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시대 왕권에 대한 이해와 교과서 속의 왕권 서술

        송웅섭 총신대학교 2023 總神大論叢 Vol.43 No.-

        본고는 조선시대 왕권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와 그것이 중등 교육과정의 한국사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검토한 연구이다. 학계의 연구와 관련해서는 조선시대사 연구에서 한 획을 그은 이태진의 연구를 주된 대상으로 삼았는데, 이를 통해 조선시대 왕권 연구가 어디에 이르고 있는지, 또 국사 교과서에서는 이를 어떻게 수용하고 있고, 향후 어떻게 개선해 나가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고자 했다. 검토 결과, 유교 왕정 국가인 조선 사회에서 왕권이란 무엇인가? 라는 문제는 여전히 더 많은 연구를 기다려야 하는 실정으로, 조선시대 정치사 연구가 당파성이라는 식민사관으로부터 벗어나는 데는 성공했지만, 조선시대 왕권을 개념화해서 총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고 보여진다. 15세기~19세기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시대적 맥락 속에서 왕권 그 자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보다, 왕권 강화에 대한 긍정적 전제 위에서 붕당정치와 탕평정치의 의미를 부조적으로 강조해 온 결과, 국왕권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총체적인 이해가 어렵게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 같은 통설적 지위에 있는 조선시대 정치사 및 왕권 연구에 기반해 서술된 국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왕권 서술 역시 동일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다시 말해 유교 왕정 시대 속에서 군주라는 개념을 설정해 왕권을 일반화 시키기보다는, 왕대별 치적의 많고 적음과 주요 사건에서의 국왕의 역할에 따라 국왕권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교과서 개편 시 이를 어떻게 개선할지 유념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초기불교에 있어 국가권력(왕권)과 교권

        조준호(Cho Joon-Ho) 한국인도학회 2009 印度硏究 Vol.14 No.2

        본고는 인도의 초기불교에서 정치권력이라 할 수 있는 왕권이 교권, 특히 불교와는 어떻게 관계를 맺으면서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먼저 바라문교와 불교에 있어 왕권과 국가의 기원에 대한 이해에 따라 왕권과 교권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나아가 불교의 교권이 세간의 정치권력(왕권)에 대응하여 어떻게 출세간성을 확보했는지를 주로 율장과 경장을 통해 대략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인도불교의 시작은 세간의 왕권과 출세간적 교권간의 기능과 역할에 있어 서로간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승인하며 출발하고 있다. 현대적인 표현으로 말하면, 정치권력과 종교 간의 문제에 있어 정교분리의 차원이라 할 수 있다. 왕권과 교권은 정교분리를 서로 인정했기에 세간적인 이해관계로 경쟁하지 않았고 왕권은 교단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지원하였다. 또한 교단의 구성원들이 정치적인 면에서 권력추구에 나서지 않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탁발과 보시에 의지하는 것과 같은 영리활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가능했던 것이다. 그리고 독신에 엄격한 계율을 지키는 금욕생활로 도덕적인 권위를 보여주었기에 왕권으로부터 간섭이나 통제가 배제된 치외법권적인 출세간이 보장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적인 정교분리의 세간과 출세간 관계는 경우에 따라서는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기도 하였다. 불교교단은 왕권의 지원과 보호와 함께 왕권과 교간간의 긴장과 대립 그리고 간섭과 통제 등도 있었다. 정교분리가 확립된 붓다 시대와 이후 불교사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불교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이 원만하게 이루어졌다. 이처럼 인도불교의 출발은 국가와 밀접한 관계 속에 있지만 정치권력과의 결탁을 거부하는 독립된 출세간의 위상을 보여준다.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한 정교분리의 출발점은 이후 불교교단 또한 기본적으로 출세간의 영역이 인정되는 가운데 왕권과 관련하여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된다. This article is to review relationship between royal power and religious authority of Buddhist order as reflection in the P?li Vinaya and Sutta Pi?akas. For this purpose, it is examined, first of all, understanding for origin of royal power and state between Brahmanism and Buddhism. It is also examined that how Buddhist order coped with royal power of the mundane. Countermeasure of Buddhist order guaranteed the supra-mundane as religious authority from political authority. Therefore, the beginning of Indian Buddhism secured the autonomy and independence from royal power of mundane. At the same time, Buddhist order also recognised political authority of the mundane. In the modern view, such kind of cross-recognition can be said as a way of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religion. The separation between religious authority and political authority wa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in ancient India. That is why Buddhist order did not participated mundane interests and concerns. It is generated positive support and safeguard from royal power. Politically, member of the order was not in pursuit of rank and power. They depend on only offerings, not at all concerned any kind of business. Moreover, they remained unmarried for life and led an ascetic life according to rigid rules. Such moral authority strengthened the supra-mundane of extraterritoriality. Even so, It means not always getting a guarantee that the order took interference and regulation by royal pow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In concluding remarks,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religion was settled period of the fonder of Buddhism. The social role and function of Buddhism could be within the range of the normal separation. In this way, the beginning of Indian Buddhism showed close relationship of government, but at the same time, the order rejected in collusion with political power as the status of autonomy. The starting point of Buddhist independence from political power continues fundamentally in history of Indian Buddhist order. Such foundation provides firm ground of supra-mundane in view of the separation of government and religion. Consequently, the autonomy of Buddhist order from mundane power has diverse aspects according to the times and territories in whole Buddhist history.

