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자유무역 확대에 따른 한국경제 파급 효과: CPTPP, EU, 미국과의 자유무역

        송백훈 한국EU학회 2019 EU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CPTPP, EU 및 미국과의 FTA 등 최근 일본의 자유무역 확대 정책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연산가능일반균형모형을 통해 추정한다. 일본이 한국의 FTA 기체결국들과 연이어 FTA를 체결해 나감에 따라, 한국이 그들 시장에서 누렸던 시장선점 효과가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CPTPP참여, EU 및 미국과의 연이은 FTA 체결로 인해 한국의 GDP는 소폭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일본의 GDP는 한국의 GDP 감소분보다 더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일본의 CPTPP, EU, 미국과의 FTA 참여는 한국의무역을 위축시킨다. 산업별 영향을 살펴보면, 한국의 1차 산업(농업, 수산업, 축산업)의 피해가 예상된다. 반면, 제조업에서는 그 효과가 산업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한국이 미국 및EU와의 FTA를 통해 누렸던 산업 생산의 증가분은 일본의 FTA 확대정책으로 인해 일부분사라진다. 가장 크게 타격을 받는 분야는 일본과 치열한 경쟁관계에 있는 수송기기이다. 제조업에서 일본-EU FTA는 철강⋅금속 산업과 기계 산업에 다소 부정적 효과를 창출하는반면, 일본-미국 FTA는 한국 제조업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estimates the economic effects of the recent Japan's FTA expansion policies, including CPTPP, FTA negotiations with the EU and the U.S., on the Korean economy through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Korea's GDP is expected to decline slightly due to Japan's successive FTAs. Japan's GDP, on the other hand, is expected to rise above the magnitude of Korea's GDP reduction. And Korea's exports and imports will likely decline as Japan joins the CPTPP, and FTAs with EU and U.S. By industry, damage to agriculture, fisheries and livestock industries is expected due to Japan’s successive FTA expansions. Korea's production in these sectors is also reduced through the KORUS FTA and the Korea-EU FTA, which is further damaged by Japan's FTA expansion. On the other hand, mixed effects are found in manufacturing sectors. The increase in production that Korea enjoyed through FTAs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EU is somewhat eliminated by Japan's expansionary FTA policy. The hardest hit area is transport equipment. It appears that Japan's FTA with the EU creates some negative effects on Korea’ steel and metal industries and machinery industries, while Japan's FTA with the U.S. does not have much impact on the trade of Korean manufacturing sectors.

      • KCI등재

        Entman의 폭포수모형에 근거한 한국사회의 프레임 연구: 한국인의 EU인식을 중심으로

        정세원 ( Sae Won Chung ),박성훈 ( Sung-hoon Park ),윤가운 ( Gawoon Yoon ) 한국EU학회 2017 EU학연구 Vol.22 No.1

        지난 2010년 유럽연합 (EU)과 한국은 기본협력협정을 체결하고 전략적동반자 관계를 출범하였다. 2011년 7월 한-EU FTA 발효 이후, 2013년의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한-EU 간의 상호이해가 증진 되었다. 2010년 이후로 한-EU 양자관계가 더욱 내실화 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양한 계층에 존재하는 EU에 관한 인식의 분포 및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각 계층에 EU인식과 연관되는 주제프레임 (Thematic Frames) 들을 Entman의 폭포수 모형을 근거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결과는 크게 세 가지 이다. 첫째, 엘리트, 언론매체 그리고 대중의 인식 속에 자리 잡은 EU관련 주제프레임들이 주제별로 현저히 다르게 나타났다. 엘리트층에서 주로 나타난 주제 프레임은 경제, 환경 그리고 연구·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EU의 이미지와 관련이 깊었다. 반면에 언론매체 그리고 대중의 인식에서는 EU의 경제, 정치, 사회분야의 이미지와 관련이 깊은 주제프레임들이 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들의 EU에 관한 인식 속에는 EU의 경제력에 근거한 이미지가 크게 자리 잡고 있었다. 따라서 경제·통상외의 분야에서 한국인들의 EU의 인식이 객관적으로 형성되기에는 어려운 환경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한국사회내의 언론, 엘리트와 대중 간의 EU에 관한 인식의 불균형이 포착되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한-EU관계의 발전과 심화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In 2010, the European Union and South Korea signed Framework Agreement and initiated strategic partnership. Afterward, in July 2011, EU-Korea Free Trade Agreement (FTA) took its effect. In 2013, the EU and South Korea celebrated their 50th anniversary of bilateral relations, and they fortified strategic partnership and mutual understanding which led rapid growth of the relationships. Based on Entman‘s Cascading Activation Model,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frames connected to Koreans‘ EU perceptions which exist in diverse aspects of the Korean society. This study suggests a couple of conclusions. First, each grouping of the Korean society has different salient thematic frames (Economic, Environmental and Research, Science and Technology for elites versus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for the media and the public).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economic and trade related frames were the most salient and influential frame in Koreans‘ EU perceptions. In addition, other frames than economic one are not likely to have influences upon Korean demographics. Finally, there is an imbalance between perceptions of the elite and those of the public. Such imbalance might cause the development of EU-Korea relations. Thus, future studies should address such issues in order to deal with such imbalance.

