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初 洪武帝의 國家統治 구상과 『大明律』

        김경록(Kim, Kyeong Lok) 한국법사학회 2016 法史學硏究 Vol.53 No.-

        본 글은 명초 홍무제(洪武帝)의 국가통치 구상과 형사법의 일반적인 기반이었던 「대명률(大明律)」을 연구한 것이다. 원명교체는 일반적인 시대변화의 의미뿐만 아니라 각종 예제(禮制)와 법제(法制)가 정밀하게 정립된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 대표적인 법제가 『대명률』이며, 명대 뿐만 아니라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국 뿐만 아니라 한국사와 일본사를 비롯한 주변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명률』에 대한 정확한 접근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법제의 제정주체가 누구인가에 주목하고, 제정주체가 무엇 때문에 그러한 법제를 제정하려고 하였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자칫 『대명률』 제정 당시의 시대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명대의 상황을 적용하여 인식한다면 법 제정의 취지를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글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구체적인 『대명률』의 조문분석에 앞서 명초 홍무연간 정세변화와 『대명률』의 제정과정을 살펴보고, 『대명률』 제정에 직접 참여할 정도로 열성적이었던 홍무제의 국가통치 구상을 『대명률』과 연결시켜 살펴본다. 홍무제는 원말 사회모순을 일소하고 한족문화의 부흥을 통하여 명 건국의 정당성을 인정 받고 황제중심의 통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홍무제는 황제권의 안정을 강조하여 권력의 균형적 배분보다는 권력의 집중과 그 결과로 산출되는 통치의 효율성을 강조하였다. 몽고의 통치잔재를 청산하고 유학적 도덕관념과 예제에 바탕하여 명을 건국하였지만, 내부적으로 공신세력의 반발과 외부적으로 몽골세력의 위협 등으로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 홍무제는 중서성을 폐지하고 각종 법제를 제정하는 등 일원적인 황제 중심의 통치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30여년이 넘는 장기간의 전란은 전국을 황폐화시켰다. 명 건국이후에도 각지에서 정벌전쟁이 벌어졌으며, 농민반란도 끊임없이 일어났다. 전란으로 인한 황폐화와 자연재해는 신흥 명 제국의 기반을 위협하는 요소였기 때문에 홍무제는 농업생산력 향상을 위한 각종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무엇보다 관리들의 청렴함을 강조하고, 각종 부정부패에 대해 단호한 자세를 취했다. 특히, “명형필교(明刑弼教)”로 표현되는 홍무제의법 인식은 혼란한 시기에 엄한 법을 밝힘으로써 중전(重典)의 기반을 마련하고, 법은 간략하고 안정적으로 제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당시 사회적으로 만연된 관리들의 부정부패는 훈계로 해결될 수는 없다고 인식한 홍무제는 강력한 처벌을 통해 응징하고 방지하고자 했다. 홍무연간의 이러한 강력한 처벌을 통해 관리들의 부정을 방지하고자 했던 정책은 「대명률」, 「大誥」 등과 같은 법의 제정으로 나타났는데, “중전이치(重典吏治)”로 표현할 수 있다. 홍무연간에 제정된 「대명률」은 대체적으로 이전의 법률에 비하여 중형의 성격이 강했다. 즉, 홍무제는 법을 엄격하게 적용하여 통치의 기강을 바로잡고, 각종 예법을 강조하여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홍무제는 건국직후 「명률」을 제정하고 홍무연간에 지속적으로 개정작업을 시행하여 말년에 이를 종합 정리했다. 홍무제의 국가통치구상은 법제와 예제를 통해 통치의 근본을 바로잡고, 일원적인 황제 중심의 국가운영을 지향했다.

