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장치로서 개인의 몸에 관한 미학적 고찰

        김우진 ( Kim¸ Wooji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 2021 예술과 미디어 Vol.20 No.2

        본 연구는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사회적 '장치’로서 개인의 몸이 가지는 의미를 연구하고, 그것이 동시대 시각예술작품에서 비판적으로 드러나는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예술이 사회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미셸 푸코는 생체 권력과 유순한 몸에 대해 논의하면서 근대 이후 개인의 신체는 그 자체가 권력이 작동하는 공간으로 개개의 신체는 훈련받아야 하는 개체로 여겨져 왔다고 언급한다. 다양한 방식으로 미시적인 훈육 과정을 거친 개인의 몸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미세하게 다르지만, 당대의 사회 권력을 담는 개체가 된다. 나아가 몸은 타자에게 권력을 전파하는 장치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몸은 기억의 장소로 변모하여 내재된 권력이 그 안에서 더욱 쉽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다. 2000년대 이후로 넘어오면서 개인의 몸에 대한 통제는 더욱 미시적이고 은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개인의 행동에 대한 관찰은 행동 하나하나를 일련의 패턴으로 변형되어 기록되는 것으로 연결되고, 이는 권력과 사회에 필요한 특정한 행동 양식으로 도출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행동 패턴은 다시 개인의 편의라는 이름으로 훈육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셸 푸코와 조르주 아감벤의 개인의 몸과 권력 그리고 장치와의 관계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알라이다 아스만 등이 언급한 정치·사회적 기억 공간인 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한다. 이를 바탕으로 옥인 콜렉티브, 자크 블라스, 줄리앙 프레비유의 작품분석을 시도한다. 가장 은밀한 공간인 개인의 몸을 사회적 맥락 안에서 고찰하고, 관련 예술작품을 분석해보는 것을 통해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것을 비판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는 시도를 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진다. 예술작품이 사회 담론들을 비판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분석해보는 것을 통해 예술이 동시대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앞으로 이를 확장하여 논의를 이어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 body as a social ‘dispositif’ in the social context to discuss the ways by which its meaning is critically manifested through contemporary visual artworks. While Michel Foucault argues about the ‘bio power’ and ‘docile body’, he theorizes the docile body as a malleable object on which disciplinary force is acted, a node in the complex field in which power is organized and arranged. The body encompassing micro-disciplines in various aspects defines a certain mode of detailed political power and a social dipositif that conveys its power to others. The body upon discipline transforms into storage of memory that facilities the operation of embedded force. The regulation of individuals has been reinforced at a more microscopic and private level after the 2000s. The behavior of individuals is analyzed and collected into data that contains a series of patterns that reveals a certain behavior pattern adequate for the purpose of power and society. Thus, the behavior pattern is disciplined to serve the convenience of individuals. This study considers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body constituting a collective memory of policy and society suggested by Aleida Assmann with the background premise of the relation of individual body, power, and dispositif stated by Michel Foucault and Giorgio Agamben. The works by Okin Collective, Zach Blas, and Julien Prévieux are profoundly examined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which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meaning infused in the art that embraces a critical outlook on society.

      • 광하전과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탄소입자의 포집효율 특성 연구

        김우진(Woojin Kim),정재희(Jaehee Jung),김학준(Hakjoon Kim),김용진(Yong Jin Kim),김상수(Sang Soo Kim)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Recently, PM reduction is the international issues in environmental sector and automobile industry. Morever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has various problems such as pressure drop, crack of filter in high temperature and inapplication at light duty vehicles.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reduction of several tens nano sized carbon particles using direct photoelectric charging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at once. Because the photoelectric charging effect which is maximized in the range of several tens nano sized particles, the ESP was connected to the photoelectric charging unit directly, and we performed in the high temperature region because photoelectric yield is increased in high temperature. The aerosols were pure carbon particles which are produced by a carbon spark generator. We studied photoelectric charging effect and collection efficiency of ESP in both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전국대학교 국악학과 연합세미나”의 성과와 의의

