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恕)와 진성측달(眞誠惻怛)로 본 동서양의 환대 개념

        설준영 ( Seol Jun-yo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동양 사상을 바탕으로 서양의 환대 담론을 검토하는 것이다. 환대 개념은 현대 서양 철학에서 중요한 화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데리다에 의해 제기된 ‘무조건적 환대’ 개념은 제한적 환대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환대가 나아가야할 이상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무조건적 환대의 의미는 칸트가 제시한 체제내의 제한적 환대, 즉 관용의 실천보다 더욱 근원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동양 사상에서 무조건적 환대에 비견할 만한 것으로는 서(恕) 개념이 있다. 그러나 서에 관한 기존의 논의는 관용의 차원에 머물러 있다. 이에 따라 서를 용인, 포용, 인내 등의 덕목으로 정의하여 서의 근원적인 의미를 담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그 결과 더 이상 진전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서의 행위자는 관용의 주체와는 달리 끊임없이 자신을 수양하는 반성적 자아를 전제한 개념이다. 따라서 서의 속성이자 덕목인 관용을 서와 동일한 지위로 논의하는 것은 범주의 착오이며, 반성적 주체를 외면하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에서는 왕양명의 수양론과 진성측달(眞誠惻怛) 개념을 통해 서가 동양적 환대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본다. This study aims for seeking the theological basis of hospitality in the Eastern philosophy. Talk of hospitality started the golden rule of Jesus and has shown a historical development, such as allowing Protestants in Christianity. In modern French philosophy, there have been lots of discussions on the hospitality. From I. Kant through J. Derrida, the discourse on hospitality had been grown. Unlikely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in the Eastern philosophy the discussion of hospitality is relatively poor over that of the West.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s of hospitality in the Eastern philosophy, the tolerance -which is one of the critical virtues of hospitality- as equal to shu (恕). Such interpretations hinder the developmental debate of the concept by defining the concept by one of the its attributes and it is categorical mistake, also it can not avoid the mistake of ignoring reflective self of shu. Under such a context of problem, this study attempt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ubject of ‘tolerance’ and shu. Furthermore, trying to explore the concept of Wang Yangming’s zhen cheng ce da (眞誠惻怛) as driving power to the subject of shu.

      • KCI등재

        조선시대 한문·한글 병용 古文書 三例의 고찰

        안승준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고에서는 16세기 말~17세기 전반에 작성된 광산김씨 所志(민원문서)와 諺簡(한글편지), 최진립이 아들 며느리에게 쓴 한문·한글 서간, 그리고 19세기 지방 수령이 향약의 반포를 위해 발행한 진언번등(眞諺翻謄:한문과 한글번역문) 전령(傳令)을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한문과 한글은 각기 수수(授受)하는 당사지 등의 능력이나 지위에 따라 최대한 그 장점을 살려 구사되고 있었다. 특히 소송이 증거자료로 쓰인 諺簡, 양반가의 농업 경영방식 기록, ‘죵들 논화지에주고’ 등의 말은 한문 고문서 어디에도 없는 표현이었다. 19세기 왕정의 내용을 기층민인 군민 면민 동민에게 전한 공문서인 전령(傳令)에서 진언(眞諺)이 사용된 점은 백성 편에 선 문자사용이라는 점에서 그 역사성이 높다. This article analysed three kinds of documents: civil documents 所志 and Hangeul letters 諺簡 by Gwangsan Kim family written in late 16th century and early 17th century, a letter written in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s by Choi Jinrip to his daughter-in-law, and a messag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translated in Hangeul 眞諺翻謄 by a local government administrator to proclaim local regulations. Both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were used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 ability and social standing of readers. Special features found were Hangeul letters used for evidence of law suits, agricultural management of yangban families, and the expression of ‘Jongdeul nonhwajie jugo 죵들 논화지에주고’ which has not been discovered in any other old documents in Chinese characters. Using both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letters in official documents delivering messages from royal government to people in dong, gun and myeon unit regions in the 19th century, Joseon government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using appropriate letters for people. That has historical importance.

