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래지향적 핵심역량에 기반한 학생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 - B교육청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강이화,이유나,최류미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the B education office affiliated organizations according to future-oriented core competencies and to confirm whether they meet the conditions for future-oriented education programs. It is to explore the policy measures to be pursued.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521 student education programs in 39 affiliated organizations of Office B were selected as examples. The criteria analyzed were based on basic knowledge (language, mathematics, digital) and core competencies (independent learning ability-initiative, meta-learning, cognitive flexibility, identity, self-efficacy, career exploration and design; value creation ability-aesthetic sensitivity, social-emotional personality, cooperative communi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 innovative thinking; ability to cope with change -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nflict management and resolution, resilience, global citizenship, response to climate and ecological crises, safety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basic knowledge and future core competencies are operated, but different aspects are found for each school level. There were relatively few programs, and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ere was a tendency to focus on value creation ability, change response ability, and subjective learning ability. In addition to the analysis criteria, it was also possible to identify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ed financial econom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design and systematically manage educational programs for students to develop future capabilities operated by various affiliated institu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for balanced cultivation of future talents' core competenci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gionally specialized student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of the region and the needs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본 연구는 B교육청 산하기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학생 교육프로그램을 미래지향적인 핵심역량에 따라 분석하여 미래지향적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미래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지역의 교육정책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B교육청 산하 기관 39곳의 학생 교육프로그램 521개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국내·외 기관에서 발간된 미래 전망, 미래교육, 핵심역량, 미래지향적 교육프로그램 관련 연구물과 학술논문에 대한 문헌분석과 전문가 검토를 통해 도출된 기초소양(언어, 수리, 디지털)과 핵심역량(주체적 학습능력-주도성, 메타학습, 인지적 유연성, 정체성, 자기효능감, 진로탐색 및 설계; 가치창출능력-심미적 감성, 사회정서인성, 협력적 소통, 창의적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혁신적 사고; 변화대응능력-대인관계, 갈등관리 및 해결, 회복력, 세계시민성, 기후 및 생태위기 대응, 안전관리)이다. 분석 결과, B교육청 산하기관 전체는 기초소양과 미래핵심역량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학교급별로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기초소양 중에서는 언어와 디지털 소양에 집중되어 있어 수리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상대적으로 적었고 핵심역량 중에는 가치 창출 능력, 변화 대응 능력, 주체적 학습 능력 순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특징적으로 금융경제, 지역 특성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도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지역 교육청은 지역단위에서 다양한 산하기관에서 운영 중인 학생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역량기반 체제로 설계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각 기관은 기관의 목표에 맞는 미래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재고해야 한다. 셋째,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학생교육 프로그램은 지역의 특수성과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의 요구를 반영한 지역특화 프로그램을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에듀테크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향보,이동원,이민혜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at COVID-19 has changed, humanity has recently faced a path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search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tech-related content is active. However, it is rare for future education programs to be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so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practical way to apply EduTech to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fu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edutech by developing and apply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link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identifying the degree of growth of core competencies and future competencies in inventions highly related to creativity and cre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four classes (97) in the fifth grade of two schools locat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sangnam-do, and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one class (2 classes, 50 students) for each school.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effect was verified by conducting future competency and invention core competency tests. First,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was developed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preferences of 27 teachers and 216 students, selecting two topics with high preference of 54 UCC (22.22%) and 47 work activities (19.34%). Second,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set two units consisting of UCC and 3D pens, and presented a total of six sessions and 18 sessions at three level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for each unit. In addition, workbooks for students were produced according to MOOA class modules such as Make a Foundation, Open an activity, Organize evaluation, and Activation to be consistently and eff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class module. Third,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was applied 18 times to 50 students in two classes, which are experimental groups, and its effectiveness on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in invention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no significant results are produced i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average of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f invention is improved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ll sample items are p<.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01 leve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and invention core competencies. Since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using EduTech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student competency in that it can improve both future competencies and core competencies of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duTech. In particular, the future education program, which has secured connection with the school's regular curriculum, can be an effective and efficient way to approach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smart device distribution or students subject to application when applying future education programs using edutech. Future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based on the 5th grade, so in-depth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check the connection with other school levels and grades, and if future education materials are developed with other contents, it is expected to add a small foundation to the growth of future talents. 이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창의․창조와 관련성이 높은 발명에서의 핵심역량과 미래역량의 신장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경상남도 중소도시에 소재한 2개교 5학년 4학급(9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행하고, 학교별 1개 학급(2개 학급, 50명)을 대상으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컨텐츠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결측값을 제외하고 교사 27명, 학생 216명의 유의미한 응답을 확인하였다. 미래교육 실행에서 별도의 에듀테크 기기 필요 여부에 따라 1순위를 중심으로 UCC, 작품활동이 선정되었다. 둘째,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은 UCC와 3D펜의 2개 단원을 설정하고 단원별 초급, 중급, 고급의 3 수준으로 총 6회기, 18차시 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에듀테크 활용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미래교육 수업 모듈을 4단계로 설정하였다. 셋째, 실험집단인 2개 학급, 50명을 대상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을 18차시 적용하고, 미래역량 및 발명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한 바 유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한 자료는 내용 타당도 검사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에듀테크 활용 초등학교 미래교육 프로그램이 미래역량과 발명핵심역량 모두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에듀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확보한 미래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미래역량 함양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가상현실(VR)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수업 적용방안 탐색연구 - 2022 개정 초등 체육교과 스포츠 영역을 중심으로 -

