, the Korean version was created using the Chinese text translated by the Catholic Church in China. Therefore, by studying Korean Catholic literature, it is possible to get help in understanding the religious life of Korean Catholics in the 19th centur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find the multi-layered religious concepts appeared in the process of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Catholicism. The Korean Catholic literature, Seonggyo Yori Mundap is a very valuable document. Since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in the early 1860s, it has been printed countless times using woodblocks or typography, pure Hangeul or mixed Korean texts, until a new official catechism was published in 1934. It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doctrinal knowledge of believers or the reality of various sacramental lives such as baptism, confession, Eucharist, and confirmation. The Seonggyo Yori Mundap was also translated from the Chinese text as the original text. However, in the Korean version, there is a direct translation of the text from the Chinese text, and also is there a part that has been refined and changed to make it easier for Korean believers to understand. To analyze korean catechism,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at the Chinese original text was. So, for a preliminary work, it was carried out to search for the Chinese texts. Between the Korean version and the Chinese version of the Seonggyo Yori Mundap we can find similarities. Most of the sentences in the question and answer match. However, there is a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version and the Chinese version. Therefo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Chinese Catechism, it is clear that the Korean translator used various Chinese catechisms.

      • KCI등재

        『성교요지』(聖敎要旨)의 원본 마틴 선교사의 『쌍천자문』(雙千字文) 연구

        황재범(Jae-Buhm Hwa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0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이벽의 저술로 알려져있는 『성교요지』(聖敎要旨)가 사실상 재중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마틴(W. A. P. Martin, 1827-1916)의 『쌍천자문』의 1897년 수정판을 그대로 베낀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면서 본 책의 저술 목적, 구조, 내용 및 한국 천주교 학자들의 해석의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연구 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성교요지』는 『쌍천자문』의 1863년 초판과 1897년 수정판 중에서 분명하게 수정판을 저본으로 했다. 이로써 『성교요지』는 그것의 한글 번역본 말미에 기록되어 있는 “임신년”을 근거로 추정해보면 1932(임신)년에 한국에서 한문에 능통한 어떤 선비가 마틴의 『쌍천자문』을 사기 판매 목적으로 베끼고 또한 한글로 번역하면서 제목은 『성교요지』로 저자는 이벽으로 조작하여 유통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마틴의 『쌍천자문』의 저술 목적은 그 원제가 The Analytical Reader: A Short Method For Learning To Read And Write Chinese (“常字雙千[상자쌍천=쌍천자문] 認字新法[인자신법]”)인 것처럼 전통적 “천자문” 형식으로 상용 중국어 2,000자를 쉽게 가르칠 수 있는 중국어 교본을 만드는 것이었다. 마틴은 서양 선교사 지망생 및 중국 미션 학교에서의 중국인 학생이 보다 쉽게 중국어를 배울 수 있게 사용 빈도수가 높은 상용 중국어 2,000자를 정하여 새로운 천자문으로서 『쌍천자문』을 만들었던 것이다. 셋째, 본 책은 전통적 ‘천자문’ 형식에 따라서 정해진 2,000자를 각각 단 한 번씩만 사용하여 사언 절구형식으로 작문을 했으므로 기독교 교리의 일부를 일반적으로 다루었을 뿐, 어떤 신학적 내용을 분명하고도 적극적으로 가르친 것은 아니다. 기독교적 내용이 있지만 이는 제1장과 제2장(전체적으로 삼분의 일을 조금 넘음)에 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요 교리들을 다루지 못했고, 부적절한 표현도 적지 않다. 그 나머지 제3장과 제4장은 세 절을 제외하면 본문에는 기독교적 내용이 거의 없고, 주석에 암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을 뿐이다. 넷째, 한국 천주교회 학자들은 『성교요지』가 한국 사상사 최고급의 사상을 담고 있다고까지 평가하지만 이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이벽의 저술이라는 전제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책의 저술 목적과 방법 및 구조를 알지 못한 채 주석에 근거하여 본문을 과도하게 신학적으로 오역한 결과라고 보겠다. This study aims at, firstly, confirming that Seonggyo yoji (聖敎要旨: Essence of Sacred Doctrine), which in Korea has been believed to be written by Yi Byeok, the “holy founder”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originally a copy of W. A. P. Martin’s Analytical Reader, which has been popularly called as Ssangcheonjamun (Two Thousand [Chinese] Words: 雙千字文); secondly, studying and analyzing the purpose, structure, and theological contents of this book; and thirdly, critically reviewing the Korean Catholic scholars’ exaggerated assessment of it. First of all, Seonggyo yoji’s original text is not the first edition in 1863, but the revised edition in 1897 of Martin’s Analytical Reader or Ssangcheonjamun. Seonggyo yoji’s Korean translation, which suggests ”it was written in Imsin nyeon,” belies that it was copied in 1932 (Imsin nyeon) by a Korean scholar, who presented the author as Yi Byeok, wanting to sell copies fraudulently. Secondly, as its English title, The Analytical Reader: A Short Method For Learning To Read And Write Chinese, indicates, this book’s purpose was to present a new Chinese lesson book, which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literal mode of the traditional A Thousand Words (千字文: Qian Zi Wen). The book was written for those Westerners who were preparing for mission works in China, and also for those Chines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mission schools in China that they might easily learn Chinese characters. Thirdly, the book is made of four character verses, using two thousand (exactly 2,016) Chinese characters, each of which was used only once according the mode of the traditional A Thousand Words. This means that the book was not designed to present any meaningful theological thought. In fact, Chapters I and II in the book include some theological thoughts, which, nevertheless, are often insufficient or inadequate, while Chapters III and IV have almost no theological thought, although they have some theological allusions only in the commentary section. Fourthly and lastly, many Korean Catholic scholars’ highest assessments of the book are proved to be a result of a theologically oriented profound misinterpretation of it: they do not only presume its author as Yi Byeok, who was in fact a dubious person, but they also presuppose it as a theological book, when it is in fact a Chinese language book.

