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언론의 수능기사 취재원 활용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종합일간지 보도 실태와 기자·전문가 집단 심층인터뷰를 통해

        양영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2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hich has been held for 28 years, since 1993, is an important aspect of media coverage in Korea. Education reporters rely deeply on news 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CSAT-related news contents.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are greatly influenced by quotations and attributions in CSAT news sources. This study analyzed 115 articles related to the CSAT over the last five years (2016-2020) of Chosun Ilbo and Hankyoreh. Consequently, both newspapers were more dependent on private education than public education for their news sources. Chosun Ilbo and Hankyoreh quoted 52% and 34% of all news sources as private education sources, respectively. The real names of the three private experts quoted by the two newspapers accounted for 78% of the total private real names. Conversely, only 10% of Chosun Ilbo and 19% of Hankyoreh quoted public education sources. Education reporters attempt to quote public and private news sources in a balanced manner. However, reporters mentioned that they depend more heavily on private news sources because of the superior speed and accuracy of the information. On the contrary, private education experts said that the government hesitatingly discloses the CSAT-related information while private education sector accumulates "big data", which leads reporters to highly quote private exper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ducted both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to search for the “inconvenient truth” about the media's news sources quoting observed in the CSAT-related articles. This research suggested a three-fold way to resolve the asymmetry of the media’s news sources quoting: expanding information disclosure by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djusting the CSAT schedule, and fostering educational reporters. 1993년부터 28년째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언론의 중요한 보도 영역이다. 수능 기사를 담당하는 교육기자들은 관련 뉴스 콘텐츠 제작을 위해 취재원을 적극 활용한다. 교육기자들이 기사에 인용하는 공교육과 사교육 취재원은 학생과 학부모의 대입지원 전략에 큰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최근 5년 치(2016-2020년) 수능 관련 기사 115건에 등장하는 취재원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기자와 사교육 입시 전문가 집단 심층인터뷰를 통해 취재원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조선일보와 한겨레 모두 공교육보다 사교육 취재원 의존도가 과도했다. 조선일보는 전체 취재원의 52%, 한겨레는 34%가 사교육 취재원이었다. 두 신문이 기사에 인용한 사교육 업계 유명 3인은 전체 사교육 실명의 78%를 차지했다. 반면 고교 진학담당 교사로 대표되는 공교육 취재원은 조선일보는 10%, 한겨레는 19%에 불과했다. 교육기자들은 공교육과 사교육 취재원을 균형 있게 인용하려 노력하지만, 사교육 취재원이 정보의 신속성·정확성·풍부성이 상대적으로 앞서 불가피하게 더 자주 인용한다고 토로했다. 반면, 사교육 전문가들은 교육당국이 수능 정보를 소극적으로 공개하는 바람에 ‘빅 데이터’가 축적된 사교육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본 연구는 수능 기사에 등장하는 취재원 실태의 ‘불편한 진실’을 정량 분석과 정성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여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자는 언론의 수능 취재원 비대칭 해소 방안으로 교육당국의 정보공개 확대, 수시 일정 조정, 교육기자 양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과 의미: A대학교 <인간삶과 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임고운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Regardless of their major, college student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e exploration of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as a first step towards becoming lifelong learners. In this study, the “human life and education” class, operated as a key liberal arts course by University A in Chungcheong Province, was selected as an exampl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20, 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class. The students wrote 10 reflection journals according to the topic, and seven applicants engaged in personal or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non-education major students’ experiences in Education class as the liberal arts were categorized as "integrating knowledge and practice on learning", "asking ‘why’ questions about things they were not interested in”, "imagining educational alternatives", and "exchanging empathy and differences”. Furtherm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studies for them can be defined as "discovery of true purpose of learning", "critical acceptance of negative self-awareness", "solidarity for educational change", and "confidence in expressing subjective opinions on educational phenomena”.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교육학 수업 수강을 통해 경험하는 것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육학 수업의 교양교육적 의의와 발전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은 평생학습자로 나아가는 첫 단계로 전공 분야와 상관없이 누구나 교육에 대한 탐구가 교육과정 안에서 충분히 경험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 소재 4년제 A대학교에서 핵심교양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는 <인간삶과 교육> 교과목 수업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2020년도 2학기에 해당 과목을 수강한 비사범계열 1~4학년 대학생 44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총 10회에 걸쳐 작성한 성찰저널과 이중 면담에 동의한 7명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양과목으로서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으로는 ‘학습에 관한 지식과 실천 통합하기’, ‘무관심했던 것에 ‘왜’ 질문하기’, ‘교육적 대안 상상하기’, ‘공감과 차이 주고받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비사범계 대학생들이 인식한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 수강 경험의 의미로는 ‘진정한 배움의 목적 발견’, ‘부정적 자아인식의 비판적 수용’, ‘교육 변화를 위한 연대의식’, ‘교육 현상에 관한 주관적 의견 표현의 자신감’이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이 비사범계열 대학생들에게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지적 성장 도모, 교육 경험을 해석하는 개념적 수단 제공, 교육 문제해결을 위한 민주적 소통의 장이라는 교육적 의의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교양과목으로서 교육학 수업에 대한 후속 연구과제와 대학에서의 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서비스 경험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의 A대학교를 중심으로

