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성론』에서 불계(dhātu)와 종성(gotra)의 동이(同異) 문제에 관해서

        양용선 한국불교학회 2022 韓國佛敎學 Vol.103 No.-

        In the Ratnagotravibhāga ratnagotra serves as a metaphor for tathāgatagarbha‧sarvasattva and as an over-all framework (dhātu- garbha-gotra)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entire Ratnagotravibhāga. Theoretically, jewelry (buddhadhātu) is nirmalātathatā‧asaṃskṛtad- harma, whereas mines (gotra), where jewelry is covered in soil, are samalātathatā‧saṃskṛtadharma. Ideologically, the interpretation of buddhadhātu and gotra has two interpretation traditions: the one- vehicle lineage thinker or the three-vehicle lineage thinker. The one-vehicle lineage thinker argues that buddhadhātu is true, while gotra is just a temporary measure. In East Asia among one- vehicle lineage thinkers are Jinje and Wonhyo. Jinje translated bud- dhadhātu and bauddhagotra into buddhanature (佛性) without dis- tinguishing them however, Wonhyo clearly stated that buddhadhātu is not a synonym for bauddhagotra. On the other hand, the three- vehicle lineage thinker argues that buddhadhātu of one-vehicle is just a temporary measure and that gotras of three-vehicle truly exist. On this basis, in Tibet it is argued that tathāgatagarbha‧bud- dhadhātu truly exists as a gotra‧hetu in sarvasattva. Ruegg and Takasaki Jikido also regard buddhadhātu and gotra as synonyms and translate and interpret Ratnagotravibhāga. What Ratnagotravibhāga originally intended supports the one-vehicle lineage thinker. If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ne-vehicle lineage thinker, the interpretation that the three-vehicle lineage thinker considers buddhadhātu and gotra as synonyms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interpretation of Ratnagotravibhāga is violated. The second problem is the interpretation that agotra and adhātu are synonymous. Thirdly, if tathāgatagarbha‧gotra is interpreted as a synonym for buddhadhātu, the interpretation of the three-vehicle lineage thinker leaves a problem that tathāgatagarbha‧gotra may be āśraya of viśuddhidharma but cannot be hetu of saṃkleśadharma. 『보성론』에서 보성(ratnagotra, 보석을 간직하고 있는 광산)은 여래장‧일 체중생(tathāgatagarbhāḥ sarvasattvāḥ, 여래를 간직하고 있는 일체중생) 에 대한 비유이자, 『보성론』 전체에 걸친 해석의 틀(dhātu-garbha-gotra)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교학적으로 보석(dhātu, 불계)은 무구진여‧무 위법이고, 반면에 광산(gotra, 종성)은 보석(불계)이 흙(번뇌장)에 덮여 있는 유구진여‧유위법이다. 사상적으로 불계와 종성에 대한 해석에는 일승가(⼀乘 家) 혹은 삼승가(三乘家)의 두 가지 해석 전통이 있다. 일승가는 일체중생의 불계는 진실[本有]이고 반면에 종성들은 단지 가설[⾮ 有]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대표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진제(眞諦)와 원효(元曉) 가 있다. 다만 진제는 불계와 종성을 구분 없이 불성(佛性)으로 한역하였지 만, 원효는 불계가 종성이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반면에 삼승가는 일승의 불계는 단지 가설[⾮有]일 뿐이고 삼승의 종성들이 진실[實有]이라고 주장한 다. 이에 기초해서, 티벳에서는 여래장‧불계가 일체중생에게 종성‧원인으로 서 진실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루엑과 다카사키 지키토 또한 불계와 종성 을 동의어로 간주하면서 『보성론』을 번역하고 해석하고 있다. 기실 『보성론』의 본의(本意)는 일승가를 지지한다. 일승가의 입장에서 본다 면, 불계와 종성을 동일시하는 삼승가의 해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교학적으로 『보성론』 해석의 전체적인 틀을 어기게 된다. 둘째 사상적 으로 무종성(agotra)이 무불계(adhātu)를 의미한다는 해석을 초래할 수 있 다. 셋째 여래장‧종성이 불계와 동의어라고 한다면, 삼승가의 해석은 여래 장‧종성이 청정법의 소의(āśraya)는 될 수 있어도 잡염법의 원인(hetu)이 될 수 없다는 염정의지의 문제를 남긴다.