      • KCI등재

        성관련 범죄 용어의 개념과 상호간의 관계

        박동률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법학논고 Vol.0 No.44

        This paper mainly discusses whether a husband can be guilty of raping his wife if the non-consensual sexual intercourse took place, analyzing the meaning and interrelation of criminal words such as sexual intercourse, adultery, analogous intercourse, sexual harrassment and sexual assault. Firstly, Criminal Law uses the words such as rape, adultery and sexual intercourse as behavior forms of sex offenses. Different from recent the Supreme Court decision, I persist that marital rape cannot be punishable because of the meaning of sexual intercourse which is common concept of above 3 words. That is, adultery means unlawful sexual intercourse by force or without legal consent. Since sexual intercourse can be punishable between men and women who are not married, sexual intercourse with spouse cannot be punishable sexual intercourse anyway. Therefore a husband cannot be guilty of raping his wife. Secondly, if ‘sexual intercourse with spouse’ is excluded from the concept of sexual intercourse, the married couple herein should include the couple legally registered and the couple with actual marriage life. Consequently, a married couple which is actually separated and has no actual marriage life cannot be included in the married couple. In this case, a husband can be guilty of raping his wife. Thirdly, if a man with spouse rapes a woman, a man cannot be guilty of adultery other than rape. Since the concept of intercourse within adultery means the sexual intercourse with mutual consent, rape which is the sexual intercourse without factual consent cannot be convicted. Lastly, concerning the conceptual range of analogous intercourse, compared to simple physical contact which is not included in this concept. analogous intercours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have internal penetration but to conduct the behaviour similar to sexual intercourse and have the intention of behavior which is to get sexual satisfaction. In contrast to sexual intercourse, analogous intercourse can be done between same sex. 이 논문은 성관련 범죄의 행위태양인 간음, 간통, 유사성교행위, 성폭행, 성희롱 등의 의미와 그 범위 상호간의 관계 등을 분석하면서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부강간죄의 성립 여부를 중점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논문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형법은 성범죄의 행위태양으로 강간, 간통, 간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공통되는 간음의 의미를 분석하면서 최근의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과는 달리 원칙적으로 부부 간에는 강간죄가 성립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즉 강간은 강제로 간음하는 것을 뜻하는데, 간음의 사전적 의미나 일반인의 일상적인 사용례에 비추어 간음은 ‘부부 아닌 남녀 간의 성행위’를 의미하므로 부부 간의 성행위는 그 경위가 어떠하든 간음에 해당할 수 없고 따라서 강간에 내포된 간음에도 해당할 수 없으므로 처에 대한 강간죄는 성립할 수 없다. 둘째, ‘부부 간의 성행위’가 간음에서 제외된다고 할 때, 여기서의 부부는 혼인신고가 되어 있을 뿐 아니라(법률상 부부) 그 사이에 혼인관계의 실체가 있는 부부를(실질적 부부)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혼인관계가 파탄되어 별거하고 있는 경우에는 혼인관계의 실체가 없으므로 여기서 말하는 부부라고 볼 수 없다. 그렇다면 그러한 사람 사이의 성행위는 간음에서 제외되는 ‘부부 간의 성행위’라고 볼 수 없으므로 그러한 처를 폭행하여 성행위를 한 경우에는 강간죄가 성립할 수 있다. 셋째, 배우자 있는 자가 강간을 한 경우 강간죄 외에 간통죄가 별도로 성립하는지 여부에 대해 학계의 논의가 있지만, 간통의 ‘통’은 성행위에 대한 당사자 간의 의사합치를 의미하므로 성행위에 대한 의사합치가 없는 강간의 경우에는 별도로 간통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 넷째, 유사성교행위의 범위와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단순한 신체접촉행위는 유사성교행위에 해당하지 않지만 반드시 신체 내부로의 삽입행위가 있어야만 유사성교행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비록 신체내부로의 삽입행위가 아니더라도 그 행위가 성교와 유사하고 성교와 유사한 정도의 성적 만족을 얻기 위한 행위라면 유사성교행위에 해당한다. 또한 성교행위와는 달리 동성 간에도 유사성교행위가 성립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천주교 장례예식서를 통해 본 장례문화와 연도(煉禱)의 노래문화

