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 계층별 상사–부하간의 리더십 특성에 관한 연구 :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중심으로

        김현숙(Hyun Sook Kim)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상사와 부하간의 관계에서 발휘되는 리더십 특성에 대해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조직 계층 구조에서 리더십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그 리더십특성이 한국기업의 소유경영주와 전문경영인의 지배구조 특성에서 나타나는 리더십 특성과 유사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개 회사의 18명 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자 14명은 상사와 부하에 대한 양방향 모두의 역할에 대한 인터뷰에 응하였고, 그 외 네 명은 부하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터뷰 질의에 응답하였다. 총 32명의 상사-부하의 역할을 5개 티어로 직급에 의해 구성하여 리더 십특성을 변혁적 및 거래적 이론과 LMX(leader-member exchange)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각 계층에서 리더십 특성을 연구한 결과, 한국기업의 지배구조 특성에서 나타나는 듀얼리더십 특성이 상사-부하 간 상호관계에서도 듀얼리더십 패턴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리더십 유형이 변혁적 및 거래적 특성으로써 보완적으로 나타나며 조직의 계층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높은 계층에서 변혁적 리더십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지만 상사는 변혁적 특성이 강하고, 부하는 거래적 특성이 두드러졌다. 이 는 조직의 상위계층에서 부하로서의 역할과, 그 임원이 한 조직의 리더로서의 발휘하는 리더십 특성은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반면 낮은 계층에서 전체의 합은 거래적 성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상사-부하 간의 관계가 수직적 관계라기보다는 상호보완적인 수평적 관계로써 소유경영주와 전문경영인 간 발현되는 듀얼리더십 (Dual Leadership)의 특성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comparison analysis on different leadership characteristics exerted between leaders and subordinates in organizational hierarchical tiers from two perspectives. First, we analyzed how different leadership characteristics are based on organizational hierarchical tiers. Second, we divided LMX(Leader-Member-Exchange) leadership characteristics into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to analyze the management style and characteristic of each LMX.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mpiling interview results of eighteen staff members from four different companies. Among the interviewees, fourteen people were asked about dual roles as superiors and/or subordinates. The other four members participated in another questionnaire format, which asked solely about the subordinates’ role. In total, there were 32 roles interviewed which were subdivided into five hierarchical tiers. The interaction between superiors and subordinates was analyzed through the LMX theory framework. The analysis result supported that leadership styles, either transformational or transactional, shown in the relationship of LMX differ in each hierarchical tier in a complementary manne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high ti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predominant, in which superiors tend to be transformational and subordinates were more likely to be transactional. secondly, low tiers leaned towards a transactional management style. Lastly, it turned out that LMX develops into a Dual Leadership structure with horizontal relationship that brings complementary cooperation.

      • KCI등재

        공유리더십의 정성적 측정 도구에 관한 연구: 국내 프로야구 감독의 언론 기사 코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백혜연,장영균,양동훈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1

        Focusing on shared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sports team, this study performs a qualitative research on how 10 managers in the Korean baseball league execute their shared leadership. Departing from the previous works that rely on a survey-based method, this study measures the managers’ shared leadership by using massive texts from media coverage during their tenured periods. The Python web crawling method was utilized to gather the data. Then as grounded theory suggests,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were done to analyze news texts and categorize some critical expressions. A total of 20 Local Grammar Graphs(LGGs) were constructed for the linguistic patterns of four types of shared leadership(Task, Relation, Change and Micropolitical-oriented shared leadership). The UNITEX program was used to capture the actual concordances in the news text. We found that Korean baseball managers tend to show a different frequency of shared leadership, as well as three distinctive patterns of execution, including task-oriented, relation-oriented, and ambidexerous leadership of both. Further, this study found that only relation-oriented shared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performa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literature by tak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measure shared leadership, which can exemplify a new way of understanding for leadership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의 기존 측정 방법의 한계에 주목하고, 대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 리더십 연구들이 주로 설문조사 방법을 채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언론 기사를 언어분석학적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공유리더십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프로야구 10 개 구단 대표 감독들의 공유리더십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감독별 뉴스 기사 전문을 수집한 후, 텍스트 분석 작업을 통해 어휘 사전을 만들고, 공유리더십의 4가지 하위 속성인 과업지향, 관계지향, 변화지향, 정치지향 공유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각 속성의 부분문법그래프(LGG)를 구축하였다. 총 20개의 LGG에 대응하는 실제 기사 전문상의 문맥추출 결과를 활용하여 개별 감독의공유리더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독 간에 공유리더십 발현 빈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주로과업지향형, 관계지향형, 양손형 공유리더십이 발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팀 성과와의관계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관계지향형 공유리더십만이 다양한 팀 성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 측정의 새로운 정성적 방법론(코퍼스 분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의의가 있으며, 빅데이터가 양산되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텍스트 분석질적 방법론은 향후 리더십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Moderated by Collective Leadership