      • KCI등재

        유럽연합(EU)의 대(對)한국 FDI 동향 분석과 코로나19 이후 유치 확대 방안

        김태황 ( Taehwang Kim ),한웅희 ( Woonghee Han ) 한국EU학회 2020 EU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연합(EU)의 한국에 대한 FDI의 동향을 분석하고 코로나19 이후 유입 확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EU FDI의 결정요인이나 추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시도하지 않고 동향 분석과 전략적 대응책을 제시하는 정책연구이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이후 글로벌 투자 정책과 트렌드에는 구조적인 변화가 야기될 것이다. EU는 한국에 대한 FDI 최대 투자국이지만 유입의 변동성이 크다. 절충이론에 따라 FDI의 복합적인 결정요인을 고려하더라도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는 FDI의 질적 확대 전략을 추진할 수 없다. 한국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산업 혁신 및 구조조정과 연계되는 융복합적인 FDI 유치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환경 변화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EU에 대한 산업별 필수 FDI 수요 지도와 실천 로드맵을 작성함으로써 FDI 유치 체계를 혁신하고 이행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 수요자 중심적인 제안형 FDI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EU FTA 이행점검 체계와 연계하여 양국 간 협력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금융 세제 지원을 포함한 혁신적인 지원 특례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한국이 EU에 배타적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수요 중심의 FDI의 질적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FDI to Korea by the European Union and to present countermeasures so as to expand inflow after COVID-19. It is a policy study that presents trend analysis and strategic countermeasures without attempting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terminants or trends of Korea-EU FDI. The impact of COVID-19 will result in structural changes in subsequent global investment policies and trends. The EU is the largest investor in FDI to Korea, but the inflow is highly volatile. Even if the complex determinants of FDI ar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eclectic theory, the qualitative expansion strategy of the FDI cannot be pursued from a supplier-oriented perspective. Korea should pursue a strategy to attract convergent FDI that is linked to industrial innovation and restructuring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order to take the lead in responding to the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after COVID-19, we should innovate the FDI attraction system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ation by preparing an industry-essential FDI demand map and implementation roadmap to the EU.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onjunction with the Korea-EU FTA implementation inspection system to boost demand-centered proposed FDI. Innovative support exceptions, including financial and tax support, should be applied. It will be possible for Korea to expand the quality of demand-oriented FDI by providing exclusive incentives to the EU.

      • KCI등재

        Subsidization under the Korea-EU FTA: Broader scope and new ways of enforcement

        ( Simon Baier ) 한국EU학회 2012 EU학연구 Vol.17 No.1

        2012년 7월 1일로 한국과 유럽연합간의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 지 1년이 된다. 한-EU FTA제 11장은 넓은 의미에서의 경쟁을 다루고 있으며, 양 당사자간의 반경쟁적 거래를 초래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무역을 인정하지 아니한다. 제 11장 2절은 보조금 지급에 관하여 유일하게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보조금에 관한 FTA규정들을 분석하고 이러한 규정들을 집행하는 방법에 대해 검토한다. 또한FTA가 불법화하는 보조금 지급의 구체적인 형태를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일반적인 WTO 의무사항보다 강화된 FTA를 논한다.본 논문은 새로운 형태인 불법적인 보조금 지급을 집행하는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FTA제도하에서의 분쟁해결도 이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불법적인 보조금에 대한 사적 행위의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EU 기업들이 EU무역장벽 규정을 통해 FTA 제 11장에서 보장하는 권리를 집행 할 요구를 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보조금이 주정부 보조금이며 EU 회원국들간의 무역에 영향을 끼칠 경우에 한국 기업들은 EU집행위원회를 통해 불만을 제소할 자격이 있음을 강조한다. On 1 July 2012 it was one year since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uropean Union took effect. The trade pact dedicates Chapter 11 to competition in a broad sense and disallows and sanctions certain practices and transactions involving goods or services which distort competition and trade between Korea and the EU. Section B of Chapter 11 is exclusively concerned with the issue of subsidization.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FTA`s rules on subsidies and the ways how to enforce these rules. It shows that the FTA outlaws specific forms of subsidization and thereby goes beyond general WTO obligations. The article argues that these new forms of unlawful subsidization are subject to three alternative ways of enforcement available to both Korea and the EU, including dispute settlement under the FTA regime. The article also investigates possibilities of private party action against illegal subsidies and concludes that rights under Chapter 11 FTA can be enforced by European companies by means of the European "Trade Barrier Regulation". In addition, Korean companies can be entitled to lodge complaints against subsidies to the European Commission where they amount to illegal "state aid" and affect the trade between EU member states.