        주은경 한국음악사학회 2008 韓國音樂史學報 Vol.40 No.-

        In the Korean Catholic Church, prayer for the deceased is called prayer for repose and, by ordinary believers, Yŏndo 煉禱. Yŏndo is recited when, in accordance with Catholic funeral rules, attending at a death bed, dressing a corpse for burial, placing a body in a coffin, moving a coffin to the burial ground, placing a coffin into the burial ground, making a sacrificial rite at the conclusion of burial and changing the burial site. Especially, it is performed throughout night during condolence at a mortuary. Yŏndo includes prayers like the Psalm, Litaniae sanctorum, Adoration and Supplication. In this nation, those prayers have been orally transmitted with traditional rhythms added. The orally transmitted Yŏndo has been playing a role as a religious music for funeral ceremony from the first introduction of Roman Catholicism to the present. Regarding existing codes of Catholic funeral ceremony, Ch'ŏju sŏnggyo konggwa 天主聖敎功課, published in 1864, provides that Yŏndo is a part of event prayer, Mangwa 晩課. and that Yŏndo is performed throughout the days of funeral ceremony. But how Yŏndo is performed and sung is not found in the publication. As the first of the codes, Ch'ŏju sŏnggyo konggwa, published in 1865, provides detailed descriptions of how Yŏndo should be sung for mourning, placing a body in a coffin, taking a coffin out of the house, moving a coffin to the burial ground, tomyo 都墓 and lowering a coffin into the grave. Yŏndo is sung in a way that two pieces of Catholic prayers, ○ (kye 啓) and ● (ŭng 應) are first slowly recited by two persons called Yŏnggyŏngja 詠經者 in a solemn voice and then by two groups of ordinary believers who in turn chant psalms to help Sŏngyŏng 聖詠 50, Yŏnok tomun 煉獄禱文 and Chanmikyŏng 讚美經. After the national independence, the foresaid publication was republished by a pastor of Seoul, Novaoro in 1947 under the title of the 5th edition of Sŏnggyo yegyu 聖敎禮規 and , in 1964, by Catholic Publishing Company under the title of Sŏnggyo yegyu after inspected by archbishops like Kim Su-hwan 金壽煥, Yi Mun-gŭn 李文槿 and No Ki-nam 盧基南. Both of the republications divided the non-spaced words of the Psalm into one to seven syllables and modified them in modern expression. In Sŏnggyo yegyu, published in 1992, a collection of the orally transmitted pieces of Yeondo are contained in form of musical score. Sangjang yesik 喪葬禮式, released in 2003, contains the modified and supplemented scores of Yŏndo and describes funeral processes such cremating, holding a sacrificial rite at the conclusion of burial and changing the burial site all of which reflect changes in Korean traditional ways of funeral, for example, the replacement of burying by laying the deceased's ashes to rest. For the processes, new pieces of Yŏndo were conventional rhythms of Yŏndo. Then they were standardized with melodies of religious music into divine musical pieces. For other funeral processes, another new pieces of Yŏndo, titled 'placing a body in a coffin', 'at a grave yard' and 'lowering a coffin into the grave were made based on the rhythms of folk songs of the southern part of this country and those of Yŏtmori 엇모리 and Ch'iljae 七撲 In accordance with these rhythms, the words of the newly created pieces are divided into one to seven syllables on a regular interval basis. As a part of Yŏndo, litaniae sanctorum is a melody that was collected by fellow believers of a chapel at Kalgong-ni 葛谷里 in 1978. The melody is performed in such way calling the names of saints when people sincerely pray for the soul of the decised while beating a funeral bier.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세상을 떠난 사람들을 위해 바치는 기도를 위령기도라 하며 일반 신자들은 ‘연도’라고 한다. 연도는 천주교 장례예식의 임종과 운명, 위령기도(연도), 염습과 입관, 출관, 운구와 하관, 화장, 우제, 면례에 하며 특히, 문상 갔을 때 빈소에서 밤을 새면서 하는 기도이다. 구전 전승된 연도는 천주교 전래 초기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고유한 전통가락을 붙여 장례 때 부르는 종교음악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도의 기록이 실려 있는 장례예식서를 살펴보면, 1864년에 출간된 공식기도서 『천주성교공과』에 저녁에 하는 기도인 만과(晩課)에 연도가 수록되어 있으며 매일 연도를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865년 최초의 장례예식서 『천주성교예규』는 장례예절인 초상, 입렴, 출관, 행상, 도묘, 하관에 연도를 어떻게 하며, 노래 부르는 방법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행상에는 천주교 장례행렬과 연도 노래 부르는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연도의 노래 부르는 방법은 계(○)와 응(●), 합송의 대응창법으로 두 명의 경문을 든 영경자가 진중한 소리로 천천히 제(선소리)하면 경문을 든 교우들은 두 패로 나뉘어 계와 응을 하며 성영 50, 연옥도문, 연령을 돕는 찬미경을 한다. 해방 이후 서울감목 노바오로 감준, 천주강생 1947년 제5판, 『성교예규』의 이름으로 재출간된다. 김수환․이문근․노기남 대주교 감수하에 1964년 가톨릭출판사에서 『성교예규』의 이름으로 재출간된다. 두 예식서의 특징을 살펴보면, 시편가사에 있어 띄어쓰기가 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1음절에서 7음절로 나누어 음절단위 표시가 되어 있으며 현대말로 용어를 수정했다. 이러한 음절 단위 표시는 연도를 할 때 신자들이 다 같이 기도문을 쉽게 맞추어 노래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구전으로 전승된 연도 노래는 가사의 음절에 따라 리듬을 맞추어 노래했으며, 처량하고 슬픈 감정을 가지고 현재 생활의 한을 하소연한다. 특히, 출관 때 부르는 사심판(私審判)은 우리 조상들의 설움과 북받침을 한풀이로 눈물부터 쏟아지는 상황이 되었다. 1992년 출간된 『성교예규』에 구전으로 전승된 연도를 채보하여 악보화하여 공식적으로 수록된다. 2003년 출간된 『상장예식』에는 연도악보의 수정과 보완의 작업을 통해 통합되며 화장(火葬) 우제(虞祭)와 면례(緬禮)예식을 실었다. 동시에 예식들의 내용에 맞는 연도를 기존의 연도가락에 맞추어 새롭게 만들어졌다. 장례예식의 제의에 따른 연도 노래는 한국 천주교회의 상제례를 대신하며 우리의 전통가락으로 역사적인 발전을 거듭한 토착화된 장례노래이다.

