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素問ㆍ五藏生成』에 대한 硏究

        白根基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0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14 No.2

        本論文對《素問ㆍ五藏生成》進行研究的,《素問ㆍ五藏生成》是素問的第10編。編名是五藏生成,所以主要內容是應該關于五藏之生和成。可是實在上大部分的內容都是關于五味五色和五藏的關系而色脈的診斷。 爲了研究這些原因,進行五藏生成和色脈診斷關系。記述順序是人體和五藏之生成,地氣和脈之發現,天氣和色之發現,色脈和診斷的關系。從以上的研究,得出了以下結論。 1 天氣和地氣結合才誕生人。所以五藏是天氣和地氣結合才生成。人體和五藏依賴天地之氣味繼續被滋養。因此可以說五藏之外的發現是可能分開天氣和地氣。 2 在《五藏生成》關于生成內容很少,大部分的內容是關于五味和五色的關系而且色診和脈診。脈從地氣出來,再說五味養成五藏之血氣,這些血氣發現在血之府。色是天氣出來,再說五氣養成五藏,五藏之氣發現于皮膚就是色。進行色診的部分是顏色和眼睛,脈診是進行觀察氣口和人迎。 3 最近在韓醫學,代表診斷用語是望聞問切。可是在黃帝內經,診斷核心是色診和脈診。《黃帝內經》把察色技脈重視. 特別強調的是'色脈合參',而且判斷生死豫候的時候,在色診和脈診中,更重視色診。 4 神明是從心臟出來的,這統治五藏六府和五藏之精并且發現于脈和色。所以診斷的時候,核心是色和脈,這是心臟的發現。 5 在人體,性情之變化相應天氣而發現于顏色,飲食相應地味而發現于體格發達。所以可能說爲了身體健康,氣功是統治天氣和神的方法,而且這樣方法可能統治心理的變化。還有對個人最合適的飲食習慣,這些方法可能管理皮肉脈筋骨。