        주성범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체육교과 스포츠 영역을 중심으로 가상현실(VR)과 인공지능(AI)을활용한 스마트 수업 적용방안을 탐색하여 미래 체육교육 방법의 혁신과 신체활동 역량 강화를이루어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미래 교육의 시대적 변화와함께 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의 기술이 체육교육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가상현실(VR) 실감 콘텐츠,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로봇 체육교사 등을 활용한 스마트 수업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윤리적 측면에서의 기술적 한계, 그리고현장에서 신체활동의 가치와 본질을 중시하며 신체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하는 실질적 부분에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 및 디지털 전환을강조하고 있으며, 미래역량 함양하기 위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소양교육이 강화되고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2022 개정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스포츠 영역은 신체활동을 제도화하고 조직화하여다양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생태적 결합을 추구하는 신체활동 형식으로 기술형 스포츠, 전략형 스포츠, 생태형 스포츠로 분류되어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가상현실(VR)과 인공지능(AI)을활용한 스마트 수업은 스포츠의 기본 움직임 기술과 다양한 유형의 스포츠의 체험에 통해 신체활동역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2022 개정 초등 체육교과 스포츠 영역에서는 가상현실(VR)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수업의 적용이 필수적이며, 관련된 기술과 프로그램의 개발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더불어 체육교과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중장기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시대적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변화는 미래지향적 창의인재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smart class using virtual reality (V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sports domai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iming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innovation of future physical education methods and enhancement of physical activity capabilities. With the changing landscape of future education,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rtificial intelligence (AI),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re being utiliz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se technologies, smart class utilizing VR-based immersive content, AI-powered digital textbooks, and robotic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is being promoted. However, there are still shortcomings in the ethical aspects and limitations of these technologies, as well as in practical aspects that should emphasize the value and essenc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field. Nevertheles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and digital transformatio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AI and digital literacy education to foster future competencies. In the sports domai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physical activities are categorized as technical sports, strategic sports, and ecological sports, emphasizing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organization of physical activities that pursue ecological integration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environments. With these changes in mind, the application of smart class using VR and AI is considered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competencies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improve basic movement skills and experience various types of spor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smart class using VR and AI in the sports domai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ctively engage in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programs, and consider the long-term introduction of AI digital textbooks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This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pproaches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uture-oriented creative talents.