        Ho-June Oh(오호준),Je-Goo Shin(신제구) 대한리더십학회 2017 리더십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집단지성을 통하여 영향 을 미치는 간접효과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조절효과와 조건부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슈 리더십과 집합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보고형 설문방식의 측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무상황에서 정서상태를 표현해주는 정서성(affectivity)을 직급 등과 함께 통제변수로 채택하였고, 국내 500인 이상 규모의 다양한 업종에 근무하는 직장인들로부터 획득한 설문지 319부 중 부적절한 자료(univariate outlier) 8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1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이슈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간 직접효과와 집단지성을 통한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슈 리더십과 창의적 행동 간 관계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단순 조절효과(강화효과)와 조건부 직접효과가 모두 확인되었으며, 이슈 리더십과 집단지성간 관계에서 집합적 리더십의 단순 조절효과(강화효과)와 이슈 리더십이 집단지성을 경유하여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집합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되는 조건부 간접효과 역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서 리더십과 조직행동 분야에서 비교적 연구가 부족했던 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집합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및 조건부 효과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이슈 리더십과 집합적 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goal to present an effective leadership strateg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e 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and how this effect via collective intelligence is assisted by collective leadership to reveal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To resolve potential common method bias from the self-report survey method employed for data collection, affectivity was set as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A 311 out of 319 responses from employees at firms with more than 500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eight univariate outliers. Our analysis results confirmed that issu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at thi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collective intelligence. Also, we identified the simple moderating effect(synergistic effect) and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collective leader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reative behavior, as well a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issue leadership on creative behavior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is moderated(conditional indirect effect) by collective leadership. This study expands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behavior research by examining issue leadership’s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ro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llective leadership and verifying the interaction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collective leadership.

      • KCI등재

        혁신교육에서 교사의 리더십에 적용되는 복잡성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

        김명은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by applying it to the principle of complexity.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analyzed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innovative education,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and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applying complexity princi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 leadership in innovative schools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teacher leadership, and when teacher leadership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novative schools is applied to the principle of complexity,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cy, subjectivity, spontaneity, interaction, change orientation, sharing, and re-creation. In addition, the exercise of leadership as a teacher in the learning field where various situations exist could be applied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principles such as positive feedback of confusion and unstable situations, shared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complexity theory as a principle to explore the process of leadership to accommodate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and successfully demonstrate teacher leadership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complexity. 본 연구는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을 복잡성원리에 적용하여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혁신교육의 특징과 원리,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 복잡성원리를 적용한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에 대해 분석하고 탐색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혁신학교에서 교사리더십은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교사리더십과는 방향이 다르며, 혁신학교라는 특성과 부합하는 교사리더십을 복잡성원리에 적용하여보았을 때, 혁신학교에서의 교사리더십의 특성은 민주성, 주체성, 자발성, 상호작용, 변화지향성, 공유중심, 재창조성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학교라는 다양한 상황이 존재하는학습의 장에서의 교사로서의 리더십 발휘는 혼란과 불안정한 상황의 긍정적 피드백, 교사와 학생의 자기조직화 및 공진화를 통한 동반성장과 창발 등 복잡성원리의 특징과 부합하여 적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양한 환경변화를 수용하고수업방식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혁신학교에서, 교사리더십을 성공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리더십의 과정을 복잡성 원리를 적용하여 탐색적으로 접근하여 보고, 혁신학교의 교사리더십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혁신학교와 교사리더십이라는 개념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원리로 복잡성이론을 제시한다.

