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acillus lentimorbus WJ5의 감마선유도 돌연변이체들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방사선 관련 유전자의 microarray 분석

        이영근,장화형,장유신,허재호,형석원,정혜영 한국환경생물학회 200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으로 유도된 돌연변이체들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방사선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연구하기 위하여, B. lentimorbus WJ5의 방사선 유도 돌연변이체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DNA microarray로 동시에 탐색하였다. DNA microarray는 B. lentimorbus WJ5 genome을 무작위로 절단하여 2,000단편으로 구성하였으며, 감마선 (^(60)Co)으로 유도된 7돌연변이체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관찰하였다. 클러스터 분석결과 발현된 408 유전자 중 27개가 감마선 유도 돌연변이체 모두에서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되었다. 특히, 복구(mutL, mutM)에너지 대사 (acsA, sdhB, p하, yhjB, citB), protease(npr), 산화자극에 대한 환원 (HMM)관련 유전자들이 동시에 증가되었다. 이는 감마선 유도 돌연변이체들에서 자발적인 직/간접 복구 관련 유전자의 발현 증가는 방사선 노출 직후 보이는 stress response와는 다른 현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To study the radiation related gene expression in mutants of Bacillus lentimorbus WJ5 induced by gamm radiation, the simultaneous gene expression was analyzed by DNA microarray. We constructed DNA chips including two thousand randomly digested genome spots of B. lentimorbus WJ5 and compared its quantitative aspect with seven mutants induced by gamma radiation (^(60)Co). From the cluster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attern, totally 408 genes were expressed and 27 gene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the gamma radiation in all mutants. Especially, genes involved in repair (mutL, mutM), energy metabolism (acsA, sdhB, pgk, yhjB, citB), protease (npr), and reduction response to oxidative stress (HMM) were simultaneously upregulated. It seems that the induction of the direct and/or indirect repair related genes in mutants induced by gamma radiation could be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adaptive responses against acute exposure to radiation.

      • 안면부, 유방 및 상완부에 발생한 홍반성 루푸스 지방층염 1예

        송유근,손두식,명형준,이현정,임중규,김순호,김윤아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4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9 No.2

        Lupus erythematous pannicul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subcutaneous fat that occurs in 2-3% of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Lupus erythematous panniculitis typically presents with firm, indurated subcutaneous nodules or plaques commonly developed in proximal extremities, trunks, head and neck. Face, breast and upper extremities involvement with lupus erythematous panniculitis has been infrequently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lupus erythematous panniculitis developed in a 27-year-old female confirmed by histologic features and laboratory findings.

      • 결핵성 육아종에서 Thioredoxin peroxidase-2 의 발현

        박근호,유형륜,정영진,윤기중,한원철,유대열,문형배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1999 圓光醫科學 Vol.15 No.2

        Background: Thioredoxin peroxidase(TPX) is a kind of recently discovered antioxidant enzyme which react as rapid hydrogen ion donor for the removal of hydroperoxide. The a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TPX was poorly understood in the human diseases. This experiments were designed for the study about the distribution of the TPX in the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and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TPX and the site of inflammation, histological activities of tuberculous inflammation or existence of mycobacterium in the inflammatory foci. Methods: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s were performed for the localization of the TPX-2 in the epithelioid cells, giant cells and lymphocytes in the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The tissue sections were obtained from the paraffin blocks of the 54 cases of tuberculosis (lung 21 cases, lymph node 12 cases, bone and soft tissue 12 cases, kidney 9 cases; active 33 cases, inactive 21 cases by the histologic classification; presence of mycobacterium 15 cases, no mycobacterium 39 cases by PCR reaction). Results: The expression of TPX-2 was 16.7% in the giant cells, 27.8% in the epithelioid cells and 100% in the lymphocytes of tuberculous inflammations. The expression of TPX-2 in the giant cells and epithelioid cells of the tuberculosis were 28.6% and 57.1% of the pulmonary tuberculosis; 33.3% in each cells of the renal tuberculosis; 0% in each cells of the lymph node or bone and soft tissue tuberculosis. The expression of TPX-2 in the giant cells and epithelioid cells were 9.1% in each cells of the active tuberculosis and were 28.6% and 57.1% in each cells of the inactive tuberculosis by histologic classification. The expression of TPX-2 in the giant cells and epithelioid cells was 40% in each cells of tuberculosis which mycobacteria were detected and the expression of TPX-2 was 7.7% and 23.1% in each cells which mycobacteria were not detected by PCR reaction in the paraffin embedded tissue.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were summarized that the TPX-2 in the giant cells and epithelioid cells were more frequently expressed in the inactive tuberculosis than in the active tuberculo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PX-2 is a kind of regulating or suppressing factors in the activity of the tuberculosis.