      • KCI등재

        明代 國際 關係의 기틀 - 洪武帝의 15個 不征諸夷國 構想과 그 形成 過程 -

        林常薰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0 韓中關係硏究 Vol.6 No.3

        홍무제의 후대 황제들의 통치에 대한 조언과 훈계를 목적으로 황명조훈 을 남겼다. 그는 여기에 처벌해서는 안 되는 주변국 15개를 열거하였고, 이는 이후 명의 국제관계 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홍무제가 설정한 ‘15개 부정제이국’은 홍무 4년(1371)의 첫 선유부터, 두 번째 홍무 6년(1373)에 완성한 『황명조훈록』에서의 명시, 그리고 마지막 으로 홍무 28년(1395)에 간인한 『황명조훈』에서 15개국을 나열하면서 확정되었다. 그 대략적인 내용은 大同小異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명확히 범위가 좁혀가는 등 더욱 구체화된 것을 볼 수 있다. 15개 부정제이국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수양제의 류큐 침공이 남긴 교훈에서 비롯하여 확장보다는 수렴을 중시하는 명의 폐쇄 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홍무제의 국제관계에 대한 실용적인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둘째, 홍무제는 주변국에 대해 처음의 두리뭉실함에서 점차로 범위를 좁혀가다 가 마지막에 15개 부정제이국을 확정지었다. 이는 처음의 선유로부터 20여년이라는 긴 시간이 흐르면서 그의 주변국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쌓인 결과물로, 명에 그다지 위협이 되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바라는 명 중심의 국제질서에 편입할 수 있는 나라를 엄선한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로, 제2차와 제3차 부정제이국에 관한 기록의 배치 순서 변경이다. 홍무제는 부정제이국의 내용을 제2차에서는 18번째에 배치하였지만, 제3차 에서는 그보다 훨씬 앞부분인 4번째에 배치하였다. 이 역시 홍무제가 긴 시간의 국정운 영을 통해 국제관계가 명의 존망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한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부정제이국에 대한 단서 조항이다. 홍무제는 주변국을 ‘무조건’ 정벌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조건적’으로 정벌하지 않는다고 명시하였다. 즉, ‘중국에 환이 되지 않는다면’이라는 조건을 달았으며, 몽골에게만은 항상 전쟁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 고 하였다. Emperor Hong-Wu left a book titled Huang Ming Zu Xun (『皇明祖訓』) for the purpose of advising and admonishing the rule of the country by future emperors. He listed 15 neighboring countries that should not be punished here, which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foreign relations of later generations. “The 15 No Punish Countries” established by Emperor Hong-Wu were confirmed by listing 15 countries from the first edict of the Hong-Wu 4th year (1371), the second year of specified in the Huang Ming Zu Xun Lu (『皇明祖訓錄』) completed in the Hong-Wu 6th year (1373), and the last year from the Huang Ming Zu Xun (1395), which was published in the Hong-Wu 28th year. Although the rough contents are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scope has become more specific as time goes by. In addition, “The 15 No Punish Countrie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ems from the lessons left by the invasion of Liu-Qiu (琉球) by the Emperor Sui-Yang (隋煬帝), and we can see the practical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Emperor Hong-Wu, which we believe may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closedness of the name, which values convergence rather than expansion. Second, Emperor Hong-Wu gradually narrowed down the scop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from the initial dourness, and finally confirmed “The 15 No Punish Countries”. I think this is a strict selection of countri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name-oriented international order that they want without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the order. Thirdly, it is a change in the placement order of the records concerning the Second and Third False Jays. Emperor Hong-Wu placed the contents of the “The 15 No Punish Countries” in the 18th place in the 2nd place, but the 4th place in the 3rd place, which is much earlier than that. I also think this was the result of Emperor Hong-Wu’s long-term management of state affairs, which determined that international rela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rvival of the name. Finally, it is a proviso clause to the fraudulent “The 15 No Punish Countries”. Emperor Hong-Wu stated that it does not punish neighboring countries ‘unconditional’ but ‘conditional’.