      • KCI등재

        古代王權의 전개와 전환

        김영하(Kim, Young-ha)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3

        본고는 신라 왕권의 전개와 전환에 관해 상고, 중고, 그리고 중대의 세 시기로 나누어 검토한 것이다. 기원후 2세기 초에 성립한 신라에서 상고 왕권은 시조묘에 대한 제사로 초월적 권위를 확보하는 한편, 공물 출납에 관한 권한을 장악함으로써 현실적 능력을 과시했을 것이다. 그러나 왕족, 전왕족, 왕비족을 비롯한 귀족들로 구성된 귀족회의는 왕위 계승 및 전쟁 수행과 같은 주요 국사의 결정에서 자신들의 의사를 관철했다. 여기에는 세습을 통해 사회적 신분을 유지하고, 전리품을 통해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려는 그들의 이해관계와 관련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고의 귀족평의체제 하에서 왕권은 복속지역에 대해서도 순수와 같은 통치행위만을 실시할 수밖에 없었다. 중고 왕권의 특징은 대왕 칭호의 사용이었는데, 신라의 대왕 칭호는 고구려로부터 유래한 것이었다. 중고 왕권은 법흥왕 때에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함으로써 귀족세력을 초월하는 대왕으로 격상될 수 있었다. 이러한 대왕전제체제 하에서 종래 주요 국사를 총괄하던 귀족회의의 권한은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중고 왕권은 고대국가에서 가장 기본적인 국정, 군정, 재정에 관한 권한을 분산시킨 이래 국사를 분장할 행정관부의 분업화와 조직화를 이루었다. 또한 지방에는 전략 거점을 중심으로 주와 군을 설치하여 왕권을 침투시키기 시작했다. 7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전의 와중에서 성립한 중대의 특징은 명실상부한 중앙집권적 통치체제의 수립에 있었다. 중앙집권화의 필요조건은 왕권 강화이고, 충분조건은 관료제와 군현제이다. 중대 왕권은 불교는 물론, 당으로부터 수용한 유학을 중앙집권체제의 유지를 위한 지배이념으로 삼았다. 골품귀족의 관료화를 통해 귀족세력을 약화시키는 한편, 왕경의 평인과 지방의 백성을 공민화하여 조용조를 부담시킴으로써 왕조국가의 토대로 삼았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전면적으로 실시된 군현제와 더불어 한국사에서 중앙집권적 중세사회의 선구였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evelopment and conversion of Silla’s royal authority according to periodization of the Sanggo period, the Junggo period, and the Jungdae period. Silla was founded in the early 2nd century. The royal authority of the Sanggo period seized the transcendental power by a memorial service to (the grave of) the progenitor, and demonstrated practical ability by control over receipt and distribution of tribute. However the council of aristocracy consisting of nobles along with the lineages of the kings, the former kings, and the queens gained their point in major national affairs including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conduct of war. The issues were related to their interest in maintaining social status by hereditary succession and building a financial foundation with the spoils of war. Therefore, the royal authority was able to only conduct political acts such as border inspection tours in subjugated area under the council of aristocracy system. A feature of the royal authority in the Junggo period is to use the title of the Great King, which originated from Goguryo. King Beopheung strengthened the royal authority to the Great King beyond aristocracy by law announcement and approval of Buddhism. Thus, the power of the aristocratic council handling state matters weakened under autocracy of the Great King. During the Junggo period, the royal authority specialized and systematized administration, separating the basic powers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military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affairs. Provinces and prefectures were also established in strategic points of the country so that the royal authority could penetrated. The Jungdae period began during the 7th century international war in East Asia, and it featured establishment of centralized ruling system. A necessary condition of centralization is consolidation of the royal authority and sufficient conditions are bureaucracy and the system of prefectures and counties. The royal authority of the Jungdae period accepted not only Buddhism, but also Confucianism from the Tang dynasty as the ruling ideology to maintain centralism. Bureaucratization of the nobles from the bone-rank system weakened the aristocratic power. The royal authority also citizenized commoners of the capital and subjects of the country to collect taxes in kind or service from them for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Along with the system of prefectures and counties executed overall, the series of measures were leading factors into the centralized medieval times in Korean history.