      • KCI등재

        성적 거래의 변형과 확산의 정치학

        변혜정(Byun HeaJoung)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3

        본 연구는 ‘성교없는 성상품' 업소(자유업)'에서의 성적 거래의 변형과 확산의 정치학을 드러내면서 이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질문하고 있다. 법에 의해 관리/규제되지 않는 ‘성교없는 성상품'들은 공공장소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성기를 제외하고 성애화된 몸의 부위를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성적 행위를 가능케 하며 이는 업주, 구매자, 심지어 종사자들에게 이익을 준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품이 기획되어 영리를 추구할 수 있다고 간주되는 맥락, 즉 상품의 등장, 구성요건, 거래내용과 방식 등의 거래 경험을 탐색한다. 특정한 성의 몸과 성을 활용한 상품을 기획, 알선, 조장 그리고 상품을 둘러싼 거래과정 등의 상품성에 대한 분석은, 그 상품이 거래되는 성별화되고 계급화된 조건들, 구매자의 ‘제한적인 친밀성’, 종사자의 ‘주조된 정체성’ 등의 한국사회의 성상품 거래의 맥락을 성찰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성교없는 성상품'으로의 변형과 확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한국사회에서 성교중심으로 성매매가 담론화, 법제화되는 ‘사회적 맥락과 그 이후'를 재론 할 수 있는 시론으로서 의미가 있다. 즉, 한국사회의 (유사)성교 중심의 성매매 범위와 금지의 근거뿐 아니라 기존 법이 규제하는 성매매와 자유업인 ‘성교없는 성상품'과의 관계를 고민할 수 있게 한다. 앞으로 다양한 성상품의 내용, 가격, 그 효과 등에 대한 유형별 상품성 분석을 통해 성적 거래의 확산과 변형이 구체화 될 때, 성산업에 대한 여성주의적인 개입과 법/제도 등의 정책 방향이 제안될 수 있다. This research analyses the contents of transaction, functioning forms and the extend of ‘Unregulated Sex Commerce’ to reflect on the politics and constructive conditions of Sex Commerce. By making an issue of consumer oriented transaction process, diffusion possibility of the unregulated Sex Commerc form can be deemed with regard to a sexual desire only as a ‘recreative and sincere authenticity'. The slogan saying ‘self-deemed pleasure and unrestricted thought,’ creation of infinite desire from parts of ‘gendered' human body, and the transacted commodities as a recreation can bring about unpredictable problems. “Unregulated Sex Commerce” in this research is a word that can be defined as ‘an action of marketing and producing a commodity of which intentionally uses gendered one’s body part as a sexual tool for a purpose of profit in public place’ derived from a context ‘it is always possible when you have registered as a profession systematically.’ Currently some establishments/shop owners must be problematized by planning and inducing a commodity that uses others’ body and sex, without sexual intercourse for a purpose of pursuing profit. Nevertheless, such a act is not strongly regulated in Korea, which is so-called a society that prohibits prostitution as a title, this research ask a question on constructive conditions of prostitution and prohibition through an analysis that refers to the Unregulated Sex Commerce without Intercourse. However, on account of lack in interviews with shop owners, consumers, sex-workers and the others who are associated with prostitution, the research clarifies that the contents and the contexts which refer to the differences of their desires, inflow route, and their distresses cannot be clear. Furthermore, the research still has a limit owing to lack of analysing broadly in contents and quality of the commodities, and exact prices in variety of unregulated Sex Commerce have not analysed.