      • KCI등재

        전인치유로서의 요가

        김선미(Kim, Sun-Mi),이거룡(Lee, Geo-L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7 남아시아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가 수련과 동시에 치유체계임을 밝히고 인간의 신체-심리-영적 차원을 통합적으로 치유하는 완전한 전인치유임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요가의 오장설(五藏說, pañcakośavāda)을 통해 인간을 전인적 관점으로 이해하고 치유함으로써 전인치유기제로서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했다. 먼저 몸의 연속적 다층구조를 가진 오장설에 대해 살펴본 후에 베단타의 세 겹의 몸인 거친 몸(sthūlāśarīra), 미세한 몸(sūkṣmāśarīra), 원인적인 몸(kāraṇaśarīra) 과 오장설을 연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장설을 토대로 8지(支)요가의 수련체계와 연관해서 전인치유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오장설은 진아(ātman)를 중심으로 안에서부터 환희(ānanda), 식(識, vijñāna), 의근(意根, manas), 생기(生氣, prāṇa), 음식(anna)으로 이루어진 덮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지 때문에 진아가 경험적 자아(jīvātman)로 나타나는 다섯 층의 에너지 차원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오장설은 고통과 윤회의 원인인 ‘그릇된 자기 동일화’의 다양한 차원들을 상세히 깨닫게 하기 위한 것이다. 베단따의 세 겹의 몸을 오장설과 연관해서 살펴보면, 거친 몸은 음식으로 이루어진 덮개, 미세한 몸은 생기, 의근, 식으로 이루어진 덮개들에 해당되며, 원인적인 몸은 ‘환희로 이루어진 덮개’에 해당한다. 이처럼 세 겹의 몸과 오장설은 서로 인과적, 유기적인 관계를 지닌다. 『요가수뜨라』에 따르면 수련은 거친 요소에서 미세한 요소로 옮겨가는 정화의 과정이라고 말한다. 그 가운데 8지(支)요가는 육체, 기체, 심체를 아우르는 수련이면서 전인치유체계라 할 수 있으며, 마음의 안과 밖에서 일어나는 기능에 따라 내적갈래(antaraṅga)들과 외적갈개 (bahiraṅga)들로 나뉜다. 오장설을 토대로 8지요가를 살펴보면 세 번째인 좌법(坐法)은 음식 (anna)으로 이루어진 덮개, 조식(調息)은 생기(prāṇa)로 이루어진 덮개, 응념(凝念, dhāraṇā), 명상(冥想, dhyāna), 삼매(三昧, samādhi)는 의근(manas), 지성(vijñāna), 환희(ānanda)로 이루어진 덮개의 정화 및 치유와 관련된다. 이와 같이 요가는 전인적 관점의 인간이해를 가지고 점진적인 수련과정을 통해 몸, 마음, 영혼을 통합 치유하는 수련이면서 치유기제이다. 요가수련을 통해 각각의 몸이 정화되고 미세해 질 때, 거친 몸은 미세한 몸속으로, 미세한 몸은 원인적인 몸속으로 귀입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곧 치유의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요가는 이 과정을 통해 암질의 몸을 정화하여 순질의 몸으로 전환시키고 이는 곧 영적진화를 일으키는 원동력이 된다. 이처럼 요가는 끊임없는 수련을 통해 완전한 전인치유에 이르게 하는 길 (mārga)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yoga is a healing system as well as practicing and also to define that yoga is absolute and holistic healing to cur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dimensions in a comprehensive way. In particular, this paper presents theoretical grounds for holistic healing mechanism by understanding and healing humans from holistic viewpoints by pañcakośavāda of yoga. First of all, the paper looks at pañcakośavāda, which embodies continuous multi-layer structures in the body and then the link between pañcakośavāda, rough body(sthūlāśarīra), delicate body(sūkṣmāśarīra) and causal body(kāraṇaśarīra). And then, the paper deals with holistic-healing elements, related to practicing system of the eight limbs of yoga based on pañcakośavāda. Pañcakośavāda, with ātman at the center, consists of layers including ānanda, vijñāna, manas, prāṇa and anna from within, where ignorance leads to ātman taking form as jīvātman, making five layers of energy dimensions realized by jīvātman. That is, pañcakośavāda is aimed for one to realize multi-dimensions of false selfidentification, a cause of anguish and samsara in a detailed way. Linking three-layer body of Vedānta with Pañcakośavāda, the rough body indicates a layer made of anna, delicate body layers of prāṇa, manas and vijñāna and causal body a lay of ānanda. Likewise, the three-layer body and Pañcakośavāda are linked in a causal and organic fashion. According to yoga-sutra, practicing is a purifying process from rough elements to delicate ones. Among them, the eight limbs of yoga is practicing covering the body, spirit and mind and a holistic healing system as well, which divides into antaraṅga and bahiraṅga by its function in and out of mind. Examining the eight limbs of yoga based on Pañcakośavāda, āsana, the third element, is correlated with a layer of anna, prāṇāyāma with a layer of prāṇa, dhāraṇā, dhyāna and samādhi with layers of manas, vijñāna, and ānanda in a purifying and healing way. As practicing is purifying each body to become delicate, the rough body is vested into the delicate body, which is vested into the causal body. Like this, a process where the body is purified to turn delicate is a process of healing. Therefore, yoga brings out spiritual evolvement through practices and purifies the dark body into the pure body through healing. Yoga ends up to be the path leading to absolute healing through practices.