      • KCI등재

        3~4세기 백제의 대외관계와 왕권의 추이

        박현숙(Park, Hyun-sook)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3

        본고는 왕권의 대내적인 성장의 모습보다는 전쟁 및 외교와 교역 등 대외관계의 측면에서 3~4세기 백제의 대외관계와 왕권의 추이와 성장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쟁 및 외교와 교역 등 대외관계는 왕권의 표상과 성장에 긴밀하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전쟁 수행을 통해 백제 왕은 대내적으로 고도의 적응력이 있는 관리자로서의 기능을 제공받았을 뿐 아니라, 획득한 인적 · 물적 자원을 토대로 왕권으로 대표되는 중앙의 권력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국가 간의 외교와 이로 인한 교역은 물질적 물품 교환뿐만 아니라, 가치 · 상징체계 · 문화적 자극 등 추상적 정보까지도 교환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사회변화와 성장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기능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축적된 富와 情報는 정치체를 통합할 수 있는 중요한 정치적 도구로 작용하였다. 3세기 이전 백제는 마한 사회의 외곽에서 중국 군현의 직 · 간접적인 공격에 저항하는 한편으로, 교역의 이익과 그 선진문물의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해 나갔다. 온조왕 이후 백제의 王들은 전쟁과 교역을 통해 왕권을 신장시켜 나가고 있었다. 백제의 3세기 왕권과 관련해서는 고이왕대를 주목해 보았다. 帶方郡의 崎離營 전투에서 마한의 구세력들이 전통적 구심력을 상실함에 따라, 고이왕은 그 계기를 활용하여 고유한 내적 구심력을 회복함으로써 왕권을 강화하고 마한을 대표하게 되었다. 또한 한군현의 영향력이 약화된 틈을 타서 西晉과의 교섭을 적극 주도함으로써, 백제 정치체의 대내 · 외적인 통합력을 제고시켰다. 그러나 고구려에 의한 낙랑 · 대방군의 소멸과 서안평의 장악으로 인해 西晉에서 낙랑 · 대방군을 거쳐 한강유역의 백제로 이어지는 주요 세력들은 재편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낙랑과 대방군의 소멸로 이주민이 몰려오면서 백제는 이들을 이용하여 중국과 교류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게 되었다. 근초고왕은 이러한 대외적인 요인과 3세기 이래 구축된 왕권을 바탕으로 4세기 후반에도 왕권의 성장을 제고시킬 수 있었다. 근초고왕대의 남방 경영은 고구려전에 대비한 후방의 안전과 백제-가야-왜로 이어지는 백제 중심의 교류체제를 성립시켰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또한 백제의 東晋과의 교섭은 근초고왕대의 대내외적인 발전에 따른 고양된 자신감이 대외관계로 표출된 것이며, 백제의 본격적인 중국과의 교섭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이 3~4세기 백제 왕권은 ‘왕 개인에게 집약되는 권력 그 자체를 지칭하는 협의의 개념’을 넘어, ‘지배계급의 결집의 핵심 존재인 왕으로 대표되는 정치적 권력 및 기능의 총체를 가리키는 광의의 개념’으로 성장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Baekje’s foreign re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its royal authority in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focusing on war, diplomacy, and trade rather than the internal growth. Foreign relations including war, diplomacy, and trade worked hand in hand with evolution of kingship. In war time, the king not only was provided with highly flexible, competent bureaucrats, but also was able to strengthen his kingship that represented the central power with capture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tates and the resulting trade facilitated exchanges of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that included values, symbolic systems, and cultural stimuli. As a result, they played an irreplaceable role in social change and growth and the accumulated wealth and information became an important political tool to unify the dispersed political units. Until the third century, Baekje had been a recipient of China’s advanced culture and profited from its trade with China while resisting the attacks of the Chinese counties and prefectures, both direct and indirect, on the outskirts of Mahan society. The kings of Baekje since Onjo had consolidated royal authority through war and trade. When it comes to Baekje’s kingship, one needs to pay attention to King Koi’s reign of the third century. As the traditional power group of Mahan lost centripetal force at the battle of Kiriyŏng (崎離營) in Taebanggun (帶方郡), King Koi, seizing the opportunity, recovered the internal centripetal force of his state, which helped him buttress the kingship and represent Mahan. Moreover, upon the weakening of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he took the initiative in negotiating with Sŏjin (西晉), thereby attempting to enhance the integra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political entities. The fall of Nangnang and Taebanggun and the occupation of Sŏanp’yŏng by Koguryŏ forced the relations among the principal actors of Sŏjin, Nangnang, Taebanggun, and Baekje in the Han River basin to be reorganized. Furthermore, the collapse of Nangnang and Taebanggun made refugees flow into Baekje, which in turn opened new routes for trading with China. King Kŭnch’ogowang was able to strengthen his kingship in the late fourth century based on the royal authority firmly established in the previous period. King Kŭnch’ogowang’s management of the southern part is historically significant in that he stabilized the home front in preparation for waging war against Koguryŏ and established the trade system that started in Baekje and ended in Japan via Kaya. Baekje’s negotiation with Tongjin (東晋) is an expression of the confidence built thanks to the growth the state achieved internally and externally during King Kŭnch’ogowang’s reign in the area of foreign relations and particularly important in that Baekje’ full-scale negotiation with China began to take place. As seen above, Baekje’s royal authority in the third and fourth centuries grew beyond the narrow concept of kingship that indicates a system of power that centers around one individual to realize a broader concept of kingship that signify the political power represented by the king that was the central component of the unity of the ruling class and the whole functions.

