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평화체제’ 연구동향

        김에스라,박은주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sect researches of the "Peace Regime" in the fields of North Korea and Korean unification. In addition, alternative measures to secure the scalability and sustainability of research on the peace regime in the Korean society will b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papers under the theme of 'Peace Regime' among academic papers registered on the KCI website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articles used for this study were published between the time period of January 1999 to December 2019. As a result, a total of 103 papers were collected,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NetMiner 4” on 81 Korean Abstract pap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earch on the peace regime was conducted on five key topics: ▲ study on denuclearization and peace agreement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 study on the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military strategy between the U.S. and China, ▲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and arms control, ▲ legal consideration on the peace regime, and ▲ study o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o sum up,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peace regime research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 research results being concentrated at certain points in time, because of the symbolism and importance of the theme of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북한‧통일 분야에서 ‘평화체제’를 주제로 한 학술연구가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한국사회 내 평화체제 연구의 지속성 및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99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한국연구재단의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홈페이지에 등록된 학술논문 중 ‘평화체제’를 주제로 한 북한‧통일 분야의 논문만을 수집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자료수집 결과, 총 103편의 논문이 수집됐으며, 본 연구는 이 중 국문초록이 있는 논문 81편에 대해 ‘NetMiner 4’를 활용한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평화체제 관련 연구는 ▲북미 간 비핵화와 평화협정에 관한 연구, ▲한반도 주변 정세 및 미중의 군사전략에 관한 연구, ▲평화체제 구축과 군비통제에 관한 연구, ▲평화체제에 관한 법률적 고찰, ▲북핵 문제 관련 연구 등 5가지의 핵심 주제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한반도 평화체제'라는 주제가 가지는 상징성과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연구 성과도 특정 시점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등 한계점이 있으니 이를 보완하여 평화체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형 평화구축활동 연구

        김진호,황경수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1 평화학연구 Vol.12 No.1

        Facing 21st century after finishing the cold war, paradoxically, we have been living in chaotic world rather than peaceful world. At first glance, there has been existing in peace on earth. On the contary, there are still occuring the war in the other side of the earth. Moreover, on the occasion of 11th September, it shows state as the only actor in waging war, also even USA is not symbolically secure . According to Lotta Harbon & Peter Wallensteen as an emprical study, the trend of armed conflict has been on the downfall, during from 2000 to 2009, armed conflicts among nations are only 3 out of 30 cases. But, by gradual, regional conflicts and civil wars are becoming spread. In these armed conflict areas are seemed to be mainly low levels of political, social, economical. Particularly, Ekaterina Stepanova speak to the propensity for genocide, one-sided violence of government toward civilian. It is deteriorating national economy. Excluding a directing factors, various kinds of conflicts are not easy to resolve the complicated issues. Even though a experimental endeavor to settle down, if conflicts are seeing as a political purposes to be performed, it is ended by doing so. In this context, the way of finishing the conflict in peace research is being significient. Peacebuilding after conflict is basically comprehensive. However, in reality, peacebuilding after conflict is not doing well through many cases, there are returning to the origins of conflict. It is due to the lack of the comprehensive approach. It raises the issues for social cohesiveness facing a time consuming of human security, a necessity of sustainable social economical development. It is meaning that in this traditional way of managing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beyond the humanitarian assistance is combining. Peacebuilding as a comprehensive approach is required. Eventually, new model for peacebuilding is needful to improve the structural violence. This papers is to propose New community Movement as a comprehensive approach. It deals with the values of peacebuilding, it being worked out, its new roles, its directions. Nowdays, evaluations of New Community Movement is two sides of coins; positive, negative. Nowithstanding, it brought effectively national mobilization in 1970s, but also it is needless to become the conerstone of moderniz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negative aspects. In this way, it reviews operational mechanisms of new community movement than a historical evaluations, and so it is reinterpreted in the contemporary view, it intend to be applicable to the operations of peacebuilding. For this, we shall see the models of peacebuilding, the background and operational process of New Community Movement, outcomes. 하본과 월레스틴(Lotta Harbon & Peter Wallensteen)의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무력분쟁은 추세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2000년에서 2009년까지의 무력분쟁 30건 중에서 국가 간 분쟁은 3건에 불과한 반면, 점차 내전이나 지역적 분쟁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이들 무력분쟁 지역들(armed conflict areas)은 주로 정치, 사회 및 경제 발전의 수위가 낮은 국가들에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스테파노바(Ekaterina Stepanova)는 최근 분쟁 양상은 기반 시설의 파괴 및 정부의 기능 약화 등과 같은 국가 경제 발전에 악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넘어서, 정부에 의한 대량학살과 같은 민간인에 대한 일방적인 폭력(one-sided violence)의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현대 분쟁의 양상은 국가 간 분쟁에서 종족갈등, 민족주의 등으로 인한 테러와 내전(civil war), 지역적 분쟁(localized conflict) 등 다양한 형태로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분쟁은 직접적인 원인을 제외하고도 다양한 정치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이 있을 수 있고, 양 당사자 간에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힘의 차이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문제해결을 어렵게 만든다. 분쟁의 원인을 규명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분쟁을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행위’로 파악해본다면 역설적으로 분쟁은 어느 한 시점, 즉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는 순간 종료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평화연구에 있어서 ‘분쟁 종식의 방법’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고 중요한 연구의 대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쟁 이후의 평화구축’에도 보다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라는 인식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은 많은 사례에서 분쟁종식 이후 평화구축을 이루어내지 못하고 또 다시 분쟁상태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재건 과정에서 포괄적 접근(comprehensive approach)이 필요하지만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던 것이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고 있다. 즉 분쟁지역에서 발생하는 장기간에 걸친 인간안보(human security)의 위기에 대응하여 사회동질성을 높이는 한편, 지속적인 사회적·경제적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차원에서 진행되었던 분쟁지역의 기반시설 재건 및 구호품 전달과 같은 단순한 전후 복구사업 및 인도주의적 지원의 차원을 넘어선 포괄적 접근으로서의 평화구축(peace-building)을 요구하고 있다. 결국 분쟁피해국의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인 필요에 대한 철저한 분석 및 분쟁 상황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서 평화를 구축하고 치안을 유지함과 동시에 경기침체, 높은 실업률, 낙후화된 경제체제, 만연화 된 빈곤, 사회적 부조리, 독재 및 부정부패와 같은 구조적인 폭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 하에서 포괄적 접근으로서의 평화구축을 위한 새로운 모델로서 새마을운동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새마을운동이 평화구축 활동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가능하다면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역할과 운동방향은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오늘날 새마을운동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가 맞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마을운동은 적어도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 효과적으로 국민동원(국민참여)을 이끌어내었으며, 새마을운동의 성과들은 일부 부정적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근대화의 중요한 초석이 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 ...