      • 군 조직에서 진성리더십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팔로어 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두희(Doo Hee Lee),손승연(Seung Yeon Son)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4

        최근 구성원으로 하여금 직무에 몰입케 하고, 능동적 및 자발적으로 조직 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리더십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진성리더십은 구성원의 진정한 추종을 이끌어 내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는 모범적이고 바람직한 리더십의 하나로 점차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과 구성원의 과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팔로어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으로는 진성리더십의 영향력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적으로는 진성리더십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직차원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특수 목적 조직인 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진성리더십의 효과를 살펴온 선행연구 결과들의 일반화를 확장하는데 기여 하고자 하였다. 육군 부대의 중대장-소대장 152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중대장의 진성리더십의 높을수록 소대장의 과업성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에서 소대장의 능동적 참여, 팀 정신이라는 팔로어 특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성리더십이 일반 조직뿐 아니라 군에서도 효과성이 검증된 유용한 리더십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진성리더십의 영향력 과정을 팔로어 관점에서 찾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의 외연을 확장하였다. 아울러 경쟁우위의 원천인 자발적 및 적극적인 구성원의 육성을 위해서 는 무엇보다도 진정성 있는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의 말미에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ly, military organizations require the use of effective leadership styles in order to promote autonomy and creativity in its members. Increasing followers' autonomy and creativity is believed to foster task commitment and to engage the active and voluntary efforts, which gives organizations a high performance. In the meantime, some large companies were collapsed by leaders' ethical misdeeds and society's need for ethical leaders becomes desperate. Therefore, authentic leadership has received wide attention amo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role of follower characteristics. The sample in this study consists of 152 company commander-platoon leader dyads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Results based on a sample of 152 leader-follower dyads indicate that there is a positive impact between company commanders' authentic leadership and platoon leaders' task performance and follower characteristics. Second, platoon leaders' follower characteristic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task performance. Third,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task performance is fully mediated by followers' active participation and team spiri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followership using company commander-platoon leader dyads in the Army. Second, this study encourages organizations to foster the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and strategic culture.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조직정치 지각의 조절효과

        송용욱,문명,조윤형 리더십학회 2019 리더십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work engagement of the employees in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s. Also, the process and situation of servant leadership's effect on through job calling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hich go along to get ahead and pay/promotion policies. We set the hypothesis was based on direct effect, mediation effect and moderation effect hypothesis and 30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local governments at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s which reflects the meaning of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Second, job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Third,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 on job calling. Also, job call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Four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especially go along to get ahead are moderated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job calling. Finally, we considered moderated mediate effects which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re low on go along to get ahead’s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of job calling.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local government public sectors’s servant lead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is necessary to nurture the servant leader and strengthen the sense of job calling in order to increase the work engagement. Key words: Servant leadership, Job calling,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Go along to get ahead, pay/promotion policies), Work Engagement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과 조직정치 지각을 통해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과정과 상황을 고려하였다. 조직정치 지각은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기와 임금/승진 정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광주, 전남지역 기초자치단체 5곳과 광역자치단체2곳에서 총 308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자치단체는 정치⋅행정⋅경제 전반에걸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구성원들의 근속연수 역시 리더십의 영향력을 살피기에 충분히 장기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하기에 적합하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직업소명의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에 긍정적 영향력이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직업소명의식은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와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는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연구가설로 설정하지 않았지만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조직정치 지각 중 가만히 있기로 조절된 직업소명의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공직에서도 직무열의의 선행변수로 서번트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은 직업소명의식을 높이고 높아진 직업소명의식을 통해 직무열의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익을 위해 가만히 있는 조직정치가 낮은 경우 서번트 리더십이 직업소명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되므로 조직정치를 줄여야 한다는 점 또한 알 수 있었다. 자치단체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무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번트 리더를 육성하여 직업소명의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서번트 리더십, 직업소명의식, 직무열의, 조직정치 지각(가만히 있기, 임금/승진 정책)

      •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innovativeness:The mediating role of team psychological safety