      • KCI등재

        ‘任那日本府’의 파견 주체 재론

        白承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한국민족문화 Vol.37 No.-

        ‘임나일본부’의 파견 주체, 출현 배경, 그리고 그 성격에 대한 논란은 지금까지도 끊이지 않는 주제들이다. 모두 ‘야마토 왕권’의 관련성 여부가 핵심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 파견 주체에 대해서는 수정된 ‘야마토 왕권 파견설’이 대세인데, 야마토 왕권이 ‘임나일본부’를 파견하고 제왜를 통할한 주체로 보았다. 그러나 일찍이 이와는 정반대의 시각에서 ‘임나일본부’와 야마토 왕권을 분리하여 백제 혹은 제왜ㆍ재지왜인 중심으로 접근한 백제 파견설, 제왜파견(출자) 재지왜인설, 기타설 등이 제기되었다. ‘임나일본부’의 파견 주체에 대한 각각의 창의적인 시각이 돋보이지만, 어느 견해도 정설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임나일본부’ 자료의 근간인 『백제본기』와 『일본서기』는 후대 천황제 관념 하에 야마토 왕권 중심으로 편찬된 것은 분명하다. 문제는 남가라 소멸과 ‘磐井의 亂’ 이후 ‘임나일본부’ 활동기인 계체ㆍ흠명대에 신라와 백제에 파견된 ‘왜사’를 야마토 왕권과 무관하게 보는 논자는 없다는 점이다. 여기에 야마토 왕권 파견설을 비판한 제설의 의문점이 있다. ‘임나일본부’는 『백제본기』와 『일본서기』 편찬 과정에서 출자의 혼란을 가져오고, 파견과 귀국 과정도 분명하지 않게 되었다. 야마토 왕권 파견설을 비판한 제설은 야마토 왕권과 ‘임나일본부’가 직접 관련된 기록이 없다는 점을 결정적인 근거로 제시하고 있지만, 『백제본기』의 특징인 백제 중심의 ‘가야부용관’과 자료 누락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고, ‘임나일본부’ 중심으로 전개된 백제-안라-신라-야마토 왕권 4자 관계의 실상에 대해서도 충분하게 검토하지 않은 약점을 노정했다. 5세기대 제왜 지방호족이 주도한 ‘지역정권’의 독자적인 대 한반도 교섭은 인정된다. 그러나 ‘임나일본부’가 활동한 6세기 전반은 한반도 남부지역과 일본열도 공히 고대국가의 발전기로서, 두 지역 간의 외교관계는 대표 정치체인 신라ㆍ백제ㆍ가야와 야마토 왕권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렇다면 동일한 시기에 활동한 ‘임나일본부’와 ‘재안라제왜신등’ 역시 야마토 왕권과 관련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임나일본부’는 출자의 다양성과 재지성 그리고 친신라 외교활동 등의 특징을 가졌지만, 일단 남가라 소멸 이후 변화된 야마토 왕권의 대 한반도 외교의 ‘표상’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 KCI등재

