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단과 갈등, 그리고 통일: 독일, 예멘,베트남의 갈등관리 사례 비교

        이동윤 통일연구원 2002 統一 政策 硏究 Vol.11 No.2

        본 연구는 이미 통일을 이룩한 독일, 예멘, 베트남의 통일과정을 갈등관리의 차원에서 비교고찰함으로써 남북한 통일에 보다 합당한 제반 여건과 갈등관리 방법들을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남북한 통일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개별 국가들의 갈등관리와 통일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각 사통일 유형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분단국의 갈등관리 방법과 통일 유형을 각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이를 통하여 개별 국가들의 갈등관리와 통일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어떤 갈등관리 방법이 남북한 통일과정에 보다 효과적일 것인가를 각 단계별로 점검하였다. 우선 흡수형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경우 갈등의 예방과 타결, 해소관리를 통하여 장기적인 갈등관리가 이루어진 결과이며, 합의형 통일을 이룩한 예멘의 경우 단기적인 갈등관리가 상호간의 갈등을 완전하게 치유하지 못함으로써 통일 이후 또 다시 무력적인 방법으로 완전한 통일이 추진된 사례이다. 또한 무력형 통일을 이룩한 베트남의 경우 무력이라는 갈등관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통일 이후 또 다른 내부적 갈등이 초래된 사례이다. 결국 우리는 이러한 개별 국가들의 갈등관리 방법과 통일에로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남북한 분단의 갈등을 해소하고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단계적 갈등관리 방법과 통일정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A Discussion on Miscellaneous Typologies of Religion and the Identity of the Unification Church

        Masuda, Yoshihiko 선문대학교 통일신학연구원 1997 통일신학연구 Vol.2 No.1

        이 소논문은 종교적인 그룹에 대한 다섯 가지의 다양한 유형을 재검토하고 논의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다섯 가지의 종교 유형을 동일교회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통일교회의 독특한 성격과 정체성을 조명해 본다. 종교적 통치 형태에 근거한 첫 번째 유형학에서 볼 때 종교적 그룹에는 감독제 통치형태, 장로제 통치형태, 회중제 통치 형태의 세 유형이 있다. 통일교회는 카리스마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감독제 통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교적 그룹의 두 번째 유형은 성별에 근거하고 있는데 남성 중심적인 그룹, 여성 중심적인 그룹, 양성 중심적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통일교회는 전형적인 양성 중심적인 그룹에 해당한다. 이것은 하나님이 남성과 여성의 두 성을 가진 존재라고 믿는 통일교회의 신학에 근거하고 있다. 또한 창시자인 문선명 목사는 중요한 행사나 회의에 항상 부인 한학자 여사와 함께 참석하고 "참아버지와 참어머니"로서 통일교회의 중요한 의식을 공동으로 집전한다. 그리고 통일 교회 신도들은 "예수(남성) 이름으로"가 아닌 "참부모의 이름으로" 기도를 드린다. 민족성에 근거한 종교적인 그룹의 세 번째 유형에 따르면, 통일교회는 기성 세계종교나 민족적인 종교가 아닌 신흥 세계종교이며 초민족적인 종교에 해당한다. 통일교회는 국가와 인종을 초월하는 국제결혼을 적극 추진하교 있다. 또한 세계 180여개의 각 한 나라마다 한국인, 일본인, 미국인, 유럽인을 국가 메시아로 파송하였다. 통일교회는 1995년 36만 쌍의 축복결혼식을 TV위성중계로 거행하였고, 1997년에는 워싱톤 D.C.에서 TV위성 생방송으로 360만 쌍의 축복결혼식 을 이미 선포했다. 이것은 통일교회가 새로운 세계종교로 향 해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종교적 그룹의 네 번째 유형에 의하면 통일교회는 병약한 영혼의 종교로부터 건전한 정신의 종교로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 속에 있다. 즉 통일교회의 1세는 개인의 죄악성과 그 탕감을 강조하여 '중생'과 '구원주의' 그리고 '자기부정'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축복2세와 3세는 두 번 태어난 필요가 없고 원죄가 청산된 본성주의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1993년 성약시대에 선포된 통일신도들의 신앙고백문인 '가정맹세'에는 그 이전의 '나의 맹세'에 나타났던 '사탄'이나 '중생과 탕감'의 필요성에 대한 언급 없이 '건설하고 실체화하고 완성할 것'에 대한 맹세가 강조되고 있다. 종교적인 그룹의 다섯 번째 유형학에 의하면 통일교회는 내재적이고 계약적인 종교이다. 과거 가혹한 박해의 역사 속 에서도 통일교회는 그들의 믿음에 대한 신학적인 확신을 가지고 꿋꿋이 이겨내 왔다. 그러나 일부의 사람들은 사회적인 편의 즉, 외부적이고 합의적인 믿음 때문에 통일교회에 가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교육을 통해 후에 실질적인 개종이나 신학적인 확신을 얻을 수 있다. 필자는 이 소논문이 통일교회에 관한 몇몇 중요한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낳기를 희망한다. One of my academic interests is the typology of religion, and I have gathered and evaluated various typologies of religion for mort than ten years.¹ This paper will present five typologies of religion and attempt to illuminate the identity of the Unification Church(hereafter UC) by applying these typologies to it. I selected the following five typologies because I believe them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C. As a matter of course, I acknowledge that there exist many other renowned typologies that are no less helpful than the following five. Typological terms and concepts are intellectual tools to compare various religious groups and to identify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many scholars consider them very important in religious studics.² I hope the following typological discussions will be of help, not only in understanding som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UC, but also in getting acquainted with some of the renowned typologies of religion.