      • KCI등재

        조선성교서회의 초기 역사(1890-1919) 재고찰

        이고은(Lee Go-Eu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2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2

        본 논문에서는 19-20세기 전환기에 중국을 중심으로 기독교 서적이 생산 · 유통되던 구조를 고찰하기 위해 영국에서 발생한 RTS(Religious Tract Society, RTS)라는 출판기관에 초점을 두며, 조선성교서회(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의 초기 역사를 영 · 미 · 중국서회와의 관계 속에서 재구성한다. RTS는 성서 번역과 출판만 전담하는 성서공회(The Bible Society)와 달리 교리서와 찬송가, 교회학교 교재와 정기간행물, 교양서적을 망라하여 출판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 기관은 우리나라에서 조선성교서회(1890-1906), 조선예수교서회(1907-38), 조선기독교서회(1939-47), 대한 기독교서회(1948-현재)로 약간의 명칭 변경과 함께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성교서회(聖敎書會) 또는 성교서국(聖敎書局)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조선성교서회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신학과 교회사의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범위도 국내의 맥락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조선성교서회의 발행물에 관한 연구도 마찬가지로 기독교의 국내 수용이나 토착화에 중점을 둔 주제가 많았다. 이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회와 해외 출판계가 맺고 있던 관계성을 주목한다. 1890년에 ‘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라는 이름으로 조선에 서회가 설립되기 이전부터 구미 → 중국 → 조선으로 지식 생산과 유통의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점을 드러내며, 영국과 미국, 중국과 조선에서 서회의 사업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있었는지를 밝힌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how Christian literature was produced and mediated in China and Korea by the Religious Tract Society(hereafter RTS), a British Christian publishing agency,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purpose of doing so is to reframe the early history of the Korean Religious Tract Society in relation to the global networks of the RTS, unlike previous studies on this institution. While the networks of the RTS played a pivotal role in producing and mediating its publications in China and Korea, there has been little investigation of this phenomenon. This is partly becaus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RTS have generally been limited to domestic context with a focus on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from theological and church history perspectives. Contrary to this, my approach is to reveal the transcontinental publishing activities within this intellectual networks of the RTS that allowed the formation of British-American-Sino-Korean Christianity.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the RTS and its expansion to China is briefly explained. Then a new time frame of the early history of the Korean RTS is suggested, to include precedent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TS in 1890: 1) 1870s to 1889, 2) 1890 to 1910, 3) 1911 to 1919. In this reframed historical narrative, I explain the developing relations with the RTS and the American Tract Society to the Protestant missionaries stationed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for producing Korean Christian texts. Then the background of the flow of Chinese Christian literature to Korea is explained, tracing the network between the Chinese RTS in Shanghai and Hankow to the missionaries in Korea enclosing Seoul into their book distribution.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TS and its rapid development up to 1919 is attributed to its link to the foreign network as well as the unique social context of Korea at the turn of the 20<SUP>th</SUP> century.