        王權에 대한 禮治의 문제의식

        이봉규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2 No.-

        본 논문은 王權에 대한 유교 지식인의 문제의식이 왕권을 군주 개인으로부터 분리시켜 공적인 권력으로 객관화하고, 군주의 자의적 권력행사에 대하여 견제하며, 禮治 실현의 주체로서 자신들의 정치적 역할을 정립하는 것에 있음을 밝힌 글이다. 본 논문에서는 宗法에 대한 인식과 논쟁, 君子 개념 등 두 가지 주제를 가지고 살펴보았다. 먼저 종법의 핵심은 親親과 尊尊의 두 이념을 근거로 권력의 승계를 정당화하는 것에 있다. 古禮 규정의 기본 특징은 적장자 계열의 승계를 정당화하는 방식인데, 이는 한편으로 가부장 사회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한편으로 宗子나 國王 개인으로부터 宗權이나 王權을 독립시켜 객관화하는 기능을 한다. 유교지식인의 종법에 대한 문제의식은 특정한 國王이 왕권에 대한 종법적 규율을 변경하거나 침해하는 것을 비판하고 견제함으로써 王權을 公的이고 객관적인 것으로 위치지우고, 나아가 왕권을 안정시키는 것에 있다. 君子 개념에 대한 재정립은 『논어』, 『맹자』, 『순자』 등에서 연속적으로 진행되는데, 여기에는 유교지식인의 왕권에 대한 문재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그것은 국왕에 대한 교정자로서 그리고 이상적 정치형식인 禮治의 실현 주체로서 유교지식인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을 정립하려는 것이다. 그러한 문제의식은 춘추전국시기 강화되는 군주의 권력에 대한 유교지식인의 대응을 보여주며, 이후 동아시아역사에서 유교지식인들이 왕권의 전제적 권력에 맞서 저항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동아시아 정치의 안정에 기여하는 생산적 역할을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新羅의 王權과 官職制

        金羲滿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新羅文化 Vol.22 No.-

        신라의 왕권과 관직제를 연구하는데 있어 『三國史記』職官志 관계기사는 同新羅本紀와 더불어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된다. 신라 상고기에는 관등과 관직이 아직 미분화되었으나, 중고기에 들어서면서 兵部 등 관부가 설치되면서 관직제가 체계화되었으며, 이는 왕권의 강화과정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된다. 특히, 上大等과 執事部의 관계는 典大等을 통하여 그 변화를 읽을 수 있으며, 장관의 복수제는 처음 합의제 정치나 2부지배체제에 의한 정치적인 것이었으나, 점차 왕권의 확립을 통해 이는 행정적인 측면으로 그 성격이 바뀌고 있다. 그리고 그동안 관직체계가 4단계에서 5단계로 발전한 시기를 중대인 神文王 5년 舍知의 설치를 계기로 보았으나, 다른 令-卿-大舍-史의 설치과정을 통해 볼 때 이를 眞德王 5년으로 볼 수 있어 이 또한 왕권강화의 한 요소로 파악하였다. 이어서 왕권과 관직제의 규명은 골품제의 권력구조와 연관이 있으며, 신분제인 골품제가 왕권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는 결국 왕권의 강약을 비춰볼 수 있는 관건이기도 하다. 여기서는 왕권과 진골, 6두품 등의 관직 관계기사를 통해 골품제 운영의 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It finding out the development process of Silla society through Royal authority(王權) and Office-post System(官職制). Silla society distinguished four period largely, so-called Old ancient period(上古期, B,C 57~514),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514~654), Middle period(中代, 654∼780), and Later period(下代 780∼935), according to social development stage. This four period was related to disagreement and opposition in the Royal authority and Aristocratic power(貴族勢力). Gradually. the growth of the Royal authority and the institution of many Office-post(官職), both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Office-post system was accomplished receiving Royal commands from above and controlling the various offices downwards that take partial charge of government affairs.