      • KCI등재

        박조열의 <오장군의 발톱>에 나타난 고향의식과 근대성

        이은하 ( Eun Ha Lee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7

        본 연구는 박조열의 희곡 <오장군의 발톱>에 나타난 마법적 세계를 살펴, 이것이 분단 문제에 천착해온 작가의 의식과 어떤 관련을 맺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분단과 이산에 대한 작가의 고백과 작품 소재의 명확성 때문에 박조열 연구는 ‘통일 정념’으로 집약되고 있다. 작가 의식의 심층을 살피기 위해 그의 통일 정념의 구체적 양상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박조열의 대표작 <오장군의 발톱>은 작가의 통일 정념과 분단의식을 드러 내면서도 마법적 세계를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가의식의 고유한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마법성의 세계란 근대 이성 주체를 중심으로 세계와 인간의 대립과 위계화 이전 상태, 즉 세계와 인간의 친연성과 상호 소통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세계를 말한다. 오장군이 속한 시골 마을의 자연 즉 식물과 동물, 비생물들은 모두 인간과 감응한다. 이들은 공존과 화해의 상호관계를 맺고 있다. 한편 이러한 세계를 파괴하는 것은 관료제를 통해 수행되는 전쟁이다. 오장군의 비극의 계기는 표면상 군대와 전쟁이지만, 구체적으로 관료성과 연관 맺고 있다. 관료제의 형식주의와 표준화가 오장군이라는 인간의 비극을 초래한다는 점을 보여주면서 작가의 근대주의에 대한 부정(不正)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오장군의 발톱>에서 마법적 세계는 전쟁과 군대로 수행되는 근대주의에 의해서 파괴당한다. 이 작품에 나타난 전쟁에 대한 작가의 관점은 반(反)문명과 반(反)근대주의와 연결되어 있다. 작가는 6.25의 문제를 근대 문명의 문제로 인식했던 것이다. 이것이 박조열의 통일 정념이 가지는 구체적인 양상일 것이다. 즉 그의 반전(反戰) 의식은 이 같은 근대주의에 대한 비판과 연결되어 있다. 작가의 근대성에 대한 비판으로서 마법적 세계의 파괴에 대한 인식은 그의 고향 체험에서 생득된 고향의식이라는 점에서 탈근대의 자생적 논리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의 회향의식 역시 근대성을 통해 잃어버린 진정한 인간과 세계의 화합과 공존에 대한 추구라는 점에서 개인적 정념의 차원을 넘어선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clarify mean of magical view of the world in ‘OH-Jang-goon`s claw’ The drama of Park Jo Yeol, ‘OH Jang-goon`s claw``, describes magical view of the world which is not broken up into world and human. Human in this drama combines with animal, plant as well as non-biological thing. And the nature is not split up human`s consciousness and objectified rational way. So the opposite of this way is war and army that expressed bureaucracy. Bureaucracy is kind of system which is displayed modernity that pointed logical and objective. We can know that the writer thought the Korean war was not ethnically way but civilized way. ‘Oh Jang-goon`s claw` would rather express the destructive character of modern civilization with the view of anti-civilization than draw a terrible scene of the Korean War in detail. By expressing extreme of civilization such as war, anti-civilization shows specialty of the Korean War. Writer shows new view of the Korean War`s meaning that is not ethnically way but civilized way. So I can say, this drama is worthwhile. Because writer`s own idea which is birth from his experience of hometown is so unique.

      • KCI등재

        [동의보감] 신형장부도(身形藏府圖)의 지층발굴 -오장(五藏)의 성립과 전개를 중심으로-

        정우진 범한철학회 2012 汎韓哲學 Vol.64 No.1

        In this article, I tried to dig up the layer under 『dongyibaojian(東醫寶鑑)』 shenxingZangfutu(身形藏府圖), focussing on the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five viscera(五藏論). my hypotheses prov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1. The root of theory of five viscera is the heart theory shown in 『quanzi(管子)』, where heart is described as the house of jing(精). 2. The heart in 『管子』 is divided into five viscera by five phases theory 3. The five viscera Coming into medicine theory, the viscera position in five phases theory changed for medicine efficiency 4. In post-han time, There happened some changes in The five viscera theory. For example, jing(精) in five viscera changed as mythological being, and especially heart and kidney are emphasized. 5. Such changes can be explained by regimen skill, for instance neiguancunsi內觀存思, respiration skill and sexual arts. 6. Some regimen skills that had influence on the viewpoint of body are introduced by buddhism. So, we can reach such conclusion that 身形藏府圖 represents the layer made by some regimen skills, combining each other not excluding other skills. 『동의보감』의 집례 뒤에는 역대의방이 실려 있고, 이어서 신형장부도가 나온다. 본고는 오장의 성립과 전개에 초점을 맞춰 신형장부도의 지층을 발굴한 논문이다. 기존의 신형장부도연구는 다른 장부도와 비교한 것과 정기신의 구도를 전제하고 도가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다른 중국문화의 산물과 마찬가지로 동양의 인체관도 누적적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동양의 인체관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그 지층을 발굴하는 방식의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고에서 신형장부도의 전모를 발굴해내는 것은 무리다. 이런 이유로 본고의 시선은 오장의 성립과 전개에 집중되었다. 오장은 초기 양생론의 심(心)에서 유래하여, 오행도식의 유행과 제례의 요구에 의해 오장으로 분기된 후, 후한대에 벌어진 사상문화의 분위기를 타고 양생론의 영역으로 들어가면서 다시 변모하였다. 그런 변모의 계기는 양생술의 특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후한대의 양생술 중, 내관존사(內觀存思)의 방법은 오장신의 인격신화에 영향을 끼쳤다. 『황정경』의 오장신은 그런 영향의 결과다. 호흡술은 의학의 심신교제(心腎交濟)의 도식을 빌어온 것으로 보인다. 『참동계』에는 그런 구도가 그대로 적용되어 있다. 그런데 호흡술에는 방중의 영향 특히 방중의 환정보뇌의 영향이 있었다. 우리는 그 모습을 주천의 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환정보뇌의 구도는 마왕퇴 방중서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곳에서는 신정(腎精)이 심으로 올라간다는 구도만 있을 뿐이다. 환정보뇌의 뇌로 연결되는 통로에는 불교의 영향이 들어 있다. 불교의 영향에 의해 신정(腎精)은 뇌로 연결되었고, 그 구도는 다시 호흡술에 적용되어 호흡술의 주천(周天)으로 표현되었다. 『동의보감』의 신형장부도는 이질적인 것들이 서로를 배척하지 않고 누적적으로 쌓여 만들어진, 양생가와 의가(醫家)의 이념이 혼재하는 신체관을 반영한다.