        김우진(Kim, Woojin) 한국국악교육학회 2022 국악교육 Vol.51 No.51

        이 논문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전국대학교 국악학과 연합세미나”가 국립남도국악원의 ‘국악학 기초연구 활성화’사업으로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 성과를 진단한 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1987년 학부 신입생들의 배움에 대한 열망으로 시작한 작은 파동이, 2002년에 전남대학교와 부산대학교의 연합세미나로 발전하게 되었고, 2008년에 전국 규모의 세미나로 확대되었으며, 2010년에 국립남도국악원의 정식 사업으로 채택되었다. 2022년 현재까지 참여한 대학교는 경북대, 단국대, 부산대, 서울대, 영남대, 전남대, 전북대, 중앙대, 한양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10개 대학이며, 참여한 연인원은 1602명이고, 발표 논문은 628편에 이른다. 이 행사는 지도교수의 특강과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한 특강 등을 통하여 학생의 연구 시야를 넓혔으며, 토론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from 2010 to the present, from “Jeonguk Daehakgyo Gugak Yeonhab Seminar” (Gugak Dept. Union Seminar of University in Korea) to the establishment of the Jindo National Gugak Center’s ‘Basic Korean Traditional Research Revitalization project, diagnosing the results, and then It is intended to provide direction. What started as a small wave of undergraduate freshmen’s desire for learning in 1987, developed into a joint seminar betwee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2002, expanded to a union seminar of universities in 2008, and was officially established by the Jindo National Gugak Center in 2010. was adopted as a business. Up of now, 10 universities have participate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nkook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Yeungnam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062 people participated and 628 papers were published. Furthermore, special lectures were conducted by inviting experts for students. This event broadened students’ research horizons and contributed to raising the quality of discussion through special lectures by advisors and special lectures by experts in each field.

      • 레벨 3 자율주행자동차에서의 운전자 제어권 전환 능력 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우진(Woojin Kim),김현숙(HyunSuk Kim),김정숙(Jungsook Kim),이승준(Seung-Jun Lee),최재륜(Jae Ryun Choe),윤대섭(Daesub Yoo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논문은 레벨 3 자율주행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제어권 전환 과정을 운전자가 얼마나 안전하게 수행하였는지 평가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터 기반에서 자율주행에서 수동운전으로 전환되는 제어권 전환 시나리오를 수행한 운전자의 인적요인을 측정 및 분석하여 제어권 전환 능력을 정량화하여 표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동일인 지정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Centrality 적용 실증분석 및 제도 개선 방향

        김우진(Woojin Kim),이은정(Eun Jung Lee),최난설헌(Nansulhun Choi) 한국법경제학회 2020 법경제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Almeida et al.(2011)의 중심성 지수(centrality) 개념을 국내 대규모 기업집단에 적용하여, 기업집단 내 핵심기업의 지배주주 및 CEO가 실제 공정위에 의해 지정된 동일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55개 분석 대상 기업집단 중 40개 집단(73%)에서 양자가 일치하였으나, 나머지 15개 집단(27%)에서는 양자가 불일치하였으며, 대부분의 불일치 집단은 승계 과정 중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동일인 지정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 본 논문에서는 기업집단의 범위 획정을 위한 기준점과 사익편취 방지 대상 기준점을 분리하여, 전자에 대해서는 기준점을 자연인이 아닌 법인으로 일원화함으로써 전근대적 1인 지배체제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 ‘same person’, de facto controlling shareholder of a large business group formally designated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is identical to the ‘implied’ controlling shareholder identified through ‘central’ firms of a business group as developed by Almeida et al.(2011). We find that among the 55 large busies groups, the implied and actual ‘same person’ coincided in 40 groups(73%), but in the remaining 15 groups(27%) the identities of the implied and actual ‘same person’ were different. The difference is mostly due to succession within the family business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urrent method of designating the ‘same person’ should be re-evaluated. We suggest a new policy direction that separates the focal point for identifying business groups and the focal point for regulating tunneling. For the former, the focal point should be a firm, not a natural person, which is expected to mitigate the continuation of authoritarian one-man leadership.