      • KCI등재

        한국 정부의 통일교육 : 역사, 현황, 방향

        김진환 ( Kim¸ Jin-hwa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이 글은 정부가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어떠한 통일교육 방향을 제시해왔는지 성찰하고, 앞으로는 어떠한 방향을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하는지 논의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1970년대 초반 이래 한반도 안팎 정세 변화에 따른 정부 통일교육 목표변화를 확인했다. 다음으로, 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개 이후 정부 통일교육 목표 변화와 주요 성과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성찰과 진단을 토대로 앞으로 정부, 학교, 시민사회단체 등이 민주적·사회적 합의를 통해 함께 나아가야 할 통일교육 방향을 제안했다. 앞으로 정부가 지향하고, 통일교육 종사자들에게 제안해야 할 교육은 평화담론을 통일 이유로서 무엇보다 강조하고, 평화와 통일의 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평화·통일교육’이다. ‘평화·통일교육’은 통일교육 목표에 평화교육이 강조하는 요소, 곧 ‘다름’의 인정, 다양성 존중, 비폭력적 의사소통 및 평화적 갈등 해결 능력 함양 등을 단순히 추가하는 교육이 아니다. 평화·통일교육은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을 한반도 평화 진전을 위해 필요한 과제로 바라보게 해 주고, 한반도 평화가 결코 통일로 완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한국사회 구성원이 통일에 그치지 않고 평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This article reflects on the directions for unification education the government has offered to unification education workers and discusses what direction to suggest going forward. To this en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ituation inside and outside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early 1970s. Next, we looked at changes in the government’s unification education goals and major achievements after the resum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in 2018. Finally, based on these reflections and diagnosis, we propose a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school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unification education that should pursue together through democratic and social consensus. The education that the government is aiming for and that should be suggested to unification education actors is known a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of which emphasizes peace as the reason for unification above all else and allows u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unification.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oes not education that simply add elements(recognition of difference, respect for diversity, non-violent communication, and fostering of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skills etc.) emphasized by peace education to the existing unification education goal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helps members of Korean society view unification as a necessary task for the advance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makes them aware that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be completed simply through unification. Through this,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enables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to work tirelessly for peace, not just for unification.