      • KCI등재후보

        행복교육론의 함정

        김정래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aper has tried to examine the various defects that happiness education raises in the educational situations. First of all, these defects have arisen from the concept ‘happiness-seeking’, fallen into the same mistake as the one ‘pleasure-seeking’. Unlike the strictly ethical examination, the common sense meanings of happiness highly contribute to the wrong notions for us to make misjudgement. One of them is to regard happiness as an important educational aim. But the concept of happiness cannot be an aim of education whatever stated. This results not only in the detrimental mistakes such as misunderstanding of the right to happiness as the constitutional right but in falling into its own trap such as miscellanea obsessed, mediocrity, short-sighted prudence, and so on. And the paper has also tackled some senses of French Utopian socialism originated from Rousseau I assume and critically viewed some municipal ordinance of the pupils’ rights in the Republic of Korea. Against these the paper has to more closely re-examine the concept ‘happiness’ which particularly leads us to fall into happiness-seeking. 현재 교육계에서 일고 있는 행복교육론의 난점과 그로 인한 함정을 살펴보기 위한 본 연구는 다음 논점을 다루고 있다. 첫째, 행복교육론이 그릇된 주장으로 함몰된 것은 행복의 의미가 어떻게 왜곡되어 있는가. 둘째, 교육의 왜곡된 형태인 행복교육을 야기하는 행복지상주의의 양태인 적당주의에 결과로 드러난 워라밸, 소확행(小確幸), 유토리(ゆとり)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셋째, 행복교육을 왜곡하는 행복지상주의를 형성하는 사상적 뿌리를 살펴본다. 넷째, 행복교육의 실행근거로서 헌법적 가치인 행복추구권의 법리적 문제와 함께 우리나라 학생인권조례에 담긴 행복교육의 문제를 분석해 보도록 한다. 행복교육이 지니는 함정을 빠지지 않기 위하여 행복 개념의 세심한 해석을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배부른 돼지’가 추구하는 ‘돼지 행복’에 안주함을 막을 수 있는 최소한 전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영화를 활용한 영어교육: 영화 Wonder를 중심으로

        김동규,이동한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 편의 할리우드 영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영어교육 현장에 접목시키기위함이다. 제6차 교육과정 이후, 영어 수업 현장에서는 정규 교과서와 함께 실제적 자료의 활용을권장하고 있다. 이에 실제적 자료 가운데 하나인 영화를 영어 수업에 도입하기 위해 영화 선정기준에 근거, Wonder라는 영화를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반복적인 시청을 통해 영화 속에서 영어교육관점에서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요소가 많이 포함된 열 장면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열 장면은 언어형식, 어휘 및 표현, 발음, 문화 등 네 가지 측면으로 심도 있게 분석되었다. 네 가지 측면에서 열장면이 차례대로 제시되고, 장면 대사에서 각각의 영어교육 요소가 추출되어 부가 설명과 함께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형식 측면에서는 부정사, 동명사, 비교급, 최상급, 가정법, 수동태, 관계대명사 등 다양한 언어형식 요소가 장면 대사를 통해 추출되었다. 둘째, 어휘 및표현 측면에서는 ‘trust fund kid’, ‘bat a thousand’, ‘a good egg’ 등 EFL 학생들이 생소하게느낄 수 있는 표현들이 장면 대사에서 추출되었다. 셋째, 발음 측면에서는 ‘축약’, ‘연음’, ‘플랩현상’등 다양한 발음 요소가 장면 대사로부터 추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 측면에서는‘미국 학교 문화’, ‘음식 문화’, ‘국경일’, ‘할로윈’ 등 다양한 문화 요소가 장면 속에서추출되었다. 네 가지 측면에서 추출된 영어교육 요소 중 영역별로 몇 가지 구체적 예가 상세히제공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화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utilize movies in EFL classrooms by analyzing a Hollywood movie systematically.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was initiated, using authentic materials along with regular textbooks in English classrooms has been recommended. Based on the criteria for movie selection, a movie titled Wonder was chosen which involved a large portion of daily conversational English, abundant cultural information, and a touching storyline that shows the value of family love. In the process of watching the movie, ten scenes were chosen and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grammar, vocabulary, pronunciation, and culture. This study presented the ten scenes from these four perspectives in turn. It extracted several educational elements from each scene and offered additional explanations related to those ele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rammar points such as ‘to infinitive’, ‘gerund phrases’, ‘subjunctive mood’, and ‘voice’were drawn from the ten scenes. Some useful expressions also were drawn from these scenes. Some examples are ‘trust fund kid’, ‘bat a thousand’, ‘a good egg’, etc. Pertaining to pronunciation, phonological phenomena such as contraction, linking, and flap phenomena were drawn from the scenes. Lastly, some cultural points were also drawn from the scenes. They were related to school, food, holidays, Halloween, etc. Several elements from each domain were presented in-depth as examples of each domain.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were offered.

