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을 논하는 잡지의 지면 연구 시론

        이수정 ( Lee Su-je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8 한국음악사학보 Vol.60 No.-

        이 글에서는 1945년 이후 한국 현대국악학(現代國樂學)을 논하는 관련 잡지와 지면의 상황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와 같은 연구기반이 마련되기까지 국악계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의 일면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현대국악을 소개하는 잡지의 연구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일제강점기의 잡지 지면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펴보았는데, 국악학(國樂學) 연구가 국악인아 아닌 민속학자ㆍ국문학자 또는 일본인에 의해 연구되면서 타자적(他者的)인 시각으로 다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잡지는 처음 개화와 계몽을 목적으로 잡지가 발행되기 시작하여, 이후 전문잡지가 등장하면서 각 분야의 연구 활동의 발표지면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음악계에서는 『三光』과 같은 전문 잡지가 등장하였다. 음악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국악을 다루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해방이후는 새 시대를 맞아 각 부분에서 학문적 토대 및 체제를 세우며 성장하는 시기였다. 역사상 가장 격동적인 변화를 겪었던 시기이면서 또한 제도 및 학문적 토대가 마련되던 시기이다. 음악 관련 단체가 결성되었고,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건립,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도 등이 마련되면서 학문의 주제 및 중심의 마련되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각 기관의 기관지 및 『無形文化財』와 같은 관련 잡지가 발행되었다. 국악계가 성장하자 『國樂界』라는 최초의 국악전문잡지도 반짝 등장하였다. 국악계에 독자적한 학술지가 없던 1970년대 이전까지는 여러 학회지나 잡지의 지면을 통해서 학술활동을 진행하였지만, 대학에 국악과가 설치되고 학문적 기반이 확충되면서 고등교육을 받은 신진연구자가 등장한 이후 다양한 학문활동이 이루어 졌다. 학교나 연구소에서 발행되는 각종 ‘논문집’을 통해 학술활동이 이루어 졌다. 한국국악학회(韓國國樂學會)에서 처음으로 『韓國音樂硏究』를 발행하였고, 이후 한국음악사학회(韓國音樂史學會)의 『韓國音樂史學報』를 비롯한 수십 종의 학술지 및 학회지가 발간되면서 현대와 같은 연구 환경이 조성되었다. 근대적인 학문의 정착과정에 신문ㆍ잡지와 같은 매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잡지 목록만으로 현대국악의 연구 활동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현대국악계의 연구사적 흐름을 규명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magazines which deal with modern Korean musicology and the status of those paper works published after 1945. The research shows an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ield and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round for its scholarship in the modern times. In order to see the trend of research on introducing modern kugak 國樂 the research first looked at the magaz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music scholarship was most done by non-musicologists, such as scholars in folklore or language, or by Japanese in the perspective of outsider. The earlier magazines were published for enlightening people, and later specialized research magazines were began to appear in each field, for example in the case of music, specialized magazine like Samgwang 『三光』. It was the time that non music specialist were researching kugak. After the liberation many scholarships faced a new phase as building its academic ground as well as the system, although it was the time of historical turbulence. Many musical associations were organized; the Kungnip Kugagwon 國立國樂院 (National Kugak Center) was open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was set. Not only each organization but also the institutions published their own journals, such as government organ and Muhyong munhwajae 『無形文化財』(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quick development, a special magazine Kugakkye 『國樂界』(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ield) was appeared suddenly. But up until 1970s there was no specialized kugak journals. After the universities opened kugak departments new researchers were raised with the high level education. They did active academic works and the journals were published by the universities or their research center. Han'guk Kugak hakhoe 韓國 國樂學會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first published Han'guk umak yon'gu 『韓國 音樂硏究』(Studies in Korean Music) and some other academic journals including Han'guk umak sahakpo 『韓國音樂史學報』(Journal of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 Musicology) by Han'guk umak sahakhoe 韓國音樂史學會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Musicology) were appear as making the modern research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modern scholarship, the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s were importa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historical flow in modern kugak field. However, only with the list of magazines provided in the paper,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research activities in modern kugak.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나타난 국악의 배치와 의미