      • KCI등재

        “佛系X”新词族研究

        박흥수,염혜연 중국학연구회 2019 중국학연구 Vol.- No.88

        New words in the "佛系 X" format continue to emerge, presenting a situ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word family. The popularity and development of the new words in the "佛系 X" format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psychology of the new generation of young people pursuing individuality, independence and innovation. In today's fast-developing society, people are eager to get catharsis and attention, and the emergence of "佛系X" The unique expression of people's attention, affecting people's lives and values. This thesis takes "佛系 X" as the research object, firstly analyzes its source and development, and examines the syllable features and syntactic components of "佛系X" by collecting vocabulary and example sentences. Finally, it will be analyz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hy it occurred. Through research, I learned that the "佛系" was originally introduced from Japanese, and was innovated on the basis of continuing the original usage, forming a large number of words of the "佛系 X" construction. The "佛系X" structure is highly localized and has a high analogy in productivity. It fully satisfies the psychological needs of the young people and enriches the expression of Chinese. 新词的流行与发展为社会注入新的活力。随着社会的不断发展变化,人们网络日常交际以成为日常,流行语新词频频产生。“佛系”新词快速传遍各大网站、新闻媒体以及个人社交平台,更是渗入到现实生活之中。作为2018年度网络十大流行语之一,它不仅体现出了当代的社会文化与青年的社会心态,同时也可以通过“佛系X”新构式了解分析词汇学的新动态。本文以“佛系”为研究对象,详细整理了“佛系”一词的源起与发展,收集知网文献中相关词汇,从语义、结构的角度考察“佛系”的使用特点,分析研究“佛系X”的类词缀化倾向,并从内部与外部因素两个方面阐述“佛系X”新词族产生的原因。通过对“佛系X”新词族的研究,更深入的了解了当代汉语新词的发展动向,以及新词类词缀化的特征。

      • ‘상실의 문화’를 내면화하는 방식 -중국 ‘90후(後)’ ‘불계회사원(佛系職員)’을 중심으로-

        장예림 ( Zhang Yilin ) 인문사회과학예술융합학회 2019 인문사회과학예술융합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로, 중국에서 최근에 새로이 등장한 ‘상문화(喪文化)’ 즉 상실의 문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고, 두 번째로, 이러한 상문화가 특정한 청년 집단인 불계회사원 집단이 일상 회사 생활에서 어떻게 내면화하는가를 검토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커뮤니티 담론분석 및 심층 인터뷰 두 가지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담론 분석 결과, 중국 90後청년들은 자아좌절 및 자존감의 상실으로 인해 부정적인 에너지를 표출한다. 그리고 이들은 자기보호의 장치로서 일상 생활에서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며, 다양한 자조문구 및 이미지를 사용한다. 더 나아가 온라인에서 유행했던 상문화가 오프라인 소비문화로 이어지고 있다. 심층 인터뷰 결과, 불계회사원들은 타지 취직에 대한 부담, 경제적 불안, 중국의 ‘화(和)’를 중요시하는 기업문화, 그리고 회사에 대한 소속감의 상실 때문에 회사에서 상문화를 수용하고 무사안일(無事安逸)주의를 표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Sang culture” newly emerged in China. The second goal is to show how the company employees express their “Sang culture” in everyday life. Research methods are community discours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discourse analysis, Chinese 90’s generation young people expressed negative energy due to loss of self-frustration and self-esteem. And they take a cynical attitude in daily life as a device of self-protection. In-depth interviews show that Chinese young people have economic instability. They express wariness in the company because of the loss of belonging to the company.