      • KCI등재

        근대의 기독교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예수이해

        정승우(Sung-Woo Chung)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3 신학논단 Vol.7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image of Jesus represented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The paper has tried to examine the christolgocial text in Seonggyoyoji(聖敎要旨), which was written by Lee Byeok (1754-1786) in the literary form of the traditional Chines poem. He has been evaluated as the one of the first Korean Catholic believer. His book shows the strong influence of M. Ricci (1552-1610), the first Catholic missionary in China, who argued that Christianity was accomplished the aim of Confucianism. Ricci’s famous book?『天主實義』had a big impact on Lee’s chrisological idea. In the head of Seonggyoyoji(聖敎要旨), Lee announced the fact that his book was written after reading Lee Ji Cho’s book『天學初函』which included in Ricci’s book and other Catholic liturgical books as well. As a Confucian scholar, Lee tried to interpret Jesus in terms from Confucian perspectives. For example, he adopted the major concept of Confucianism, Sung(誠), Oh Ryun(五倫) to explain the moral meaning of Jesus. In this sense, his christology was deeply influenced by Confucianism. Meanwhile it seems that he found Jesus’ teaching a modernity to overcome the feudalism of Joseon Dynasty. Lee understood Christianity as an accomplished religion of Confucianism. In the same sense, Choi Byunghun(1858-1927), the first journalist and Protestant theologian in 19th century in Korea, tried to understand Christianity in the sense of the accomplished aspect. He published a new paper called, Korean Christian newsletter with H. G. Appenzeller in 1896. In this paper, Choi often wrote the editorial column to enlighten the korean people. It is very interesting that his column is very similar to Jesus’ parable in literary form. I think that he adopted the literary form of parable to effectively convey the message of the western modern society. Choi thought that Jesus is the one who fulfilled the aim of all religion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It can be said that his christological idea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ocial Darwinism which strongly impacts on the Korean reformer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short, in this paper I attempt to show that Lee and Choi’s portraits of Jesus can be understood as a contextual product. I also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Lee’s confucian understanding of Jesus and criticized Choi’s social Darwinism implied in his accomplished christology. However, it is true that they all tried to ask seriously how Jesus can be a savior for Korean peopl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image of Jesus represented in the modern Korean history. The paper has tried to examine the christolgocial text in Seonggyoyoji(聖敎要旨), which was written by Lee Byeok (1754-1786) in the literary form of the traditional Chines poem. He has been evaluated as the one of the first Korean Catholic believer. His book shows the strong influence of M. Ricci (1552-1610), the first Catholic missionary in China, who argued that Christianity was accomplished the aim of Confucianism. Ricci’s famous book?『天主實義』had a big impact on Lee’s chrisological idea. In the head of Seonggyoyoji(聖敎要旨), Lee announced the fact that his book was written after reading Lee Ji Cho’s book『天學初函』which included in Ricci’s book and other Catholic liturgical books as well. As a Confucian scholar, Lee tried to interpret Jesus in terms from Confucian perspectives. For example, he adopted the major concept of Confucianism, Sung(誠), Oh Ryun(五倫) to explain the moral meaning of Jesus. In this sense, his christology was deeply influenced by Confucianism. Meanwhile it seems that he found Jesus’ teaching a modernity to overcome the feudalism of Joseon Dynasty. Lee understood Christianity as an accomplished religion of Confucianism. In the same sense, Choi Byunghun(1858-1927), the first journalist and Protestant theologian in 19th century in Korea, tried to understand Christianity in the sense of the accomplished aspect. He published a new paper called, Korean Christian newsletter with H. G. Appenzeller in 1896. In this paper, Choi often wrote the editorial column to enlighten the korean people. It is very interesting that his column is very similar to Jesus’ parable in literary form. I think that he adopted the literary form of parable to effectively convey the message of the western modern society. Choi thought that Jesus is the one who fulfilled the aim of all religion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It can be said that his christological idea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ocial Darwinism which strongly impacts on the Korean reformer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short, in this paper I attempt to show that Lee and Choi’s portraits of Jesus can be understood as a contextual product. I also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Lee’s confucian understanding of Jesus and criticized Choi’s social Darwinism implied in his accomplished christology. However, it is true that they all tried to ask seriously how Jesus can be a savior for Korean people.