        정경희 ( Jung Kyunghee ),김영순 ( Kim Youngs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A대학교를 중심으로 중국인 유학생들 대상으로 대학교육 서비스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에서 학습하는 과정에서 교육서비스에 대한 여러 경험 사례를 토대로 대학교육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대학 당국 차원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고 유지 관리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수도권 지역에 있는 A대학교의 중국인 유학생 8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교육행정서비스의 불편함을 경험하였다. 둘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위취득을 위한 핵심적 서비스로 강의요인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들은 대학캠퍼스 내에서 도서관 등 여러 편의시설에 대해 비교적 만족해하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의 문화체험 또는 취업문화 체험에 대한 아쉬움과 소수자에 대한 우대정책이 적음에 대한 아쉬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교육 서비스 경험을 통해 중국인 유학생과 국내 학생, 교수, 행정가들과의 관계 및 교육서비스 요인에 따른 문제점 등에 대한 해결방법을 찾고, 이주자 문화권의 교육체제와 한국의 교육체제 간 차이에서 오는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case of study focused on A university located at metropolita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based on experiences of education service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at domestic universities and to find a different way to attract and maintain foreign students at university author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ducted the in - depth interviews with 8 Chines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firs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the inconvenie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ice. Second, Chinese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lecturing factors as a core service for obtaining degrees. Third, while Chinese students are relatively satisfied with various facilities such as libraries in college campus, they have a sadness about lack of cultural experiences or experience of work culture in Korea and preferential policies for minorities. Through such experiences of Chinese students'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we are looking for better ways to deal with problems of Chinese students, domestic students, professors,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 service factors, We should seek ways to minimize the conflicts between the education system in other countries and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독일 환경교육(Umweltbildung)에서 평생교육의 방향성 탐구 : 환경교육 발전과정과 베를린 시민대학(Volkshochschule)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주현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This study examined how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integrated and practic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t explor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Korea by analyz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acticed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in Germany. For this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is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tegrated in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rmany and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Third, what i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conducted at citizen university (Volkshochschule), a Germa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o address these research questions, content analyses and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based on hermeneutic research. German literature,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Germa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education, and 12 citizen universities (Volkshochschule) in Berlin were selected as examples. Regarding th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an be presented. First, in the institu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normalize environmental education that links environmental agenda and social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 response to environmental problems faced by local communities. Second, in the social aspect, based on the social coexistence of human beings, education, and society as a whol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m organ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 mutually connected system. Third, in terms of programs,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be more life world -oriented, nature conservation-oriented, health-oriented,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and world-oriented. 본 연구는 평생교육 현장에 환경교육이 어떻게 통합되어 실천될 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 평생교육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환경교육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영역에 환경교육이 통합될 수 있는가. 둘째, 독일 환경교육의 발전과정과평생교육의 방향성은 어떠한가. 셋째, 독일 평생교육기관인 시민대학에서 실시하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와 연구목적을 위해 해석학적 연구에 기반하여 내용분석 방법과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독일환경교육 내용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독일 문헌을 수집하여 평생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과정을거쳤으며, 베를린 12개 시민대학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방향성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도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지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 대응에 기초한 환경 아젠다와 사회환경교육을연계한 환경교육의 일상화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서 인간과 교육 그리고 사회 전체가 사회적 공존에 기초하여통합적 관점에서 평생교육, 환경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어 상호연계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 측면에서 환경교육이 추구하는 생활세계 지향, 자연보호 지향, 건강지향, 자연과학과 기술지향, 세계지향으로 확장해야 한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분석 연구: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강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focusing on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lifelong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First,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and the university ed 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e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 system, the education subject, and the curriculum. Second,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The space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connection with online space and offline spac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o revitalize the learning using MOOC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activation of the blended learning lecture for strengt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subjects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in various generations from adolescence to old age.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activ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activation of the generation community for strengt hening lifelong educ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The types of learning of university ed ucation in the fourth ind 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the fusion compound learning of formal leaning and formal learning, formal learning and non-formal learning. The university ed ucation in transition, commutator period to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ppeared a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major class, liberal arts class and non-formal class for university education innov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usion compound class related to university and local authority for activation of lifelong learning. Third, the capacity of professor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re as follow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teaching capacity of professor appeared as the teaching capacity of blended learning class, counseling capacity and development capacity of the fusion compound class(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teaching capacity of the professor based on the paradigm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평생교육, 대학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과 대학교육 패러다임은 교육제도, 교육주체, 교육과정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공간은 온라인 공간과 오프라인 공간의 연계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MOOC활용 학습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대상은 청소년기부터 노년기까지의 다양한 세대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활성화,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세대공동체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대학교육의 학습 유형은 형식 학습과 형식 학습, 형식 학습과 비형식 학습의 융복합 학습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과도기, 전환기의 대학교육은 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전공 강좌, 교양 강좌, 비교과 강좌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 대학교육의 평생교육 강화를 위한 대학과 지역 기관 연계 융복합 강좌 개발․운영으로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의 전환기의 대학교육에서 요구하는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은 블렌디드 러닝 강좌의 강의 역량, 상담 역량, 융복합 강좌(프로그램) 개발 역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평생교육 패러다임을 토대로 대학교육의 방향과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이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영향: P사립대학을 중심으로

