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집 - 건축과 정보 : 대학과 인터넷 ( Internet college )

        양영유 대한건축학회 1996 建築 Vol.40 No.6

        우리나라 대학들의 인터넷 활용열기도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 못지 않게 뜨겁다. 서울대.고려대.포항공대 등 30여개 대학들이 홈페이지를 개설해 세계에 한국의 대학을 알리고 학생들의 학문교류의 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여기에 학생들이 학교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재택강의를 받을 수 있는 사이버강좌가 속속 개설돼 눈길을 끌고 있다.

      • KCI등재

        신문의 교육정책 뉴스보도 프레임 연구 - 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정부 비교를 중심으로 -

        양영유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major educational policies implemented in Korea over 16 years under the Roh Moo-hyun, Lee Myung-bak, Park Geun-hye, Moon Jae-in governments and identify why the differences exist in the media reports on these policie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xamined 3,200 articles written by four media outlets, Chosun Ilbo, JoongAng Ilbo, Hankook Ilbo, Hankyoreh and applied the five frames of media coverage discussed by Semetko and Valkenbur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that 53 percent of the articles fit in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rame, 42.6 percent in the conflict frame, 26.3 percent in the human interest frame, 16 percent in the morality frame and 8.6 percent in the economic consequences frame. There was a severe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governments when it came to educational policies o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college entrance exams, national history textbooks and the election of local education superintendents. The frames of media coverage on these topics were also more varied. Second, conflict and responsibility frame were dominant under the Roh Moo-hyun and Lee Myung-bak regime. Also reversely, the portion of human interest frame rate were high under the Park Geun-hye and Moon Jae-in government. Third, the educational policies had been changed politically and the reporting frames of mass media we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people’s understanding. This means there were critical problems in the continuities and consistencies of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이 연구는 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정부 16년 동안의 진보·보수 정권별 주요 교육정책을 살펴보고, 각 언론의 뉴스 보도 프레임이 정부별, 신문별로 왜,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조선일보·중앙일보·한국일보·한겨레 등 4개 종합일간지 기사 3,200건이다. 보도 프레임은 세멧코와 밸켄버그(2000)의 진술문 척도를 활용한 5가지 유형 모델을 적용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프레임별 비중은 책임귀인 프레임(53%), 갈등 프레임(42.6%), 인간적 흥미 프레임(26.3%), 도덕성 프레임(16%), 경제적 중요성 프레임(8.6%) 순이었다. 진보와 보수 정권별로 자사고, 수능, 국정교과서, 교육감 선거 등을 놓고 첨예한 갈등이 있었고, 언론사 성향별로도 동일 정책에 대한 보도 비중과 적용 프레임이 다양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책변동이 잦았던 노무현·이명박 정부시기에는 갈등과 책임귀인 프레임이, 수요자 의견 불출이 많았던 박근혜·문재인 정부시기에는 인간적 흥미 프레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한국의 교육정책이 정부의 관점에 따라 변화해 왔고, 그런 정책을 보도하는 언론의 양상 또한 정부의 입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가치중립적이어야 할 교육이 정파적 속성에 따라 바뀌고 보도 되고 있다는 통시적 연구는 대한민국 교육정책의 일관성과 연속성에 문제가 있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언론의 수능기사 취재원 활용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종합일간지 보도 실태와 기자·전문가 집단 심층인터뷰를 통해