      • KCI등재

        明代 國際 關係의 기틀 - 洪武帝의 15個 不征諸夷國 構想과 그 形成 過程 -

        임상훈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0 韓中關係硏究 Vol.6 No.3

        Emperor Hong-Wu left a book titled Huang Ming Zu Xun (『皇明祖訓』) for the purpose of advising and admonishing the rule of the country by future emperors. He listed 15 neighboring countries that should not be punished here, which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foreign relations of later generations. “The 15 No Punish Countries” established by Emperor Hong-Wu were confirmed by listing 15 countries from the first edict of the Hong-Wu 4th year (1371), the second year of specified in the Huang Ming Zu Xun Lu (『皇明祖訓錄』) completed in the Hong-Wu 6th year (1373), and the last year from the Huang Ming Zu Xun (1395), which was published in the Hong-Wu 28th year. Although the rough contents are the same, it can be seen that the scope has become more specific as time goes by. In addition, “The 15 No Punish Countrie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is stems from the lessons left by the invasion of Liu-Qiu (琉球) by the Emperor Sui-Yang (隋煬帝), and we can see the practical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Emperor Hong-Wu, which we believe may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closedness of the name, which values convergence rather than expansion. Second, Emperor Hong-Wu gradually narrowed down the scop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from the initial dourness, and finally confirmed “The 15 No Punish Countries”. I think this is a strict selection of countrie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name-oriented international order that they want without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the order. Thirdly, it is a change in the placement order of the records concerning the Second and Third False Jays. Emperor Hong-Wu placed the contents of the “The 15 No Punish Countries” in the 18th place in the 2nd place, but the 4th place in the 3rd place, which is much earlier than that. I also think this was the result of Emperor Hong-Wu’s long-term management of state affairs, which determined that international rela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rvival of the name. Finally, it is a proviso clause to the fraudulent “The 15 No Punish Countries”. Emperor Hong-Wu stated that it does not punish neighboring countries ‘unconditional’ but ‘conditional’. 홍무제의 후대 황제들의 통치에 대한 조언과 훈계를 목적으로 『황명조훈』을 남겼다. 그는 여기에 처벌해서는 안 되는 주변국 15개를 열거하였고, 이는 이후 명의 국제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홍무제가 설정한 ‘15개 부정제이국’은 홍무 4년(1371)의 첫 선유부터, 두 번째 홍무 6년(1373)에 완성한 『황명조훈록』에서의 명시, 그리고 마지막으로 홍무 28년(1395)에 간인한 『황명조훈』에서 15개국을 나열하면서 확정되었다. 그 대략적인 내용은 大同小異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명확히 범위가 좁혀가는 등 더욱 구체화된 것을 볼 수 있다. 15개 부정제이국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수양제의 류큐 침공이 남긴 교훈에서 비롯하여 확장보다는 수렴을 중시하는 명의 폐쇄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홍무제의 국제관계에 대한 실용적인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둘째, 홍무제는 주변국에 대해 처음의 두리뭉실함에서 점차로 범위를 좁혀가다가 마지막에 15개 부정제이국을 확정지었다. 이는 처음의 선유로부터 20여년이라는 긴 시간이 흐르면서 그의 주변국에 대한 경험과 지식이 쌓인 결과물로, 명에 그다지 위협이 되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바라는 명 중심의 국제질서에 편입할 수 있는 나라를 엄선한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로, 제2차와 제3차 부정제이국에 관한 기록의 배치 순서 변경이다. 홍무제는 부정제이국의 내용을 제2차에서는 18번째에 배치하였지만, 제3차에서는 그보다 훨씬 앞부분인 4번째에 배치하였다. 이 역시 홍무제가 긴 시간의 국정운영을 통해 국제관계가 명의 존망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한 결과였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부정제이국에 대한 단서 조항이다. 홍무제는 주변국을 ‘무조건’ 정벌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조건적’으로 정벌하지 않는다고 명시하였다. 즉, ‘중국에 환이 되지 않는다면’이라는 조건을 달았으며, 몽골에게만은 항상 전쟁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 KCI등재

        논문(論文) : 명초(明初) 홍무제(洪武帝)의 말 강요(强要)와 여명관계(麗明關係)

        임상훈 중국사학회 2015 中國史硏究 Vol.99 No.-

        十四世紀中期,在東亞發生了巨大的變化. 那卽是中國的元明交替和韓半島上高麗ㆍ朝鮮的交替. 這不僅僅是代表王朝的興亡盛衰,而是象徵著以漢族爲中心國際秩序的恢復. 明朝積極將周邊國家納入到自己的體系裡.其中明朝與韓半島上的高麗ㆍ朝鮮的關系尤爲錯綜複雜.明朝與高麗的關系剛開始比較友好,但種種原因使洪武帝不能完全信任高麗. 雖然元朝被明朝從中原撤離,但元朝幷沒有滅亡,而在漠北仍然保持著强大的軍事力量. 而且高麗也過去從忠烈王開始成爲了元朝的駙馬國,幷與元朝有著“舅甥之好”的特別關系. 麗明關系開始時就潛在著這些危險因素,後來接踵發生的事情終於讓洪武帝撤底敵視高麗. 如,壹向主張親明路線的恭민王被시ㆍ明使的被害ㆍ高麗權臣李仁任在親元和親明之間的反復無常等等. 因此,洪武帝開始對高麗施行了壹些列强迫政策.洪武帝對高麗施行强迫政策的主要原因,是爲了提高明朝對高麗的控制力量,最終達到撤底斷절高麗和北元關系的目的. 洪武帝對高麗的這種惡劣政策中最有效的是徵索大量的高麗“軍馬”. 從洪武七年到高麗滅亡的洪武二十五年僅僅是19年,在這短短的時間中,洪武帝向高麗勒索的軍馬數量竟達到兩萬三千多匹. 高麗爲了滿足洪武帝的要求,在全國範圍搜集軍馬,幷將타們運到遙遠的遼東都司. 可想而知,洪武帝向高麗徵索軍馬給高麗社會引起了擧國上下的混亂. 更重要的是,洪武帝以從高麗剝奪的軍馬來充當明軍的軍馬,卽形成了高麗軍馬愈少,明軍的軍馬愈多的局勢.如此,在明初麗明關系中,洪武帝向高麗徵索軍馬頗有硏究價値.