        문윤지,김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역사적으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입제도에 있어서 공교육의 교육력을 제고하고 사교육을 경감해야 하는 문제는 해결과제로 남아있다. 사교육 경감과 공교육 정상화는 국가의 사회적 비용을 고려해서라도 우리사회가 해결해야할 주요 과제인 만큼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사교육과 대학입시제도의 연계성 파악은 중요한 사안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 중소규모 사립대학에 입학한 2017학년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사교육과 공교육이 대학입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향후 대입제도의 개선정책과 나아갈 방향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 신뢰성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A광역시에 소재한 P사립대학에 입학한 806명의 2017학년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22명의 질적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전형방식과 전형요소에서 우려할만한 사교육 유발요인은 규명되지 않았는데 이는 P대학교가 입시제도 전형의 다양성, 선발기준의 형평성, 선발과정의 공정성을 고려한 입시전형 제도를 유지하고 있음에 기인하고 있다. 향후 사교육을 경감하고 공교육을 정상화하는 데에 있어 자기소개서, 면접 등의 전형요소 반영비율의 조절을 고려하고, 고등학생 및 학부모, 고교를 대상으로 하는 입시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방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Despite a long period of the education policy efforts,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educational power of public school system and alleviating private education in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remains a challenge. Considering the social cost of the nation, the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re important issues to be solved by our socie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college admiss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ivate education on the admission of the entrance of a private universities in 2017.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liable basic data in improving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06 freshmen of 2017 who entered the local small private university in A city. In addition,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on 22 participants i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act of private education in the college admission of P university. This result seem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P university maintains the admissions system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admissions system and the fairness of selection criteria and selection process. In order to continuously reduce private education and normalize public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djustment of the rate of reflection of typical factors such as self-introduction letters and interviews, and to expand the ways to provide abundant information related to college admiss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parents.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교육의 효과와 그 비용 부담 -실태 및 정책 방향-

