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성통해(四聲通解)≫범례고(凡例考)(2)

        주성일 한국중문학회 2009 中國文學硏究 Vol.39 No.-

        衆所周知, 《四聲通解》是韓國朝鮮中宗12年(1517年), 由當時著名的漢學家、飜譯家崔世珍用訓民正音來標記中國語音的著作。從而《四聲通解》是可以考察當時中國語語音情況的貴重的音韻資料。本論文是對《四聲通解》<凡例>的綜合考察。首先, 本論文飜譯了《四聲通解》<凡例>, 飜譯時覺得有必要進行附加說明的部分, 加注了詳細的注解。령外, 在考察<凡例>內容過程中, 必要時不僅參考了《四聲通解》本文的內容, 還參考了與《四聲通解》有關的其他原著及以往的硏究論著, 從而欲更深入地接近崔世珍想通過《四聲通解》表明的當時中國語音的實際面貌。

      • KCI등재

        논문(論文) : ≪사성통해(四聲通解)≫ 속의 근대한어(近代漢語)어휘 초탐(初探)

        이순미 중국어문연구회 2013 中國語文論叢 Vol.0 No.57

        ≪四聲通解≫是一本韻書,却有著與其他韻書截然不同的特色,這就是타收錄了大量的近代漢語口語詞語及詞義。可是,對於≪四聲通解≫裏被收錄的漢語詞彙,到目前爲止還沒有硏究者對此做過具體、專門的硏究。本論文對此進行了初步探討,結論如下:第一、考察了≪古今韻會擧要≫根≪四聲通解≫的傳承關係。據調査,≪四聲通解≫在注釋中引用了≪古今韻會擧要≫中的傳統意義,可近代漢語口語詞語及其詞義是崔世珍自己編撰的,不是從≪韻會≫傳下來的,只是參考了自己撰的辭書≪老樸集覽≫裏的注釋而已。第二、考察了近代漢語詞彙的收錄方式。大致有五種方式:收錄了包括標題字的詞語;相當於標題字義的口語詞;標題字的新的義項;對於新出現的標題字的義項;各地區的方言詞語或者元代詞語。第三、上面的收錄方式中,詳細考察了標題字的新的義項,可以發現≪四聲通解≫裏收錄的幾條義項在≪漢語大詞典≫裏幷未收錄。這更加證明了≪四聲通解≫在漢語詞彙硏究上的所具有的價値。筆者認爲,通過≪四聲通解≫一書,我們不僅可以看到16世紀民間漢語口頭語言的實際面貌,而且還能知曉看到崔世珍以實用性爲主的?育觀。