      • KCI등재

        Bacillus sp. MS202에 의한 Dinitroaniline계 제초제인 Pendimethalin의 부분환원

        이영근,장화형,장유신,형석원,정혜영 한국환경농학회 200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3 No.4

        토양과 지하수에서 pendimethalin의 지속성은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경남 마산에서 분리한 pendimethalin분해 균주는 API CHB50 kit 시험, FAME 분석, 그리고 165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 Bacillus sp. MS202로 잠정적으로 동정하였다. TLC, GC, 그리고 GC-MS 분석에 의해 Bacillus sp. MS202가 pendimethalin의 -NO₂를 -NH₂로 환원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pendimethalin 분해가 탈알킬화가 우선한다는 보고와 상반되는 새로운 결과이다. The persistence of pendimethalin in soil and ground water has an injurious effect on ecosystem. Pendimethalin-degrading bacterium was isolated from Masan, Gyeongnam province and temporarily identified as Bacillus sp. MS202 by the analysis of API CHB50, kit, FAME, and 16S rDNA sequence. From the analysis of pendimethalin metabolite using TLC, GC, and GC-MS, we found that the degradation of pendimethalin by Bacillus sp. MS202 did not result in the dealkylated form, but the formation of the reduced compound, 6-amino-2-nitro-N(1-ethylpropyl)-3,4-xylidine or 2-amino-6-nitro-N(1-ethylpropyl)-3,4-xylidine.

      • KCI등재후보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현경,유형근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본 연구는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엽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읽기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결과와 학습기술 검사에 포함된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검토하여 공통요소를 토대로 5개의 읽기기술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읽기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읽기의 6단계를 설정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11회기의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한 학급을 실험집단에,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에 28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명철,정태근(2001)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맞게 제작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했으며 양적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회기별 경험 보고서와 상담일지를 통한 상담자 관찰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기술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파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Modem society is information-oriented and requires a learner to acquire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lifetime, which can be fostered through a learning skills training. In particular, reading skills contain a very important meaning, in terms of the point that school learning is implemented by reading study materials or information in printed data such as pictures or writing. The research seeks to prove effects of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o do this, the research examin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reading-skill and constituent factors of reading-skill included in learning skills examination, and selected 5 reading-skill constituent factors based on common elements. Based on these constituent factors, the research established 6 stages of reading in order to acquire effective reading-skills and formed 11 sessions of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at higher levels. To verify hypothesis, the research selected at random 2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grade 5 level, placed one class as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class as control group-each class composing of 28 students, and implemented program to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Results showed that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s on lower-ranking elements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uch as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e, and enhancement of learning self-concept. Further, reading-skills enhancement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s o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hancement of academic achievements in Korean, Social studies and Science subjects.

      • KCI등재

        에탄올 투여 랫드에서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곰취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에탄올 동물모델에서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의 경우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혈청 중 GGT(γ-glutamyl transferas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LDH(lactate dehydrogenase)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100, 200, 400 mg/kg BW) 및 발효물(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GG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곰취 열수 추출물(200, 400 mg/kg BW) 및 발효물(100, 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ST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ALT 및 LDH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HDL(high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정상식이군과 대조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발효물 투여군(200, 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LDL(low density lipoprotein)-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중성지방의 경우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대조군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곰취 열수 추출물(400 mg/kg BW) 및 발효물(200, 400 mg/kg BW) 투여군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 비율 및 동맥경화지수를 조사한 결과 모든 처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 내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발효물 투여군(400 mg/kg BW)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물을 투여한 모든 농도에서 MD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 결과 모든 처리군에서 간문맥에 염증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지방증 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곰취 열수추출 발효물의 투여가 혈청 GGT, AST, ALT 및 LDH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간 조직 내 SOD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써 알코올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F) on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rats. Ethanol-treated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eight groups: ethanol-treated group (control), ethanol and ursodeoxycholic acid-treated group (positive control), ethanol and non-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body weight)], ethanol and LAF-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γ-Glutamyl transferase activities of the ethanol+LA-treated (100, 200, and 400 mg/kg BW) groups and ethanol+LAF-treated (400 mg/kg BW)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ies of the ethanol+LAF-treated (100, 200, and 400 mg/kg BW) groups and ethanol+LA-treated (200 and 400 mg/kg BW)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all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all groups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liver tissues was enhanced in the ethanol+LAF-treated (400 mg/kg BW) group (P<0.05). The contents of malondialdehyde in liver tissues decreased in the ethanol+LAF-treated groups (P<0.05). All treated groups showed well preserved lobular architectures with no evidence of steatosis or liver dama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LAF may improve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alleviate hepatic damage by ethanol.