        윤혜진 ( Yoon Hye-jin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9 No.-

        한국의 창작음악 논의에서 국악은 때로는 과거 전통음악으로, 때로는 관련된 요소로, 그리고 때로는 한국음악으로 여겨진다. 각 구도에서 국악은 시대인식, 양악과의 대립적 구도, 창작행위, 개인, 국가와 공동체문화 등의 다양한 견지에서 다르게 배치된다. 이 글은 한국의 창작음악에서 국악이 어떠한 견지와 맥락으로 배치되어 인식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창작음악에 관한 관점을 확장하고자 한다. 한국문화에서 국악은 제한된 범주인 동시에 열린 범주이다. 국악은 양악에 대별되는 범주로서 과거의 음악으로 제한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우리음악으로서 미래로 열려 있기도 하다. 국악이 제한됨과 열림의 역설적 구도를 지니는 데에는 우리음악의 전통과 시대성 논의에서 국악에 대한 관점과 구도가 명확하지 않았던 배경이 있다. 한국 창작음악의 논의에서 창작국악과 창작양악에 대한 시각은 양악 중심의 사고에 매몰되어있다. 음악의 정체성 문제에 있어서 양악은 한국의 음악으로서 정체성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았고 창작에서 사용되는 도구는 양악의 범주에 둠으로써 양악창작이 아닌 국악창작은 국악의 정체성과 양악적 서구화라는 시각으로 투영되었다. 한국의 창작음악 전개에서 창작국악만이 아닌 전체 창작음악을 조망하려면 국악·양악·창작의 구도를 세심하게 볼 필요가 있다. 국악은 선율적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특정 기법이 음향적 구조로 활용되기도 하며 관련된 개념이 음악적 구성의 이디엄이 되기도 한다. 소리에서부터 개념까지 창작음악에서의 국악은 창작을 위한 구체적인 요소로부터 추상적인 요소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거나 해석된다. 창작음악에서 국악기의 사용과 국악적 요소들과 관련된 개념 등은 전통, 시대성, 현대성, 그리고 민족성과 같은 담론에서 국악을 어떻게 배치하는 지 따라 음악적 활용과 해석이 달라진다. 현재 한국문화에서 창작음악을 음악으로 여기면서도 국악기가 들어가거나 국악적 재료가 사용되는 음악은 음악의 범주보다는 국악으로 모호하게 구분하기도 한다. 한국문화가 한국과 서양이 혼합된 만큼 창작음악에 대한 혼합적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국악을 배치하는 구도는 전통과 시대성을 어떻게 인식하는 지와 연계되어있다. 시대를 관통하는 전통이 시대를 구분하는 시대성보다 더 넓고 열려 있는 개념이기에 우리의 음악적 전통인 국악은 과거의 음악에 제한되지 않는 열린 범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대적 가치나 개인적 성향을 따르는 창작자만이 아니라 전통과 시대성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열고 작업하는 많은 창작자가 존재해야한다. 우리음악에 대한 새로운 질문과 고민이 양 음악계 창작자의 의미 있는 작업으로 생산되고 한국 문화의 자생적이고도 주체적인 담론과 함께 이루어진다면 한국 창작음악은 새로운 전망으로 전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term kugak 國樂 discussed in Korean new music has been considered by the varied contexts as past traditional music, a musical element, Korean music, and so on. Those show that assemblage of kugak is deployed according to various standpoints such as the view on the times, an opposed to yangak 洋樂 (lit. Western music), creative compo- sition, and nation and community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kugak has been deployed and recognized in the various contexts so as to expand the view on Korean new music. Kugak belongs to the category not only being limited also being opened concept. That is, kugak lies in the limited concept as past music confronting with yangak, and also in the opened to future as our music containing Korean identity. The reason kugak has such paradoxical points is that the view points toward kugak have been vague in the matter on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of our music. The main view to ch'angjak kugak 創作國樂 and ch'angjak yangak 創作洋樂 in discussing Korean new music is mainly focused by the thought centered on yangak. On the issue of music identity, yangak was not the issue of the debate and composition methods was considered inside the category of yangak. Ch'angjak kugak hereby has been criticized by its identity and Westernization. By virtue of having more wide perspective not only to ch'angjak kugak but to the whole new music, we need to investigate the context between kugak·yangak·creative composition emerged in development of Korean new music. Kugak might be used for musical elements for melody, its peculiar techniques would be applied for acoustic structure, or a related conception becomes the idiom for musical construction. In other words, kugak in new music has been broadly used and applied from sound as concrete musical element to conception as abstract element. The usag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the pertinent idea to kugak are differently interpreted according to how to make assemblage of kugak in the discourses of various aspects such as tradition, contemporaneity, modernity, and the character of Korean culture. Korean culture of our current times classifies new composed music to music, however which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or utilizing elements is vaguely categorized in kugak rather than music. This is because there exists the mixtures of views to new composed music as much as Korean and Western cultures features a blend for a long time. Assemblage of kugak deployed in Korean new music has connected to how to recognize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Tradition penetrates the times. This tradition is more wide and opened concept than contempo- raneity of current times which provides periodization. Therefore our musical tradition, kugak, should be acknowledged as a more opened category not limited to past music. We pursue our path to a new inquiry and thought on our music along with our own discourse so that Korean new music would have a new perspective.