      • KCI등재

        17,18세기 류큐(琉球) 곡물 기원 신화의 재편과 류큐 왕권의 논리

        정진희 ( Jin Hee Je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80 No.-

        17·18세기 류큐 관찬 문헌에 기록된 곡물 기원 신화는 고유구(古琉球) 왕권의 신화적 논리와 사쓰마 침탈 이후 근세(近世) 유구(琉球)의 변화한 왕권론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중산세감(中山世鑑)』과 『중산세보(中山世譜)』의 창세 신화에 보이는 곡물 기원 신화에서는 고유구(古琉球)의 신화적 왕권론 및 그것과 결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모색된 유교적 왕권론의 실마리가 엿 보이며, 『유구국유래기(琉球國由來記)』와 『유구국구기(琉球國舊記)』의 곡물 기원 신화에서는 의례 체계의 재 편과 신화의 재배치를 통해 구성된 "세계체계"에서 류큐의 왕권이 농경 의례와 관련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류큐의 곡물 기원 신화는 류큐 왕권의 신화적 논리 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왕권과 농경 신화의 상관성에 대한 특수한 사 례이자 비(非)신화 시대에 신화가 왕권의 논리를 구축하는 담론으로서 소환되는 사례라 는 점에서 주의깊게 살필 필요가 있다.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hen Ryukyu were invaded and controlled by Satsuma, some types of myths about Origin of Grains were documented on official texts. This study attempts to delineate the features of the documented myths as those of sovereign power. The myths are group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A) Amamiku(아마미구) (阿摩美久) brought the five grains from the heaven. (B) Five grains were naturally grown up. (C) Grains were washed up on the shore. (D) Amamiku brought the rice grain from the Nirai-kanai(ニライカナイ) (A) and (B), the elements of foundation myths written by civil servants of Ryukyu Dynasty, show the mythical principles of sovereign power. What the (A) shows is the principle of `god-nation` and what the (B) shows is the principle of confucian kingship.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purpose of both types is same. The both types aim for not mythical but reasonal principle which supporting strong sovereign power or kingship. (C) and (D) are regional oral tradition in Kudakazima(구고도) (久高島) and Tamagusuku(옥성) (玉城). As the official ritual system accepted and changed into agricultural rites, the type (C) and (D), regional myths about grains-origin, are organized into new official mytholpgy. And in this case, the principle of official mythology is that the sovereign power or kingship rules the rice-farming hero and must be offered agricultural richness. These myths of Ryukyu, are different from other dynasty`s myths about sovereign power or kingship in some respects. For further comprehension we need to focus on the other myths about myth of kingship, of Ryukyu dynasty.