      • KCI등재

        D-Galactosamine 투여 랫트에서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독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10

        본 연구는 산채류 중 널리 섭취되고 있는 곰취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고자 DGalN 동물모델을 통해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의 간 기능 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은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간 무게는 곰취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혈청 중 GGT 분석 결과 곰취 열수 추출물과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특히 발효물 투여군의 경우 GGT, AST, ALT 및 LDH의 효소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40% 이상 감소하였다(P<0.05). 총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모든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LDL-콜레스테롤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총 콜레스테롤 함량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의 비율은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동맥경화지수의 경우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발효물의 경우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간 조직 내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DA 함량은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MDA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간 조직 병리학적 분석 결과 곰취 열수 추출물 및 발효물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사멸사 지수, 문맥엽 염증 지수 등이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곰취 열수 추출 발효물이 간 기능 효소의 활성 억제, 혈청지질 대사 개선, 간 조직 내 SOD 활성증가 및 과산화지질을 감소시켜 D-GalN으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F) on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D-galactosamine (D-GalN) in rats. In this experimen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which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normal group, D-GalN-treated group (control), D-GalN and non-fermented water extracts from Ligularia fischeri (LA)-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body weight)], and D-GalN and LAF-treated groups (100, 200, and 400 mg/kg BW). γ-Glutamyl 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serum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evel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 atherogenic index value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and thei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by total cholesterol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se groups (P<0.05).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of liver tissues were enhanced significantly (P<0.05) in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whereas their malondialdehyd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se groups (P<0.05). The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revealed apoptotic cells and mild portal inflammation in liver tissues of the D-GalN and LAF-treated group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LAF may improve plasma lipid profile and alleviate hepatic damage.

      • KCI등재

        에탄올 투여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독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유근형(Keun-Hyung Yu),이선엽(Sun-Yeop Lee),양현모(Hyun-Mo Yang),함영안(Young-Ahn Ham),이수응(Soo-Ung Lee),채승완(Seoung-Wan Chae),이용진(Yong-J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0

        본 연구는 에탄올을 투여한 랫트에서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간 기능 개선 및 혈청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향후 간 기능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발 원료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을 알코올로 간 독성유발한 실험쥐에게 경구투여한 후 정상식이군, 양성대조군, 에탄올 투여군,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200 mg/kg BW) 및 고농도(400 mg/kg BW) 투여군으로 나눠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기간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및 간 무게 변화에는 통계적으로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종료 후 혈청과 간 조직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간 기능의 주요 지표인 AST, ALT 및 GGT 효소 활성측정 결과 정상식이군에 비해 알코올 투여군에서 각 효소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DH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리군 간 유의성은 없었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저농도 투여군의 경우 ALT 및 GGT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AST 및 LDH 활성도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처리군의 경우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중성지방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항산화효소 활성 및 과산화지질 함량을 알아보고자 SOD 활성 측정 결과 에탄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정상식이군과 비교하여 SOD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SOD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간 조직 내 과산화지질의 분해산물인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을 단독투여한 대조군에서 MDA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진쑥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MDA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 염색결과 알코올을 투여한 대조군에서 미세공포와 풍선모양세포변성이 중심정맥 주변이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며, 인진쑥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거의 정상군와 유사한 정상 간 조직 형태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인진쑥 열수 추출물이 rat의 간 기능개선 및 혈청의 지질대사를 개선하고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손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기능 개선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capillaris (AA) on the reduction of hepato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rats. In this experiment, Sprague Dawley ra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5 groups; normal group, ethanol+UDCA (ursodeoxycholic acid)-treated group (positive control), ethanol-treated group (control),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200 mg/kg of BW) and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400 mg/kg of BW).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gamma(γ)-glutamyl transferase) and LDH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ies of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 (400 mg/kg of BW)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the ethanol-treated group (P<0.05). The triglyceride level of the ethanol-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P<0.05). On the other hand, the triglycerid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in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s.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was enhanced significantly (P<0.05) in the ethanol+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treated groups. Also, malondialdehyde contents were decreased in this group (P<0.05). Histologically,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mild degenerative change around central venule. The AA treated group showed well preserved lobular architectures with no evidence of steatosis or liver damage in aqueous extract from the leaves of Artemisia capillaris treated group (H&E, ×20).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Artemisia capillaris aqueous extract may ha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hepatic damage by ethan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