      • KCI등재후보

        유교와 기독교의 만남 - 이벽의『성교요지』를 중심으로

        배요한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1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to establish theologically sound and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focusing on Yi Byeok(李檗,1754-1785)’s 『Seonggyo-yoji』[Essential Teachings of the Sacred Doctrine]. Yi Byeok was declared to be the most knowledgable person on both the Confucian classics and Christianity, and his 『Seonggyo-yoji』 is a twenty-eight page poetic composition in which he expresses his faith and his biblical knowledge, quoted in 『Mancheon-yugo』[Memories of Mancheon]) which was written by Cheong Yak-yong(丁若鏞, 1762-1836) in the first quarter of the 19th century during his exile in dasan [Tea Mountain]). 『Seonggyo-yoji』 was written in Chinese for scholars, and Yi Byeok presented Christine teaching along the lines of the two classical Confucian texts, the Great Learning(大學, Da xue) and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Zhong yong). Yi Byeok made a great effort to relate the teachings of Confucius - principles on which they had all had been brought up, intellectually and culturally - to everyday reality, and to give them new insights and interpret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Jesus Christ’s teachings. It is indeed remarkable how Korean Christians in the late 18th century were capable of discovering the important dimension of humans’ basic equality before God and the dignity of women and children in the gospel. In this paper, I will demonstrate the inner-connectedness between Confucian texts of the Great Learning(大學, Da xue) and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Zhong yong) and 『Seonggyo-yoji』, the core values of Confucius’ teaching - particularly those regarding morality, filial piety and respect for others, and sincerity - had to be maintained but reinforced in the perspective of the Biblical teachings. There was a great deal of intellectual and literary exchange, both Confucian and Christian in Yi Byeok’s『Seonggyo-yoji』. 광암(曠菴) 이벽(李檗, 1754-1785)은 조선후기 유학자로서 명성이 높았으며,또한 한국 천주교 초기의 지도자였던 인물이다. 한국적 신학을 주창한다고 할 때유교와 기독교간의 비교연구라는 주제가 매우 중요하다고 보면, 이벽이 저술한 『성교요지』(聖敎要旨)는 조선후기에 유학자로서 기독교를 어떤 관점에서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독보적인 사상사적 자료이며, 한국 최초의 기독교 이해와 그 종교적 내면성까지 엿볼 수 있게 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이벽의 『성교요지』가 어떠한 작품인지를 그 구성과 주요 내용을 필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유교와 기독교간의 만남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이에 대해서 기존 천주교 학자들 중에 분석한 내용이 있으나그러한 분석은 주자학 자체에 대한 왜곡된 이해를 하고 있다는 점과, 『성교요지』를유교 경전과 연관하여 명확하게 그 구조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이러한 내용을 비판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이벽은 그의 『성교요지』를 통하여 당시 양반 계층에 있는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최소화하면서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유교의 대표적인 경전인 『大學』과 『中庸』의 기본적인 구조와 내용을따르면서도 성경의 내용을 주체적으로 잘 소화하여 소개한 매우 독보적인 작품임을 본 글에서 심층적으로 밝혀 보고자 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이벽의 『성교요지』가 오늘날 유교-기독교간의 대화에 주는 신학적 통찰이 매우 귀중한 것임을 밝혀, 향후 본 연구 주제가 깊이 검토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성유식론(成唯識論)』의 말나식 존재증명에 대한 검토

        신현승 ( Hyun Seung Sh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成唯識論』은 世親(400~480)의 『唯識三十頌』에 대한 주석 10가지를 모아서 玄장(600~664)이 편집하여 번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末那識은 아뢰야식과 더불어 유식교학의 극히 중요한 心識說의 기초이다. 그런데 부파교학에서는 육식이외에는 인정하지 않으므로 말나식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은 유식교학의 매우 중대한 과제였다. 『성유식론』에는 말나식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 가장 완비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순서는 경전 근거로만 입증하는 제1성교증, 제2성교증, 이어서 경전근거와 추리에 의해 증명하는 제1정리증부터 제6정리증까지의 순서대로 서술되어 있다. 본고의 목표는 『성유식론』의 말나식의 존재 증명을 진리판정 기준에 의해 그 입증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러기위해 우선 증명의 대상인 말나식과 존재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성교증(聖敎證) 두 가지와 정리증(正理證) 여섯 가지의 입증 정도를 차례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우선 제1성교증과 제2성교증은 경전근거와 부합하였다. 그리고 제1정리증은 의식과는 별도로 항상하는 무명을 수반하는 말나식이 존재함을 입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제2정리증은 육식전체가 같은 원리로 작용하므로 전오식과 마찬 가지로 의식의 경우도 동시에 존재하는 根을 인정해야한다는 점에서 말나식이 인정된다. 그러나 제3정리증, 제4정리증, 그리고 제5정리증은 주장의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어 말나식 존재가 입증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한편 제6정리증에서의 주장은 유식교학 체계에서 볼 때, 일관성이란 면에서 별도의 말나식이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ceptability of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manas in the Ch``eng wei-shih lun, with criterion for judging truth. The Ch``eng wei-shih lun is known that Xuanzang(600 ~664) compiled and translated ten distinct Sanskrit commentaries into its discussion and elucidation of the Trimsika written by Vasubandu(400~480). The manas, along with .laya vijn.na, forms the foundation on the theory of mind-consciousness. Still, it is an important problem for the Vijnaptim.trat. school to prove the existence of the manas, in that the school should get over the Sect Buddhism which is accepting nothing but the existence of the six consciousness. The Ch``eng wei-shih lun is considered to have accomplished a most complete form to prove the existence of the manas. And it presents eightfold proof in order that the first and the second goes on the scriptures, and the third to the eighth on the Buddhist logic. To examine acceptability of Ch``eng wei-shih lun``s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manas, this study looked into its definitions of the manas and the existence to be proved, and checked the eightfold proof with the criteria for the judgement of truth.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irst and the second proof on the scriptures is acceptable, because it corresponds to scriptural ground. Among the sixfold proof on the Buddhist logic,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sixth proof can be accepted, but the other cannot. That is, the first proof shows that apart from the sixth consciousness, the manas has ignorance constantly, and the second that the sixth consciousness postulates the existence of the manas as its own root, in that each of six consciousness has only one same kind of sense faculty, namely, root which its function can depend on. But the third, the fourth, and the fifth proof has the lack of consistency. Finally the sixth proof maintains the demonstration coherent to the doctrines of Vijnaptim.trat. school.