      • 從皇帝到探花 :1396年陽村權近在南京的交游行迹考

        유성운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5 중한언어문화연구 Vol.9 No.-

        양촌 권근(權近, 1352-1409)은 고려말 조선초의 저명한 학자이고 문신이다. 권근은 선후로 두 차례나 명나라 수도 남경을 사행하는 행운을 지녔다. 특히 1396년에 성사된 사행은 ‘표전’문제로 야기되었던 조선과 명나라 사이의 모순과 충돌을 원만히 해결하였을 뿐만아니라 홍무제 주원장으로부터 “노실한 수재”란 칭찬을 받기도 하였으며 심지어는 3수의 어제시를 하사받기도 하였다. 권근은 홍무제의 어명을 받고 어제시 24수를 지어 공손히 올려 바쳤다. 권근의 응제시들에는 조선의 유구한 역사와 명승고적들, 그리고 명나라 사행 노정과정에서의 견문을 읊었는데 그중 <시고개벽동이왕>, <진한>, <신라>, <고려>, <이씨이거>, <금강산> 등 작품들에서는 작가의 주체의식과 애국정서들이 뚜렷이 나타났다. 권근은 주원장의 명에 따라 유삼오, 허관, 경청, 장신, 대덕이 등 명나라 최고의 문인들과 같이 남경의 문연각과 남시, 북시 등 명소들을 유람하고 서로 교유하는 화려한 경력을 갖게 되었다. 권근의 남경사행과 행적은 청나라의 저명한 문인이고 학자이며 대장서가인 주이존(1629-1709)이 편찬한 <폭서정집>, <명시종> 그리고 <정지거시화> 등에까지 수록되었다. 문제는 권근은 명나라의 유삼오 등 정상의 문인들과 교유한 경력이 있은 것은 확연한 사실이였지만 놀라운 것은 이런 중요한 역사에 대해서 조선왕조와 명나라의 문헌들에는 단지 간략히 언급하였을 뿐 그다지 구체적인 설명이 없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역사적 유감은 명나라 초기에 홍무제가 실시한 살벌한 통치로 인한 유삼오 등 명나라 문인들의 비참한 운명과 갈라 놓을 수 없다는 점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권근의 남경사행 자체가 부여한 역사적, 문화적 의미는 자못 컸었다. 권근의 남경사행이 성사되면서 홍무제 앞에서 조선 사신으로서 제일 처음으로 단군조선의 개국 역사를 떳떳이 설명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생겼었고 동시에 중국의 요(堯)임금을 끌여들여 한국의 역사가 중국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 대등한 것임을 피력하는 당당함과 뜻뜻한 주체의식을 피력할 수 있게 되었다. 권근은 홍무제에게 단군의 존재를 부각하면서 한민족의 자주성을 환기시키고자 노력하였는데 이는 중한 문화교류사에서도 전대미문의 역사적 사건이었다. 권근의 정치적 운명이 전환될 수 있는 그 결정적인 계기도 바로 1396년에 명나라에 사신으로 남경에 가서 태조의 명으로 찬진한 응제시로 인해 당시의 현안이었던 외교적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여서부터였다. 주지하다 시피 홍무제의 어제시와 권근의 응제시가 갖춘 의미는 남달리 깊었다. 권근이 표전문제를 해결하고 귀국하자 이태조는 홍무제가 권근에게 하사한 어제시를 보고 동인이 천자의 조정에서 배운 것을 펼쳐 천하에 알려지는 이가 거의 없는데, 친히 어제시를 받았다고 하면서 즉시 박석명(朴錫命)에게 판간하도록 명하였다. 이로 인해 권근 자신도 이태조로부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봉해졌었다. 권근의 응제시는 뒤이어 전개된 훈구 관료 문인들의 문학양상과 사고양태의 실마리를 보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추었다. 권근의 사행목적은 표전문제를 해결함에 있었다. 그러나 그 속에 내재한 궁극적 목적은 바로 양국의 우호관계와 나라의 안정과 백성들의 평화로운 삶을 유지함에서였다. 권근이 요동땅에서 감격에 못이겨 읊듯이 “기쁘구려, 우리 동방 백성의 불만 다 풀려서, 훈훈한 그 바람이 오현금에서 불어옵니다”가 바로 양촌이 구사일생으로 사행을 완수하며 최종 맞이하려는 참된 모습이 아니였던가 싶다.