      • KCI등재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

        윤성환(Yoon, Sung Hwan) 한국고전번역원 2010 民族文化 Vol.- No.34

        그동안 고구려 정치사의 변천과 관련된 지표로 『삼국사기』고구려본기에 나타나는 이른바 ‘5那部’의 등장과 전개, 소멸에 주목해왔다. 이를 통해 고구려 전기 정치사의 전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었는데, 이처럼 고구려 전기 정치사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 『삼국사기』고구려본기에 특정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지표’를 찾아내고 이를 당시의 상황에 맞추어 해석하는 것은 고구려 정치사의 변천 과정을 규명하는 데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 글에선, 『삼국사기』고구려본기에 특정한 양상을 띠며 나타나고 있는 ‘사면령’ 관련 기록에 주목하였다. 『삼국사기』고구려본기에서 사면령 관련 기록은 주로 고구려 전기에 집중되어 나타나는데, 관련 기록을 내용?성격별로 분류해보면 ‘사면령’이 고구려 전기에 일종의 통치 관행적 성격을 띠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서기 1세기에 해당하는 고구려 국가형성기의 사면령 관련 기록을 과연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라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는 『삼국지』동이전의 기록과 결부시켜 볼 때 더욱 부각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일단 『삼국사기』에 전하는 국가형성기 사면령 관련 기록에는 후대의 인식이 소급, 투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단, 『삼국지』동이전의 기록을 참고하고, 『삼국사기』의 기록을 재해석함으로써 두 사료 간의 접점을 찾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삼국사기』에 전하는 국가형성기 사면령 관련 기록에 대한 재구성을 시도해 볼 수 있다. 고구려 전기 정치사의 전개와 ‘사면령’ 관련 기록을 결부시켜 살펴보면, 사면령 관련 기록이 고구려 전기 왕권강화의 추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는 고구려 전기의 왕들 중 왕권강화책을 추구한 경우 사면령 기록이 나타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 즉위 과정에서 諸加들의 추대를 받아 왕권의 입지가 불안정했던 왕들의 경우 즉위 초 거의 대부분 사면령을 내리고 있는 사실을 통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전제적 왕권이 수립된 고구려 중기 이후 사면령 기록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사실은 이런 점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신대왕 대 이후에는 사면을 실시하면서 점차 왕권의 의지가 강하게 작용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곧, 기존에는 제가회의에서 제가들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반영해 사면령을 실시한 경우가 많았으나 신대왕 대 이후 산상왕, 동천왕 대에 이르면 왕권의 정치적 필요와 이해관계에 의해 사면을 실시하는 양상으로 변화해갔던 것이다. 이는 고구려 전기 점차 왕권의 영향력이 증대되어 가고J 왕권과 5나부 제가 사이의 역관계의 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되는 양상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삼국사기』에 전해지는 고구려 전기 사면령 기록이 고구려 전기 정치사를 이해하는 하나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구려 전기의 사면령은 통합과 타협이라는, 정치적 기능을 띠고 있었다. 이러한 사면령의 기능 역시 고구려 전기 정치사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 일정한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watched that change process in the early years political history of Koguryo. And, with it indicative index watched that amnesty record of Samguksagi(三國史記) Koguryo-bongi(高句麗本紀). Amnesty record of Samguksagi Koguryo-bongi appeared distinctively. But, amnesty record of Koguryo nation formation time cannot easily judge whether historic fact or not. By the way, amnesty record has close relationship with king power(王權) strengthening in the early years of Koguryo. In other words, the amnesty record shows connection between king power and Jega(諸加) power. Also, amnesty in the early years of Koguryo had function of political synthesis and compromise. Such aspect shows what amnesty record of Samguksagi Koguryo-bongi is useful with index which appears change process of political history of Koguryo.

      • KCI등재

        맹자(孟子)의 국가론(國家論) -국가(國家) 존재의 필요성과 국가통치의 정당성 문제를 중심으로-

        정병석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3 No.-

        在孟子一書中, 言``國``的地方是110餘處, 言``國家``連稱者五。孟子所謂``國``或``國家``, 主要指戰國時代的諸侯之國。孟子所言``國``或``國家``, 不同於現代的國家槪念。那마, 孟子所謂國家究竟何所指? 孟子批評了君主和``國家``對人民的剝削, 表面上看來, 孟子好像是否定了國家存在的必要性。其實, 他却積極地强調了國家存在的必要性。故孟子國家對人民應有的責任、國家建立的必要性或目的和國家統治的正當性的問題等進行了一系列精彩的論述。他認爲國家成立的主要目的是在於保民、養民和敎民上。國家的統治者一定要讓百姓過著豊衣足食的生活, 如此才能收到百姓的信任, 所以賢明的統治者天天注意人民的衣食住行。但是如果只是飽食、暖衣、逸居, 但沒有敎育, 不知禮義, 那就和禽獸差不多了。所以, 需要敎化的問題, 此便是富民而後敎之的敎民政治理念。 孟子在中國歷史上第一次提出了系統的王權合法性的權威問題。 所謂王權合法性的權威問題, 就是主要對國家統治的正當性的問題討論的。基本上, 孟子把人民的同意或支持視爲王權合法性的根據。其理論的核心基礎就是將人民同意卽民心作爲王權取得道德合理性的前提。雖然這一理論幷沒有超出君主專制主義的範疇, 但對王權具有道德制約和監視的作用。孟子重視人民的歷史作用, 高度關心人民的生活, 反映了當時人民的要求與願望, 提出了王道政治和國家成立的理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