      • 은행그룹의 비용구조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우진 ( Kim Woojin ),이대기 ( Lee Taiki ) 한국금융연구원 2017 KIF 연구보고서 Vol.2017 No.6

        1. 논의의 배경▣ 본고는 비용의 증감과 경영성과 간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움직이는지에 대해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하고, 국내 은행그룹에 던지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음. · 경영성과는 총자산이익률(ROA), 총주주수익률(Total Share -holder Return), 배당성향 등 세 가지 측면을 고려· 그 동안의 논의가 성장성, 수익성 중심의 top line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던 데 비해 본 연구는 비용효율성과 같은 bottom line 관련 이슈를 집중적으로 분석 · 비용의 수준(level)에 머물러 있던 문제인식을 비용 증감까지 확장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2. 은행그룹의 비용 항목에 대한 이해 ▣ 은행그룹의 비용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판매관리비용률 (cost to income ratio, 이하에서는 CIR)이 주로 사용됨. · 분모인 총이익은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의 합으로 구성되고 분자인 비용은 판매 및 일반관리비(이하 판관비)를 의미 · 국내은행의 총이익은 2011년 47.7조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 · 반면에 판관비는 샘플기간 중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에 있으며, 판관비 대비 인건비 비중의 경우에도 2008~2010년 사이 55% 내외였으나 2011년 이후 57~59% 수준을 기록 중 * 한편,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의 지난 10년간 총이익 연평균 증가율은 6%대로 판관비와 인건비 증가율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 ▣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CIR의 특징을 활용하여 은행그룹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음. · CIR은 은행그룹의 특성과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등에 따라 수준(level)의 차이를 나타내게 되며, CIR의 절대 수준으로 은행그룹 간 효율성을 비교할 때는 해석에 유의할 필요 · CIR과 관련하여 더 중요한 사실은 CIR이 일정한 수준에서 움직이는지의 여부 등 CIR의 추이에 대한 관찰임. → CIR 추이가 일정하기 위해서는 분모인 총이익이 변할 때 분자인 판관비가 이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되어야 함. · 인건비/총이익 비율의 증감이 크게 나타날 경우 인건비가 이익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인건비의 하방경직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판단됨. 3. 데이터 ▣ 데이터는 뱅커(TheBanker)誌가 매년 7월호에서 발표하는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을 sample로 하여 Bankscope의 DB에서 자료 추출 · 뱅커지의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에는 은행뿐만 아니라 은행지주회사나 지주회사, 파이낸스 회사, 저축은행 등까지 포함· Bankscope DB는 금융그룹의 연결재무제표(consolidated balance sheets)에 기반을 두고 있음. ▣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의 CIR은 지역적으로 북미 지역이 64.8%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오세아니아 지역이 45.5%로 가장 낮게 나타남. · 주력 사업부문을 고려할 경우 자산운용(wealth management), 투자은행(investment banking) 등 상대적으로 건당 취급금액이 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의 CIR이 높게 나타났음. · 총자산과 CIR 간 상관관계는 -0.098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에 따라 양자 간 명백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판단됨. 4. 은행그룹의 비용구조와 경영성과 간 관계가. 총자산이익률 ▣ 회귀분석 전 진단테스트(diagnostic test)의 일환으로 CIR 증감과 총자산이익률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의 데이터를 그림으로 살펴보았음. · 가로축에는 100대 은행그룹의 10년간 자료를 활용하여 CIR증감의 표준편차를 보여주고 있으며, 세로축에는 100대 은행그룹의 10년 평균 총자산이익률을 나타내고 있음. · 이에 따르면 CIR 증감과 총자산이익률 간에는 우하향하는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음. → 즉, 표준편차로 측정한 CIR 증감이 커질 때 성과지표는 떨어지는 관계가 확인되었음. ▣ 이러한 사전 진단을 바탕으로 CIR 증감과 총자산이익률 간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독립변수로는 CIR 증감, 자산증가율, BIS비율, 부실채권비율, 비이자이익비중, 유동자산비율 선정·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CIR 증감, 자산증가율, 부실채권비율, 비이자이익비중, 유동자산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음. · CIR 증감은 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총자산이익률(ROA)과 음(-)의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파악되었음. → 이는 CIR 증감이 커질수록 총자산이익률이 낮아짐을 의미▣ 53개의 상업은행(commercial Bank)만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한 결과에 따르면 full sample과 마찬가지로 CIR 증감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음(-)의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되었음. 나. 