      • KCI등재

        Information Diffusion in YouTube Video Networks: The Case of Koreans' EU Perceptions

        정세원 한국EU학회 2019 EU학연구 Vol.24 No.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Korean perceptions of the EU on the internet. Among the internet media platforms,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ng EU-related YouTube videos filmed in the Korean language over the last four years from the anniversary of Brexit Referendum.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a social network of Korean YouTubers. The social network shows the information diffusion process so that the results could address how EU images were spread to the Korean viewers. For facilitat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NodeXL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visualisation.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s, this study set two separate periods based on two years before the referendum (From 23 June 2014 to 22 June 2016) and two years after the referendum (from 23 June 2016 to 22 June 2018). Afterwards, this study will compare two social network maps to explore how Korean perceptions of the EU were shaped after the Brexit Referendum. The results can be summarised into three points. First, the information diffusion structure of EU perceptions has become improved in terms of its network density and improved scope. Second, the information diffusion network has become more connected, efficient and accelerated among members of the network. Third, the range of influential information diffusers has been more diversified, and this led to more complicated diffusion network in South Korean soc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calls for further inventions of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between the EU and South Korea, reliable quality assurance system of EU-related information in Korea and narrowing perceptual gap regarding EU-related information in South Korea from digital divide.

      • KCI등재

        Legal Issues on the Korea-EU Crisis Management Operations Agreement: The Regul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curity Issues in East Asia

        ( Bongchul Kim ),( Sora Lim ) 한국EU학회 2019 EU학연구 Vol.24 No.3

        한국과 EU 사이의 국제법은 새로운 협력 활동을 위한 법적 기반이다. 자유무역협정(FTA)와 기본협정(FA)는 한-EU 관계에 관련된 전통적인 두 가지 주요 법적 기반이었지만, EU의 위기관리활동에 한국이 참여하는 기본협정은 양측 사이에 새로운 협력 분야를 만들었다. 이 협정에 따르면, 한국과 EU는 위기관리활동에 초청 및 기여, 관련 비용 또는 예산에 관하여 정보를 교환할 것이다. 양측은 이 분야의 협력에 보다 직접적인 법적 근거를 두었으며, 이 협정은 EU-동아시아 협력 작업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예를 들어, 베트남과 EU도 2019년에 이와 유사한 위기관리활동 참여 기본협정을 체결하였다. 국제법과 국내법은 서로 영향을 주고 동시에 한-EU 사이의 국제법은 많은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상황들 속에서도 한국과 EU는 법적 기반의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고 협력확대를 위한 더 나은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EU international laws are the legal bases for their new cooperation activities. Although the FTA and the FA have been two main legal infrastructures for the Korea-EU relation, the Framework Agreement for the Participation of Korea in EU Crisis Management Operations made new cooperation field between the partners. According to the agreement, the Parties will exchange their information and decision on the invitation and the contribution, and even the costs or budgets of the works. The two partners made a more direct legal basis on the co-actions in this field and this agreement made some influences to the EU-East Asian cooperation works. Vietnam and EU also established the agreement in 2019. The international laws and the national laws affect each other, and the laws of the Korea-EU relation are influenced by many external factors. Consequently, they can find better ways for the cooperation with new functions of their legal infrastructures.