      • KCI등재

        『四聲通解』 皆解泰韻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의 비교 연구

        곡효운 ( Qu Xiaoyu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2

        本文對崔世珍在《四聲通解》皆解泰韻標註《蒙古韻略》何音的字與《蒙古字韻》做的比較分析結果如下: 1) 除了「罷」等字《蒙古韻略》的訓民正音轉寫「·빼」應改為「:빼」、「嘬」字《蒙古韻略》的訓民正音轉寫「쵀」應改為「쵀」、「聩」字的《蒙古韻略》訓民正音轉寫「왜」應改為「왜」外, 《四聲通解》皆解泰韻所引《蒙古韻略》韻字讀音與《蒙古字韻》完全一致(旁點未標的太多, 不在本稿校正範圍之内)的占絕大多數, 但雨書在收錄字上存在不同。 2) 在《蒙古字韻》裡讀[uei]的平聲「危 桅 巍 桅 嵬」、上聲「隗 嵬 頠」、去聲「魏 僞 磑」在『蒙古韻略』裡讀[ŋuei]。 3) 《蒙古字韻》佳韻崖小韻與《四聲通解》所引《蒙古韻略》在收錄字上完全一致, 但讀音上呈[ai]和[iai]的差異;《蒙古字韻》佳韻娃小韻與《四聲通解》所引《蒙古韻略》在收錄字上除了「噯」這個續添字和幾個異體字外都完全一致, 但平聲、上聲、去聲收錄字在讀音 上呈[ʔai]和[ʔiai]的差異, 入聲收錄字均為[ʔai]。 4) 據《四聲通解》凡例第二條和第三條可知《四聲通解》裡的「續添字」是崔世珍認為很重要的常用字、但《洪武正韻》沒有收錄的字, 即用圓圈圈住的那些字。但僅看這雨條凡例很可能陷入一個陷阱, 即《四聲通解》裡的「續添字」一定沒有收錄在《洪武正韻》。《洪武正韻》收「聩」, 但是《四聲通解》皆解泰韻疑母下收圓圈標註的「聩」。《洪武正韻》的收錄字「聩」僅有[ɦuei]—讀, 這一音也收錄在《四聲通解》的灰賄隊韻。而《四聲通解》皆解泰韻疑母下的「聩」賣[ɦuai], 《洪武正韻》不收讀的「聩」, 所以崔世珍在皆解泰韻疑母下放入「續添字」「聩」。通過「聩」這個例子, 我們可知《四聲通解》裡的「續添字」有雨種類型:一是《洪武正韻》沒有收錄的常用字;二是《洪武正韻》有收錄, 但是作為常用字使用時的讀音不同於《洪武正韻》的話, 崔世珍也會將其歸為「續添字」, 收錄在《四聲通解》。 5) 依據崔世珍的訓民正音轉寫可知, 《蒙古韻略》的魚母為零聲母, 幺母為影母。 6) 「衰」在《四聲通解》裡有[ʃuei]和[tshuei]二音, 這與「衰」在《洪武正韻》的平聲灰韻淸母倉回切、平聲灰韻審母所追切二音一致。「衰」在《洪武正韻》還有平聲歌韻心母桑何切一音, 但《四聲通解》未收錄。《四聲通解》所引《蒙古韻略》裡的「衰」有[tshuei]和[ʃuai]二音, 《蒙古字韻》裡所收「衰」有[tʄuai]和[ʃuai]二音。 7) 《四聲通解》皆解泰韻中聲「ㅒ」([-iai])起始部分有如下說明:「今俗或從ㅐ([-ai]), (蒙韻) 從ㅒ([-iai])。」”依據這個說明我們可知:在《洪武正韻》、《四聲通解》、《蒙古韻略》裡讀[-iai]的字在崔世珍親自聽到的今俗音 (當時的現實北方標準口語音)裡有的字己經從[-iai]變為[-ai]了。 8) 通過《四聲通解》皆解泰韻所引《蒙古韻略》與《蒙古字韻》的比較分析, 我們可知 《蒙古字韻》佳韻的韻母為[-ai] [-iai] [-uai]。 Choi Se-Jin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nunciation of some words marked Meng-Gu-Yun-Lüe in Sa-Seong-tong-Hae Jiē (皆),Jiě (解),Tài(泰) Rhyme. This paper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words and Meng-Gu-Zi-Yu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There are two types of 續添字 in Sa-Seng-Tong-Hai: one is the frequently used Chinese characters that are not included in HongWuZhengYun, and the other is that HongWuZhengYun is included. But if the pronunciation of the frequently used Chinese characters is different from that of HongWuZhengYun, Choi Se-Jin will also classify it as 續添字. 2)According to Choi Se-Jin's Phonetic accent of Hunminjeongeum, the 魚母 of Meng-Gu-Yun-Lüe are zero consonants [ø-] and 幺母 are shadow initials. 3)“jiā(佳)” rhyme of “Meng-Gu-Zi-Yun” have six yunmu(韻母): [-ai], [-iai] and [-uai].