      • 素問·위론에 대한 연구

        嚴祥變,소영진,琴坰樹,朴炅 圓光大學校 韓醫學硏究所 1997 원광한의학 Vol.7 No.1

        『素問·위론』은 위증의 病因과 辨證, 治療原則을 오장위로 구분하여 중점적으로 論述하고 있으므로 「위논」이라고 하였다. 本篇은 내용에 다라 四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 1장은 五臟과 五體와의 관계로부터 위증이 발생하는 病理, 제 2장은 위증의 病因病理, 제 3장은 위증의 辨別, 제4장은 陽明經을 중시하는 이유와 鍼治法를 논하였다. 『東醫處方大全』에 의하면 위증은 洋方診斷名으로는 진행성근위축증, 脊椎腫瘍, 小兒痲痺 後遺症, 筋無力症, 週期性 痲痺, 下腿神經炎 등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양방에서는 위증이 Faccidity Syndrome 에 해당되고 脊椎神經 異常이나 혹은 아직 규명되지 않은 어떤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그 주된 증상은 筋肉의 弛緩내지 無力을 同伴하는 하나의 症候群으로 보고 있다. 위증은 현대의학에서도 아직까지 뚜렷한 원인규명을 못하고 있고 따라서 치료도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難治病으로 남아 있다. 동양의학에서는 『內徑』에서 위증에 관하여 기술한 이후로 諸醫書들이 모두『素問·위론』의 내용을 인용하여 위증의 病因病理와 辨證·治法·治方 등을 기술하고 있고, 『內徑』에 언급이 없는 구체적 治療處方까지 제시하고 있다. In Yu Ron(위론), pathological mechanisms are explained on the basis of the so-called "Eum-Yang(陰陽)"theory. For diagnosis name, Yu-syndrome(위증) is related to Progressive muscular atrophy, Spinal cord outgrowth. Infantile paraplegia sequel, Myasthenia, Circular paraplehia, and Quadriceps femoris neuritis of Western medicine. Yu-syndrome(위증) correspond to Faccidity Syndrom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cause is Spinal nervus abnormality or not identified virus. Main symptoms of this disease are myatonia and amyosthenia of muscle. Because the cause is not identified, Yu-syndrome(위증) still has being as a intractable disease. Summerizing the contents of the"Yu Ron(위론)" in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successive generation note, the contents were as follows: What attracts our attention in chapterⅠ is five-organ Yu-syndrome(오장위) which are attacted by heat of five-organ. Flaccidity-syndrome(위벽증) is produced by lung-heat(肺熱); Heart-heat(心熱) produse Flaccidity due to heat-evil involving the vessels(맥위); Liver-heat(肝熱) produse Flaccidity due to malnutrition of muscles(근위); Spleen-heat(脾熱) produse Musclar flaccidity due to the damage of musclar function(육위); Kidney-heat(腎熱) produse Flaccidity due to deficiency of Kidney-essesec(골위). What attracts our attention in chapterⅡ is pathologic explanations of five-organ Yu-syndrome(오장위) and importance of lung. What attracts our attention in chapterⅢ is discrimination of five-organ Yu-syndrome(오장위) which was obtained by observational data of complexion, hair, branch of the large channel(絡脈), nail, tooth. What attracts our attention in chapter Ⅳ is medical treatment, acupuncture theraphy and prognosis. Specialy this chapter is explaining the reason why YangMyung channel(陽明經) is considered so importantly in the medical treatment of five-organ Yu-syndrome(오장위)