      • KCI등재

        명초 홍무제의 군사인식과 군사정책

        김경록(Kim, Kyeong-Lok)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6 군사 Vol.- No.99

        In this paper, I researched Hongwu Emperor(洪武帝)’s plans of country governance, his military recognition and military policy which was the general source of military policy in the Early Ming Empire. First, I will focus on state of a Hongwu period and the process of military system, and let"s look at linking Hongwu"s rule plan and military policy. Hongwu period was meaningful in established of the new Military Command System(軍事指揮體系) and instituting the Military System(軍制) besides common change of era. The representative military system of Ming Dynasty, and it is influenced not only China history but also Korea history, Japan history the neighboring countries. Ming dynasty established, but also it marks the reconstruction of a large number of Han Chinese regime"s military system and institutions. In terms of construction of the military system, as the founding emperor of the Ming dynasty, Hongwu emperor considered it very seriously. In the early period of establishment of the Ming Dynasty, Hongwu emperor ordered to to formulate the military system with his military experience. In the Ming Dynasty emperors reign, politics was influenced by the former. Military organization was not only a classic military command system but also reflects Hongwu emperor"s military recognition, it contains rich ethical thoughts. Hongwu emperor’s military thought stems from domination history of China and has been influenced a lot by traditional military system in china’s history. The political trend to strengthen imperial power continued in Ming dynasty. As we saw before, Hongwu emperor abolished prime ministership by reason of the uprising of Hu, Wei-Yong(胡惟庸), and put 6 Ministry directly under jurisdiction of emperor. Besides that, in order to control military power more tightly, Hongwu emperor divided the office for Joint chief of staff, called Great chief of staff(大都督部), into five office for chief of staff(五軍都督部). Not long after the Ming dynasty established, the military situation was unstable, and the economy also suffered severe damag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entralization of authority and consolidate the new power, Hongwu Emperor drew lessons from the failure of Yuan(元) dynasty, summarized the successful experience on the management of past ages after repeated thinking. Due to a profound historical background and his military experience in his early years, he attached great hatred towards the military official embezzlement. This thoughts ran through the whole process when formulated "the Great Ming Code", "Da Gao"(大誥) and other messages as well as regulations.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se measures, the effect of military system did not achieve the desired results.

      • KCI등재

        홍무제의 고려인 妃 周氏와 명으로 파견된 周氏 고려인

        권용철 중국사학회 2023 中國史硏究 Vol.- No.144

        This article have examined a fragmentary picture of how Goryeo-Ming relations unfolded, focusing on a Goryeo woman Zhou who remained in Dadu(大都) after the Yuan Empire was driven north, and her family who were sent to the court of the Ming Empire. Although there are definitely records related to Concubine Zhu and her family in sources such as History of Goryeo Dynasty(高麗史) and Veritable Records of Mingtaizu(明太祖實錄), it is not easy to reconstruct the story based on them because the records are not very detailed. However, there is a sentence in A Collection of Works of Mingtaizu(明太祖文集) that frankly reveals the feelings of Hongwu Emperor in relation to Concubine Zhu's brother, Zhuyi(周誼), so I was able to analyze it further and supplement the related inferences. In the turns of Goryeo-Ming relations from the end of the King Gongmin to the beginning of the King Wu, Concubine Zhu was not directly involved. However, Goryeo tried to promote relationship with Ming by sending members of Concubine Zhu's family as envoys. And although it does not appear in the records, Concubine Zhu may have been constantly worried that her brother would be harmed. Concubine Zhu, who rose from being a court woman(宮女) of Yuan to being a concubine of the Hongwu Emperor, is a very unique woman in history. She simultaneously represented the special status of a “dedicated woman”(貢女) in the Goryeo-Yuan relationship and the tension between the Goryeo-Ming relationship. 본고에서는 원 제국이 북쪽으로 쫓겨난 이후 大都에 남아 있다가 명 제국의 궁정으로 불려간 고려 여인 周氏와 그녀의 가족들을 중심으로 고려-명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의 모습을 단편적으로 살펴보았다. 고려사 , 명태조실록 등의 자료에는 주씨 여인과 그녀의 가족과 관련된 기록이 분명히 존재하고 있지만, 기록의 분량이 적고 상세한 편도 아니어서 이를 바탕으로 내용을 재구성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명태조문집 에 주씨 여인의 오라비인 주의와 관련된 홍무제의 심정을 솔직히 드러낸 문장이 있어서 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하면서 관련 추정을 보완할 수 있었다. 공민왕 말기에서 우왕 초기에 걸쳐 우여곡절을 거치는 고려-명 관계의 흐름에서 사실 周妃가 직접적으로 간여한 것은 없었다. 다만 주겸에게 우왕이 공민왕의 실제 자식인지를 물어보았다는 것이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전부이다. 그러나 고려에서는 홍무제의 총애를 받는 周妃의 가족 구성원들을 사신으로 파견하면서 명과의 우호를 도모하려 했고, 비록 기록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지만 周妃도 오라비가 해를 당할까 항상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었을지 모른다. 원의 궁녀에서 홍무제의 妃에까지 오른 주씨는 어찌보면 고려-원 관계에서 드러나는 ‘공녀’라는 특별한 존재와 고려-명 관계 사이의 긴장감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었던 역사상 아주 독특한 여성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 KCI등재