      • KCI등재

        《四聲通解》에 나타난 俗音에 대하여

        신용권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5 No.-

        In the rhyme book Saseongtonghae(四聲通解), the contemporary Mandarin readings were included under the name of Sok-eum(俗音) and Geum-Sok-eum(今俗音). This Sok-eum is defined as the Sok-eum of Yeokhun(洪武正韻譯訓) and Tonggo(四聲通攷). However, in actual comparison, there is some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the Sok-eum of Saseongtonghae and Yeokhun.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following problems about the Sok-eum of Saseongtonghae. First, I will analyze a difference between the Sok-eum of Saseongtonghae and Yeokhun and be concerned with several problems about differences of transcription. Secondly, I am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k-eum reflected in the Saseongtonghae. We can conclude that the Sok-eum of Saseongtonghae inherited from Yeokhun and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narrow transcription, the commonly used sound in northern China during the fifteenth century, standard sound, etc. 《四聲通解》(1517년, 이하 《通解》)는 朝鮮 中宗朝 崔世珍이 편찬한 韻書로 字釋과 함께 여러 종류의 중국어음이 훈민정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通解》에 기록된 중국어음 표기 중에서 正音과 俗音은 《洪武正韻譯訓》(1455년, 이하 《譯訓》)의 字音을 수록하여 개편한 《四聲通攷》(1455년경)의 正音과 15세기 중국 북방의 현실음인 俗音에 기초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또한 《通解》의 今俗音은 저자가 관찰한 16세기 당시의 중국어음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通解》에 나타난 중국어음 표기 중 俗音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譯訓》의 俗音은 편찬자들이 관찰한 당시의 중국북방음을 제시한 것이기 때문에 주목을 받았는데, 《通解》의 俗音은 《譯訓》의 俗音으로 간주되어 두 책의 俗音 사이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기존의 연구에서 상세하게 연구되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通解》에 별도로 俗音으로 명시된 157개의 주음 기록을 대상으로 《譯訓》의 俗音 기록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부분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표로 제시하고, 주로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게 된 요인을 살펴본다. 또한 《通解》와 《譯訓》의 俗音에 대한 비교를 통해 《通解》의 俗音 주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사성통해(四聲通解)》에 나타난 금속음(今俗音)의 성격에 대하여

        신용권 ( Shin Yong-kwo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2 No.-

        이 글에서는 《四聲通解》(이하 《通解》)의 今俗音에 나타난 주요 표기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 표기의 성격과 가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通解》 今俗音은 주로 표기방식과 음운변화의 반영이라는 두 측면에서 그 성격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조선시대에 행해진 訓民正音을 사용한 표기는 고유어 표기, 외래어 표기, 외국어 표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외국어 표기에서는 특수한 방식의 표기를 채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 간행된 漢學書에는 韻書的 표기방식과 譯學書的 표기방식이라는 두 종류의 중국어음 표기방식이 사용되었다. 《通解》 今俗音은 훈민정음을 사용한 중국어음 표기방식 중 韻書的 표기방식에 기초한 것이다. 《通解》의 今俗音은 고유어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훈민정음 자모뿐 아니라 특수한 방식의 표기까지 가능한 사용하여 최대한 정밀히 당시의 중국어음을 표기한 것이다. 《通解》 今俗音의 정밀전사표기적인 성격은 齒音字 聲母, 支紙?韻의 終聲, ㅱ 終聲 등의 표기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표기는 외국어 표기이기는 하지만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상 편의를 위하여 고유어의 표기방식을 최대한 활용한 《飜譯老乞大》·《飜譯朴通事》(이하 《飜譯老朴》)의 우측음 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全濁音 표기인 各自幷書와 入聲韻尾 표기 “ㆆ, ㅸ”이 《通解》 今俗音에는 여전히 나타나지만 《飜譯老朴》의 우측음에서 일괄적으로 사라진 것은 음운변화를 반영하는 측면도 있지만 國俗撰字之法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飜譯老朴》의 우측음 표기에서 이러한 표기들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것이다. 《通解》 今俗音은 기본적으로 음운변화의 진행 과정을 반영하지 않는 규범음의 표기방식에 기초하고 있으나, 편찬 당시의 俗音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음운변화의 진행 과정을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특히 《通解》 今俗音에 나타난 全濁音과 入聲韻尾 표기의 전반적인 양상은 동일한 표기방식에 기초하고 있는 《譯訓》, 《通攷》뿐 아니라 《通解》의 正音·俗音과도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이러한 차이가 음운변화의 진전 상황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 것인지 면밀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二元的인 중국어음 표기방식에 대한 이해의 기초위에서 《通解》 今俗音의 표기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이 표기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명확하게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四聲通解≫ 속의 近代漢語 어휘 初探