        양영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2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hich has been held for 28 years, since 1993, is an important aspect of media coverage in Korea. Education reporters rely deeply on news sources for the production of CSAT-related news contents.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are greatly influenced by quotations and attributions in CSAT news sources. This study analyzed 115 articles related to the CSAT over the last five years (2016-2020) of Chosun Ilbo and Hankyoreh. Consequently, both newspapers were more dependent on private education than public education for their news sources. Chosun Ilbo and Hankyoreh quoted 52% and 34% of all news sources as private education sources, respectively. The real names of the three private experts quoted by the two newspapers accounted for 78% of the total private real names. Conversely, only 10% of Chosun Ilbo and 19% of Hankyoreh quoted public education sources. Education reporters attempt to quote public and private news sources in a balanced manner. However, reporters mentioned that they depend more heavily on private news sources because of the superior speed and accuracy of the information. On the contrary, private education experts said that the government hesitatingly discloses the CSAT-related information while private education sector accumulates "big data", which leads reporters to highly quote private exper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ducted both quantitative data analysis and qualitative in-depth interviews to search for the “inconvenient truth” about the media's news sources quoting observed in the CSAT-related articles. This research suggested a three-fold way to resolve the asymmetry of the media’s news sources quoting: expanding information disclosure by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djusting the CSAT schedule, and fostering educational reporters. 1993년부터 28년째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언론의 중요한 보도 영역이다. 수능 기사를 담당하는 교육기자들은 관련 뉴스 콘텐츠 제작을 위해 취재원을 적극 활용한다. 교육기자들이 기사에 인용하는 공교육과 사교육 취재원은 학생과 학부모의 대입지원 전략에 큰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최근 5년 치(2016-2020년) 수능 관련 기사 115건에 등장하는 취재원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기자와 사교육 입시 전문가 집단 심층인터뷰를 통해 취재원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조선일보와 한겨레 모두 공교육보다 사교육 취재원 의존도가 과도했다. 조선일보는 전체 취재원의 52%, 한겨레는 34%가 사교육 취재원이었다. 두 신문이 기사에 인용한 사교육 업계 유명 3인은 전체 사교육 실명의 78%를 차지했다. 반면 고교 진학담당 교사로 대표되는 공교육 취재원은 조선일보는 10%, 한겨레는 19%에 불과했다. 교육기자들은 공교육과 사교육 취재원을 균형 있게 인용하려 노력하지만, 사교육 취재원이 정보의 신속성·정확성·풍부성이 상대적으로 앞서 불가피하게 더 자주 인용한다고 토로했다. 반면, 사교육 전문가들은 교육당국이 수능 정보를 소극적으로 공개하는 바람에 ‘빅 데이터’가 축적된 사교육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본 연구는 수능 기사에 등장하는 취재원 실태의 ‘불편한 진실’을 정량 분석과 정성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여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자는 언론의 수능 취재원 비대칭 해소 방안으로 교육당국의 정보공개 확대, 수시 일정 조정, 교육기자 양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정치 이벤트에 대한 신문보도사진 연구 - 역대 남북정상회담 최고통치자 사진을 중심으로

        양영유 ( Yang Young Yu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3

        Korean summit were framed and reported according to the newspaper’s reporting tendency.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Chosun Ilbo, a conservative newspaper, and the Hankyoreh, a progressive newspaper. A total of 161 cases were analyzed in which two top rulers appeared among the four report photos related to the inter-Korean summits during the Kim Dae-jung, Roh Moo-hyun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dia’s ideological faction that appeared in general newspaper articles was also shown in the press photos. The two newspapers sympathized with the creation of a peaceful atmosphere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first Pyongyang summit in 2000, which was held for the first time after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However, during the 2nd, 3rd, and 4th inter-Korean summits, the faction between the two newspapers became clearer. It was analyzed that the Chosun Ilbo published more photos and reports than the Hankyoreh during the first meeting, but after that, it reported about three times less than the Hankyoreh. The Chosun Ilbo used relatively less friendly and defensive framing than the Hankyoreh when selecting, excluding, and posting photos, and the Hankyoreh was more friendly and more aggressive than the Chosun Ilbo. This means that the press photos also confirmed that ideological symbiotic relations or political parallelism according to the media tendencies are at pl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a plan to expand the search area of photojournalism.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언론의 범죄보도 무엇이 문제인가? : 사건기자와 범죄뉴스 모니터 집단 심층인터뷰를 통해

        양영유(Youngyu Yang),이완수(Wansoo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4 No.-