      • KCI등재

        한국의 평화 연구 동향: 명칭에 ‘평화’가 포함된 KCI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상래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1 평화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cademic trends of peace studies, targeting fiv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 ‘peace’ in the title. The result shows that the research on ‘negative-passive peace’ focusing on unification or security is still the mainstream in those journals. However, the research on ‘positive-active peace’ is becoming more wide-spread due to the scholarly use of the irenological approach. In this context, two tasks in the future of peace studies in Korea are presented. One task is that not only ‘peace for unification’ but also ‘unification for peace’ must be studied. This means that ‘peace’ must go beyond ‘means value’ to become ‘purpose value.’ The other task is that not only ‘peace …ology (eg. peace psychology)’ but also ‘…-peaceology (eg. psycho-irenology)’ must be explored. Thus, the future trend of peace studies is not to study ‘peace’ with a specific academic approach, but to study a specific phenomenon with the irenological approach. 이 연구는 평화를 제목에 포함한 5개의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평화연구의 학문적 동향을 탐색한 것이다. 결과는 그 학술지들에서는 여전히 통일이나 안보를 중심으로 한 ‘부정적-소극적 평화’ 연구가 대세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평화학적 방법론에 대한 이해의 확대로 ‘긍정적-적극적 평화’ 연구도 확산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향후 한국의 평화학이 나아가야 할 두 가지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통일을 위한 평화’뿐만 아니라 ‘평화를 위한 통일’도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평화가 ‘수단 가치’를 넘어 ‘목적 가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는 ‘평화 〇〇학’과 함께 ‘〇〇 평화학’도 연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화심리학’뿐 아니라 ‘심리평화학’도 해야 한다. 이는 어느 특정한 학문적 접근법으로 평화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평화학적 접근법으로 특정 현상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관광을 통한 평화’(Peace Tourism)의 창출: 중국-대만 관광교류 사례가 한반도 평화에 주는 함의

        김진호,김평선,신민석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8 평화학연구 Vol.9 No.3