      • KCI등재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김병로 ( Philo Kim ),최경희 ( Kyung Hui Choi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2 통일과 평화 Vol.4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통일과정에 필요한 구성원들의 가치와 태도의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 남북한 주민이 갖고 있는 통일에 관한 전반적인 생각과 태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해 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일의식을 통일 필요성과 기대감, 남북한 상호인식, 문화적차이와 인지도, 남북교류정책 등 크게 네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은 통일의 당위성과 기대이익, 교류정책 등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상호인식과 이질성, 인지도 등에서는 높은 유사성이 발견되었다. 통일 당위성에 대한 생각은 남한에 비해 북한주민이 월등히 높으며 통일이 가져다 줄 이익 기대감도 북한주민이 훨씬 높게 갖고 있다. 때문에 남북 간 경제협력이나 정치대화, 인도적협력 등 남북 간 교류정책이 통일에 기여할 것이라는 의식도 북한주민이 남한에 비해 월등히 높고 교류와 지원 정책에 많은 기대와 희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북한은 여전히 서로 문화적 차이와 이질성이 심각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고 상호간에 불신과 불안감이 높게 자리 잡고 있어서 협력대상으로 인식함과 동시에 적대/경계 대상이라는 양면적 의식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최근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이러한 양극화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남북한은 남북주민의 이러한 통일의식의 현실을 토대로 대북·통일정책을 준비해야 한다. 통일의 효과와 비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며, 남북한 주민간에 형성되고 있는 상호불신과 불안의식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전환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통일에 대한 비전과 전망을 앞당기고 젊은 세대의 통일의식을 제고하기 위한 남북관계 개선이 시급하다. 나아가 남한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남북대화 정책을 적극개발하고 북한주민들의 대남 호감도를 증진할 수 있는 경제협력과 지원정책을 심도 있게 추진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ttitudes that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 generally have toward unificationas well as their values, which are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Korean unification. Focusing on the attitudestoward unification, this paper basically examines four areas; the necessity and expectation of unification, the two Koreas` mutual recognition, awareness of cultural difference, and exchange policies. This paper reveals a strong similarity between the two Koreas in terms of the belief in the necessity of and expectation associated withunification and exchange policy, whi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tual recognition and awareness. That is, North Koreans are more likely than South Koreans to believe that unification is necessary and to have a higher expectation that unification will result in much greater economic wealth. In the same context, North Koreans have a high expectation and much hope of inter-Korean exchange and economic assistance from the Souththey believethat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including political dialogue, economic cooperation, and humanitarian assistancewill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However, since the two Koreas are aware of the existence of cultural differences and mutual distrust and anxiety between them, they have formed a dual perception of both their cooperative partnership and a hostile and/or alert partnership. In particular, as recent North-South relations are in infarction,the polarization of the dual perception has been strengthened. Both Koreas should prepare a unification policy based on the reality of the unification attitudesof North and South Korean people. A comprehensive policy need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costs and benefits of unification, and a sense of policy transition is desperately needed in order to help reduce the level of mutual distrust and anxiety between the two Koreas. Also, the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is needed to enhance the vision and zeal for unification, especially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policies to promote inter-Korean dialogu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South Koreans, and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and assistance policies thatencourage favorable sentiments of South Korea to North Koreans.

      • KCI등재

        박근혜 정부 대내적 통일정책의 평가와 인식론적 성찰

        송영훈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fication policy through the evaluation and reflection on the domestic unification policy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breakdown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Park Geun-hye government tried to make its unification policy heard to the domestic audience by emphasizing bonanza and importance of the preparation for unification. However, the unification discourse, which was mediated through the preparation for unification, caused social tensions, an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unification discourse becoming abstract and ambiguous. 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to allow unification of various levels and forms more than to assume unification as a final event. Based on the discussions on the epistemology of unifi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new government unification policy are deriv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reparation for unification, the social acceptance of the unification discourse, the evalua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and the necessity of the transi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박근혜 정부의 대내적 통일정책에 대한 평가와 성찰을 통해 통일정책 개발을 위한 논의의 확장에 기여하는 것이다. 남북관계의 경색으로 인하여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은 국내적 지향성이 매우 강했으며, 그로 인하여 통일대박론이 대두되고 통일준비위원회 등을 통해 전 사회적 통일준비의 확산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런데 통일준비를 매개로 추진된 통일담론은 오히려 사회적 긴장을 초래하였으며, 통일담론이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되는 부정적 영향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종적 사건으로서의 통일을 가정하기보다 다양한 수준과 형태의 통일을 중첩적으로 허용하는 인식론적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통일에 대한 인식론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통일준비의 제도화, 통일담론의 사회적 수용성, 통일교육 정책의 평가와 통일교육의 전환 필요성 등 평가를 바탕으로 새정부 통일정책의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 KCI등재

        논문 :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2013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정은미 ( Eun Mee Jeo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통일과 평화 Vol.5 No.2