      • KCI등재후보

        몽골과 한국의 초등 및 중등 화학 교육과정 비교 연구

        강투무르 다리수엔,김현경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cifics of previous curricula in Mongolia and Korea,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cont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hemistr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development of two countries. Chemical content elements were analyzed in the 2019 revised curriculum in Mongolia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As a standard for comparative analysis, TIMS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19 is used as a framework for 4th and 8th grade assessment, and a newly developed standard framework based on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 was used for integrating high school chemistry content elements.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curricula of two countries were different. Second, although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curriculum structure, and science learning objectives were similar, the number of science classes was different by school level. Thir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emistry curriculum, which is the main area of interest in this study, showed that Mongolia covers all elements of the TIMSS 2019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while Korea does not cover all elements of the framework; periodic table and reaction rate were not included in Korea curriculum. In high school, the Mongolia curriculum included all the basic concepts of the NGSS-based reference framework, while the Korean curriculum included only some, and elements related to organic chemistry, industry, and everyday life were removed. In the future,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Korea needs to consider adding content elements or developing new subjects. In contrast, Mongolia needs to prioritize the integration and consistency of the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levance of content and level. Through this result, the direction of future science curriculum revision in Mongolia and Korea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obtained. 본 연구의 목적은 몽골과 한국의 이전 교육과정의 특징, 현재의 교육제도, 교육과정 문서, 초·중·고 화학 교과의 내용을 비교하고, 양국의 미래 발전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장 최근에 개정된 몽골의 2019 개정 교육과정과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하여 화학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TIMSS(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19의 4학년과 8학년 평가틀 및 NGSS(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를 기반으로 고등학교 화학 교과의 내용요소를 통합하여 새로 개발한 기준 틀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과 한국의 과학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은 모두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지향하고 있었지만, 몽골은 지식, 기술, 태도를 중시하고, 한국은 창의성과 통합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다. 둘째, 현재 교육제도, 교육과정 구조, 과학 교과의 학습 목표는 두 나라가 비슷했지만 학교급에 따라 과학 시수에 차이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주요 관심이었던 화학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몽골은 TIMSS 2019 과학 평가틀의 모든 요소를 다루고 있는 반면 한국은 주기율표와 반응 속도 등 일부 요소를 다루고 있지 않았다. 고등학교의 경우 몽골은 NGSS 기반 기준 틀의 모든 기본 개념을 화학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었으나 한국은 일부만 포함된 경우가 많았고, 특히 유기 화학 및 산업과 일상 생활에 연계된 요소는 제외되었다. 앞으로 한국은 교육과정 개정 시 내용요소를 추가하거나 새로운 교과목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조적으로 몽골은 내용과 수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통합과 일관성을 우선시할 필요가 있다. 본 결과를 통해 몽골과 한국의 향후 과학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두 나라의 교육 교류에 대한 시사점을 얻었다.