      • KCI등재

        语言模因论视域下“佛系X”流行现象分析

        김정훈 대한중국학회 2023 중국학 Vol.85 No.-

        “Fo Xi” has become popular on the Internet since the end of 2017 and attracted widespread attention. Under the framework of “Fo Xi X”, people create many “Fo Xi” expressions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contexts, such as “Fo Xi Raising Children”, “Fo Xi Chasing Stars”, “Fo Xi Employees”, etc. It is obvious that the buzzword “Fo Xi X” has significant memetic qualities. At present, domestic researches on “Fo Xi” are mostly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culture, and sociology. Although a small number of scholars have analyzed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Fo Xi”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such as cognition and semantics, there is no scholar who has integrated internal factors such as structural,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with external factors such as subjectivity and contextualization to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generation, reproduction and spread of the linguistic meme “Fo Xi X” based on memetics. From the perspective of memetic theory, this thesis makes a tentative exploration of “Fo Xi X” expression, and provides a relatively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generation, re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this expression, as well as the pragmatic functions that “Fo Xi X” expression realize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hich supplies a reference for the application of memetics to the study of language phenomena and enriches the case study of Internet buzzwords to a certain extent.

      • KCI등재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김현진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This paper researches the aspect of space recognition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projected in Jeyeongsii(題詠詩), Geumgangsan Temple by focusing on Hulseongru pavilion(歇惺樓) of Jeongyangsa temple (正陽寺). Geumgangsan first named ‘Bongraesan(蓬萊山)’ meaning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fterward, it was additionally named Geumgangsan(金剛山)ㆍJidalsan(枳怛山) based on tales about Dalmugal Buddhist saint lectured Geumganggyung scriptures, a group of twelve thousand and Beopgi Buddhist saint lectured Whaumgyung scriptures. Due to this, Geumgangsan was characterized to have a duality of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nd Buddhist’s mountain. There had ever been 100 temples including so-called top 4 temples in Geumgangsan such as Jangansa temple(長安寺), Pyohunsa temple(表訓寺), Yoojeomsa temple(楡岾寺), Jeongyangsa temple(正陽寺) and Singye Temple(新溪寺)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yangsa temple located in the main mountain chain of Geumgangsan is related with the religion of Beopgi Buddhist saint(法起菩薩) of Whaumgyung scriptures(華嚴經), and located in the foot of Banggwangdae(放光臺) in the north of Pyohunsa of inner Geumgang Manpokdong(萬瀑洞). Hulseongru pavilion among the annex of Jeongyangsa temple is also called Hulseongru pavilion(歇性樓) or Hulseokru pavilion(歇錫樓). This name means to wake up from the dreams of the world and keep your eyes open and always stay awake. Hulseongru pavilion has the view with 3 directions fully opened, which allows you to enjoy the scenery of inner Geumgangsan. So, it was spotlighted as the best view spot of Geumgangsan by tourists. Jeyeongsi of Hulseongru pavilion holds 123 literature works of 80 authors based on Korean literature collection. The naming history of Geumgangsan, the origin of naming valleys and peaks, taoist hermit and Buddhism related legends and the appreciation about 12 thousand peaks viewed at a glance are projected. Therefore Hulseongru pavilion is recognized as Confucian scholars can enjoy taoist hermit’s scenery(仙境), Buddhist world(佛界) and the best spot which can enjoy the scenery of Geumgangsan(金剛最勝處). 이 논문은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조선시대 儒者들의 공간인식 양상을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금강산은 처음에 神仙의 산인 ‘蓬萊山’로 이름났다. 그 뒤 佛敎와 관련하여 금강경을 설법한 담무갈보살과 12,000명의 권속, 금강산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법기보살 등의 설화를 바탕으로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金剛山ㆍ枳怛山 등의 이칭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금강산은 신선의 산이고, 또 불가의 산이란 이중성을 띠게 되었다. 금강산에는 조선후기까지 長安寺ㆍ表訓寺ㆍ楡岾寺ㆍ正陽寺ㆍ新溪寺 등의 이른바 ‘금강산 4대 사찰’을 포함해 100여 개의 사찰이 있었다. 그 가운데 금강산 정맥에 자리하여 명명된 정양사는 화엄경 법기보살 신앙과 관련되어 있고, 내금강 만폭동의 표훈사 북쪽 방광대 산기슭에 있다. 정양사 부속건물 중 歇惺樓는 歇性樓 또는 歇錫樓로도 일컬어졌다. 이 이름에는 塵世의 꿈에서 깨어나 마음의 눈을 떠 항상 깨어 있으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헐성루는 지리적으로 북쪽 동쪽 남쪽 3면이 확 트여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내금강의 풍광을 감상하기가 매우 좋다. 그래서 유객들에게 금강산 최고 조망처로 각광받았다. 헐성루 제영시는 韓國文集叢刊을 기준으로 80명 작가의 123수가 있다. 여기에는 금강산 명칭 내력, 봉우리명과 골짜기명 등의 지명유래, 신선과 불교 관련 전설, 한눈에 조망되는 일만이천봉에 대한 감상 등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헐성루는 조선시대 유자들에게 仙境, 佛界, 金剛最勝處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 KCI등재