        이순미 중국어문연구회 2013 中國語文論叢 Vol.0 No.57

        ≪四聲通解≫是一本韻書,卻有著與其他韻書截然不同的特色,這就是它收錄了大量的近代漢語口語詞語及詞義。可是,對於≪四聲通解≫裏被收錄的漢語詞彙,到目前為止還沒有研究者對此做過具體、專門的研究。本論文對此進行了初步探討,結論如下:第一、考察了≪古今韻會舉要≫跟≪四聲通解≫的傳承關係。據調查,≪四聲通解≫在注釋中引用了≪古今韻會舉要≫中的傳統意義,可近代漢語口語詞語及其詞義是崔世珍自己編撰的,不是從≪韻會≫傳下來的,只是參考了自己撰的辭書≪老朴集覽≫裏的注釋而已。第二、考察了近代漢語詞彙的收錄方式。大致有五種方式:收錄了包括標題字的詞語;相當於標題字義的口語詞;標題字的新的義項;對於新出現的標題字的義項;各地區的方言詞語或者元代詞語。第三、上面的收錄方式中,詳細考察了標題字的新的義項,可以發現≪四聲通解≫裏收錄的幾條義項在≪漢語大詞典≫裏並未收錄。這更加證明了≪四聲通解≫在漢語詞彙研究上的所具有的價值。筆者認為,通過≪四聲通解≫一書,我們不僅可以看到16世紀民間漢語口頭語言的實際面貌,而且还能知晓看到崔世珍以实用性为主的教育观。

      • KCI등재

        ≪四聲通解≫ 『東董送屋』韻所引≪蒙古韻略≫考

        곡효운 한국중국언어학회 2017 중국언어연구 Vol.0 No.68

        『四聲通解』 <범례>에서 주지하고 있듯이 『四聲通解』에 인용된 몽고운서는 『蒙古韻略』이다. 『蒙古韻略』이 전해 내려오지 않고 있기 때문에 『四聲通解』에 인용된 『蒙古韻略』의 내용은 아주 귀중하다.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이 같은 운서인지 아닌지의 문제는 학계에서도 아직 논쟁중이다. 본 논문은 『四聲通解』 「東董送屋」韻에 인용된 『蒙古韻略』의 기록과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蒙古字韻』과는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31개의 예자 중에 독음이 다른 경우가 극소수이지만 차이가 많이 난다. 이 결과를 토대로 우리는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이 다른 운서였는지, 같은 운서였는데 지금 볼 수 있는 『蒙古字韻』은 朱宗文이 교정한 필사본이므로 차이가 난 것인지, 아니면 두 운서의 저본이 같고 음운체계가 약간 다른 운서였는지 쉽게 판단할 수 없다. 향후 『四聲通解』 「東董送屋」 이외의 韻에 인용된 『蒙古韻略』과 『蒙古字韻』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더 합리적인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