        The established study of the relations of peace and tourism has been paid attention to the positive result for the increase of incomes, local development, mutual understanding, hostility cancellation. This mainly analyzes the impact on the low politics such as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among nations including culture・environment・technique. Otherwise, it also raised the criticism tourism is not functioning the prevention of war. Few researches had been doing the possibility of the high politics's changing the enlargement of military political interests through tourism and the improvement of national interests through armament, in relating to this, high politics transforming into the new relations. Accordingly, in this regard, it reviews tourism's contribution to positive peace such as its economic effects through the previous works. Also it knows tourism's impact on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affecting the high politics bring the conflict prevention and detente, extend the improvement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s. Having known that, we can draw the implications for applicating to Korean peninsular. This papers is to explore the existing literatures on the relations between peace and tourism, basing upon it, it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it. Consequently, it is to review China-Taiwan relations as the case of peace project for peace through tourism. The existing research still be valid in view of the tourism's affecting the low politics. However, it is unsatisfied about the study how the tourism influence the high politics. The main purpose is to know the real impact on the tourism affecting the peace. 관광과 평화의 관계에 대한 기존연구는 관광이 수입증대 등의 지역발전, 상호이해 증진, 적대감 해소 등의 긍정적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관광이 국가간 경제적 상호의존이나 문화 · 기술 · 환경 등과 같은 하위정치(low politics)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분석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관광이 전쟁을 예방하지는 못한다는 비판 또한 제기되고 있다. 관광을 통해서 군사적 · 정치적 이익의 극대화와 군비경쟁을 통한 국익 증대 등을 다루는 고위정치(high politics)가 변화될 수 있으며, 고위정치의 변화가 새로운 관계전환을 유도하는 측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측면에서 관광이 경제적 효과, 적대감 해소 등의 적극적 평화에 기여한다는 점을 선행연구들을 통해 살펴보고, 관광이 지역경제 발전뿐만 아니라 고위정치에 영향을 미쳐서 고위정치 영역의 긴장해소, 분쟁방지, 그리고 다른 분야의 교류협력 확대를 가져온다는 점을 검토하고, 이런 측면을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해 적용시킬 수 있는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관광과 평화의 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관광을 통한 평화의 창출 및 확산의 이론적 틀을 모색한다. 다음으로, 관광을 통한 평화 프로젝트의 한 사례로서 중국과 대만의 관광교류협력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는 관광이 하위정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측면에서 중요하지만, 아직까지 관광이 고위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관광이 고위정치에 기여하는 프로세스를 파악함으로써 관광이 평화에 미치는 적극적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관광이 한반도 평화에 미치는 함의를 도출하고, 한반도 관광교류에 적용시킬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엔의 평화유지활동과 한국의 기여외교

        조윤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8 평화학연구 Vol.9 No.2

        This paper pursues for providing theoretical and policy backgrounds for Korea’s increasing efforts on participation of UN Peacekeeping Operation. UN peacekeeping operation has provided essential security and support to millions of people as well as fragile institutions emerging from conflict. Peacekeeping operators deploy to war-torn regions where no one else is willing or able to go and prevent conflict from returning or escalating. Recently there are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personnel serving on 20 peacekeeping operations led by the UN Department of Peacekeeping Operations(DPKO) on four continents, directly impacting the lives of hundreds of millions of people. This represents a seven fold increase in UN peacekeepers since 1999. As the 10th largest contributors to the UN PKO budget, Korea is now looking for chance to expand its PKO activities including increasing its financial contributions and numbers of PKO troops. To be successful implementation activities, this paper suggests various measures to encourage PKO activities including the enactment of domestic laws regulating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PKO, feasibility study to establishment of PKO institution,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PKO-related discussions in the UN. 본 논문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의 향후 국제사회의 기여외교의 방안으로 유엔 평화유지활동을 확대하는데 있어 필요한 이론 및 정책적 기반을 제시하는 것 이다. 이명박정부가 출범하면서 국정의 주요과제로 세계에 기여하고 신뢰받는 외교를 통해 국가위상을 강화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표명하고 있어 향후 한국의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참여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시점에서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평가와 한국의 그간의 활동의 평가와 향후 전망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은 1991년 유엔회원국에 가입한 이후, 1993년 소말리아에 공병부대를 파견함으로써 최초로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한국은 국제사회의 평화유지에 대한 노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위해서 앙고라, 서부사하라, 및 동티모르 등 8개 지역에 약5천여 명의 평화유지 요원들을 파견하였다. 한국의 평화유지활동의 참여는 유엔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높여 우리의 외교정책의 입지를 강화시키는데 많은 공헌을 한바있다. 유엔평화유지 활동의 긍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평화유지활동의 참여에 많은 비판도 야기되었다. 1999년 동티모르에 전투병파견에 관하여 많은 국민적 논란이 야기되었던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많은 국민들은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부족하여 과거 베트남 파병과 같은 부정적 시각에서 평화유지활동을 위한 파병에 대해 거부감을 지니고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정부는 유엔의 평화유지 활동참여를 위한 법적 절차가 부족하여 파병을 위한 절차가 까다로운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지난 10년간 한국 정부의 대외정책은 핵문제와 대북정책중심으로 이루어져 평화유지활동 등 국제사회에 대한 기여외교를 통한 국가이익 향상에 소극적인 측면이 있었다. 한국의 유엔 평화유지활동에 대한 능동적 참여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의 개념과 활동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탈냉전시기의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의 새로운 역할의 가능성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의 유엔평화유지활동에 대해 평가하고 그동안의 평화유지 활동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향후 한국 평화유지활동의 효율적 활동을 위해서 나가야할 정책적 방향과 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조영식과 이케다 다이사쿠의 평화운동실천의 비교연구