        『천우학』 고찰 -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禪과 마계 -

        이현옥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2 No.-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정토종이 아닌 선종의 禪을 일본미의 진수로 꼽았다. 禪의 세계는 空이란 궁극적 경지를 지향하면서도 현재 자신이 사로잡힌 번뇌와 망상의 마계를 직시해야 한다. 그런 마계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문학세계와 선의 세계는 접점을 이루고 있다. ‘다선일미(茶禪一味 )’란 다도와 선은 같은 깨달음의 경지를 추구한다는 것인데, 선의 세계인 다도를 배경으로 한 『천우학』에는 禪의 세계(佛界)와 魔界가 대립적으로 잘 표상되어 있다. 작품 속에서 다실과 찻잔을 통해 선의 세계를 형상화한 작가는, 그러나 다도의 세계가 본래의 선의 경지와는 다르게 변질되어 마계로 전락하는 것을 드러낸다. 그리고 환(幻)ㆍ독(毒)ㆍ감각이란 세 요소를 통해 작중 인물이 처한 번뇌와 망상의 마계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마계를 구체화하는 한편으로 현세의 구원도 제시하는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영원의 여성인 유키코보다는 이해와 용서를 가르쳐주는 후미코를 구원의 모델로 내세우고 있다. 또한 따뜻한 수용을 보여주는 오타부인도 위안을 주는 안식처로 내보이며 감각의 순기능적인 측면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내세의 구원이 아닌, 현재 인간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마계만을 극단적으로 치달아봐야 현실에서의 출구는 나타나지 않고, 허무만이 남게 된다는 것도 추측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fine Makai, which is similar to devildom, but differs from the devil in Christianity, and which is the topic of Kawabata Yasunari’s novel. Kawabata Yasunari chooses Zen Buddhism not Sukka̵vati̵ (the Pure Land) as the essence of Japanese Beauty. Zen Buddhism agrees with the style of Kawabata Yasunari’s writing: Zen aims to achieve freedom from all thoughts, but it also allows us to take a serious look at ourselves, as we are seized with affliction and delusion. This condition, seized with affliction and delusion, is referred to as Makai(魔界). 『Senbaturu』, which is based on the tea ceremony, shows Zen and Makai oppositionally: in Zen Buddhism, the tea ceremony pursues the same aim as Zen, thus the tea ceremony is regarded as Zen. In 『Senbaturu』, Kawabata Yasunari exposes the degeneration of the tea ceremony into Makai and reveals Makai through delusion, toxicity, and sensibility. Additionally, Kawabata Yasunari presents a way of finding relief through Mlle.Humiko and Mme.Ota. Mlle.Humiko insists on understanding and forgiving M.Kikuzi, whom Mme.Ota accepts tenderly. This shows that Kawabata Yasunari is interested in the present lives of human beings, as opposed to eternal salvation. With this thesis we can also suppose that the extreme pursuit of Makai remains emptiness without presenting an exit in the form of freedom from all thoughts.