      • KCI등재후보

        시나리오기반 그림책 읽기탐구 수업설계 탐색

        박수자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As the individual competency to actively solve real problems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society, as a competency development education method focusing on student initiative, in order to apply the inquiry activity to the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 are trying to develop a class case where picture book reading exploration activities are possible. A picture book is a dynamic genre in which the reader understands the time and space created by the interaction of text and picture with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Therefore, modern picture books are being created for a variety of readers, and are used not only as literacy materials for the introductory period, but also as healing and counseling materials for readers' emotions and experiences. In particular, modern picture books go through a complex deciphering process like a ridd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picture, and even the behavior of readers who read picture books affects the interpretation of picture books. First of all, educational resources for picture book reading exploration were identified by explor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pictures, and factors affecting the interpretation of picture books. In addition, a scenario-based inquiry class model is reconstructed and presented as a reading inquiry class procedure by exploring an inquiry class model that enables systematic inquiry activities that enable permanent understanding without being distracted or changing learning outcomes depend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inquiry. Based on this theoretical exploration, the introduction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5th and 6th grade Korea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was reviewed. Therefore, as an inquiry activity to find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a class procedure for picture book reading exploration was developed and a class case was presented. The exemplified class examples can be used in reorganization classes of Korean textbooks or reading unit classes. In the systematic picture book reading exploration class design, the teacher should construct a problem situation that induces reading exploration and support the creation of inquiry questions necessary for students to establish an inquiry plan. In the future, we expect follow-up research to develop reference materials for reading exploration by exploring numerous picture books that are famous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extracting picture scenes that can be explored by reading. 미래사회에서 능동적으로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개인 역량이 중요해짐에 따라 학생 주도성에 초점을 둔 역량 계발 교육방법으로 주목받는 탐구활동을 초등학교 고학년 국어수업에 적용하여 그림책 읽기탐구활동 사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내는 시공간을 독자가 스스로 배경지식과 경험으로 이해하는 역동적인 장르이다. 그래서 현대 그림책은 다양한 독자층을 대상으로 창작되고 있으며, 입문기 문식성 자료뿐만이 아니라 독자 정서와 경험에 대한 치유와 상담 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 그림책은 글과 그림의 관계에서 수수께끼와도 같은 복잡한 해독 과정을 거치게 하고, 그림책을 읽어나가는 독자의 행동까지도 그림책의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는 문화적 맥락까지 고려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그림책 읽기탐구활동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림책의 장르 특성과 글과 그림의 관계, 그림책 해석에 미치는 요소 등의 탐색을 통하여 그림책 읽기탐구를 위한 교육자원을 구조화하였다. 또 읽기탐구가 학습자 개인의 편차에 따라 학습 성과가 달라지거나 산만해지지 않고 영속적 이해가 가능한 체계적인 탐구활동이 될 수 있도록 시나리오기반 탐구모델을 읽기탐구 절차로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탐색을 토대로 2015 개정 초등학교 5, 6학년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탐구활동의 제시 양상을 검토한 결과, 단순하게 자료를 조사하거나 조사한 자료를 읽고 정리하는 수준이어서 탐구활동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국어과 교육과정 저학년에 배치된 그림책 학습은 그림책의 융복합적 예술적 가치를 충분히 구현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래서 체계적인 그림책 읽기탐구활동 수업에 필요한 문제상황을 개발하는 사례와, 학생이 탐구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탐구질문 생성을 지원해주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당 사례들은 국어수업에서 탐구활동을 도입하거나 독서수업 운영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수많은 그림책을 탐색하여 읽기탐구가 가능한 그림 장면을 중심으로 읽기탐구 참고자료를 개발하는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민주시민교육의 왜곡(1) : 자유, 권리, 민주주의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김은정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is paper concerns the crucial concepts involved in the democratic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demonstrate how they have been distorted. As a result of examina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three concepts freedom, democracy and rights have already been distorted in various ways. In the case of freedom, the concept has been recognized as the collective and idealistic, not individualistic and realistic. The analysis has tried to set up four kinds of distortions. The concept of democracy has been born as a procedural principle since the ancient Greek era, but now in the modern time considered as a kind of –ism so that democracy can be understood as a highly value or ideal. This leads us to the danger of totalitarianism that makes mankind unable to prosper. Finally rights also represents universality. But this concept cannot be universalized regardless its holders and its situations. For example, Hart’s special rights have been seriously taken to dissolve this problems. The results of these examinations will contribute to the next study that will evaluate some democratic education programs applied to the present school classrooms. 본 논문은 민주시민교육이 어떻게 왜곡되고 있는지 보기 위하여 민주시민교육에 관련된 주요 개념들을 검토하고 있다. 연구를 통해 자유, 민주주의, 권리의 세 개념이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왜곡되어왔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자유의 경우, 개인적, 실제적 개념이 아닌, 집합적, 이념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분석하며 자유 개념과 관련한 네 가지 왜곡 유형을 정리하였다. 한편 민주주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 시대 이래 절차적 원리로서 배태되었으나 현대에는 일종의 ‘~ 주의’로서 간주하여 민주주의가 고차적 가치 또는 이상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이는 인류의 번영을 저해하는 전체주의의 위험으로 이끈다. 끝으로 권리 개념 또한 보편성을 표상하지만, 이 개념은 그 담지자나 상황과 무관하게 보편화될 수 없다. 일례로 하트의 특정권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심각하게 고려되었다. 이와 같은 검토 결과는 현행 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해 보고자 하는 후속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챗봇 활용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정예솔,신동훈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and to explore how chatbot-based learning affects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experiences of science. By analyzing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 criteria, a 6th-grade life sec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 scope, and chatbot was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cience classes using chatbots had a positive effect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experiences of sc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science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in future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as they have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experiences of science.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챗봇을 개발하고 챗봇 활용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긍정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인공지능 교육내용 기준을 분석하여 6학년 생명 분야의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연구 범위로 선정하여 총 6차시의 수업이 가능한 챗봇을 개발하였고, 초등학생 6학년을 대상으로 챗봇 활용 수업을 시행한 뒤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이질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후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챗봇 활용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도와 과학긍정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인공지능 챗봇을 적용한 생명 분야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긍정경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앞으로의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인공지능 융합교육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문화다양성, 초등무용에서의 교육적 의미와 해석-민속표현활동을 중심으로-