      • KCI등재

        Quantitative Evaluation of Criticality According to the Major Influence of Applied with Burnup Credit on Dual-purpose Metal Cask

        Ho-seog Dho,Tae-man Kim,Chun-Hyung Cho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5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3 No.2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수송/저장용기의 핵임계 해석은 사용후핵연료내의 악티나이드핵종 및 핵분열생성물 함유량에 대한 불확실성을 이유로 신연료로 가정된 가상의 연료를 선정하여 평가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 한 평가방법은 용기 설계 시 과도한 임계여유도를 유도하여 경제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있다. 이 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연소도이득효과(burnup credit, BUC)를 반영한 수송저장용기의 설계 및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추진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서 개발중인 금속겸용용기 를 대상으로 연소도 이득효과적용 시 핵임계 안전성(criticality safety)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노심 운전인자’, ‘축방향 연소도 분포’, ‘오장전 사고상황’에 대하여 핵임계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노심운전 인자 중 저농축, 고연소도일 때 비출력에 따른 핵임계 변화가 크게 평가되었으며, 고연소도 사용후핵연료에 서 End effect가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오장전에 의한 유효증배계수는 최대 0.18467증가하였으므로, 연소도이득효과를 적용할 경우 필수고려사항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모델(금속겸용용기)의 연 소도 이득효과 적용기술 개발 및 사용후핵연료 장전 시 일어날 수 있는 오장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운영 절차 개발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 general, conventional criticality analysis for spent fuel transport/storage systems have been performed based on the assumption of fresh fuel concerning the potential uncertainties from number density calculations of actinide nuclides and fission products in spent fuel. However, these evaluation methods cause financial losses due to an excessive criticality margin.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many studies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to design and commercialize a transportation and storage cask applied to the Burnup Credit (BUC). This study conducted an assessment to ensure criticality safety for reactor operating parameters, axial burn-up profiles and misload accident conditions, which are the factors that are likely to affect criticality safety when the BUC is applied to the dual-purpose cask under development at the KOrea RADioactive waste agency (KORA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riticality resulting from specific power, changed substantially and relied on conditions of low enrichment and high burn-up. Considering the end effect in the case of high burn-up produced a positive-definite result. In particular, the increment of maximum effective multiplication factors due to misloading was 0.18467, confirming that misload is a factor that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en applying the BUC.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therefore be utilized as references in developing technologies to apply the BUC to domestic models and operational procedures or preventing any misload accidents during the process of spent fuel loading.