        통일의식은 남북한 주민이 통일에 대해 갖는 사상·관념·감정뿐만 아니라 통일에 대한 의지와 열망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남북한 주민 간 통일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통일의식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을 남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3년간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분석 자료로 사용된 조사 데이터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2011년~2013년에 실시한 『통일의식 조사』와 『북한이탈주민 의식조사』이다.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을 비교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점차 약화되는 반면에 북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절대적으로 높다. 남한 주민의 통일 인식은 전반적으로 남북관계의 상황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반면에, 북한 주민의 경우 일관되게 통일에 대한 높은 열망을 보였다. 둘째, 통일이 가능한 시기에 대해서는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더 가까운 미래에 통일이 실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남북한 주민 모두에게서 통일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견해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셋째, 통일이 가져다 줄 이익에 대해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훨씬 더 기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북한 주민 모두 상대방을 협력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면서 경계대상, 적대대상으로서의 인식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상호 수용성의 격차는 통일 이 후 사회통합을 방해하는 주요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 이는 북한 주민보다 오히려 남한 주민의 배타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오랜 분단체제는 남북한 간의 상이한 정치체제의 수준을 넘어 실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남한 주민의 북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은 북한 주민이 남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변국에 대해 남북한 주민이 상이한 인식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국가로서 남한 주민은 북한을, 북한 주민은 미국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includes not only thoughts, ideas, and feelings about reunification, but also the will and desires for reunification. The surveys conducted over the last three years using the sample of North and South Koreans try to examine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changes of and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and it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In this study, the data of “Unification Attitude Survey” and “Attitude of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conducted by Institute of Peace and Unif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11 to 2013 are used. According to the data, first, while the need for reunification by South Koreans has gradually been decreased, North Koreans have shown a strong desire and the need for reunification. Second,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opinion about the time for the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ns, North Koreans are more likely to expect to unify the two Koreas in the near future. However, North and South Koreans see the once-conceivable prospect of reunification on the peninsula as increasingly unrealistic. Third, not surprisingly, the findings show that North Koreans have higher expectations of reunification benefit. Forth, North and South Koreans recognized each other as a cooperative partner. But, with the antagonistic rhetoric and nuclear threats from North Korea reaching unprecedented heights, a hostile attitude has significantly been increased in the last couple of years. Fifth, political and social differences have been developed between the North and South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Finally,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view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Note that North and South Koreans are likely to consider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as a nation which threatens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정치의식과 능력주의가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수빈 ( Subin Lee ),안지빈 ( Jibin Ahn ),이세환 ( Saehwan Lee ),오세일 ( Seil Oh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3 통일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반도의 복잡한 지정학적 배경 위에서 통일에 관한 대학생들의 의식을 경험적으로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대학생들은 시장 중심의 능력주의와 개인주의의 심화, 그리고 정치적 양극화로 인하여 정치에 무관심하거나 남북 관계와 통일에 관하여 무감각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미래 세대의 주역인 대학생들의 통일인식은 앞으로의 대북·통일 정책 수립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대학생의 정치의식 및 능력주의와 통일에 관한 탐색적 연구는 시의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22년 서울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307명의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다양한 정치의식[정치 성향, 정치 효능(내적/외적), 국가 효능(한반도/대한민국)]과 능력주의를 측정하는 문항을 활용하여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지지도’에 대한 기초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경험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보수적 정치 성향과 능력주의적 신념이 강할수록 통일의 필요성에 반대하며, 통일 지지도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한반도 국가 효능에 대한 의식이 높을수록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지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대한 민국 국가 효능이 높을수록 통일 지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치 성향, 능력주의와 통일의 필요성, 통일 지지도 사이에 유의한 성별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 배태된 대학생의 민족 인식을 한반도 전체로 확장하고 남북한 협력의 긍정적 영향을 강조하는 통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unification in the geopolitically complex Korean Peninsula.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apathetic or hold negative perceptions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intensification of market-driven meritocracy, exclusive individualism, and political polarization. As such, exploratory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unification is both timely and crucial, as their attitudes will significantly impact the establishment of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policies. In this study, we collected 307 survey responses from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in 2022, utilizing surveys that we designed. We conducted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wo conceptually distinct perceptions of unification: the need for unification and the support for unification, using items measuring meritocratic belief and various political consciousness elements such as political orientation, political efficacy (internal/external), and national efficacy (South Korea/Korean Peninsul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ronger the conservative political orientation and meritocratic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the more they opposed the need for unification and the lower their support for unification, whereas higher Korean Peninsula national efficacy tends to positively increase both perceptions of unification. The study also found significant gender interaction effects for political orientation and meritocratic belief on the perceptions of unifi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for unification education that promotes ethnic aware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emphasizes the positive effects of inter-Korean cooperation.