      • 한국십진자료분류법(KDC) 제5판 한국음악(국악) 분류체계 개선안 연구

        오진호(Oh Jin-Ho) 한국음악문화학회 2011 한국음악문화연구 Vol.2 No.-

        KDC는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로서 현재 국내의 모든 공공도서관은 물론 대학도서관에서도 DDC와 병행하여 분류업무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KDC의 체계는 DDC의 주류를 그대로 따르기도 하였으나,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분류표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현재 한국도서관협회는 KDC를 계속 수정 보완하여 2009년 제5판으로 개정하였다. 이중 음악은 670에 배정되어 있고 한국음악과 동양음악은 679 하나의 세목에 배정되어 대부분의 요목이 서양음악 그 중에서도 클래식음악 중심이다. 이는 다른 한국학분야와 조기성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음악자료의 양과 질에서도 불균형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음악의 자료는 양과 질에서 팽창을 하고 있는데 비해, 자료의 분류법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분류체계는 학문의 변화와 발전에 의해 늘 새롭게 개정되고 있다. 대표적인 분류법인 DDC도 평균 5년에 한 번씩 발행 인쇄되고 있는 것은 학문의 지식과 정보가 홍수처럼 생산되고, 그 매개체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확장하는 속도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KDC의 한국음악 항목도 이런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개정되어야 하며 문헌 분류뿐아니라 CD, MD, 영상자료도 분류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국악원 같은 기관에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분류법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음악학의 학문분류에 대해서 검토해보고,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전통음악자료분류법, DDC 제22판, 중국도서관도서분류법, KDC 제5판의 음악분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쓰이고 있는 KDC 제5판의 한국음악 분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개선할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dealistic scheme for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The ideal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should cover as much knowledge and materials of Korean music as possible. In other to this, the research examin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he concept of music classification and the type of Korean musicology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music classification. Second, The thesis analyzed Korean Traditional Music Material Classification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GH),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 Library of China Classificatio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it raised several points. That is, DOC and NDC follow a classification of the center of the Western music. Library of China Classification has a home country-centered classification contained Sinocentrism excessively. Then classification schedules for Korean music including 679 Korean music of KDC were selected, and their expansion aspects a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The conditions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ideal classification schedule of Korean music were sought reanalyzing the problems found in these existing classification schedul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 new classification schedule of Korean music was proposed.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 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한국 교회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 제시

        윤나리(Yoon Na-ree) 한국음악문화학회 2010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 No.-