      • KCI등재

        오장경군영(吳長慶軍營)과 그 막료들 -조선 견문록 3종을 중심으로

        김성남 ( Sung Nam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4 No.-

        본 논문은 임오군란 진압의 책임을 맡았던 吳長慶軍營의 막료들이 출간한 조선견문록인 周家祿의 『奧移朝鮮三種』, 薛培榕의 『東藩紀要』, 朱銘盤의 『桂之華軒遺集』을 중심으로 1882년 당시 중국인의 조선 인식과 오장경군영 막료들과 袁世凱와의 갈등, 조선 지식인들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것이다. 이 3종의 조선견문록은 조선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과 보다 정확한 상황을 상부에 보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저술된 자료들로서 1882년 당시 조선의 객관적 상황과 정보들, 중국인의 조선 인식, 조선지식인과의 교유, 오장경 막료들 내부의 갈등관계 등의 구체적인 자료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임오군란을 기점으로 동아시아의 새로운 지형이 만들어져 가던 바로 그 중심에 서 있었던 오장경군영 막료들의 복잡하고 이중적일 수밖에 없었던 조선인식은 종주국으로서의 우월감과 자부심이 가득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조선에 대한전통적 연대감과 상실에 대한 불안감이 자리하고 있었다. Based on travelogues to Joseon written by officials of the Wu Zhangqing Military Camp who were responsible for subjugating the Imogullan Military Uprising, such as Zhou Jialu`s(周家祿) Aoyijoseonsamjong(奧移朝鮮三種), Xue Peirong`s(薛培榕) Dongbeongiyo(東藩紀要), Zhu Mingpan`s(朱銘盤) Gyejihwaheonyujib(桂之華軒遺集), this paper examined the then Chinese perception of Joseon, the conflict between the Wu Zhangqing Military Camp officials and Yuan Shikai, and their relations with Joseon intellectuals. in 1882. When the Imogullan Military Uprising broke out, the Qing government dispatched a 3,000-strong support military unit to Joseon under the command of Admiral Wu Zhangqing. This large-scale troop dispatching led to the subjugation of the Imogullan Military Uprising, the arrest of Regent Daewongun, and Qing`s invervention in Joseon`s politics and diplomacy. This consequently brought the Joseon-Qing relations to a new dimension. The three travelogues, which could be the Qing military`s situation report on Joseon, are considered the most accurate records of the then Chinese`s perception of Joseon, the conflict between Wu Zhangqing Military Camp officials and Yuan Shikai, and their relations with Joseon intellectuals in 1882, presumably a time when Korea-China relations began to change. Yuan Shikai was a dependent under Wu Zhangqing Military Camp, and became No. 21st ranked official during the Imogullan Military Uprising. He betrayed Wu Zhangqing who helped him rise to that position, as well as his colleagues. To achieve greater ambitions, he followed Li Hongzhang, waved the flag of Northern Ocean(北洋), rode luxury horses, acted like an high-ranking official, and abused his power. Thus, the Wu Zhangqing Military Camp sent a letter to the Joseon government, saying that while Yuan Shikai`s power was limited to training the new military camp, he intervened in Joseon`s all political affairs, criticizing his serious arrogation. Yuan Shikai, in just less than two years in service, freely and arrogantly accessed the Joseon royal household. This suggests how the Joseon government was played into the hand of Yuan Shikai. With a new geography being formed in East Asia, triggered by the Imogullan Military Uprising, the Wu Zhangqing Military Camp officials were at the center of such a move, and their perception of Joseon had to be complicated and double, making them proud as the people of the suzerain state. However, behind such pride were China`s concerns for the future and the sense of its traditional unity with Joseon.

      • KCI등재

        「오장군의 발톱」과 민주화 이후 한국연극의 정전화

        이화진 국제비교한국학회 202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2 No.1

        이 논문은 박조열의 희곡 「오장군의 발톱」이 냉전의 와해와 한국 사회의 민주화 이행에 수반된 정치적ᆞ문화적 변화와 불가분의 관계에서 한국 현대연극의 정전으로 자리매김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1975년에 문화공보부에 의해 공연이 불허된 「오장 군의 발톱」은 1988년의 초연 대본을 출발점으로 텍스트의 정본화가 이루어졌다. 이 논문은 「오장군의 발톱」의 금지와 해제, 1974년에 집필된 초고부터 1994년 수정된 희곡까지 복수의 판본들, 극단 미추에 의한 무대화를 거슬러 읽는다. 극작가 박조열 은 「오장군의 발톱」을 여러 차례 개작하는 과정에서 속죄와 위령의 제의적 양식을 강화해갔으며, 개작을 거친 형태로 한국연극계에 도래한 연극은 관객과 독자에게 동 시대적인 공감을 얻었다. 또한 극단 미추의 연극 작업은 냉전이 와해된 시기에 평화와 공존, 역사적 화해를 모색했던 여러 국제연극제의 무대를 경유함으로써 작품의 주제 의식에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부여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Park Joh-yeol’s play O Chang-gun’s Toenail came to be positioned as a representative work of contemporary Korean theater, intimately entwined with the political and cultural upheavals accompanying the denouement of the Cold War era and South Korea’s democratic transition. The play, which was bann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Public Affairs in 1975, underwent a process of canonization, lever- aging its 1988 premiere script as a pivotal reference point. This paper traces the historical time when O Chang-gun’s Toenail became a political event through its banning and release, the production of multiple editions from the first draft written in 1974 to the revised play in 1994, and its staging by the theater company Michoo. Playwright Park’s recurrent re- visions of O Chang-gun’s Toenail underscored a deliberate fortification of its ritualistic ele- ments, imbuing it with a profound sense of expiation and memorialization. As the play re- surfaced in the Korean theatrical milieu in an amended guise, it garnered contemporary res- onance among its audience and readership. Moreover, Michoo’s theatrical work injected fresh interpretive dimensions into the thematic undercurrents of the work, as it traversed various international theater festivals espousing themes of peace, coexistence, and historical conciliation amidst the epochal collapse of the Cold War paradigm.