      • KCI등재

        天台声明과 眞言声明에 관한 연구- 동경국립극장 개장 50주년 기념공연을 통하여 -

        윤소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3

        본고는 동경국립극장 개장50주년을 맞아 행해진 比叡山 延曆寺의 天台声明과 高野山 金剛峰寺의 眞言声明 공연을 통해 현재 전승되고 있는 일본 쇼묘의 역사․의례․음악적 면모를 고찰하였다. 궁중 아악과 함께해온 天台声明은 유려하게 장인된 가락이 많았는데, 이는 도성 인근 오하라류(大原)쇼묘와 황실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金剛峰寺도 황실과 유대가 있었지만 궁정으로부터 다소 먼데다 개창자인 空海가 입적한 곳에 있는 입지적 여건을 고려하여 樂舞를 자제해온 결과였다. 이들은 아악과의 조우 보다 힘있는 梵音聲의 발성과 교의적 발현이 돋보였다. 오늘날 일본의 쇼묘는 梵讚ㆍ漢讚ㆍ일본어 가사에 의한 和讚이 있고, 문형과 의례 성격에 따라 伽陀․祭文․表白․誦經ㆍ念佛․講式으로 총괄할 수 있다. 延曆寺가 행한 시카호요(四箇法要)는 백제와 신라불교 문화와 관련성이 보였고, 金剛峰寺의 猿人問答은 강식의례로써 한국에는 없는 모습이었다. 延曆寺와 金剛峰寺의 쇼묘 중 한국 범패와 친연성이 높은 곳은 延曆寺였다. 이는 동시대 진감선사의 당풍범패와 관련이 있는데다 金剛峰寺 보다 밀교적 성격이 덜한 것과 관련 있어 보인다. 일본 쇼묘의 선율을 한국과 비교해 보면 아에이오우 모음에 있어서는 경제와 가깝고 선율 시김새의 담담함에 있어서는 영제와 친연성이 더 있어 보였다. 이는 경제범패가 고려조 개성범패의 서도토리와 티베트 범패의 영향을 받은데 비해 영제는 신라의 소리를 좀 더 많이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본의 쇼묘는 정교한 악조이론이 있고, 일부 용어는 『삼국사기』의 신라시대 용어와 동일하였다. 일본에는 궁중 아악과 함께하는 사찰의례가 있고, 일본과 중국에는 승단에 의한 사찰 器樂이 있는데 한국에만 그렇지 못하다. 또한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 산동적산원의의 講經儀式 과 연결되는 論儀가 일본에는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고, 奈良 藥師寺에는 산동적산원 日日講儀式과 일치하는 강당까지 그대로인데 비해 한국에는 천도재로 귀결되는 齋만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 범패의 영역을 궁중과 사원음악이 결합된 넓은 의미의 아악적 장르에 대한 인식전환과 더불어 현재의 모습은 단절되고 피폐해진 전통의 일부임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잃어버린 한국범패의 법도를 일본을 통해 미약하나마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 본 연구의 성과이다. 이는 한국전통음악의 역사와 음악적 실체를 규명하는데도 참고해야할 사안이다. 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the history, rituals, musical background and contemporary status of the Japanese Buddhist chant Somyo, using the performances given by the Hieizan Enryakuji Temple and Koyasan Kongofuji Temple ensembles during the Opening Ceremony of Tokyo National Theatre’s 50th anniversary commemoration. The melody of the Enryakujii Tendai Somyo was longer and more elegant than Kongofuji’s. In some parts it was accompanied by the Garaku musical ensemble thanks to them having a relationship with the imperial court. The Kongofuji Temple has a relationship with the imperial court but the temple is situated further away than Enryoji. Another reason was that because the location of Kongofuji is where Ven Kūkai, who founded the Shingon order, passed over to Nirvana, the gorgeous ceremony had been refrained with musical instruments and dance. Instead, here there was an emphasis put on the spiritual vocal melody and religious message. There are three kinds of praise song in Sanskrit(梵讚), Chinese(漢讚), Japanese(和讚). Today’s Japanese Buddhist ritual chant has the sentence style of a ritual text, is poetic(伽陀), is of undefined length in the middle Saimon(祭文)/Hyōhaku(表白), is of a ritual type, and has a sutra recital(誦經), repetition of the sacred name(念佛), and a lecture ceremony(講式). Among the two temples, Enryakuji’s Somyo is nearest in style to the Korean Beompae. This may because the chanting ancestor masters –the Korean Ven Jingam and Japanese Ven En′nin- learned from Tang Dynasty Buddhism during the same period. In particular, of the Korean Yeongje Beompae in Yeongnam province and Kyeonggi in Kyeonggi province including Seoul, the latter bears more similarity to Japanese with the vowel pronunciation AㆍEㆍIㆍOㆍU, because there are only two Youngje vowel sounds, Aeo and Heo. Also the Insung(引聲) in the Kyeongje Beompae is similar to the Japanese Hiku(引く). In addition to these there are many relationships in Buddhist ritual contents and chanting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including between Todaiji Temple’s great ritual(大佛開眼會), today’s Shikahōyō, and the Silla Dynasty’s Buddhist culture. Thus,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 KCI등재