        이차영 ( Cha Young L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2

        대학교육에 드는 비용을 누가 어느 정도로 부담하는 것이 합당하가 하는 문제는 사회적 논쟁거리이고 중요한 학술적 주제이지만, 그간 그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추적하는 작업은 취약하였다. 이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는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의 비용-효과 실태 분석을 시도하였다. 남성의 경우 대졸자가누리는 개인적 효과의 비중에 비해 그가 부담하는 사부담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고등교육비의 공부담 비중에 비해 공적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설립유형에 따라서는, 국공립대 학생들이 사립대학 학생에 비해 등록금 대비 교육 서비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균형의 해소를 위해, 고등교육의 공/사 효과와 공부담/사부담의 연동, 고등교육비의 설립자 부담 및 수익자 부담 비율의 설립유형별 연동, 학생 1인당 교육비와 학생 1인당 등록금의 연동이라는 주요 원칙에 입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roblem that who should load the cost of university education in what degree has been a hot social topic and academic issue. There have been many subjective assertions about the problem with simple sense of justice. This study starts with the notion that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problem should be based on objective data and theoretical rationality. In accordance with this notion, this study searched and examined the statistical data concerning the cost and benefit of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Data shows that the ratio of private cost of university education exceeds the ratio of private benefit from university graduation in case of man. Whereas, the ratio of public benefit from university graduation is lower than the ratio of public cost of university education in case of woman. In the type of university foundation, public university student receives as much educational services from his/her university as private university student at the relatively lower tuition fee. In order to recover these disparities, deliberate policies are proposed in this study on the following principles; linkage of the public/private cost ratio of university to the public/private benefit ratio from university graduation, linkage of the founder/benefit-recipient load ratio of public university expenditure to that of private university expenditure, and linkage of the tuition fee level per capita to the educational expenditure per capita.

      • KCI등재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발전방안 탐구

        조인숙,전호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universiti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based on social needs. In order to fi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universities, we firstly studied the statu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General Education curricula, called Liberal Education(in England), General Education(in America) or Bildung(in Germany) are provided in universities to cultivate competent people. And secondly, we identified inherent problems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a. They have problems with the goals, structures, contents, and the way of operation. Also they have extrinsic problems, namely changed needs of our society. Those needs include the new meaning for people with abilities, the accountability and efficacy of higher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Accordingly, we suggested four ways to improve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universities. Firstly, the meaning of competent people should be rebuilt. Secondly, the educational philosophy should be reflected and established. Thirdly, the scope and sequence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realigned, and fourthly, the systems for accepting the standards of social needs should b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사회적 요구를 인식하여 교양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발전 방안을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교양 교육과정의 위상에 대해 탐구하였다. 교양 교육과정은 자유교육, 일반교육, 도야교육이라는 원칙하 에 존재하며, 대학이 추구하는 인재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에 이바지 하고 있다. 이어 교양 교육과정이 가진 내재적 문제점들에 대해 식별하였다. 교양 교육과정은 크게 목표, 구조, 내용, 운영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나타났다. 또한 교양 교육과정은 변화된 사회적 요구라는 외재적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교양 교육과정에 식별된 사회적 요구로는 새로운 인재상의 등장, 고등교육의 책무성과 효율성, 고등교육에 대한 평가가 있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네 가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의 인재상을 재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철학에 대한 반성과 정립을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 교양 교육과정의 스코프와 시퀀스를 재정렬 하는 것이다. 넷째,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기준에 대한 수용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학습자 특성과 대학입학전형요소에 따른 사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비교 - A대학을 중심으로 -