      • KCI등재

        붓다 화현설(化現說)의 기원과 전개 - 빠알리(Pāli) 초기불교경전을 중심으로 -

        조준호(Cho Joon-ho) 보조사상연구원 2008 보조사상 Vol.30 No.-

          역사적인 인물로서 석가모니 붓다는 위대한 스승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에게 차츰 초인적(超人的)인 성격이 부여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같은 초기불교경전이라도 후기층으로 갈수록 그러한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석가모니 붓다의 초인화는 지적ㆍ도덕적 그리고 신체적 모든 부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것이 결국 그를 인간을 뛰어 넘은 존재나 혹은 신성(神性)을 가진 어떤 존재로 비춰지게 되었다.<BR>  여기서 살펴보려는 것은 불교역사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붓다가 설명되는 가운데 있어 인간적인 위치에서 초인적인 존재로 전개되어가는 점을 고찰하고 있다. 초기불교경전 가운데 이러한 경향의 진행은 궁극적으로 화현설(化現說)로 마무리되었다. 결국 후기 불교 종파에 있어 이러한 화현설의 최종적인 전개는 형이상학적인 붓다 개념으로, 붓다를 이 세계의 궁극적인 실재로까지 보았다.<BR>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경향이 이미 빠알리(P?li) 초기경전에서부터 준비되어 있었음을 논증하고 있다. 즉, 붓다로 예정된 단 하나의 보살만이 도솔천에서 세계의 모든 존재의 구제를 위해 머무르다 강림한다는 것으로 마치 오랫동안 준비되고 계획된 전 우주 역사의 특수한 임무나 사명을 띤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이 그것이다. 그래서 단 한 보살만으로 예정된 성불은 같은 세계, 같은 시간에 다른 붓다들이 같이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한정된 붓다 개념을 ‘일국토 일불설(一國土 一佛說)’이라한다.<BR>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이러한 독점적인 붓다 개념이 어떻게 초기불교 문헌 발달과 함께 형성되어 갔는가에 대한 이해와 비판에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붓다가 어떻게 유일무이한 존재가 되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Buddha was a historical person who was first regarded as a great master. By stages, his adherents attributed him to have superhuman qualities in late phases of early Buddhism. Thus the Buddha was represented as ‘human’  and ‘superhuman’ on different occasions in most of the P?li texts. Relatively, very little information as to the personality of the human Buddha is available and the superhuman qualities of the Buddha are more predominant as the main content for an independent concept of Buddha. These qualities both intellectual and moral and even physical sufficed to make him a superman or some kind of divinity.<BR>  Therefore the Buddha-concept can be said fundamentally to be how his followers try to pay a special tribute to their teacher, in other words, the Buddha in its transition from that of a human being to the position of a superhuman being. The sole Buddha-to-be, i.e., the Bodhisatta arose in the Tusita heaven and remained there and descended from that heaven to the earth as if he was going to carry scheduled mission of the whole universe. It blocked off ultimately the possibilities of the plural Buddhas at the same time in one world. Such a limited Buddha-concept is called as "the theory of single Buddha at same time in one world"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 Nevertheless to say this theory had already its deep roots and base in the P?li Nik?yas of early Buddhism. Motive and chief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ound the textual(or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sole Buddha-concept. Thus the study examines mainly of how the Buddha attained a monopoly of unique specimen and of how it moved on the concept of "Buddha-manifestation" as the ultimate reality of the world.

      • KCI등재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정양사(正陽寺) 헐성루(歇惺樓)를 중심으로-