      • KCI등재

        특집 : 민주화 선호경향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 분석 -통일정책에 대한 한 제언

        김병조 ( Byeong Jo Kim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09 통일과 평화 Vol.1 No.2

        최근 한국사회는 통일정책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민사회는 정치지향에 따라 좌우로 갈라지고, 통일정책을 둘러싸고 심각한 남남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한국인들은 통일에 대한 열망을 급격하게 상실하고 있다. 통일문제에 열정적이고 진지하게 헌신하는 주체적 집단이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시기에, 한때 불가능하거나 비현실적인 것처럼 보였던 한국의 민주화 과정을 되돌아보게 된다. 민주화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은 민주주의를 선호했던 일반 국민들이 매우 광범위하게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민주화 이후의 한국 역사를 살펴보면, 민주화가 통일 환경을 촉진하고 진전시켰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민주화 이후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 사이에, 한국 정부는 비로소 통일과 관련된 적극적인 선언과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고, 심지어 남과 북 사이에 기본합의서를 도출할 수도 있었다. 실증분석 자료로는 통일평화연구소가 실시한 통일의식조사를 활용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민주화 선호변수``를 추출하였으며, 민주화 선호경향에 따라 조사대상을 ``민주화를 강하게 선호하는 집단``, ``민주화를 중간정도 선호하는 집단``, ``민주화를 약하게 선호하는 집단``으로 3분하였다. 이어서 민주화 선호경향과 통일의식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의식에 있어서, 민주화 선호가 강한 집단은 민주화 선호가 중간정도이거나 약한 집단에 비해 통일에 대한 욕망이 매우 큰 집단이었다. 민주화 선호집단은 통일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었다. 민주화 선호집단은 앞으로 통일정책을 추진하는 데 주요 지지 세력이 될 것이다. 둘째, 그러나 민주화선호가 강한 집단과 여타 집단사이에 북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는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었지만, 유사한 인식을 보이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정치지향에 따른 좌-우와 달리 민주화 선호경향에 따라 구분된 집단들 간에는 통일정책을 둘러싼 남남갈등이 야기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민주화 선호가 강한 집단은 정부 통일정책이 민주주의 가치를 갖고 있을 때, 강하게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정부가 민주주의 가치에 어긋나는 정책을 추진하면 지지를 철회할 뿐만 아니라 정책과 정부를 비난하게 된다. 이에 통일정책에 시민참여 거버넌스가 구축되려면, 정부가 민주적 통일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임을 제안하는 바이다. In these days South Korea has faced some difficulties in pursuing the unification policy effectively. The civil society group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to the political orientation. And this causes serious ``south-south conflicts`` to the unification policy. Additionally among the Koreans, the desires and wishes toward unification have diminishing sharply. There seems no main group who devotes eagerly or sincerely to the unification problem. At this moment, I have recalled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f Korea which was once regarded as impossible or unrealistic to achieve. I assumed that the democratization could be finally accomplished owing to the existence of extensive ordinary peoples who hoped and preferred democracy. If reviewing the recent Korean history, it might be concluded that democratization activated and progressed the unification circumstances. Only after the democratization, the Korean government set up more positive declarations and plans about the unification and even reached ``basic agreements`` between North and South from the end of 1980`` to the early of 1990`, For the analysis, using the national survey datum which were initiated by IPUS(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s Studies), I classified the people along the opinions to the democracy. First, I extracted the democracy inclination variable by factor analysis. Then, I grouped the people into three according to democratic preference score. I named the three groups, as ``strong democracy inclination group(SDIG)``, ``medium democracy inclination group(MDIG)``, and ``weak democracy inclination group(WDIG)``. Next,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inclination`` and ``unification percep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unification perceptions, SDIG has more desire and wish to the unification comparing to MDIG and WDIG. SDIG has positive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 to the unification. SDIG might become main supporter to carrying future unification policy. Second, to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though the SDIG has different perceptions in some area, SDIG often shows similar perceptions with other groups. This means that, in contrast to left and right demarcation, groups divided by democratic inclination might not initiate south-south conflicts to the unification policy. Third, SDIG strongly supports government unification policies which shares democratic values. But government drives a policy which is not in line with democratic values, SDIG not only withdraws support but blames the policy and government. So I suggest that government should pursue democratic unification policy to form the civil society governance in the realm of unification.