      • KCI등재후보

        성폭력범죄에 있어서 수면성교증(Sexsomnia)의 평가

        공정식(Gong, Jung-Sik)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2

        수면성교증은 흔한 질병이면서도 우리에게는 너무나 생소한 용어이다. 최근 이증상에 대하여 수면전문가들의 심도있는 국제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가 수면 성교증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이 증상이 다양한 이유로 보통 사람들에게도 일회적 또는 지속적으로 발현될 수 있고, 매우 유해한 신체적, 심리사회적, 법적 문제를 장기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의식 상태에서 이루어진 원치 않는 성행위는 개인간, 친구간, 부부간에 정신적 혼란을 초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 선행연구들에서 알 수 있듯이 수면성교증은 복합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질병이고, 신경생리적으로 몽유병과 유사하면서도 차이점이 발견되는 질병이지만, 치료가 가능하다. 수면성교증은 법정에서 성폭력사건으로 다루어진다. 서양의 경우 이 증상을 호소하는 피고인에 대한 수면전문가의 진단이나 진술을 법정에서 참고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부분 전문가의 진단이나 의견이 배심원들의 유무죄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그러나 한국의 법정에서는 이 증상을 피고인이 호소하더라도 아예 무시되기 쉽다. 최근 한국의 판례를 보면, 이 증상을 호소한 피고인에 대하여 수면전문가의 진단이 없는 상태에서 유죄를 선고한 사례가 있다. 소위 전문가라는 개념은 모든 분야에 전지전능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분야에서의 전문가를 의미한다. 법관은 법률의 전문가이고 마음의 전문가는 심리학자이며, 질병의 전문가는 의사이다. 법관은 자신이 판단할 수 없는 특정한 분야까지 임의적으로 또는 비과학적인 상식에 편향을 갖고, 그것이 마치 진실인 것처럼 판단 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된다. 법정에 대한 신뢰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모두 수긍할수 있는 정도의 공정한 재판절차와 과학적인 증거에 기초한 사실판단에서 나온다. Sexsomnia is a common yet unfamiliar disorder to us. Recently, sleep experts are having an in-depth discussion about Sexsomnia internationally. The reason why we should have interest to Sexsomnia is that this can happen to ordinary people and cause noxious effects on physical, legal and psychological issues for various reasons for a long period. Sexual intercourse which occurred in unconscious state; Sexsomnia, can mystify interpersonal, marital or social relationship. In some cases, it can cause legal liability.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re are multiple causes for Sexsomnia. It is analogous yet divergent with somnambulism but it is treatable (curable). Sexsomnia is treated as sexual assault in court. In the United States, defendant can claim expert’s diagnosis and it has significant leverage on the court’s ruling. In Korea, however, even though the defendant appeals to the law, sometimes it can be ignored. As a matter of fact, in a recent precedent, the court convicted a man without expert’s diagnosis of Sexsomnia. So-called concept of expert means being a professional in a particular field, not omniscience or omnipotence in all. Judge is expert in law, psychologist is expert in psyche and doctor is expert in disease. Judge must not make a decision in a particular field that he or she does not know nor must they rule with unscientific knowledge. The confidence of court comes from a fair trial and an acceptable judicial process which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