        文法性判定の地域差へのアプロ-チ : 眞僞判斷の副詞と疑問形式との共起關係を例として

        李舜炯(Lee Soon-Hye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8

        In this paper, for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several regions in Japan such as Tohoku, Kanto:・Koshinetsu, To:kai, Hokuriku, Kinki, Tsu:goku, Shikoku, and the Kyusyu. The questionnaire contained the grammaticality judgmen with regard to the sentences which include Epistemic adverbs (e.g.Kitto, Tabun, Osoraku, Do:mo, Do:yara, etc.) and interrogative form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ocus on the regional difference related to the meaning usage and the meaning function of the adverbs with the co-occurrence relation to interrogative Form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with the Epistemic meaning usage was observed in the grammaticality judgement for the Epistemic adverbs, such as Kitto, Tabun, Osoraku, Do:mo, Do:yara, Moshikasite, Hyottoshite, Tashika, and Masaka. 2)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adverbs which do not contain the Epistemic meaning such as Zettai, Kanarazu, Tashikani, Tashika, and Masaka. In addition, these adverbs were used in the meaning usage of ‘confi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regarding the grammaticality judgment in the same sentences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linguistic intuition to the sentence. Furthermore, we can expect that the individual linguistic intuition has been affected by the usage of language at home, school, and the community that the speakers belong to. As a result, the implication that this study might have is that ‘regional common language grammar’ may exist and this can explain the regional dif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現代日本語のヴォイスについて

        정의상 ( Eui Sang J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07 日語日文學硏究 Vol.62 No.2

        本稿ではまず形態、統語、意味的な面からの總合的なヴォイスの認定基準を設け、その基準に基づき、從來ヴォイスのサブカテゴリ-として扱われることの多かったものを、眞正ヴォイス、疑似ヴォイス、ヴォイスから除外されるものの三つの種類に分け、それぞれのサブタイプの特徵について考察した。その結果をまとめてみると次のようになる。第一に、眞正ヴォイスには、形態 · 統語 · 意味的な認定基準を總合的に兼ね備えているもっとも典型的な「能動文-直接受身」を中心に、やや典型度の落ちる「原動文-直接使役文」、「能動文-非分離的な持ち主の受身文」が存在する。第二に、疑似ヴォイスには、單一的な形態として「基本文-分離的な持ち主の受身文」、「基本文-間接受身文」、「基本文-間接使役文」、對應する「自動詞文-他動詞文」、「非受益文(る)-受益文(てもらう)」、「非可能文-可能文」が存在し、複合的な形態として、「させる[使役基本文]-させられる」、「させる[使役基本文]-させてもらう」などが存在する。第三に、ヴォイスから除外されるものには、受給の「もらう↔あげる/くれる」, 受益の「てもらう↔てあげる/てくれる」、「る-てあげる/てくれる」「させる-させてあげる/させてくれる」、「た-てある」、「相互動作」、「對稱動詞」、「相互的な語義をもつ動詞の對立」、「願望文」、「再歸文」などが存在する。最後に、以上のように分類されるヴォイスの下位類型の間に見られる體系および下位類型がお互いにどのような有機的かつ必然的な相關關係を持つかについての考察は今後の課題にする。