        하영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5 평화학연구 Vol.16 No.5

        This study compares and considers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s practice of peace movement. Five elements of the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of the two people’s activities are as follows:1) Practicing the ideology of peace in a college education2) Proceeding peace movement through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s)3) Developing peace movement through religion4) Asserting and Practicing peace movement through UN. By the fact that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 founded Kyunghee University and Soka University respective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wo people’s ideology of education for peace is being applied to a college education. GCS International Club, which was founded by Young-Seek Choue in Korea, has been registered as a consultative body of ECOSOC of UN(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and SGI, which was established by Daisaku Ikeda in Japan, also takes an active part as NGO in ECOSOC of UN and UNESCO. As for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s similarities, first, both of them opposed war and took the initiativ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eaceful society. Their eventual purpose was establishing a welfare society of humankind who enjoys happiness both mentally and materially by opening the second Renaissance era. Second, they insisted that the fundamental prescription for world peace was forming universal solidarity and diverse alliances were required for it. Third, they were ‘organizational practical-minded persons for the development of peace movement. In contrast, as for their differences, Young-Seek Choue’s practical prescription for peace movement was acting on it by focusing on ‘peace education,’ while that of Daisaku Ikeda was developing it through ‘Nichiren Buddhism.’ Young-Seek Choue pushed for peace movement through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University Presidents, Institute for Human Society, and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and so on.It is worth noting that GIP was awarded ‘the UNESCO Prize for Peace Education’ in 1993, and in particular, intellectuals of China and Taiwan currently embrace GIP’s Oughtopia Peace Theory.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 points. Young-Seek Choue was the very person who took the lead in legislating ‘International Day of Peace’ in 1981(every September 21) by persuading UN based on ‘Costa Rican Resolution.’ Daisaku Ikeda paid visits to a number of countries, conversed with Zhou Enlai, Toynbee, Gorbachev, and Galtung, and so on in person, and propagated peace through SGI and Nichiren Buddhism. More than anything else, Young-Seek Choue and Daisaku Ikeda’s ultimate purpose was welfare of humankind. 본 연구는 조영식과 이케다 다이사쿠의 평화운동의 실천에 대한 비교고찰이다. 비교분석의 요소는 대학 교육에서 평화 이념의 실천. NGO 조직을 통한 평화운동의 진행. 종교를 통한 평화운동 전개. 유엔을 통한 평화운동의 주장과 실천 4가지로 고찰하였다. 조영식과 이케다는 각각 경희대학교와 소카대학을 설립하고 그 교육과정에 평화관련 과목을 설강함으로써 평화에 대한 교육이념이 대학교육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사람의 단체들은, 한국에서 창설된 GCS국제클럽은 유엔경제사회이사회 자문기구로 등록되어 있고, 일본의 SGI 역시 유엔경제사회 이사회와 유네스코에서 NGO 로 활약하고 있다. 조영식과 이케다의 공통점으로는, 첫째, 그들은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스런 사회를 구축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제 2르네상스 시대를 열어 정신적으로 물질적으로 행복한 인류의 복지사회를 만드는 것이었다. 둘째, 그들은 세계평화를 위한 근본적인 처방은 세계적 연대를 이루는데 있으며 다양한 연합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셋째, 그들은 평화운동전개를 위한 ‘조직적 실천가들’ 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차이점으로는, 조영식의 평화운동의 실천적 처방은 ‘평화교육’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나갔으며, 이케다의 평화운동의 실천적 처방은 ‘리치렌불법’을 통해 전개해 나갔다. 조영식은 세계대학 총장협의회, 인류사회재건 연구원, 국제평화연구소 등을 통해 이를 추진하였다. GIP는 1993년 ‘유네스코 평화교육상’을 수상하였으며 특히 중국과 대만의 지식인들이 오토피아 평화이론을 수용하고 있음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케다는 리치렌불법을 192개 국가로 확산시켜 평화운동을 1순위로 전개하며 특히 다양한 평화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조영식은 ‘코스타리카 결의문’를 기초로 유엔을 설득하여 ‘세계평화의 날’(1981년 제정, 매년 9월21일)을 제정하도록 실천한 장본인이다. 이케다는 수많은 국가를 방문하였고 주은래, 토인비, 고르바쵸프, 갈퉁 등을 만나 대담하였으며, SGI와 리치렌 불법을 통해 평화에 대해 전파하였다. 무엇보다도 조영식과 이케다 두 사람의 평화운동실천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류의 복지에서 찾을 수 있겠다.