        한국음악의 교회음악으로의 사용을 위해 교회음악의 개념과 교회음악의 종류와 그 특징을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한국교회음악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교회음악의 용어의 사용이 모호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교회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악용어의 개념을 정리하여 새로운 분류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에 기독교가 들어오게 된 계기를 시작으로 대부분의 한국교회음악은 외부선교사들에 의해 들여온 외국음악을 기본으로 발전하게 되고 이후 대중음악의 발전과 더불어 발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간의 흐름을 기준으로 한국교회음악에 영향을 준 요인을 알 수 있고 한국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함에 있어 그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또 한국교회음악은 종교음악이라는 특성에 따라 가사에 담긴 내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사가 대상으로하는 사람이 하나님이냐, 사람이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즉, 한국교회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는 ‘가사내용의 대상’과 ‘시대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Christian Music is a big part of Korean popular music growth. Moreover, with the advent of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church, christian music and popular music have much in common, not a separate one. Before 1892, when me unique Korean christian music was produced, chan mi gae was used which made of American hymns. The compilation standard was different ar me moment until 『Unites Hymns』in 1983 and 『21C New Hymns』in 2006 had been made. But they insist that they have to compile Hymns should include musical feature of Korea. The 『21C New Hymns』compiled in 2006 has 128 pieces composed by Koreans of all 625 pieces, which means that they have continuously tried for Christian music to be naturalized. Moreover, the various music genre have been used such as Pop, Rock, Black Gospel, with the advent of the concept CCM. Recently, Musics featuring Korean and considering popularity starred to appear by Nam Gung Ryun, Shin Nal Sae, Ko Joo Hee, Mum Chae Suk, etc. I think that Korean Music that matches our emotion will lead the CCM in the future. The musical terms used so far have been variously used in Gospel Song, Gospel hymns, Hymns, CCM. However those terms were being used without rules and unity, so I arranged various musical concepts and classified the Korean christian music. First classification is 【Hymns】, 【Gospel Song】 of the Korean Christian Music as an object of music, for example, 【Hymns】's object is God and 【Gospel Song】's object is the human. I classified the music according to the time. Because me music has been reflected by the times, so second classification is done by time. 【Hymns】 is divided into 'Traditional Hymns' and 'Modern Hymns'. 'Traditional Hymns' is the music which has the same form of 『Hymns』made by the Councils of Korean Hymns. The music introduced after 1963 when the Gospel Song appeared can be referred to Modern Hymns. 【Gospel Song】 is divided into 'Traditional Gospel' and 'Modern Gospel'. Its standard is Choi Duck shin's Album 〈The Name〉 in 1985 and before the album is called 'Traditional Gospel' and after that 'Modern Gospel'. 'CCM' can be classified as 'Modern Gospel' section, and it can be classified to 'Modern Hymns', particularly when the object of 'CCM's text is God.

      • KCI등재

        「한국음악치료학회지」연구 동향 : 성과와 과제

        김경숙,이상은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음악치료 영역의 대표 학술지인 「한국음악치료학회」의 창간호부터 현재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성과와 동향을 알아보고 향후 학회지의 발전 과제를 알아보기 위함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6년 8월까지 한국음악치료학회의 학회지에 게재된 총 158편의 논문에 대해 연구 발행 현황, 연구자, 연구 유형, 연구 내용,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데이터 분석 방법, 참고문헌 등에 따라 내용 분석 후 자료를 빈도와 교차분석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그 결과, 창간호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고른 분포를 보이며 논문이 출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수도권에 있는 국내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에 의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시행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연도별 변화 없이 지속되었다. 연구 내용 면에서는 효과연구, 음악특성 연구, 치료 과정 연구와 특정주제/개관연구, 지각/태도 연구, 그리고 직무 관련 연구 순으로 게재 빈도가 높았다. 성인 대상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게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음악치료사(학생)를 포함한 비장애 성인대상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정서영역과 인식도나 선호도 등을 다룬 기타영역 연구가 다른 영역의 연구들 보다 더 많이 게재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양적 연구에서는 변량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분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연구자 소속기관에 따른 연구 내용이나 연구 대상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모두 기관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연구 내용도 연구 대상이나 연구 방법, 혹은 연구 영역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음악치료학회」는 창간 이후로 꾸준히 발전하며 한국 음악치료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는데 필수적인 학문적 공헌에 앞장 서 왔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음악치료 정체성에 적합한 대상과 내용을 다루는 연구들을 더욱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trends within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from the first to current issue, and to understand the subjects of development for future issues of the journal. For this data gathered from 158 publications listed in journal issues from 1999 to August of 2016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cross analysis. Types of data gathered for the study include: publication status, researcher, research type, topic, subject,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method and reference. Results show that number of publications are distributed equally among the journal issues and that most of the researches a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Overall the frequency of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greatly prevalent over qualitative researches but there were no specific trends within the annual publications. In decreasing order, effectiveness, musical aptitude and attitude, treatment process, research review, recognition/attitude, and vocational behaviors categories were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topics. Adult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especially non-handicapped adults including music therapists and music therapy major students. Researches in areas concerning emotion, preference and awareness were shown to be more prevalent than researches from other areas of study. In the analysis of data processing methods, for quantitative studies variance analysis was most commonly used while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most common for qualitative studies. The results of kai-square test showed that both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were dependant upon the research institution and that research contents were also dependant upon the subject, method, or area of study.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has been leading the scholastic contribution to the music therapy in Korea since its creation. For the further growth, future studies should concern subjects and contents appropriate to the identity of music therapy.