      • KCI등재

        2000-2014년 기간 한국과 EU의 무역 비용과 무역 증가 요인 분석

        박순찬 한국EU학회 2019 EU학연구 Vol.24 No.1

        Building on the methodology suggested by Novy(2013) and using World Input Output Database, this paper measures the relative bilateral trade costs between Korean and the European Union. The relative bilateral trade costs of manufacturing sector between Korea and EU 28 member countries, on average, decline by 6.8 percentage points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14. Furthermore, we decompose the growth of trade into three components, namely, changes in income, bilateral trade costs and multilateral resistance. We find that the growth of trade between Korea and EU is driven mainly by the growth of income and the reduction of bilateral trade costs. 국내거래와 국제거래의 차이를 이용하는 Novy(2013) 방법에 따라 세계투입산출 데이터를 이용하여 2000-2014년 기간 한국과 EU 회원국의 무역비용을 측정하였다. 제조업의 경우 한국과 EU 28개 회원국과의 무역비용은 2014년 108.2%로 2000-2014년 기간 약 6.8%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00-2014년 기간 한국과 EU 회원국 간 무역의변화를 소득, 양자 간 무역비용 및 다자간 저항성의 변화라는 세 가지 요인으로 분해하였는데, 소득 및 양자 간 무역비용이 한국과 EU 회원국 간 무역 증가를 견인한 주된 요인으로분석되었다. 제3국과의 무역비용을 나타내는 다자간 저항성은 제조업과 1차 산업의 무역에상이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다자간 저항성으로 한국과 EU의 제조업 무역이 감소하는 무역전환효과가 발생한 반면에 1차 산업은 한국과 EU의 무역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 KCI등재

        OECD 내 EU 회원국의 경제성장 및 사회통합 특성 연구

        박명호 ( Myung Ho Park ) 한국EU학회 2014 EU학연구 Vol.19 No.2

        전 세계는 저성장, 고실업, 불평등의 심화, 재정 악화 등 심각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세계경제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 증가하면서 각국 정부는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글로벌 도전을 잘 극복하는 나라는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자국 고유의 경제발전모형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한국 정부는 아직 경제발전 방향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도 성장과 형평의 조화를 강조하는 내포적 성장(Inclusive Growth)모형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본고는 새롭게 변모하는 경제 환경 하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된 내포적 성장모형의 관점에서 OECD 회원국 중 EU 국가와 non-EU 국가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199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EU 회원 국가는 non-EU 국가에 비해 경제적, 사회적으로 보다 동질적이었는지를 지표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OECD 회원국은 지난 1990년대 중반 이후 경제적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고, 회원국 간 수렴 현상 역시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런데 OECD 회원국을 EU 와 non-EU 회원국으로 구분해보면 EU 회원국의 성장동력은 non-EU 회원국보다 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고 회원국 간 수렴 현상 역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사회통합의 경우 OECD 회원국은 EU 와 non-EU 회원국 불문하고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회원국 간 수렴 현상 역시 발견할 수 없었다. 결과적으로 EU 회원국은 다양한 사회정책에도 불구하고 회원국 간 사회통합의 격차 해소에는 실패했지만 경제 측면에서는 가시적 성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world is calling for change for solutions that foster economic growth in a more inclusive manner. Facing slow growth, rising inequalities and high unemployment, OECD and other international institutions developed a new vision for inclusive growth that combines strong economic growth with improvements in living standards and outcomes that matter for people’s quality of life.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EU member countries and non-EU countries among OECD countries with the help of indicator system.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Growth dynamics of OECD countries showed a remarkable growth since the 1995. Gap between member countries is reduc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considered. Within OECD member countries, performance of EU member countries surpassed that of non-EU countries. Regarding social cohesion, OECD countries including both EU and non-EU countries stagnated during the whole period. As a result, EU member countries are considered to make a big progress in enhancing growth potential, while they ended up in failure in social cohesion because they not only failed to consolidate the social cohesion but also could not narrow the gap between member countries.

      • KCI등재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EU의 한국 철강 부문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의 타당성 분석