      • KCI등재

        북한주민의 통일의식 조사 연구: 북한주민 100명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강동완,박정란 통일연구원 2014 統一 政策 硏究 Vol.23 No.2

        Given that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ims at building better life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ns, South Korea’s policy direction for the unification sh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ns’ perception of the unification. We wonder how much North Koreans currently want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and what kind of unification they des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North Koreans think of the unification and what responses South Korean should take. South Korea has continuously conducted an examination on Sou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unification. However, so far few examinations have been carried out involving NorthKoreans, another party directly involved in the unification, about their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Given that South Korea’s policy direction for the unification sh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ns’ perception of the unification, an examination on Nor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should be conducted urgently. This study, therefore, presented quantitative statistics on 100 Nor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and explored their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Furthermore, the study compared North and Sou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and presented policy tasks. 한반도 통일이 남북한 주민들의 ‘함께 잘 살아가기’라면 현재 분단된 상황에서 북한주민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에 따라 우리의 통일정책 방향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다. 현재 북한주민들은 통일을 얼마나 원하고 있으며 그들이 바라는 통일조국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주민들은 과연 통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우리는 이에 따라 어떠한 대응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통일의식조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통일의 또 다른 당사자라 할 수 있는 북한주민들에 대한 통일의식 조사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북한주민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에 따라 우리의 통일정책 방향이 달라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한주민들의 통일의식 조사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연구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3국에서 북한주민을 직접 만나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북한주민 100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에 대한 양적통계를 제시하고 심층면접을 통해 통일의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아울러 남북한 주민들이 상호 통일의식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 통일사상에 있어서의 윤리론

        Walsh, Thomas G. 선문대학교 통일사상연구원 1996 통일사상 연구논총 Vol.1 No.-

        본 논문은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일반적인 소개를 위한 시도이다. 필자가 본 논문을 통해 언급할 통일사상의 내용은 1988년 통일사상개요라는 미 출판본이다. 본내용은 통일사상과 통일사상요강으로 불리는 통일사상의 초고에 근거하고 있다. 여기서는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과 서양사상의 일반적인 윤리이론과의 관계를 언급한다. 덧붙여 필자는 통일윤리론의 현대상황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확인한다. 한편 통일사상은 인간의 창조성과 자유를 회생시키지 않고 규범적인 질서의 요구를 주장하며, 윤리적 상대주의에 강력한 도전을 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통일사상은 그 자체를 가정의 규범에 중심을 두고 근대와 현대 윤리학자들이 간과한 점인 가정에 대한 사회적, 그리고 심리적 중요성에 우리의 주의를 이끌고 있다. 다음의 제2장은 서양윤리론의 일반적인 개관을 포함하고 있다. 이 부분은 이미 윤리론에 상당히 친숙한 사람들에게는 반드시 읽어야할 필요는 없을 것이며, 그러한 사람들은 통일사상과 다른 서양 철학 윤리의 주요 입장과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한 후에 다룰 제3장의 통일사상의 윤리론의 해설로 넘어가고 싶을 것이다. 마지막 장은 주로 통일사상이 윤리론에 공헌한 점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통일사상은 포스트모던(후기 현대)와 포스트 막시스트(후기 마르크스) 시대를 거쳐 그 이후에도 인류를 인도해 줄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을 제공한다. New functions of AZEOPERT [Kim and Simmrock, 1997] were investigat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ternary azeotropes and their azeotropic compositions in an organic mixture. This study describes its new problem-solving strategy. The knowledge base of AZEOPERT for ternary azeotropes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with the several levels of domain-specific knowledge on ternary azeotropy. First, an azeotropic data bank including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was implemented in AZEOPERT as the lowest level. It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ernary azeotropic experimental data for the consulted organic mixture are already available. Moreover, compiled heuristic knowledge as the second level and class-oriented model-based knowledge as the highest level were implemented in the knowledge base. The problem-solving strategy through the integration of model-based reasoning into compiled reasoning gives a very efficient, general way for the prediction of ternary azeotrope formation in a wide varitey of organic mixtures, and especially, in unknown mixture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