      • 五臟背兪穴 部位의 神經領域 및 穴位 特性에 대한 硏究

        安成薰,裵柱東,朴正俊,卞成熙,孫仁喆 한국전통의학연구소 1998 한국전통의학지 Vol.8 No.1

        五臟兪穴과 근접神經幹의 위치적 유사성을 토대로 내장에 대한 직접적 神經支作用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五臟兪穴은 足太陽膀胱經 背部 제 1선에 위치한 五臟의 背兪穴로,肺兪는 第 3椎下, 心兪 第 5椎下, 肝兪는 第 9椎下, 脾兪는 第 11椎下, 腎兪는 第 14椎下의 兩傍 各1寸分 部位에 있다. 2. 五臟兪穴 部位에 분포하고 있는 신경을 보면, 胸背部의 肺兪와 心兪부위에는 external branch of accessory N, N. of the rhomboids, post. branch of thoracic N가, 肝兪부위에는 subseapular N, post. branch of thoracic N, 脾兪부위에는 post. branch of thoracic N이며, 腎兪부위에는 post. branch of lumbar N.가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신경이 支配하는 근육은 僧帽筋, 菱形筋, 最長筋, 廣背筋, 腸骨肋筋, 腰背筋膜이다. 3. 유기체인 인간에 있어서 대뇌가 인지하지 못하는 도중이거나 또는 자극전달과정을 차단하는 과정이라도 신경의 여러 종류 중 근접신경간 또는 신경절간의 최소거리에서 자극전달과정이 일어날 수 있다고 사료되며 특히 病理的 狀況에서 기능의 혼란성은 더욱 심화되리라고 예상된다. 따라서,五臟兪穴에 대한 刺鍼효과는 자극전달과정의 혼란성을 惹起하여 일어나는 交感神經系의 內部臟器에 대한 직접적 作用일 수 있다고 思料되며 여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思料된다. This research was studied how muscle and nerve system were placed according to accupuncture point of B13 (肺兪), B15(心兪), B18(肝兪), B20(脾兪), B23(腎兪), OH-JANG-SUE(五臟兪). And studied it to be possibility that muscle and nerve system of this area connected to organ of human, so we acquired following results. 1. There are B13 1.5 dlon(寸) area besides under the 3rd thoracic vertebra, B15 under the 5th thoracic vertebra, B18 under the 9th thoracic vertebra, B20 under the 11th thoracic vertebra, B23 under the 14th thoracic vertebra. 2. Thee are external branch of accessory N, N. of the rhomboids, post. branch of thoracic N. in B13(肺兪) and B15(心兪), subscapular N, post. branch of thoracic N. in B18(肝兪), post. branch of thoracic N. in B20(脾兪), post. branch of lumbar N. in B23(腎兪). This nerves rule trapezius M., rhomboideus major M., longissimus M, serratus post. info M. fascia lumbodorsalis. 3. We proposed that the accupuncture effect of B13(肺兪), B15(心兪). B18(), B20(肝兪), B23(腎兪) might be confusion of nerve system.