      • KCI등재후보

        動靜字에 대한 初步的 檢討 -『四聲通解』의 引用과 記述을 중심으로-

        이영섭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09 외국학연구 Vol.13 No.2

        動靜字是一個中國古代傳統語言學的術語. 動靜字的槪念早在先秦時期可見一斑, 但其術語的全面活用却是從宋代開始的. 對于動靜字的內容試圖描述者, 歷來不乏其人. 其中比較重要看法, 在說明動靜字時, 常常被引用, 已經看熟瞭. 可是因種種緣故, 而世人罕知『九經韻覽』「凡例」也有關于動靜字的分析, 幾無言及. 朝鮮著名語言學者崔世珍撰『四聲通解』時, 在「凡例」中引用『九經韻覽』的動靜字分析, 同時略加案語. 再者, 改編『經史正音切韻指南』「經史動靜字音」而附錄于『四聲通解』末尾. 本稿首先槪括動靜字之沿革, 然後對『四聲通解』所引用的『九經韻覽』一條進行初探, 以資鑽硏動靜字的基礎

      • KCI등재

        再論《續添洪武正韻》

        곡효운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6

        『四聲通解』와『四聲通攷』,『洪武正韻』,『洪武正韻譯訓』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비록『續添洪武正韻』의 全卷을 볼 수 없지만, 본 논문은 현재 남아있는 부분과『洪武正韻』, 『洪武正韻譯訓』, 『四聲通解』를 대조하여 박병채(1974)를 재검토한 결과, 실전된『洪武正韻譯訓』의 1책인 권1과 권2와 일부 말소된 부분을 복원하는 데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洪武正韻』에서『續添洪武正韻』까지 일부 小韻끼리의 합병을 통한 음운변화를 비교한 결과, 『洪武正韻』의 편찬자들이 이미 일어난 음운 변화에 대한 보수성도 살펴볼 수 있었다. 『續添洪武正韻』을 통해『洪武正韻譯訓』이나『四聲通解』를 교정하는 작업과 16세기 초기 중국 북방 관화음의 正音과 俗音 체계를 밝히는 기초 연구를 향후 과제로 미룬다.

      • KCI등재

        『四聲通解』에 수록된 근대중국어 어휘 연구

        이현선 중국어문학회 2023 中國語文學誌 Vol.- No.83

        Saseongtonghae(四聲通解) is a rhyme dictionary written by Choe Sejin who was expert in the study of Chinese translation, in 1517, Chosun dynasty. There are many Modern Chinese vocabulary on the annotation, which starts with ‘GeumSok-ho’, ‘GeumSok-yui’ and so on. The book is much former than Yeokeoyuhae(譯語類解),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published by Sayeokwon(司譯院) in 1690. The Modern Chinese vocabulary of Saseongtonghae(四聲通解) includes Modern Mandarin, also includes Southern dialect, Chu(楚) dialect, Hebei(河北) dialect, Jiangdong(江東) dialect, and Min(閩) dialect. Through this study, those Modern Chinese words is considered as common colloquialism of Modern Chinese, have disyllabic words from lexcalization, prefixes and suffixes like -子, -兒, 老-, and many of Contemporary Chinese vocabulary. 『四聲通解』는 朝鮮 중종 12년(서기 1517년)에 간행된 운서로, 한자의 중국음을 훈민정음으로 표기한 운서이다. 중국어에 능통했던 저자 최세진은 주석에 훈민정음으로 기재한 음, 한자로 풀이한 釋 외에도 ‘今俗呼~’, ‘今俗謂~’, ‘今俗語~’, ‘今俗~’ 등으로 당시의 ‘중국의 세간에서 사용하는 말(漢俗之呼)’를 수록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사역원에서 편찬한 중국어 어휘집인 『譯語類解』(1690)보다 시기적으로 훨씬 앞선다. 또한 관화 뿐만 아니라 남방, 옛 楚나라 지역, 河北 지역, 江東 지역, 지금의 복건성 일대인 閩 지역 등지의 어휘도 수록하고 있다. 『四聲通解』에서 ‘今俗呼~’ 등으로 기록된 近代 중국어 어휘들은 2음절화 경향을 보이는 예, 접사 -子, -兒, 老- 등을 사용한 경우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現代 중국어 구어에서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어휘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明代의 구어 어휘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