        김현진 ( Kim Hyun-jin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이 논문은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조선시대 儒者들의 공간인식 양상을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금강산은 처음에 神仙의 산인 ‘蓬萊山’로 이름났다. 그 뒤 佛敎와 관련하여 금강경을 설법한 담무갈보살과 12,000명의 권속, 금강산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법기보살 등의 설화를 바탕으로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金剛山ㆍ枳怛山 등의 이칭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금강산은 신선의 산이고, 또 불가의 산이란 이중성을 띠게 되었다. 금강산에는 조선후기까지 長安寺ㆍ表訓寺ㆍ楡岾寺ㆍ正陽寺ㆍ新溪寺 등의 이른바 ‘금강산 4대 사찰’을 포함해 100여 개의 사찰이 있었다. 그 가운데 금강산 정맥에 자리하여 명명된 정양사는 화엄경 법기보살 신앙과 관련되어 있고, 내금강 만폭동의 표훈사 북쪽 방광대 산기슭에 있다. 정양사 부속건물 중 歇惺樓는 歇性樓 또는 歇錫樓로도 일컬어졌다. 이 이름에는 塵世의 꿈에서 깨어나 마음의 눈을 떠 항상 깨어 있으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헐성루는 지리적으로 북쪽 동쪽 남쪽 3면이 확 트여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내금강의 풍광을 감상 하기가 매우 좋다. 그래서 유객들에게 금강산 최고 조망처로 각광받았다. 헐성루 제영시는 韓國文集叢刊을 기준으로 80명 작가의 123수가 있다. 여기에는 금강산 명칭 내력, 봉우리명과 골짜기명 등의 지명유래, 신선과 불교 관련 전설, 한눈에 조망되는 일만이천봉에 대한 감상 등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헐성루는 조선시대 유자들에게 仙境, 佛界, 金剛最勝處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This paper researches the aspect of space recognition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projected in Jeyeongsii(題詠詩), Geumgangsan Temple by focusing on Hulseongru pavilion(歇惺樓) of Jeongyangsa temple (正陽寺). Geumgangsan first named ‘Bongraesan(蓬萊山)’ meaning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fterward, it was additionally named Geumgangsan(金剛山)ㆍJidalsan(枳怛山) based on tales about Dalmugal Buddhist saint lectured Geumganggyung scriptures, a group of twelve thousand and Beopgi Buddhist saint lectured Whaumgyung scriptures. Due to this, Geumgangsan was characterized to have a duality of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nd Buddhist’s mountain. There had ever been 100 temples including so-called top 4 temples in Geumgangsan such as Jangansa temple(長安寺), Pyohunsa temple(表訓寺), Yoojeomsa temple(楡岾寺), Jeongyangsa temple(正陽寺) and Singye Temple(新溪寺)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yangsa temple located in the main mountain chain of Geumgangsan is related with the religion of Beopgi Buddhist saint(法起菩薩) of Whaumgyung scriptures(華嚴經), and located in the foot of Banggwangdae(放光臺) in the north of Pyohunsa of inner Geumgang Manpokdong(萬瀑洞). Hulseongru pavilion among the annex of Jeongyangsa temple is also called Hulseongru pavilion(歇性樓) or Hulseokru pavilion(歇錫樓). This name means to wake up from the dreams of the world and keep your eyes open and always stay awake. Hulseongru pavilion has the view with 3 directions fully opened, which allows you to enjoy the scenery of inner Geumgangsan. So, it was spotlighted as the best view spot of Geumgangsan by tourists. Jeyeongsi of Hulseongru pavilion holds 123 literature works of 80 authors based on Korean literature collection. The naming history of Geumgangsan, the origin of naming valleys and peaks, taoist hermit and Buddhism related legends and the appreciation about 12 thousand peaks viewed at a glance are projected. Therefore Hulseongru pavilion is recognized as Confucian scholars can enjoy taoist hermit’s scenery(仙境), Buddhist world(佛界) and the best spot which can enjoy the scenery of Geumgangsan(金剛最勝處).

