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오프라인 상호작용이 학업성취 및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권기창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7 사이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 및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목적을 갖는다. 학습자간 오프라인 집단활동을 통한 상호작용은 사회적, 정의적, 인지적 요인에 의해 측정되며, 학업성취는 숙달과 수행으로, 학업지속성은 목적의식과 교육과정, 개인능력, 소통과 참여를 통해 측정되어질 수 있다. 분석결과, 변수간 신뢰성과타당성은 높았으며, 상관관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학업성취와 학업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정의적 요인과 연령 및 성별은 학업성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의적 요인 및 인지적 요인과 연령은 학업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사이버대학 온라인학습의 성취와 지속성을 위하여 학습자 상호작용을 진작시키기 위한 학습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ffline interaction both achievement and persistence on academy in cyber university. The interaction through group activity among learners can be measured social, affective, cognitive factors. Academic achievement can be measured through proficiency and performance, academic persistence can be measured through a sense of purpose, personal skil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urned out to be positive when it comes to academic achievements and persistence. Among sub factors, especially, affective factors from interaction, age and gender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he former (academic achievements) and affective factors, a cognitive factor and age have an impact on the latter (persistent learning). Accordingly, learning strategy has to be established by encouraging organized interaction among learners for online learning achievement and its persistence

      • KCI등재후보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 구성 예비연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김양은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8 사이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셜미디어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결성을 통해 인간관계의 형성, 정보 생산과 유통 방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소셜미디어는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등장과 함께 미디어리터러시는 영상언어에 대한 이해를 의미하는 것에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미디어리터러시 개념을 재규정하였다. 소셜미디어의 등장은 이들 특성에 기인한 미디어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소셜미디어 등장 이후 미디어리터러시 개념의 변화, 그리고 디지털 시민성과의 연계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내용을 토대로 소셜미디어의 인간관계의 형성과 정보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를 위한 초등학생 대상의 소셜미디어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social media literacy program fo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connections based on network, social media has changed the ways to build human relationships and the ways to produce and distribute information. With the advent of digital media, media literacy redefines its concept in sociocultural context from simply understanding visual language. On this point of view, after the advent of social media, changes of the concept and connections to digital citizenships are reviewed on this paper. And with this, social media literacy program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s designed to build human relationship on social media and understand information literacy.

      • KCI등재후보

        사회 미디어교육 현황과 진단, 대안적 접근: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김광재,장은미,강신규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7 사이버교육연구 Vol.11 No.2

        This study aims to present alternatives for solving conflicting issues in the field of social media education in Korea. For this, sever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different experts working within 18 different institutions that contribute to the field of social media education. Two groups were categorized as major interviewees (public and privat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lassified then interpret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describes the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education programs and their characteristics vis-a-vis polici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The second category describes problems and alternatives identified by interviewees. The third category describes policies which interviewee propose to activate social media education. Interviews in each category were analyzed by major issues and linked to discussions and suggestions based on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social media education suggested policy councils to lay the foundation for policy efficiency and appropriate positioning of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정체된 사회 미디어교육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드러낸 뒤, 사회 미디어교육 활성화 혹은 그 논의와 실천의 확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제시를 목표로 시작했다. 방법론으로 사회미디어 교육 영역의 18개 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두 그룹을 주요 인터뷰 대상 군으로 분류(공공기관과 민간기관)했다. 심층인터뷰는 이들을 대상으로 크게 세 영역의 질문 범주에 따라 나눠 진행됐다. 첫째, 교육 프로그램 특성, 정책·업무 평가, 교육환경 전반에 대한 평가 영역 둘째, 사회 미디어교육 분야의 문제점과 대안 영역 셋째, 사회 미디어교육 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내외적 조건과 지원 정책 영역이다. 각 영역의 인터뷰는 주요 이슈로 범주화시켜 이에 기반한논의 및 제안으로 연결됐다. 분석 결과 사회 미디어교육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 정책 효율화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협의체와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한 포지셔닝(positioning)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수용전념치료 부모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타당성 연구

