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ommon features of atopic dermatitis with hypoproteinemia

        Jo, So Yoon,Lee, Chan-Ho,Jung, Woo-Jin,Kim, Sung-Won,Hwang, Yoon-Ha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61 No.1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es, symptoms, and complications of hypoproteinemia to prevent hypoproteinemia and provide appropriate treatment to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Children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with hypoproteinemia and/or hypoalbuminemi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including family history, weight, symptoms, treatment, complications, and laboratory test results for allergies and skin cultures, were examined. Results: Twenty-six patients (24 boys) were enrolled. Seven cases had growth retardation; 7, keratoconjunctivitis; 6, aural discharges; 5, eczema herpeticum; 4, gastrointestinal tract symptoms; and 2, developmental delays. In 21 cases, topical steroids were not used. According to the blood test results, the median values of each parameter were elevated: total IgE, 1,864 U/mL; egg white-specific IgE, $76.5kU_A/L$; milk IgE, $20.5kU_A/L$; peanut IgE, $30kU_A/L$; eosinophil count, $5,810/{\mu}L$; eosinophil cationic protein, $93.45{\mu}g/L$; and platelet count, $666.5{\times}10^3/{\mu}L$. Serum albumin and total protein levels decreased to 2.7 g/dL and 4.25 g/dL, respectively. Regarding electrolyte abnormality, 10 patients had hyponatremia, and 12, hyperkalemia. Systemic antibiotics were used to treat all cases, and an antiviral agent was used in 12 patients. Electrolyte correction was performed in 8 patients. Conclusion: Hypoproteinemia accompanying atopic dermatitis is common in infants younger than 1 year and may occur because of topical steroid treatment continuously being declined or because of eczema herpeticum. It may be accompanied by growth retardation, keratoconjunctivitis, aural discharge, and eczema herpeticum and can be managed through skin care and topical steroid application without intravenous albumin infusion.

      • SCOPUSKCI등재

        지충이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활성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감마선 조사의 영향

        이소정(So-Jeong Lee),송유진(Eu-Jin Song),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윤소영(So-Young Yoon),이청조(Chung-Jo Lee),정지연(Ji-Yeon Jung),박나비(Na-Bi Park),곽지희(Ji-Hee Kwak),박진규(Jin-Gyu Park),김재훈(Jae-Hun K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4

        지충이(Sargssum thunbergii) 분말 및 에탄올과 물 추출물에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후,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활성 및 물리적 특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지충이 분말에 감마선 조사를 하였을 때, 조사선량에 따라 물 추출물의 수율과 페놀함량이 증가 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마선 조사한 지충이 추출물의 열과 pH 처리에 따른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변화를 측정한 결과, 열 및 pH 처리에 안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감마선 조사에 따른 항균활성 측정결과, 5종의 그람 양성균에 대해 조사선량에 따른 활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감마선 조사에 따른 색도 및 점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색도와 점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마선 조사는 지충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등의 생리활성은 유지시키면서 수율의 증진과 색도 및 점도의 개선을 통해 추출물의 가공적성을 향상시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3-20 kGy) on the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argassum thunbergii (ST) extracts. When ST powder was treated by gamma irradiation, the yields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TPC) of water extracts were increased, bu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not changed. When ST extract was irradiated, the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ddition, gamma irradiation of ST extract decreased viscosity and removed col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mma irradiation would be a useful method for improv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T extract while maintaining native biological activities.

      • KCI등재

        상백피, 곰피 및 강황 추출물 첨가에 의한 카스텔라의 저장성 및 품질증진 효과

        윤소영(So-Young Yoon),최정수(Jung-Soo Choi),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송유진(Eu-Jin Song),김서진(Seo-Jin Kim),이소정(So-Jeong Lee),이청조(Chung-Jo Lee),김태완(Tae-Wan Kim),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상백피, 곰피 및 강황 혼합 추출물 첨가가 카스텔라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5일간 저장하여 일반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무처리구에 비하여 첨가구의 미생물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첨가구의 산화보호지수가 높아 산화방지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도의 경우 무처리구에 비하여 첨가구의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상백피 0.25%, 곰피 0.25% 및 강황 0.125%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상백피 0.75%, 곰피 0.75% 및 강황 0.5%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백피, 곰피 및 강황 혼합 추출물을 각각 0.25%, 0.25% 및 0.125%의 농도로 첨가할 경우 카스텔라의 저장성, 품질 증진 및 관능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helf life and qualities of castellas added with mixture of Morus alba root bark (MA), Ecklonia stolonifera (ES), and Curcuma aromatica (CA) extracts (MECE). The result of total microbial cell count showed that castellas with MECE were increasing storage time, especially at the rate of MA : ES : CA=0.75:0.75:0.5, and was reduced about 3 log cycle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Also castellas with MECE were shown to have the highest antioxidant effect by Rancimat method. In the color, redness of castellas diminish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MECE in castellas while conversely, light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In sensory evaluation, the castella containing MA 0.25%, ES 0.25% and CA 0.125% were preferred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MA 0.25%, ES 0.25% and CA 0.125% in castella positively improved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quality.