        조선시대 제문으로 본 죽음의 정치외교적 의미

        김경록 ( Kim Kyeong Lok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0

        조선시대 대외관계는 對중국관계와 對일관계가 중시되었으며, 중국과 封典을 전제로 한 조공과 책봉의 관계였다. 몽골의 원 중심 국제질서가 한족의 명 중심 국제질서로 전환되는 시점에 건국된 조선은 명으로부터 봉전체제를 형성하여 역성혁명의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왕위의 명분을 확보하고자 했다. 봉전은 조선 국왕이 황제의 권위를 빌려 책봉 받음으로써 유학적 명분을 굳건히 하고, 국내의 통치에 절대성을 가질 수 있는 정치·외교적 필수조건이었다. 조선시대 봉전은 명 홍무제가 황제 중심의 일원적인 통치를 정립하고 안정적인 황실의 승계를 위해 마련한 책봉, 추숭, 승습 등 제도에서 출발하였다. 홍무제는 봉전제도를 대외적으로 확장하여 명 중심 국제질서를 형성하고자 조선 등 조공국에 강제하였다. 건국이후 원활한 조명관계를 국가 안보의 기반으로 인식한 조선은 명대 봉전체제를 준행하였다. 봉전체제에서 책봉받은 왕실의 인물이 죽음을 맞이하면 이를 책봉국에 통보하고 喪祭를 준행함과 동시에 기존 봉전관계의 계승을 건의하도록 규정되어 있었다. 이에 조선은 국왕, 왕비, 왕세자의 죽음이나 조선인으로 명 황실의 일원이었던 인물의 죽음을 명에 통보하는 告訃사행, 죽은이의 시호를 청하는 請諡號사행, 새로운 후계 인물이 죽은 인물의 爵位와 品級을 계승하기를 청하는 請承襲사행 등 죽음관련 사행을 파견했다. 조선의 죽음관련 사행에 대해 명은 제문과 제물 등 제사관련 물품과 제사 자체를 하사하는 賜祭사행, 새로운 국왕을 책봉하는 冊封(誥命)사행등을 파견했다. 조선 왕실의 죽음 이외에 조선인으로 명 황실의 일원이된 인물의 죽음도 명의 사행이 출래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또한, 중국(명·청) 황실의 죽음에 대해 조선은 陳慰, 進香사행을 파견하여 애도와 슬픔을 표했다. 조·중관계에서 죽음관련 사행은 죽음의 사적 영역보다 죽음의 공적 영역에 해당되어 의례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가장 정치적인 성격을 가졌다. 대외관계에서 죽음은 첨예한 외교적 충돌을 해결하는 명분을 제공하여 긴장국면을 전환시켜 새로운 타협과 화해의 국면을 초래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홍무제의 강압적인 대조선정책으로 긴장관계로 진행되던 시점에 태조의 죽음은 조선에 대한 명의 새로운 인식 및 정책으로 전환을 반영하기도 했다. 대외관계에서 죽음은 외교의 명분 역할을 보여주는 데 조·일관계에서 일본 관백의 죽음과 새로운 관백의 등장은 조·일간 사행의 중요 매개체가 되었다. 죽음관련 외교행위에서 필수적인 사항이 제문이며, 제문은 국제질서에서 관계를 반영하여 책봉국과 조공국, 통보관계가 명시적으로 표현되었다. 조선에서 중국(명·청)에 전달된 명·청 중심의 국제질서에서 책봉국으로 명·청을 인정하고 안정적으로 국제질서의 유지에 기여할 것을 언급하였다. 중국에서 조선에 전달된 제문은 책봉국으로서 권위를 천명하고 죽음에 대한 애도를 표현하였다. 제문은 기본적으로 외교문서의 한 종류였기 때문에 조선에서 제문을 작성할 때는 당대의 문형이 엄격한 문서식에 입각하여 작성했다. 조선시대 죽음은 당사자의 신분에 따라 다양한 의미와 인식이 존재했다. 왕실의 죽음은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았음으로 인해 엄숙한 의례적성격뿐만 아니라 가장 정치적 성격이 내재되어 있었다. 죽음의 슬픔을 표현하는 제문 역시 엄격한 문서식을 준수하며 애도하는 내용을 극대화하여 표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치성, 문학성이 공유되었다. The Joseon Dynasty period`s foreign relations make more of China relationship and Japan relationship, was the tribute and installation to Bongjeon(封典) relations with China. Founded at a time when the Yuan dynasty world order(元 中心國際秩序) of Mongol was converted the Ming world order(明中心國際 秩序) of Han Chinese(漢族), Joseon as well as enter into diplomatic relations with Ming to secure legitimacy of founding and royal authority. Bongjeon was a necessary condition for politics and diplomacy, is the creation of a Confucian cause by the emperor`s authority and legitimacy of domestic rule by the king of Joseon from the Ming emperor. The Joseon Dynasty period`s Bongjeon system starts with the system that early Ming, Hongwu emperor(洪武帝) established to establish the unified rule of the emperor center and to stabilize the succession of the imperial family(皇室), for instance, installation(冊封), honoring(追崇), inherit(承襲) etc. Hongwu emperor forced Bongjeon system into tribute country, etc Joseon, to establish Ming world order. Joseon has followed the Bongjeon system to secure national security. Under the Bongjeon system, when the royal family`s people were to die, the royal family informed the emperor and conducted funeral procedures in Joseon. Death-related The Sahaeng(使行) that reported death were a `Gobusahaeng`(告訃使行) that informs Ming of the death of a person who has been installated over from the emperor, a `Chengsihosahaeng`(請諡號使行) that asking for the posthumous name of death person, a `Chengseungseubsahaeng`(請 承襲使行) that to demand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of the death person. A critical requirement in diplomatic activities related to death was a funeral oration(祭文), and that was showing character and content of the international order. A funeral oration was said that sent from Joseon to China will fulfill its role as a tribute country under the Ming(Qing) world order and, from China to Joseon will show authority as an emperor and show condolences to death. A funeral oration was basically a kind of diplomatic document, so it was written to fit strict formalities. Death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ad various meanings and perceptions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dead person. Since the death of the royal family was installation from the emperor, it had the most political character as well as a solemn ritual character. A funeral oration expressing the sadness of death was also shared with politics and literacy in that it should abide by strict documentary form and maximize mourning contents.