총주주수익률 ▣ 회귀분석 전 진단테스트(diagnostic test)의 일환으로 CIR 증감과 총주주수익률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의 데이터를 그림으로 살펴보았음. · 가로축에는 100대 은행그룹의 10년간 자료를 활용하여 CIR증감의 표준편차를 보여주고 있으며, 세로축에는 100대 은행그룹의 10년 평균 총주주수익률을 나타내고 있음. · 이에 따르면 CIR 증감과 총주주수익률 간에는 우하향하는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음. → 즉, 표준편차로 측정한 CIR 증감이 커질 때 성과지표는 떨어지는 관계가 확인되었음. ▣ 이러한 사전 진단을 바탕으로 CIR 증감과 총주주수익률 간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독립변수로는 CIR 증감, 자기자본이익률(ROE), 자산증가율, BIS비율, 부실채권비율, 비이자이익비중 선정 · TSR 증감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독립변수들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CIR 증감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는 유의하지 않았음. · CIR 증감은 1% 수준에서 유의했으며, TSR 증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파악되었음. → 이는 CIR이 안정적인 은행일수록 위기 이후 주가의 회복 속도가 빨라질 수 있음을 의미다. 배당성향 ▣ 회귀분석 전 진단테스트(diagnostic test)의 일환으로 CIR 증감과 배당성향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글로벌 100대 은행그룹의 데이터를 그림으로 살펴보았음. · 가로축에는 100대 은행그룹의 10년간 자료를 활용하여 CIR증감의 표준편차를 보여주고 있으며, 세로축에는 100대 은행그룹의 10년 평균 배당성향을 나타내고 있음. · 이에 따르면 CIR 증감과 배당성향 간에는 약간 우하향하는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음. → 이는 앞서 살펴보았던 총이익수익률 및 총주주수익률의 경우 성과지표와 CIR 증감 간 우하향하는 관계를 찾아볼 수 있었던 것과 다소 차이가 있는 결과임. ▣ 이러한 사전 진단을 바탕으로 CIR 증감과 배당성향 간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 독립변수로 ROE, BIS비율, CDS프리미엄, 은행 신용등급, CIR 증감 선정 · 분석결과 CDS 프리미엄과 신용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음. · 특히, CIR 증감은 배당성향과 양의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는데, 사전점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CIR 증감이 작아질수록 배당성향이 높아진다는 점과 상반되는 결과임. ▣ 예상과 달리 CIR 증감과 배당성향 간 연계성을 찾지 못한 것은 무엇보다도 배당성향의 결정이 마치 FLC(forward looking criteria)에 의해 충당금 규모를 설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자의적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 추가적인 분석에 따르면 배당성향은 개인주의 지수(Individualism Index)와 같은 비재무적 요소에 영향 받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은행의 실적과 상관없이 개인주의 지수가 높게 나타난 국가에 속한 은행일수록 배당성향이 높은 경우를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었음. 5. 정책적 시사점 ▣ 성장성이 정체된 상황에서 은행그룹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용통제와 같은 적절한 메커니즘이 필요· 국내 은행산업의 경우 총이익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판관비(특히, 인건비)가 적정 수준으로 조정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CIR이 크게 높아지고 있음. ▣ 정책 및 감독 당국은 국내 은행그룹의 성과주의 문화 정착을 독려하는 한편 비용관리를 통한 적정 수익성 유지가 가능하도록 조치할 필요 Faced with a sluggish asset growth, a simple way of staying competitive for a banking group is to control costs. Cost to income ratio (CIR) is one measure of how efficient a banking group is operated under some circumstances. In this paper we found that it is not the level of CIR but changes in CIR that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banking institutions. More specifically, we first showed some evidence that relatively stable CIR over time led to overall better return for the global Top 100 banking groups. Second, unlike Return on Asset (ROA) or Total Shareholder Return (TSR), a bank`s payout ratios did not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e argue in the paper that non-financial factors such as `Individualism Index` can affect banks` payout ratios. That is, a country`s Individualism Index and payout ratio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suggesting that banks in a country with strong Individualism might indeed pay more dividends, regardless of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ese findings give some insight to the Korean banking groups where overhead costs does not adjust proportionally to the operating income due to the sticky labor cost. We hope a successful introduction of performance culture in the Korean banking sector would eventually enhance bank competitiveness, and therefore, the government needs to closely monitor its development and ensure stable profits based on cost management.