      • KCI등재
      • KCI등재

        『대승기신론』으로 살펴본 형호의 『필법기』연구

        이민경(탄호) 한국정토학회 2019 정토학연구 Vol.31 No.-

        본고는 『대승기신론』을 통해 형호의 화론서인 『필법기』를 고찰하였다. 『대승기신론』에 담긴 진여사상과 일심(一心)사상 및 각(覺)·불각(不覺)과 진(眞)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형호의 『필법기 를 살펴보았다. 『대승기신론』의 중심이 되는 일심, 이문, 삼대사상을 바탕으로 형호의 『필법기』에 나타난 심적 사상을 바탕으로 전개하여 요약하였다. 자신만의 화풍인 ‘진(眞)’의 세계를 회화에 적용함으로써 개념적인 이론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종합 정리한 것이 『필법기』이다. 형호는 산수화의 창작을 위해 육요라는 특수한 개념을 정하고 화가로써의 내면과 외면의 세계를 마음이라는 요소에서 찾으려 노력하였다. 기(氣)에 대한 부분을 기교 내지는 숙련도로 보지 않고, 개성을 들어내 마음으로 표현하려 하였던 부분을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필법기』 뿐만 아니라 붓을 운용함에 있어서의 특징과 작품을 평가하는 기준의 품격 등을 『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마음이라는 요소에 입각하여 연구하였다. 여기서 대승이란 중생심을 말하는 것으로 중생의 마음이 본래 부처의 마음이고, 부처의 마음이 괴로운 중생의 모습임을 『대승기신론』에서는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대승이라는 개념을 진여, 법신, 여래장, 법계 등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형호가 펼치는 『필법기』와 육법의 내용들도 『대승기신론』에 근간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방식은 형호의 회화관을 토대로 한 연구들과 『필법기 에 관한 연구사적 자료에 불과했다면 이번 연구는 형호의 육요와 『필법기』에 내재되어 있는 ‘심(心)‘과 ‘진(眞)’의 세계를 대승기신론』적 입장에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study reviews 『Pilbeobgi』, which is a painting theory of JingHao, through 『Mahayana Faith』. 『Pilbeobgi(筆法記)』of JingHao(荊浩) is researched through the review on the basic idea, whether there are Jinyeo and Ilsim, and gak(覺)·beulgak(不覺)·jin(眞) contained in 『Mahayana Faith』. Based on ilsim, imun and samdae theories, which are cores of 『Gisinron』, the mental ideas appearing in 『Pilbeobgi(筆法記) of JingHao(荊浩) are developed and summarized. 『Pilbeobgi(筆法記)』 is the one that JingHao synthesized his own painting style to develop a conceptual theory by applying the world of 'Jin(眞)’, his own painting style, to painting. JingHao decided a specific concept called Yukyo for creation of landscape painting and tried to find the inner and outer worlds as a painter in the element of mind. What is clear is that he didn't view the part about spirit(氣) as individuality, skill or proficiency but tried to express it as the mind of Buddhism.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the dignity of standards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works in operating strokes by focusing not only on the element of mind referred in 『Mahayana Faith』 but also on 『Pilbeobgi』. Mahayana is considered as the mind of all sentient beings, and 『Mahayana Faith』 is the one that shows the mind of all sentient beings is the mind of Buddha and how the agonizing mind of Buddha is expressed as the appearance of agonizing living beings. Therefore, as the concept of Mahayana is expressed as Jinyeo, Beobsin, Yeoraejang and Beobgye, the contents of Yukbeob and 『Pilbeobgi(筆法記)』 that JingHao developed are based on 『Mahayana Faith』. Thus, while the existing research methods are only the ones based on the painting view of JingHao and the historical resources on 『Pilbeobg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world of 'mind(心)‘ and ‘truth(眞)’ inherent in Yukyo and 『Pilbeobgi』 of JingHao from the perspective of 『Mahayana Faith』.