      • KCI등재

        明代 驛傳制度와 韓中關係에서 符驗의 意味 ― 홍무연간을 중심으로 ―

        김경록 명청사학회 2018 명청사연구 Vol.0 No.49

        본 논문은 한국 국립중앙박물관에 “견직마패(덕수 1784)”이란 이름으로 소장된 명대 부험을 분석하여 명대 역전제도를 정리하고, 한중관계사에서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는 글이다. 홍무제는 원명교체의 혼란기에 황제 중심의 중앙집권적 통치체계를 구축하여 안정적으로 명을 통치하고자 하였다. 통치체계의 일환으로 황제를 정점으로 하는 행정체제를 정립하였으며, 황제문서를 비롯한 공문제도를 세밀하게 정비했다. 광대한 영토와 다양한 세력으로 구성된 명 제국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해서 황명의 일사분란한 전달과 각종 보고를 위해 원대를 모방하여 역전제도를 갖추었다. 역전제도는 공무를 위한 기반이었지만, 확대되는 역전 지원과 驛役의 어려움, 세력가와 吏員의 횡포가 겹쳐지면서 역전체계의 문제점이 노출되자 홍무제는 역전제도의 이용을 公務로 한정하고, 驛夫에 대한 免稅 등과 같은 조치를 취했다. 이 과정에서 역전제도는 확장, 변화되었으며, 정치ㆍ행정ㆍ군사ㆍ경제적 역할이 점차 넓어졌다. 역전제도의 이용증명서로서 발급된 부험은 황제 명의로 발급된 문서였다. 엄격하게 제한된 범위에서 발급되었기 때문에 부험을 위조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명 중심 국제질서에 포함된 고려와 조선은 대명관계를 위해 사행을 파견하였는데, 이때 부험은 필수적인 문서였다. 명 중심 국제질서를 지향하였던 홍무제는 고려에 명 건국을 통지하고 명에 조공할 것을 강요했다. 고려 공민왕대 여명관계를 형성한 뒤 공민왕 사후 갈등과 충돌의 관계가 되었다. 홍무제는 사행의 단절이란 외교적 강압정책으로 고려를 압박했으며, 고려는 사행의 재개를 위해 노력했다. 우왕 말기에 여ㆍ명관계는 회복되어 고려의 대명사행이 재개되었다. 이때 고려는 북원의 부험을 반납하고 명의 부험을 요구했다. 홍무제는 고려에 부험을 반급하여 원활한 여명관계를 희망했다. 이후 명의 부험 개정에 따라 1390년 새로운 부험이 고려에 반급되었다. 조선은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안정적으로 국가통치를 지향했다. 이를 위해서 원만한 조명관계가 유지되어야 했는데, 조선시대 조명관계는 양국 사이에서 발생하는 각종 외교사안을 사행이란 외교형식으로 표출했다. 사행에서 조선사행을 입증하는 부험은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부험은 황제명의로 발급되는 것으로 황제권위를 반영한다. 이는 부험의 현실적인 용도 못지않게 상징적인 의미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This paper analyzes that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horse requisition cloth (Deoksu 1784)” to organize Postal delivery system(驛傳制度) of th e Ming(明) and analyzes the historical meaning of buheom in Korea-China relations. Hongwu emperor(洪武帝) tried to govern the Ming by establishing a centralized ruling system based on the emperor in the chaotic period, which was replaced by the Ming from Yuan(元). As a part of the ruling system, Hongwu emperor established an administrative system with the emperor as the peak, and refined the official system including the Emperor's document.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Ming composed of vast territories and various powers, Hongwu emperor imitated the system of the Yuan and provided a postal delivery system for the propagation and reporting of the Emperor's orders. During the reign of Hongwu emperor, the Ming's postal delivery system consisted of Horse post(馬驛), Water Post(水驛), Water horse post(水馬驛), Delivery station(遞運所). The postal delivery system was the foundation for the public service, but when the problem of the postal delivery system was expo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upport of the postal delivery, the difficulty of the station, and the forces and the crews, Hongwu emperor limited the use of the postal delivery system to the public affairs and taken measures such as tax exemption. In this process, the postal delivery system has been expanded and changed, and its political, administrative, military and economic roles have gradually expanded. The Buheom(符驗) as a certificate of use of the postal delivery system was a document issued in the name of the emperor. Because it was issued in a strictly limited scope, it has been used forged documents. The Koryo and Joseon dynasties, which are included in the Ming-centered world order, dispatched envoy for the sake of a good relationship, at this time the Buheom was an essential document. Hongwu emperor, who had pursued the Ming-centered world order, informed the founding of the Ming in Koryo and forced them to tribute to the Ming. King Kongmin(恭愍王) of Koryo forme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yo and Ming, but after Kongmin King died, Koryo and Ming conflicted with conflicts. Hongwu emperor oppressed for consideration with the diplomatic coercion, and Koryo tried to resume diplomacy. In the end of king woo(禑王), the Koryo and Ming dynasties recovered, and Koryo began dispatching envoys to the Ming. At this time, Koryo returned buheom to the northern Yuan(北元) and demanded new buheom of the Ming. Hongwu emperor also hoped for a relationship with Koryo by paying an buheom to Goryo. The newly established Joseon sought to govern the country in a stable in the Ming-centralized world order. For this purpose,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Joseon and Ming had to be maintained. Joseon sought to resolve the diplomatic problems between Joseon and Ming by dispatching envoys. The buheom was a testimony to the dispatch of Joseon envoys and was also important in that it was an emperor's document issued in the name of the emperor.