      • KCI등재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가치공동체 복원

        김우진(Kim Woojin)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의 사회적 요구를 대학에서 어떻게 수용해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는지 분석하고 인성교육에서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한 뒤, 현재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결여된 부분이 무엇인지 밝혀 그 결여된 부분을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를 제언하는 것이다. 대학들은 공동체의식 중심, 글로벌 시민교육 중심, 유학 고전 읽기방식, 명상 방식, 그리고 역사 인물 탐구 방식 등 각기 다양한 인성교육 방식으로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들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대체로 교육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언급했던 인성교육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정작 인성교육진흥법조차도 담고 있지 못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중요한 요소를 결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인성교육의 덕목과 학생들의 비전을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정한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 아닌, 공동체가 추구해야 할 가치와는 다른 목적으로 모인 공동체가 아닌,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치중심 공동체와 대학 인성교육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인성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돈이 아닌 가치 중심의 삶을 기획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at’s lacking is the kind of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fter analyzing make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program by how accept social demand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university and identifying what is important element in personality education, and to suggest how complements the lacking element. Universities is carrying out in various ways, community sentiment, global civic education, Confucian classics reading, contemplation, inquiring historic person and so on. Their programs put in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mentioned in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Act of Ministry of Education, but is lacking important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the contents which Ministry of Education doesn’t consider. It is the point that do not connect virtue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visions of students. The community is not group which seeks after a particular benefit or gathers in the purpose different from the good it must pursu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to be that which connect a variety of value based community that there are in our soc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must be that which make students have power that can plan value based life.

      • KCI등재

        자사주 포함 관행이 시가총액 및 주당지표에 미치는 영향

        김우진(Woojin Kim),임지은(Jieun Im),최영수(Youngsoo Choi) 한국증권학회 2020 한국증권학회지 Vol.49 No.2

        시가총액 계산시 발행주식 총수(issued shares)에서 자기주식(treasury shares)을 제외한 유통주식수 (shares outstanding)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국제 관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계 및 업계에서는 지금까지 시가총액 산출시 자사주를 포함하여 왔다. 이러한 관행은 누적된 매입 자사주의 규모만큼 시가 총액을 과대평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주당 순이익(EPS), 주가 수익 비율(PER) 등 관련 주당 지표의 왜곡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자사주 포함 관행이 국내 상장기업의 시가 총액 및 주당 지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국내 최초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상장기업의 시가 총액은 실제에 비해 평균 6% 정도 과대평가된 상태로 보고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EPS는 평균 3.6% 과소평가, PER은 평균 4.2% 과대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주를 제외하고 Fama-French 3요인 모델의 5x5 Test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한 결과, 각 포트폴리오별 구성종목이 최대 20%까지 차이가 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시가총액 및 주당 지표 산출시 국제 관행에 부합하는 자사주 제외 방식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Market capitalization (cap) is typically determined by multiplying price per share by the number of outstanding shares, excluding treasury shares. Nevertheless, a common practice in Korea has been, and still is, to include treasury shares in market cap. Such practice not only inherently overstates the true magnitude of the market cap by the amount of repurchased shares but also distorts earnings per share (EPS), price earnings ratio (PER), and other per share indicators or price multiples.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how the practice of including treasury shares affects market cap and other indicator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ported market cap is overstated by roughly 6% on average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EPS is understated by 3.6%, and PER is overstated by 4.2%. We also recreate 5x5 test portfolios based on the Fama-French three factor model after appropriately excluding treasury shares, and find that up to 20% of constituent stocks may be different for certain test portfolio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academics and practitioners should seriously reconsider the current practice of including treasury shares in calculating market cap and start excluding them to be more consistent with the theory and international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