        윤회정 ( Yoon Heojeong ),방담이 ( Bang Dami ),손연아 ( Son Yeon-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A 대학 신입생 1,484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받았던 사교육의 현황과 사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A 대학 전형과 사교육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의 입학전형 개선, 고등학교 공교육 활성화와 사교육 경감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학생들이 받았던 사교육은 그 유형에 따라 기간이나 빈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교육에 지출한 비용과 소요한 평균 시간은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을 받는 이유는 성적 향상을 위한 보완적 목적이라 기보다는 경쟁적 동기가 좀 더 주된 이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형요소별 사교육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교육을 통해 준비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전형은 실기와 논술로 나타났으며, 수능에 대한 사교육 의존정도가 다른 전형 요소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형요소별 비율 조정이 공교육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응답의 분석 결과, 생활기록부의 확대가 공교육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다른 전형요소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tutoring and the students` perception of private tutor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nd private tutoring to improve entrance admission of university. 1,484 freshman student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rivate tutoring was various in periods and frequency depending on the type. The expenditure on private tutoring and the average time spent showed a large variation. Also, the reasons for using private tutoring were mainly motivated by competitive motivation rather than complementary purpose. Public education was difficult to prepare practical education and essay, and the degree of dependence on private tutoring for SAT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typical elements. In addition, th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proportional factor adjustment on the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showed that the expansion of the student record might affect the activation of public education.

      • KCI등재

        독일 기술전문대학의 듀얼 교육체제 발달 연구 및 시사점

        박성희 ( Park Seong-hie ),권양이 ( Kwon Yangy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연구 문제는 고급기술인력 양성에 성공한 독일 기술전문대학의 듀얼 교육체제 발달과정을 고찰하여 국내 전문대학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언하는 데 있다. 독일 기술전문대학은 1999년 Bologna 프로세스와 2002년 Copenhagen 선언으로 직업교육 및 훈련이 중시되자, 고등직업교육 체제 재정비 일환으로 ‘응용과학대학’으로 교명을 변경, 격상되었다. 독일 기술전문대학은 2009년부터 모두를 위한 대학교육 기회 보장을 목적으로 평생직업교육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직업훈련통합형 듀얼 교육과정의 정착에 매진하고 있다. 연구결과 독일 기술전문대학 듀얼 교육체제 발달은 첫째, 듀얼 교육과정은 미래사회의 창조적, 융복합형 역량을 갖춘 인재 육성을 목적으로 기업이 사회적 책무성을 가지고 현장 수요를 반영하여 주 정부와 관민의 긴밀한 협동을 통해 교육훈련의 질을 높이고 있다. 둘째, 국가경쟁력 및 모든 성인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학사, 석사, 박사학위 제도를 정비, 학위취득을 지원, 전 생애에 걸친 평생직업교육 체제 구축에 성공했다. 셋째, 직업훈련통합형, 직업통합형, 실습통합형 등 3가지 듀얼 교육과정을 통해 성적 우수자 및 앙가지망을 가진 인재 확보에 노력하고,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을 둔 연구 및 실제 현장실습을 통해 고급전문기술인 양성에 주력, 교육과 고용 간 연계시스템 구축으로 학습자의 노동시장 이행을 원활히 지원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므로 우리나라도 전문대학의 교육 연한 연장, 성적우수자들의 입학 유인 및 취업과 고용 간 연계성 향상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전문대학이 성인근로자의 재취업과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지원하는 산실이 되도록 평생직업교육체제 전환을 제언해 본다. The research question lies in the review of the development of the dual curriculum of the Germa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and the implications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The recent trends of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dual curriculum enhances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through close collaboration by reflecting on-the-spot demand with the company's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alented individuals with creative and convergence capabilities of the future society. Second, a bachelor's, master's, and doctoral degree system was established to support the acquisition of a degre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all adult workers and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throughout life. Third, German Fachhochschule strives to secure talented individuals with excellent grades and enthusiasm through the vocational training integrated type, vocational integrated type, and practical integrated type of dual curriculum that are built on project based research and on the job training which lead to the successful employment in the labor market. In a situation where global competitiveness is intensifying, we suggest that Korea also reorganizes Procollege curriculum, increases the length of the curriculum, attracts high-ranking students through employment and employment linkage by which Procolleges support adult workers' re-employment and development of lifelong vocational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