        송지희,조한익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8 사이버교육연구 Vol.12 No.1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parenting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and to test the validity of this program.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30 mothers who were enrolled in H cyber university and scored higher than 80 points on the Parenting Stress Index (PSI). For validating this program, 8 variables-parenting stres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arenting acceptance, the psychological distress variables-depression and anxiety, and ACT’s 3 important therapeutic variables-psychological acceptanc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elf compassion-are measured. Data were collected from 15 subjects in the ACT-treatment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over the course of 8 therapy sessions. Through repeated ANOVA test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variables, and significant increase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arenting acceptance, psychological acceptanc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and self compassion variab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ACT parenting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effectiveness of ACT parenting program are discussed and also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치료(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이하 ACT)를 토대로 부모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을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현재 H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서 자녀를 양육하고있으며, 양육스트레스 점수가 80점 이상인 재학생들이었다. 수용전념치료 부모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3개 영역의 8개의 변인들이 측정변인들로 사용되었다. 그 변인들은 첫째 양육관련 변인들-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양육수용행동, 둘째 부적 정서관련 변인들-우울과 불안, 그리고 수용전념치료 핵심치료요소 변인들-수용행동, 마음챙김 주의자각, 자기자비 등이었다. 결과분석에서 치료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 등, 총 30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또한 치료집단에 실시된 ACT 부모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주 1회 18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통해 실시된 집단 간 치료효과 분석 결과 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양육스트레스, 우울, 불안 변인들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부모효능감, 양육수용행동, 마음챙김 주의자각, 자기자비 등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 로컬 무크의 현황과 과제 -JMOOC와 K-MOOC의 비교-

        윤지현,황영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7 사이버교육연구 Vol.11 No.1

        Recently, Open Education has been brought into light within the education field of study, bringing many to draw their attention to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This study has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ost representative Local MOOC of the Eastern Asia region: Japan’s JMOOC, and Korea’s K-MOOC. The comparison was done looking a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in detail: (1)Background and purpose, (2)Features of provided courses, (3)Features of enrolled students. Also,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studies that were done and/or related to MOOC within databases of the Korean and Japanese academic articles. The meta-analysis takes a look at: (1)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2)Demand analysis and evaluation on MOOC, (3)Design layout of the MOOC, (4)Development and study results of its implementation. Lastly, based on the course analysis of local MOOC and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n the studies, the conclusion proposes (1)Strategies for Korean styled MOOC and (2)Potential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using MOOC. 최근 교육 분야에서 오픈 에듀케이션이 주목을 받으며 무크(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동아시아 지역의 대표적인 로컬 무크인 일본의 JMOOC와 한국의 K-MOOC를 비교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①배경과 취지, ②제공하는 강좌의 특징, ③수강자의 특징을 중심으로 비교했다. 이어서, 한국과 일본의 연구문헌 데이터베이스에서 MOOC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해당 논문을 정리한 후, 이들 논문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메타분석에서는 ①현재의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 ②MOOC의 수요 분석과 평가, ③MOOC의 설계, ④MOOC의 개발과 실시에 관한 연구 성과에 대해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로컬 무크의 코스 분석과 연구 논문의 메타분석결과를 바탕으로 (1)한국형 무크 운영을 위한 전략과 (2)무크를 활용한 외국어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제언했다.

      • KCI등재후보

        <SNU 팩트체크>를 활용한 뉴스 팩트체킹: 미디어 리터러시 가능성에 관하여

        박기묵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8 사이버교육연구 Vol.12 No.1

        According to study of <SNU Fact Check>, the broadcasting company reported the most news with 68 (32.08%) out of 212 cases from January to March of 2018.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ection was politics, accounting for 36.79% (78 cases). 80 cases (37.74%) were the most common cases of ‘not at all true.’ According to the main study, there is a lot of news that can correct wrong political facts.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the fact check news in Korea will be a good example for the media Litter Rush research as it is performing the critical reporting function well. <SNU 팩트체크>를 기준으로 지난 2018년 1월부터 3월 동안 총 212건의 팩트체크 보도 중 방송사가 68(32.08%)건으로 가장 많은 뉴스를 보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보도된 섹션은 정치 섹션으로 전체의 36.79%(78건)를 차지했다. 판정의 대부분은 ‘전혀 사실 아님’이 80건(37.74%)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 국내 팩트체크 뉴스는 잘못된 정치 사실을 바로 잡는 뉴스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국내 팩트체크 뉴스는 언론의 비판적 보도 기능을 잘 이행하고 있기에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대상으로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분석됐다.