      • KCI등재

        일해 한국근대음악사 연구 성과 검토

        이진원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일해 송방송 박사의 근대음악사 관련 연구 성과들을 한국근대음악사 기술, 근대 음악 주제 연구, 근대 음악 자료 연구, 관련 사전 항목 집필 등 네 가지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근대음악사 기술에서는 한국 근대 중 일제강점기를 ‘국악의 수난기’라 바라보던 이전 시각을 바꾸고, 이 시기를 ‘서양음악의 수용시대’로 규정하였으며,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을 모두 다루는 시각을 통해 『한국음악통사』의 근대 부분을 저술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동은의 『한국근대음악사1』 등 근대음악 관련 연구를 토대로 하고, 2000년 이후 근대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주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증보 한국음악통사』로 근대음악사를 새롭게 기술할 수 있었다. 근대 음악 주제 연구에서는 송방송 박사의 박사학위 논문과 2003년 출판한 그의 『한국근대음악사연구』 전문 연구서를 검토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근대성을 띤 거문고산조의 전승과 음악을 연구하였으며, 2000년 이후 발표된 23편의 관련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방송, 음반, 공연 활동 상황에 대한 자신의 기초 연구를 토대로 하여 전통음악으로 판소리, 경서도, 남도잡가 등의 음악과 근대성을 띤 새로운 음악으로서 창극, 신민요, 대중가요 및 동요 등을 음악사회사적 관점에서 점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근대음악사 자료 연구 부분은 논저 해제와 자료 색인 부분을 검토하였다. 논저 해제 연구는 『한국음악학논제해제』(1981)를 시작으로 2004년까지 진행되었다. 1981년 해제에서는 일제강점기 관련 논저들이, 그 이후 발표된 해제에서는 개화기 음악사에 대한 연구들이 보충되어 정리되었다. 자료 색인 연구는 『경성방송국국악방송곡목록색인』, 『한국근대음악 사료색인집』 문헌자료편,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색인』,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색인편』 등 총 4권으로 발표되어 관련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관련 사전 편찬에서는 『한국음악용어론』 집필 과정으로부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음악사전』 항목 참여 과정과 근대음악과 관련된 『한국근대음악인사전』 편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이러한 사전 작업을 통해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권번 출신의 기생 예술가 및 대중음악 관련 음악인들에 대한 사전 항목을 발굴하여 한국 근대음악에 참여한 음악인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후보

        변화하는 대중음악 교육 환경에 있어 한국 재즈학의 위치와 의미론에 관한 성찰

        김 책 한국대중음악학회 2018 대중음악 Vol.- No.22

        본고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의 교과서, 교과과정, 범교과에 있어 점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대중음악에 관한 총체적 연구가 개진되기에 앞서, 재즈학(Jazz Studies)이란 용어의 개념적, 맥락적 쟁점들을 선결문제로서 성찰해보고, 이를 교육과 문화 전달이라는 일반론적 테제들과 연관지어 다루어야 할 지점이라는 것을 우리 음악 사회에 설득하고자 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벌어지는 재즈학과 관련된 이론적 개념과 쟁점들을, 2장 한국 재즈의 역사와 기원, 3장 위치와 정체성, 4장 즉흥연주 관습이라는 사회문화적 쟁점을 각론으로 구성하여 음악교육학적 연구질문들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 환경에 있어 재즈학, 광의에 있어 대중음악을, 기존의 소위 서양 고전 낭만음악 위주의 커리큘럼에서 비교적 등한시되던 즉흥연주, 디아스포라, 문화접변, 그리고 대중음악, 아프리칸아메 리칸음악 등 다양한 타자의 음악문화라는 함의를 포용할 수 있는 적실성 있는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and reflect the conceptual, contextual issues of Korean Jazz studies as a prerequisite questions before holistic researches on popular music in general which is facing a radical rapid and super competitive challenges recently. Reaching the moment to persuade korean society to build general theory structures surrounding these issues, the contents are dealing with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issues on the 2nd chapter: The epoch and history of Korean Jazz, The 3rd chapter: Location and Identity of Korean Jazz, The 4th chapter: Improvisation customs in contemporary korean music society. And this article also is recommending to revaluate the characteristic agents of Jazz and popular music(diaspora, acculturation, improvisation, music as a multicultural expression) -which used to be defined as counter form of authentic western fine art music- as a promising cultural resources for future generation’s music education in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