      • KCI등재

        浅析汉语网络流行语“佛系X”的特征

        김정훈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1

        The Chinese network catchphrase “Fo xi X” is a construction, which lies in that the overall meaning of “Fo xi X” is not the sum of the meaning of “Buddha” and the meaning of “system”. “Buddha” is only limited to its connotative meaning, and “department” has also experienced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The corpus constructed by the author shows that the variable “X” in the “Fo xi” structure can only be noun phrases or verb phrases, which can predict two possible outcomes, ideal and less ideal. At the same time, the variable “X” also means that it takes a considerable degree of human effort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When noun phrases or verb phrases are used with “Fo xi”, the “Fo xi” means that human subjective efforts are insufficient, so the less ideal effect is highlighted. The construction meaning of “Fo xi X”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ubjective evaluation and additional expressiveness. The construction itself emphasizes human subjective attitude and perception. When it comes to the variant of “Fo xi X”, “X Fo xi”, where “X” is an adjective or adverb. In the variants of “non Fo xi” and “pseudo Fo xi”, the variable “X” such as “non” and “pseudo” makes the construction of the variant opposite to the original construction. The internal factors of “Fo xi X” create favorable conditions for its reproduction and dissemination, includ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concise expression and easy memory,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easy to understand and rich connotation, and the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practicality and fashion; The stimulation of external factors such as situational context, cognitive context and subjectivity promotes the “Fo xi X” to be widely copied and spread and become a strong language meme. In addition, “Fo xi X” mainly realizes seven pragmatic function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cluding satire, criticism, humor, self mockery, praise, suggestion and attracting attention.

      • KCI등재

        永明延壽의 禪戒一致에 대한 考察

        정광균(법상)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5 No.-

        永明延壽(904-975)는 중세 중국의 조직적인 불교 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宗鏡錄 과 같은 그의 기념비적인 작품과 萬善同歸集 또는 心賦注 등은 모두 동아시아 불교에 대한 각각의 영향을 미쳤다. 연수에 대한 연구는 자서전이나 종교적인 사상이나 禪淨一致를 자신의 연구에 게시되어 있지만, 이는 연수의 계율분야의 개혁에 연구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의 시도는 연수의 禪戒一致에 대한 논제를 고찰하여 성취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延壽의 태도는 전통적인 계율을 고수하려는 자와 부정하는 급진적인 禪僧들과 비교하면 조화적인 입장이 발견된다. 그는 보수적인 정신과 생각을 가진 Sīla의 주체들을 비판하였지만, 그는 모두 전통적인 처방을 포기하거나 주장하지 않았다. 그는 계율을 禪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 계율에 새로운 정신을 불어넣었다. 즉, 대승보살이 지향하는 내용인 一心이나 絶待眞心에 禪과 戒律을 결합시켰다. 그래서 불교의 모든 교육과 가치의 기초이고, 나아가 학문의 시작에서 마지막에 이르기까지 一心이 작동한다. 따라서 마음이 깨어 있지 않으면 규칙의 준수는 의미가 없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연수가 고안한 그 생각과 행동이 하나로 수렴되었고, 그의 이러한 견해는 새로운 조직으로 작동시켜서 전통적이고 종교적인 교훈을 변형시켰다. 이것은 延壽가 후세에 남긴 공헌이고, 禪戒一致의 특성이다. YangmingYenshou(904-975) was one of the systematical Buddhist thinkers in medieval China. His monumental works like Jonggyeongrok(宗鏡錄), Manseondonggwijip(萬善同歸集) or Simbuju(心賦注) all have their respective influences on East Asian Buddhism. Although some recent scholarship have been published on his biography or bibliography, religious thought or his convergence of Dhyāna and Pure land doctrines, yet no publication on this thought and reformation of Buddhist discipline have been noted. The attempt of this paper is to fulfill this gap, i.e. to study his disciplinary thought. This study finds that Yenshou's attitude towards traditional Buddhist disciplines was moderate when compared with the radical Dhyāna monks. Although he has criticized conservative spirit and ideas, rules and masters of the Buddhist Sīla, he did not, however, advocated the abandonment of traditional prescriptions altogether. He quoted from Mahayana scriptures and the dialogues of Dhyāna masters to reinterpret the Bodhisattva Disciplines, thus injects new spirit into the old rules, making the rules more harmonious with Dhyāna doctrine. What he had inject into the Discipline was the Dhyāna ontology, i.e. the One Mind(一心) or Absolute Mind(絶待眞心). In his interpretation, the Mind is the foundation of all the Buddhist institutions and values, the disciplines therefore, should begin from and end at it. If the Mind is not awake, the observance of rules along becomes meaningless. By doing so, Yenshou had transformed traditional religious precepts from behave into a new system of thought in which the idea and actions converged into one. This is the contrib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Yenshou's thought on DhyānaSīla-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