        Joon Hyung Park,Li Da Hu,Chendong Wu,Angus Hooke 대한리더십학회 2014 리더십연구 Vol.5 No.3

        기업 환경이 보다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혁신성을 필요로 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기업의 혁신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는데, 그 중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리더십이다. 기업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이기 위해서는 기업 내의 팀 리더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고, 팀원들이 그들의 일에 몰입하게끔 할 수 있는 비 전을 제시할 수 있는 기업가적 리더를 필요로 한다. 최근에 다른 리더십 형태와는 차별 된 기업가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21세기의 경제와 기업의 발전의 역동성을 고려해볼 때, 기업가적 리더십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기업가적 리더십 분야는 아직 개념과 이론적인 측면에서 초기단계에 있고, 계속 발전해 나가고 있다. 기업가적 리더십 이 혁신성에 도움을 준다고 보지만, 이 부분에 관하여 실증적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 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업가적 리더십과 혁신성의 연결고리를 연구하였고, 구체적으로 팀 심리적 안전이 기업가적 리더십과 혁신성을 매개하는 지를 검증하였다. 기존 문헌 연구를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네덜란드의 여러 기업에서 54개 팀 (팀장 54명, 팀원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PLS 구조방정식 모형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분석 결과, 팀 심리적 안전이 기업가적 리더십과 팀 혁신성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리더십 형태와 다른 기업가적 리더십이 어떻게 팀의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고찰함으로서 리더십 분야에 기여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서 기업가적 리더십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혁신성을 촉진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 에서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과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oday’s dynamic and competitive environment organizations must innovate in order to survive. Researchers have identified a wide range of factors that affect innovativeness. Leadership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factors. To be innovative, organizations may need entrepreneurial leaders who can mobilize the necessary resources and create the kind of visionary scenarios which commit followers to their work. Recently researcher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entrepreneurial leadership as a distinct form of leadership. Entrepreneurial leadership is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dynamic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21 st century and evolving style of leadership that might offer a signifiant break from the past. The field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conceptual and theoretical development. Despite the plausibility of expecting that entrepreneurial leadership would enhance innovativeness, little empirical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into the existence and nature of this link.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innovativeness. We developed a model to explain this relationship and tested it using data covering 54 supervisors and 257 subordinates from a range of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partial least squa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LS-SEM) showed that team psychological safe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team innovativeness.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the leadership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role of a new style of leadership which is the entrepreneurial leadership in fostering innovation in organizations. Also this study helps us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 through which entrepreneurial leadership promotes innovativenes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identify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새로운 리더십 분류기준

        백기복(Kibok Baik) 대한리더십학회 2018 리더십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리더십리뷰논문들을 검토한 후, 리더십이 결과변수에 미치는 두 가지 경로 로서 [인지경로 vs. 감정경로]를 선택하고, 리더가 최종적으로 추구하는 바를 [성과추구 vs. 가치추구]로 선택함으로써, 기존과 다른 새로운 분류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새로운 [2 x 2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기존의 리더십이론들과 리더행동들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인 리더십이론에 해당하는 구조주도, 참여적/위임적 리더십, 독단적 리더십, LMX이론 등은 [성과추구 x 인지경로]의 사분면에 분류되었으 며, 카리스마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론의 여러 차원들은 주로 [성과추구 x 감정] 영역으로 분류되었 다. 아울러, 이슈리더십이나 실용적 리더십 등의 이론들은 인지경로를 이용한 혁신가치를 추구한다는 측면에서 [가치추구 x 인지경로]의 사분면에 배치되었고, 한국형리더십, 서번트리더십, 자기희생적 리더십 등의 이론들은 문화가치에 기반을 두고 감정경로를 통하여 성과에 영항을 미친다는 차원에서 [가 치추구 x 감정경로]에 속하는 이론들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류틀이 어떻게 작동하는 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신바람리더십”이라는 이름의 새로운 리더십스타일을 제시하였다. 이 스타일은 [가치추구 x 감정경로]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고양, 솔선수범, 열정추구, 개인적 친밀감형성, 그리고 집단정체성 강조라는 다섯 가지 차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정이하였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의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proposed a new typology to integrate leadership theories and behaviors with two axis, [cognition vs. emotion] and [achievement-driven vs. value-driven]. Then we classified some major leadership theories and behaviors into each of 2 x 2 matrix. Traditional leadership behaviors like initiating structure, directive leadership, participation and delegation, and LMX all were categorized as the one that belongs to the [Achievement-driven x Cognition] dimension, while elements of charismatic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classified into [Achievement-driven x Emotion]. Issue leadership and pragmatic leadership were to be positioned in [Value-driven x Cognition], while Korean Leadership Style, servant leadership and self-sacrificial leadership were classified into [Value-driven x Emotion]. We also presented a new leadership style, i.e., shinbaram leadership, which has its roots in Korean culture. Defining shinbaram as a collective motivation that touches off long-lasting transcendental feelings and collective identity, we proposed a preliminary model of shinbaram leadership that encompasses five dimensions such as showing confidence, leading by example, imprinting passion, developing personal closeness, and emphasizing collective identity. Study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리더십과 맥락(context):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과제