      • KCI등재

        와송(Orostachys japonicus)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이소정(So-Jeong Lee),송유진(Eu-Jin Song),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ch-Bong-Woo-Ri Kim),김서진(Seo-Jin Kim),윤소영(So-Young Yoon),이청조(Chung-Jo Lee),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1

        와송의 부위별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고 열 및 pH 처리가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식품산업에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ancimat에 의한 지질산화 억제능은 4 ㎎/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안정지수가 잎 및 뿌리에서 1.92 및 2.00의 값을 보여 1.28의 값을 보인 줄기에 비해 높은 억제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잎, 줄기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0.4 ㎎/mL 농도에서 92~96%의 값을 보여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과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도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반면, 금속봉쇄력은 에탄올 추출물은 잎에서 높은 금속봉쇄 효과를 보였으나 물 추출물에서는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4 ㎎/mL 농도에서 90%에 가까운 금속봉쇄력을 보여 킬레이트제인 EDTA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DPPH 라디칼 소거능, 금속봉쇄력을 통해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지며, 그중 특히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와송잎 에탄올 추출물을 열 및 pH 처리한 결과 라디칼 소거능이 무처리구와 유사한 값을 보여 와송잎 추출물이 열 및 pH에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와송잎 추출물은 열 및 pH에 안정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져 천연항산화제로서 식품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leaf, stem, and root were determined by rancimat method,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chelating effect, and reducing power analysis.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 (TPC) as 14.6 ㎎/g of dry sample an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in rancimat method (value of AI 1.98),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96% in 4 ㎎g/mL), and reducing power (1.50 in 4 ㎎/mL) were observed in ethanol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leaf. Heat and pH stabilit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Orostachys japonicus leaf extract were studied through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s a result, the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leaf showed high st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leaf can be potentially used as proper natural antioxidant in the food industry.

      • SCOPUSKCI등재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윤소영(So-Young Yoon),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송유진(Eu-Jin Song),이소정(So-Jeong Lee),이청조(Chung-Jo Lee),박나비(Na-Bi Park),정지연(Ji-Yeon Jung),곽지희(Ji-Hee Kwak),남기완(Ki-Wan Nam),안동현(Dong-Hyun A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해조류인 모자반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aper disc법과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6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물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에탄올 추출물은 4 ㎎/㎖ 농도에서 실험에 사용된 모든 그람 양성균, Saccharomyces cerevisiae와 Candida tropica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는데, 특히 Bacillus subtili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inoccua 및 Listeria monocytogenes 및 C. tropicalis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그람 음성균, Candida albicans 및 곰팡이 2종에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자반 에탄올 조추출물에 대한 MIC test를 실시한 결과, 0.0063% 농도에서 C. perfringens와 C. tropicalis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0.0125% 농도에서 L. monocytogenes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또한 0.025% 농도에서 B. subtilis, L.inoccua 및 Lactobacillus plantarum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열 및 pH 안정성 실험결과, 121℃에서 15분간 열처리와 pH 2-10 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argassum fulvellum (SF) was investigated using the agar diffusion assay and MIC test.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is activity under extreme heat and pH conditions was examined. The SF ethanol extract was shown to displa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B. subtilis, C. perfringens, L. plantarum, S. aureus, L. monocytogenes, S. cerevisae and C. tropicalis in the agar diffusion assay at the concentration of 4 ㎎/㎖. The MIC value of the SF ethanol extract against the tested microbes ranged from 0.05 to 0.0063%. In the heat and pH stability tes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F ethanol extract was not altered when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121℃ for 15 min, and it was also not affected in the pH range of 2-10.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F ethanol extract is highly stable against drastic changes in temperature and pH.

      • KCI등재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윤소영(So-Young Yoon),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송유진(Eu-Jin Song),김서진(Seo-Jin Kim),이소정(So-Jeong Lee),이청조(Chung-Jo Lee),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와송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의 2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법과 MIC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와송 잎, 줄기 및 뿌리의 물 추출물과 와송줄기와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6종에 대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S. cerevisiae와 P. expansum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특히, C. perfringens에 대해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cerevisiae에 대해서도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121oC에서 15분간 가압가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를 제외한 균주에 대하여 pH 2~10까지 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이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와송 잎 유래의 항균성 물질은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leaf, stem and root of Orostachys japonicus. On the paper disc assay, no detectable bactericidal activity in the water extracts from leaf, stem and root of Orostachys japonicus and ethanol extracts form stem and root of Orostachys japonicus was shown. However, ethanol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leaf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ethanol extracts was determined to range from 0.05 to 0.1% in leaf of Orostachys japonicus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and yeast.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as stable by heating at 121℃ for 15 min, and not affected by pH 2~10 except for B. subtilis. These findings suggest ethanol extract from leaf of Orostachys japonicus may be useful as natural preservative.

      • SCOPUSKCI등재

        외톨개 모자반(Myagropsis myagroides) 추출물 첨가에 의한 빵의 저장성 증진 및 품질 향상 효과

        이청조(Chung-Jo Lee),최정수(Jung-Su Choi),송유진(Eu-Jin Song),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서진(Seo-Jin Kim),윤소영(So-Young Yoon),이소정(So-Jeong Lee),박나비(Na-Bi Park),정지연(Ji-Yeon Jung),곽지희(Ji-Hee Kw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1

        외톨개 모자반 발효주정 추출물을 0.5, 1, 2% 농도로 첨가하여 제조한 모닝빵의 저장성,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6일간 25℃에 저장하며 일반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서 외톨개 모자반 추출물 첨가농도에 의존적으로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또한 외톨개 모자반 추출물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산화 억제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여 어두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면 황색도의 경우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결과 전체적 기호도에서 0.5, 1%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0.5% 첨가구가 맛과 질감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외톨개 모자반 발효주정 추출물을 0.5-1% 정도 첨가할 경우 저장성, 품질 증진 및 관능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s made with 0.5, 1 and 2% of Myagropsis myagroides fermented ethanol extracts (MOE). The total microbial count in breads made with 2% MOE decreased to about 1.6 log cycles as compared to that of breads not containing MOE. The protection index measured by rancima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MOE in the breads.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pH value was not different between breads containing MOE and breads not containing MOE.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the bread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MOE, while the yellowness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breads containing 0.5% MOE were more preferred than the breads not containing MO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0.5% MOE to breads has a good effect on improving the shelf-life and overall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