      • KCI등재

        교육신경과학을 활용한 평화교육 연구

        오기성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5 평화학연구 Vol.16 No.1

        In response to wholesale issues against peace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with nuclear bombs, genocide, holocausts and environmental damage, progressive educators have developed a body of peace education theory. Peace education aims at recovering the idea of positive peace for all citizens and in all the areas of human interaction. In this context, peace education has a common with educational neuroscience. Because both aims to cultivate wise citizens for the construction of desirable peaceful culture. Unlike peace education have to reinforce educational direction and contents to meet the demands of society, educational neuroscience based on scientific study is contributory to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From a Viewpoint of this,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theory of peace education and inquire the improvement on it in a educational neuroscience prospective. For the purpose of this, First, this study reviews the theory of peace education with respect to direction, object, content and method. Second, this study considers the peace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ducational neurosciences and propose an implication and improvements in peace education. 평화교육 이론은 20세기 핵문제, 학살, 재앙, 환경 파괴 등의 반평화적인 이슈들에 대응하여 발전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평화교육은 인간 상호작용의 모든 영역 내에서 그리고 모든 시민들을 위한 적극적 평화의 이념을 회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화교육은 교육신경과학과 공통성을 갖는다. 무엇보다 평화교육과 교육신경과학은 바람직한 평화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현명한 시민을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기 때문이다. 반면 사회적 필요에 부응하여 교육의 방향과 범위를 설정하는 평화교육과 달리 인간의 뇌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취하는 교육신경과학은 평화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평화교육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교육신경과학의 관점에서 평가, 개선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평화교육이론을 교육 방향과 목적, 내용과 방법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둘째, 교육신경과학의 특징과 교육관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교육신경과학의 관점에서 평화교육의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고질갈등 이론을 통해 살펴본 한반도 갈등과 갈등의 평화적 전환 접근 방안 연구

        허지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1 평화학연구 Vol.22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trans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ractable conflict. Intractable conflicts are a very particular type of conflicts that are prolonged because neither party can win nor is willing to compromise, involving great animosity and vicious cycles of violence. This study suggests that two concepts of intractable conflict are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Korean case. First, intractable conflicts are exhausting, demanding, stressful and costly in human as well as material terms. Therefore, it is vital to take into consideration socio-psychological impacts on societies involved in intractabl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conflict transformation. Second,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changes on each layer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conflicts, which is deeply connected, to enter into the stage of conflict transformation. The Korean Peace Process has focused on political processes for a peace agreement or unification, which, however,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the transformation of conflict culture and conflict supporting narratives that groups and individual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have developed to cope with the protracted conflictual situation. 본 연구는 고질갈등 이론의 관점에서 한반도 갈등의 특징을 분석하고 한반도 고질갈등의 평화적 전환을 위한 접근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반도 갈등은 국제평화학에서 ‘다루기 어려운 고질적인 갈등(고질갈등)’으로 분류되는데, 고질갈등은 폭력을 동반한 갈등이 갈등 당사자 중 어느 한쪽도 우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종결되지도 못한 채로 장기간 지속되어 그 해결이 매우 까다롭고 다루기 어려운 갈등을 의미한다. 고질갈등 이론은 갈등이 장기화 될수록 갈등을 경험하는 사회의 개인과 집단들이 갈등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적대 감정, 태도, 정체성 등이 사회에 고착화되며 갈등 문화로 발전되는데, 이 갈등 문화가 갈등의 해결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갈등전환의 과정에서 갈등이 해당 사회에 미친 사회심리적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반도 사례에 유의미한 또 다른 고질갈등의 특징은 갈등이 다층적 구조로 형성된다는 점이다. 갈등전환의 과정에서 이 다층적 특성을 인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다층구조의 한 층위에서의 변화만으로는 고질갈등에서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는 평화협정의 체결과 같은 정치적 과정에 치중하며 갈등의 다층적 측면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남북한 갈등의 궁극적이고 평화적인 전환을 위한 다층적인 접근 방안을 고찰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