        장영임,Young-im Jang 대한리더십학회 2013 리더십연구 Vol.4 No.1

        리더십연구에서 맥락은 1960-70년대의 상황이론들에서 핵심적으로 다뤄졌으나, 미시적이고 제한적 범위에 머물렀다. 1980년대 이후, 맥락을 다루지 않은 변화중심의 리더십이론들(예, 카리스마리더십)이 리더십연구를 주도하면서 맥락변수는 잊혀 졌었다. 하지만 최근 맥락과 리더십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발표된 리더십 맥락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현 황을 알아보고 향후의 연구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환경, 조직, 기술 그리고 시스템 등의 구조적 맥락 요소들과 리더십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해야 하지만, 지금까지의 맥락연구들은 용어에 대한 명확한 정의조차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주제에 '맥락(context)'이라는 용어를 포함한 50편의 리더십연구 논문들을 수집하여 이들의 주제별 유형을 여섯 가지로 분류하고 각 논문에서 사용된 맥락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입각하여, 모호하게 남아있던 ‘맥락 (context)'을 ’형식지로 표현할 수 있는 상황과 암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을 포 함한 일련의 리더십 영향요인’이라고 정의하였다. 아울러, 50편을 리뷰한 결과, 사회 상황, 조직상황, 상황의 특성, 산업/규모, 리더의 특성상황, 환경과 인식의 변화 등 일곱 가지 변수들이 맥락을 대표하는 변수로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 리더십맥락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고, 맥락의 개념이 불명확하며, 맥락과 리더십의 다양한 관계가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측정도구도 정립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리더십 ‘맥락(context)'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방향을 토의하였다. Contexts in leadership research has been dealt with as a core concept by the situational leadership theorists during 1960-70’s, but only within a limited range. When change-oriented leadership theories such as charismatic leadership that put emphasis on leaders’ direct impact on outcomes have taken the stage since the 1980’s, the variable context was neglected. Recently, however, diverse efforts are exerted to expand the context research into social, environmental, structural, and socio-economic areas. Th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t the stage for future research on context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In brief, although it is necessary to delve into context variables such as environmental, organizational, technological, and systemic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leadership, research on context so far is failing even to come up with clear definitions of the context itself. The current study collected 50 leadership articles that contain ‘context’ in the title, and categorized them into 6 groups before analyzing the contents of each article. After reviewing 50 articles, a definition of context has been suggested as in: “a series of situational variables that affect leadership outcomes, including situations being implicitly understood or being explicitly expressed”. Review of the collected articles also revealed that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social, organizational, industry/size, situational and leader’s characteristics, chang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s have represented the leadership context. Overall, there exist few studies of leadership context in Korea, the concept of context still remains ambiguou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xt and leadership has not been specified, and the measurement for context is not established. Finally, variou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ontext have also been discussed.

      • 정서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비교

        김문주,정예지,Moon-Joo Kim,Yejee Jeong 대한리더십학회 2013 리더십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많은 리더십 유형 중에서도 특히 긍정조직학 연구에 기반한 정서적 리더십 과 진성 리더십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구성원들이 조직과 팀 속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정서와 긍정적인 감정에 초점을 두면서 등장하게 된 긍정조직학의 연구자들은 지금처럼 실업률이 증가하고 경제 불황이 길어지며 구조조정이 일상화된 상황에서는 자신감, 낙관, 에너지, 열정 등의 긍정정서가 중요하다고 역설하면서 이를 통해 구성원들이 일에 대한 의미와 소명감을 찾는데 보다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 두 리더십은 구성원들에게 긍정성을 가져옴으로써 그들의 정신적 건강 뿐 아니라 실제적인 성과에도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렇듯 정서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지만 리더십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 요소와 명확한 정의, 개념,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다양한 의견들이 공존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자유로운 경쟁을 표방하면서 단기적 성과와 재무적 이익만을 위해 비윤리적이고 부도덕한 모습에 눈을 감았던 기존의 리더십을 보완할 수 있으며 부하직원들의 긍정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긍정의 리더십, 즉 정서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의 공통점과 차이점, 구성요소, 그리고 조직과 팀 에 미치는 상이한 영향력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각각의 역할과 앞으로 두 리더십 연구가 나 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and compares the theories and construct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authentic leadership which emerged as one of the most interesting but unknown field in leadership studies.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r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positive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the workplace because positivity such as hope, optimism, and energy brings its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higher performance. Unlike existing leadership approaches, emotional and authentic leaders make a role model for employees' psychological positivity than any other type of leaders. Even though these two leadership have been based on a very basic construct of positive leadership, they are different concepts and constructs. Emotional leaders emphasize leader's higher emotional authenticity and its emotional contagion but authentic leaders emphasize self authenticity and its cognitive contagion for employees' positivity. In conclusion, authors argue that they could be independent leadership forms, but complementary to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