        범죄뉴스는 기자들의 주요한 보도영역이면서, 동시에 뉴스 소비자들의 범죄현실 인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사건기자 집단과 뉴스 모니터 전문가 집단이 범죄뉴스에 대해 어떤 인식과 평가, 그리고 시각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들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그 결과, 사건기자들과 뉴스 소비자 집단은 국내 범죄뉴스가 대체적으로 선정적·폭력적·자극적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지만, 보도 관행과 절차에 대해서는 인식 차이가 있었다. 사건기자들은 언론사의 특종과 속보 경쟁, 위계질서에 따른 취재, 디지털 환경에서의 ‘클릭 수 올리기’, 그리고 유명무실한 보도준칙 등을 범죄보도의 문제점으로 꼽았다. 기자들은 이런 요인들로 인해 언론이 사실 중심의 객관적인 보도를 통해 범죄환경을 감시해야 할 저널리즘의 사명에 소홀하다고 자평했다. 반면에 뉴스 소비자 집단은 언론이 상업적인 이유로 보도규범을 외면하고 있으며, 성급하고 과도하게 부정확한 뉴스를 보도함으로써 피의자와 피해자의 인권을 침해하며, 사회적 불안감을 증폭시키는 등 사회적 공기(公器) 역할에 소홀하다고 평가했다. 본 연구는 내용분석 중심의 기존 범죄뉴스 연구와는 달리 뉴스 생산자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범죄보도 현장의 문제점을 의견 청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우리는 범죄뉴스 개선 방안으로 언론 내부 게이트키핑 강화, 클릭 저널리즘의 정화, 모니터링 시스템 강화, 자율적인 보도준칙 제정 등을 제안하였다. Crime news is a major reporting area of reporters, and it directly affects the perception of crime reality of news consumer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group of reporters and news monitors to see what perceptions, evaluations, and perspectives they have on crime news. As a result, the crime reporters and the crime news consuming group agreed that domestic crime news was generally sensational, violent, and stimulating,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bout reporting practices and procedures. Crime reporters cited scoops and breaking news competitions between media companies, coverage according to hierarchical order, “increasing the number of clicks” in a digital environment, and poorly known reporting rules as problems of criminal reporting. Reporters self-confessed that due to these factors, the media neglected the mission of journalism to monitor the criminal environment through objective reporting. On the other hand, the news consuming group evaluated the media neglects the role of a public device by ignoring the reporting standards for commercial reasons, violating the human rights of the suspects and victims by reporting impatiently and excessively inaccurate news, and amplifying social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unlike existing crime news studies centered on content analysis, news producers and consumers heard opinions about the problems of crime reporting scenes. As a measure to improve crime news, we proposed strengthening internal gate-keeping in the media, purifying click journalism,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system, and establishing autonomous reporting rules.

      • KCI등재

        코로나 19는 기자들의 취재관행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 팬데믹 전후의 근무형태 변화에 대한 기자 인식을 중심으로

        양영유(Young-Yu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이 연구는 코로나 19 팬데믹이 지난 1년 동안 한국 언론사 기자들의 취재 관행, 조직 내부 관행, 뉴스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종합일간지, 경제일간지, 뉴스통신사, 방송사에 근무하는 취재 기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그 결과, 기자들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재택근무를 하고 있으며, 출입처가 통제되거나 폐쇄되어 현장 취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들은 취재원을 직접 만나기 어려워 전화나 SNS를 통한 간접 취재와 온라인 브리핑에 의존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뉴스의 다양성과 현장성이 떨어지고 현장 감시기능이 약화하고 있다는 인식을 보였다. 또한, 조직 내 회의나 모임이 사라져 아이디어 교감이나 선후배 간 취재 노하우 전수에도 애로가 있다고 언급하였다. 현재 진행형인 코로나19가 국내 언론의 취재 관행, 조직 내부 관행, 뉴스 생산 등 미디어 생태계에 불러온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how the Covid-19 pandemic has affected the reporting practices and news production of the reporters working with Korean media over the past one year. To this end, this study h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reporters working with daily newspapers, news agencies, and broadcasting companie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resulted in the following generalizations. The reporters are working at home, which was never experienced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nd they have difficulties in covering their reporting beats because they have little or no access to contact points. The reporters rely heavily on indirect coverage and online briefings via phones or SNS because they have difficulties in meeting news sources in person. As a result, the diversity of news contents and the medias on-site monitoring functions has been severely weakened. In addition, the reporters have no chances to both exchange ideas with fellow reporters and to transfer the know-how of collecting news items to their juniors. This paper has also discussed the disruption of practices that the ongoing Covid-19 has brought to the media ecosystem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