        김태황 ( Taehwang Kim ),조정환 ( Jungwhan Cho ) 한국EU학회 2020 EU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EU가 2019년 2월부터 발효한 한국산 철강 및 철강 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양자 간 세이프가드 조치 적용의 통상법적 근거와 쟁점에 대한 고찰은 지양하고, EU의 세이프가드 조치 발효가 미국의 수입 규제 조치와 상관성이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EU가 세이프가드 조치를 발효할 정도로 한국의 대EU 수출 급증세가 있었는가? 한국의 대EU 철강 수출 증가가 미국의 수입 규제 조치에 따른 시장전환의 결과인가? 한국산 철강 부문의 대미 수출이 중국산 철강 수입과 실질적인 무역 상관성이 있는 것인가? 세 가지 문제제기에 대해 각각 통계적 상관관계를 발견하기는 어려웠고 부분적 상관관계가 유효한 경우에도 상관성은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EU의 세이프가드 조치는 시장 내부적 요인보다는 미국의 보호 무역주의의 대외적 요인으로부터 더 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은 교역국의 직접적인 수입 규제 조치뿐만 아니라 제3국의 간접적인 조치도 고려하여 통상 우선적인 경제정책의 운영 기조를 강화해야 한다. 단기적인 수출 시장전환은 중장기적인 산업 및 사업 구조조정 조치와 병행해야 한다. EU를 비롯한 교역국의 통상제도의 활용도를 높이고 통상관계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체제를 확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istical appropriateness of EU’s safeguard measures for Korean iron and steel products, which went into effect in February 2019. The focus was on observing whether the EU's safeguard measures were correlated with concerns caused by U.S. import restrictions. Has there been a surge in Korea's exports to the EU to the point where the EU has put its safeguard measures into effect? Is Korea's increase in steel exports to the EU the result of a market shift following U.S. import restrictions? Does the export of the Korean steel sector to the U.S. have any real trade correlation with Chinese steel imports? It was difficult to find statistical correlations for each of the three questions, and even if partial correlations were vali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at a low level. It is believed that the EU's safeguard measures were more strong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of U.S. protectionism than by internal market factors. Korea should strengthen the operational stance of its trade-first economic policy in consideration of indirect measures by third countries as well as direct import regulatory measures by trading partners. A short-term export market shift should be coupled with mid and long-term industrial and business restructuring measures. It should expand its system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rade systems in the EU and other trading partners and to strengthen monitoring of trade relations.

      • KCI등재

        기술 경쟁과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유럽연합(EU)의 공공이익사업(IPCEI) 사례

        강유덕 ( Yoo-duk Kang ) 한국EU학회 2021 EU학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미-중 패권 경쟁과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미국, 중국과 다른 입장에 있는 유럽연합(EU)의 공급망에 대한 인식과 재편 계획을 분석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정책으로 EU의 공공이익사업(IPCEI)을 통한 산업지원 정책을 살펴보고,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수소에너지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EU의 산업정책은 유럽이 강점을 갖춘 기후변화, 환경 분야의 기술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둘째, EU의 산업정책은 기술적 우위뿐만 아니라 사회적 변화 등 종합적인 패러다임 변화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반도체, 배터리, 수소에너지 등 핵심 분야에서 EU는 직접적인 산업육성보다는 민간기업들의 참여를 최대한 독려하여 역내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역점을 둔다. 이러한 EU의 공급망 재편 정책은 두 가지 시사점과 대응 방향을 제공한다. 첫째, EU는 제조업 분야의 주도권이 아시아로 이동했다는 인식을 뚜렷이 갖고 있으며, 산업 가치사슬을 유럽 내로 재편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반면에 역외기업의 현지 법인에 대해 차별적 요소는 없기 때문에 한국기업의 유럽 법인을 활용, EU의 산업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EU는 기술패권의 패러다임을 기술적 우위에서 통상정책, 환경규제 등을 결합한 형식으로 전환시키고자 시도 중이다. 이러한 전환에는 구매력, 기술력만으로 미국 및 아시아 국가에 우위를 점하는 것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비전통적 통상 이슈에 대한 수용 여력을 높임으로써 기술력과 규제환경을 조합한 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s been challenging the interest of the European countries, and the COVID-19 crisis revealed the vulnerability in global supply chai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uropean Union and its Member States plan to reshuffle their supply chains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security of industrial supply chains. This study examines the EU's subsidy framework, Important Projects of Common European Interest (IPCEI), and reviews ongoing electric vehicle batteries, semiconductors, and hydrogen energy projects as case studies.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following features in the EU's industrial policies. First, the EU tends to take advantage of its competitive technology in climate change and the environment. Second, the EU's industrial policy tends to pursue comprehensive paradigm changes, rather than focus on a very specific sector. Third, in critical fields such as semiconductors, batteries, and hydrogen energy, the EU focuses on creating an industrial ecosystem by encouraging private companies to participate as much as possible rather than directly fostering industries by public interventions. These EU supply chain reorganization policies provide two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EU recognizes that the leadership in the manufacturing sector has shifted to Asia and is moving to reorganize the industrial value chain into Europe. However, there is no discriminatory factor against foreign subsidiaries in Europ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U's industrial policy by utilizing European subsidiaries of Korean companies. Second, the EU is attempting to shift the paradigm of technological hegemony from a technical advantage to a combination of trade policie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order to respond to this challeng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etitive edge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the regulatory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capacity to accommodate non-traditional trad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