        이유리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3 초등교육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discuss what educational meaning cultural diversity has in elementary dance. Despite the cultivation of educational content on cultural diversity, the elementary dance curriculum is still exclusive to learners only based on practical skills. In particular, folk expression activities in elementary dance education aim to cultivate openness to the culture and acquire history and time while learning the dances of various countries.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developed into continuous educational content beyond grade and grade, and furthermore, it can be linked to other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re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he cor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al design should be understood to strengthen cultural and artistic capabilities. Second, strengthening cultural capabilities requires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nderstood as differences and repeti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recognition and respect as educational content delivered by gestures,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education. These discussions refer to the need to understand the changing cultural and artistic sensitivity as an area of expressive activity beyond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content, directly related to the teaching expertise of prospective and front-line teachers. This emphasizes the need to cultivate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future society from elementary school and to grow as much as possible through subject learning. Furthermore, I would like to mention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enhance the cultural capabilities of the professors in charge currently being conducted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이 초등무용에서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무용교육과정은 문화다양성에 관한 교육내용이 함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기 중심으로만 학습자들에게 전유되고 있다. 특히, 초등무용교육에서 민속표현활동은 다양한 나라의 춤을 익히면서 그 문화에 대한 개방성을 함양하고 역사와 시간성을 습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는 학년 별, 학년 간을 넘어 지속적인 교육내용으로 전개되어 나아가 타교과목과 연계성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 가지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문화다양성 수업설계는 문화예술역량강화 차원으로 핵심가치가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역량 강화는 차이와 반복으로 이해될 수 있는 교수법 적용이 필요하다. 셋째, 움직임 교육의 특징인 제스처로 전달되는 교육내용으로써 인정과 존중의 의미를 인식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는 예비교사와 일선교사들의 교수전문성과 직결되면서 일반적으로 교육내용을 이해하는 차원을 넘어 변화되어가는 문화적 감수성과 예술적 감수성을 표현활동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이는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을 초등시기부터 함양하고 교과목 학습을 통해 최대한 성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것이라 하겠다. 나아가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담당 교수들의 문화적 역량 제고 또한 필요한 것으로 언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