      • KCI등재

        음식과 질병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 천태사상을 중심으로 -

        혜명스님(김종두) 한국선학회 2020 한국선학 Vol.0 No.57

        음식과 질병의 관계에 대해서는 인도의 율장 등에 잘 정리되어 있고 중국 천태종의 수행서나 선종의 청규 등에서도 상호관련성이 잘 기술되어 있다. 특히 초기나 부파불교의 율장이나 티벳의학에서는 사대에서 생기는 병에 대하여 상세하게 그 처방약을 제시하고 있는데 비해 천태종은 음식의 성품과 조화를 통하여 병을 치유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리고 『마하지관』에서는 직접적으로 우리 몸이 신맛을 선호하게 되면 간에 좋고 비장을 헤치게 된다. 그리고 몸이 단맛을 선호하면, 비장에 좋고 신장을 헤치게 된다. 또한 몸이 쓴맛을 선호하면, 심장에 좋고 폐를 헤치게 되고, 몸이 짠맛을 선호하면 신장에 좋고 심장을 헤치게 되며, 몸이 매운맛을 선호하면 페가 간을 헤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대와 오장과 오미의 관계를 잘 알고 음식을 먹어야 함을 설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선종과 천태종은 오전에는 죽을 먹고 점심에는 밥을 먹는 형태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 조금 다르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오후불식을 하지만 대체로 세끼를 적게 먹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천태종에서도 육식을 하지 않고, 때 아닌 때에 먹지 않는 다는 것은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처벌에 관한 것으로 병이 들어 외출하였을 때는 예외로 규정하고 있다. 이때에 몸이 아프므로 자유롭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천태종은 사대와 오장의 관계를 다섯 개의 맛을 통해서 조정하면서 몸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건강하게 수행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그것은 인도의학과 중국한방의학의 만남과 융합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실질적인 지침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의학에서 봤을 때 인도의학과 천태종의 의학 등은 매우 단순하고 그 시대의 의학수준을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음식을 통해 몸의 조화와 섭생을 추구하고 질병을 예방하면서 궁극적인 깨달음을 추구하는데 그 진정한 의미를 찾을 것이다.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disease, in the Vinaya Pitaka and the others of India, the Written Performance of the Tiantai Buddhism and the others of China, and the Regulations of the seon sect and the others, the mutual relationships have been organized well. Especially, in the first draft, the Vinaya Pitaka of the early Buddhist schools, and the medical science of Tibet, they have been presenting the prescription medicine in detail regarding the illness that takes place in relation to the four kinds of the elements. Compared to this, the Tiantai Buddhism has been inducing so that the illness is cured through the nature and the harmony of the food. And such four kinds of the elements have the deep relations with the five viscera (the 5 organs). Especially, in ‘The Great Calming and Contemplation,’ it says that, if our body gets around to preferring sour taste directly, it is good for the livers and the spleen gets around to being damaged. And, if the body gets around to preferring sweet taste, it is good for the spleen and the kidneys get around to being damaged. Also, if the body prefers bitter taste, it is good for the heart, and the lungs gets around to being damaged. And, if the body prefers the salty taste, it is good for the kidneys and the heart gets around to being damaged. And, if the body prefers hot taste, the lungs get around to damaging the livers. The fact that one must eat food while know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uch four kinds of the elements, the five viscera, and the five tastes well has been explained. But, regarding the soen sect of China and the Tiantai Buddhism, the part that has the form of eating rice porridge in the morning and the boiled rice for lunch is a little different. And, although our country does not eat in the afternoon, mostly, it has the form of eating three meals. I believe that, although, regarding India, China, and Korea, the fundamental purposes regarding food are the same,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the topographies and the climatic cultures, they have the appearances that are a little different. It can be considered that, similarly to this, regarding the Tiantai Buddhism, too, the fact that they do not eat meat and do not eat at the wrong time is the same. And, as a thing that is related to the punishment, the time of going out because one gets sick has been regulated as an exception. It is thought that, at this time, as one is sick, one can ingest the food fre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Tiantai Buddhism,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kinds of the elements and the five viscera, it had sought for a method of performing healthily while adjusting and while pursuing the harmony of the body through the five tastes. It had been materialized through the meeting and the fusion between the Indian medical science and the Chinese medicine. And we can know that it had been utilized as the actual guidelines. When seen from modern medicine, it can be seen that the Indian medical science, the medical science of the Tiantai Buddhism, etc. had been very simple and had represented the levels of the medical sciences of the eras. However, the true meaning can be found from the pursuit for the ultimate realization while pursuing the harmony and the care of the health of the body and while preventing the illness through f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