      • KCI등재후보

        소방공무원의 외상유형에 따른 정서경험 및 외상증상의 차이 비교

        강훈희,유성진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8 사이버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PTSD symptoms and emotio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fire fighting officers show systematic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trauma. Differentiated the trauma type into Personal, Impersonal, Direct and Indirect trauma and typical trauma scenarios were created, representing each type of trauma. Then presented the trauma scenarios to 121 fire fighting officers and PTSD symptoms and emotional experiences that each scenario triggered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trauma provoked more PTSD symptoms(hyper-arousal) and negative emotions(anger, depression, guilt and shame) than impersonal trauma. Second, direct trauma provoked more PTSD symptoms(avoidance, hyper-arousal, intrusion, sleep disturbance, emotional numbing and dissociation) and negative emotions(anger, anxiety, depression and shame) than indirect trauma. Third, the interaction effects of factor 1 (personal/impersonal trauma) and factor 2 (direct/indirect trauma) were partially observ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were mentioned.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이 체험하는 외상증상과 정서경험이 외상유형에 따라서 체계적인 차이를 보인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외상유형을 대인 외상과 비대인 외상, 직접 외상과 간접 외상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외상유형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외상상황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아울러 외상상황 시나리오를 121명의 소방공무원에게 제시하고, 각각의 시나리오가 촉발하는 외상증상과 정서경험을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 외상이 비대인 외상보다 외상증상(과각성)과 부정 정서(분노감, 우울감, 죄책감, 수치심)를 더 강하게 유발하였다. 둘째, 직접 외상이 간접 외상보다 외상증상(회피, 과각성, 침습, 수면장애, 정서마비, 해리)과 부정 정서(분노감, 불안감, 우울감, 수치심)를 더 강하게 유발하였다. 셋째, 요인1(대인/비대인 외상)과 요인2(직접/간접 외상)의 상호작용효과가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임상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제한점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후보

        심층면담을 통한 대학 플립드러닝 교수자들의 활동체제 분석

        장미소,김진선,박양주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8 사이버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of university flipped learning instructors in a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university.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rofessors who had experiences in flipped learning.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Engeström's activity system model was employ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As a result, the activity system as a whole had the character of 'class innovation activity' to improve existing classes. Flipped learning is used as a tool. In addition, there are community demands and orientations, and there is a rule to manage the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ivity system of the university flipped learning instructors, it was argued that this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large frame of class innovation in the university education community beyond the level of applying a new instructional method. 본 연구는 대학 플립드러닝 교수자들의 활동을 대학의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체제적으로 분석하여 드러내 보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 대학에서 플립드러닝을 시행한 경험이 있는 다섯 명의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방법적으로는 질적 내용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론적 틀로는 Engeström의 활동체제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로서의 활동 체제는 기존 수업을 개선하고자 하는 ‘수업 혁신 활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플립드러닝은 도구로서 활용되었으며, 수업의 안과 밖을 ‘뒤집는’ 설계적 특성, 관련된 기술적 특성(동영상 편집, 온라인 의사소통 등) 등은 모두 플립드러닝 활동체제의 도구로 활용되었다. 공동체적 요구와 지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들 간 분업 체제가 이루어지고, 이를 관리하는 규칙이 존재하였다. 대학 플립드러닝 교수자들의 활동체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당 활동이 모종의 새로운 수업을 시도해보는 수준을 넘어서서, 대학 교육공동체에서의 수업 혁신이라는 큰 틀에서 조망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신문 활용 교육의 유형과 효과-진로탐색을 중심으로

        김경희 한양사이버대학교 종합연구원 2017 사이버교육연구 Vol.11 No.1

        Focusing on care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ases of NIE in newspaper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NIE. As a result, students in grades 7 and 8 in middle school were building their own career-related knowledge and students in grade 9 in middle school created portfolios for high school entrance exams through NIE. In addition, the youth were investigating diverse career paths using newspapers for their career. The effects of NIE we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mprovement’, ‘self-dream formation’, ‘empowerment in newspaper reading’, ‘learning motivation improvement’, and ‘creative thinking ability improvement’. 본 연구는 신문에 나타난 신문활용 교육(NIE; Newspaper in Education)의 사례를 분석하여, 진로탐색을 중심으로 NIE 의 특성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은 NIE를 통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지식을 쌓는 활동을 하고 있으며,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고입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데 NIE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 진로를 위해청소년들은 신문을 활용해 다양한 직업군을 탐색하고 있었지만, 농업/어업/광업, 자영업 등 특정 분야의 직업군에 대해서는 거의 활용하지 않고 있어, 청소년들의 진로 교육에 있어 이들 직업들의 사회적 가치와 중요성을 조금 더 부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문 활용 교육(NIE)의 효과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고 뒤이어 ‘자신의 꿈 형성’과 ‘신문 읽기 흥미도 향상’이 주요한 효과로 분석되었다. 이 외에도 ‘학습 동기 유발’과 ‘창의적 사고능력 향상’, ‘직업관 형성’, ‘가치관 형성’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