      • KCI등재

        명초 홍무제의 종교정책과 통치구상 - 불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

        김경록 ( Kim Kyeoung Lok ) 명청사학회 2016 명청사연구 Vol.0 No.46

        Hongwu Emperor(洪武帝) emphasized Confucianism(儒敎) as principles of rule the state against the religion, Buddhism(佛敎), Taoism(道敎), etc. But He was full appreciation of the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 of religion, sternly deal with the response of the harmful effects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He wanted to control by religion into the governance system, suppression excessive growth of believers and religious of Buddhism and Taoism, settlement limit, prohibition of unofficial religious event, etc. He is to implement these policies to prevent social unrest and a system of the centre of the emperor. Hongwu Emperor's religious ceremony and religious polic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imes, growing as a powerful warlord to take part in Peasants' Red Army(紅軍) in period(1352~1366), throne as king of Wu(吳) and early period of establish a Ming(1367~1380), the time of the centre of the emperor and abolish Jungseoseong(中書省)(1381~1398), etc. Growing as a powerful warlord to take part in Peasants' Red Army in period, Hongwu Emperor was friendly awareness about Buddhism become Buddhist monks being young. But, he gradually make full use of Buddhism since expanding its military power. He make use of a mysterious ability of a monk and an ascetic in military operations. Throne as king of Wu(吳) and early period of establish a Ming, Hongwu Emperor transferred religion into the national institutions and he was using religion to the national rule. He made a religion organization such as Sinakkwan(神樂觀) and enrolled a man of religion that. These religious organizations were presided over a state rite. Meanwhile, Hongwu Emperor was strictly banned the trouble to religion person. The time of the centre of the emperor and abolish Jungseoseong, He was tightened clergy's qualification system and banned unofficial monk and ascetic's activity. These clergy had to stabilize the lives of people and active with envoys abroad. During Hongwu reign, Hongwu Emperor insisted on the religious thought that included monarch's power was given by God,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united, and the religion served for the maintenance and consolidation of dynasty. He also publicized the rationality of his rule and regulated the essence and founction of religion. His religious thought determined his religious policy and influenced the later history of Ming dynasty dee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