      • KCI등재

        眞 ․ 善 ․ 美의 書藝美學的 理解

        김응학(Kim, Eung-hak) 한국서예학회 2010 서예학연구 Vol.16 No.-

        Wether Confucian or Taoist, thought of unity and harmony of human and nature is the beginning of philosophy in east asia. Aesthetics of east asian is built on the philosophical base above-mentioned. Aesthetics in Confucianism occupied essential position establishing framework of east asian aesthetics, and aesthetics in Taoism became it's fresh and blood.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have argued that truth, goodness and beauty are the unified. Originally, truth, goodness and beauty came from a part of philosophy in western modern aesthetics. Although beauty is placed within the domain of art, truth and goodness are put in the same area as well because truth, goodness and beauty are regarded as one in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The reason that east asian aesthetics has the view of truth, goodness and beauty as one is that beauty belongs to the world of Tao. Therefore, calligraphy in east asia (east asian calligraphy doesn't mean simply beautiful handwriting. It is beyond the beautiful or not.) emphasizes and expresses the artistic effect of Tao, and becomes a part of the world of infinity symbolizing Tao. Sensual awareness/artistic view(意象) composed with two basic elements, mind(情) and the stage-represented-by-mind(景) in art constructs essence of east asian aesthetics. The ultimate state of sensual awareness/artistic view(意象) is stage of unison/harmonizing(境界), and the border where the subjective emotion of an artist meets the objective things/artistic conception(意境) is that stage of unison/harmonizing(境界) is represented in the world of art. For this reason,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made stage of unison/harmonizing of Tao, not beauty, become their main theme. Art means to rise the state of human life. That is, stage of unison/harmonizing in art has same meaning with stage of unison/harmonizing in human life. The supreme sensual awareness/artistic view (意象) is wordless-and-self-transformation(無言獨化), and the supreme spiritual stage of east asian calligraphy(書境) is stage of Tao. And the supreme stage of human(人境) is Tao being aware of fundamentals of life. Thus, the stage of art(藝境), spiritual stage of east asian calligraphy(書境) and stage of Tao(道境) become trinity of east asian aesthetics and art theory. It makes Tao of infiniteness become art of finiteness and inversely, art of finiteness turn Tao of infiniteness. This is the key of spirit of aesthetics on east asian calligraphy 동양의 철학은 儒家나 道家를 막론하고 모두 ‘天人合一’의 사상에서 출발한다. 동양미학이나 서예미학도 바로 이러한 철학적 기초위에서 수립된 것이다. 유가미학 이 동양미학에서 뼈대를 이루는 핵심적 지위를 차지하였다면, 도가미학은 그 혈육이 되었다. 서예미학은 眞 ․ 善 ․ 美의 合一을 강조한다.眞 ․ 善 ․ 美는 본래 서양현대미학에서 철학의 한 분과로부터 출발한 것이다. 예술은 당연히 美를 말해야 하지만, 동양미학 ․ 서예미학은 眞 ․ 善 ․ 美가 서로 분리될 수 없다. 동양미학 ․ 서예미학은 美를 말하면서 그 美를 眞 ․ 善과 함께 관련지어 거론하는 이유는, 道의 세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예는 道의 예술작용을 강조하고 표현하며, 道를 상징하는 무한의 세계라 할 수 있다. 예술에서 情과 景이라는 두 가지 기본요소로 구성된 意象은 동양미학 ․ 서예미학의 핵심을 이룬다. 意象의 최고 형태는 境界인데, 예술가운데 구현된 것은 意境이 된다. 그래서 美가 아닌道의 境界가 서예뿐 만 아니라, 동양미학 ․ 서예미학의 주제어가 되었다. 예술은 인생경계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일이다. 즉, 예술경계는 바로 인생경계라할 수 있다. 최고의 意境은 無言獨化이고, 최고의 書境은 눈으로 봄에 道가 거기에있는 道境인 것이다. 그리고 최고의 인생경계는 생명의 의미를 깨닫는 道의 세계이다. 따라서 書境, 藝境, 道境, 人境은 동양미학 ․ 서예미학에서 일체화가 되어있다.그러므로, 인간은 예술을 통하여 무한의 道를, 유한의 藝術로 변화하게 하면서, 또유한의 書藝를 무한의 道로 변화하게 하는 것이다. 곧 서예미학정신의 비밀이 깃들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본고는 바로, 서예라는 이러한 아이콘이 서양미학 ․ 예술학의 정신과 기본적으로 다르게 출발하고 있음을 고찰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