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예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손기철,엄수진,김수연,송종은,백기엽 충북대학교 첨단원예기술개발연구센터 2000 연구보고서 Vol.5 No.-

        만성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장기간의 치료를 필요로 하고,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약물치료나 전통적인 정신치료에만 의존해왔다. 최근에는 정신분열증 환자치료에 있어서 여러 가지 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나 원예치료프로그램의 적용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원예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성 꽃동네 정신분열증 환자 남녀 대조군 20명, 치료군 남녀 25명을 선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20명에게는 원예치료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치료군 25명에게는 주 2회씩 2000년 4월 13일부터 9월 7일까지 원예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효과 검증을 위해 원예활동 평가표(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y), 사회행동척도(social behavior scale), 자아존중감척도(self-esteem Scale), 인간관계측정지, 간이정신건강진단지(SCL-90-R) 등을 치료 전후로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인간관계측정지에서는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보이지 않은 반면, 치료군에서는 향상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사회행동척도에서는 언어적인면보다 비언어적인면, 대화의 내용에서 치료군만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간이정신건강진단지 평가는 불안, 우울, 대인예민성 부분에서 역시 치료군만 유의하게 호전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신체화, 강박증,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등이 호전된 것으로 보여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원예활동평가에서는 참여성과 자아개념 및 주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프로그램은 우울ㆍ폐쇄적인 대인관계를 보이는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심리ㆍ정서면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치료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직업재활의 한 방면으로 이용가능 할 것이라 판단된다.

      • 원예치료가 정신 및 지체 장애인의 재활에 미치는 영향

        손기철,고언희,엄수진,이상훈,송종은 建國大學校附設農業資源開發硏究所 2002 農資源開發論集 Vol.24 N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e therapy on the healing and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MR) and physical disorder (PD) persons.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arried at S rehabilitation center located in Kyounggi-DO from Jun 29, 1999 to Oct 12, 1999. The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were 36 clients of MR and PD. They attended 14 times once a week for 1 hour at a time for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has been assessed two times, that is, before and after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TP) whereas horticultural therapy group activity treatment procedure and horticulture task skill inventory have been assessed 3 times, that is, before HTP and after each 7 weeks. MR in the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interaction during activity, self-concept and identity, need-drive adapt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exercise perceptivity, life-tasks skill and vocational adjustment. In activities group of MR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erms of physical perceptual abilities, cognitive ability, writing ability, social interaction (P<0.001). Additionally, their horticulture task skill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skill and efficiency factor (P<0.008) and their ADL were changed positively but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PD in evalu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self-concept and identity, interpersonal and social relations, life-tasks skill and vocational adjustment. However, physical perceptual abilities factor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horticultural therapy group activities treatment procedure (P<0.002). Only grooming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DL evaluation of PD (P<0.03).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it was found that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ould be very useful for rehabilitation and healing method in both MR and PD.

      •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영향연구

        손기철,엄수진,배혜진,조문경,은옥주,최외선 충북대학교 한국과학재단 지정 첨단원예기술개발 연구센터 2002 연구보고서 Vol.6 No.-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개념, 내적 통제력, 불안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각 치료의 효과성이 비교·분석되었다. 인천 남구에 위치한 W공업고등학교에서 대조군 15명, 원예치료군 15명, 미술치료군 15명을 주 2회씩 2001년 9월 27일부터 12월 13일까지 원예치료군에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미술치료군에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는 각각 전문 치료사에 의해서 행해졌다. 원예치료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자아개념(Self-Concept Scale), 내적 통제력 척도(Inner-Control Scale), 특성불안 척도(Trait-Anxiety Scale)을 각 프로그램의 실시전과 실시후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원예치료군에 있어서는 자아개념척도 중 자아수용, 성격적 자아, 총 자아 긍정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특성불안척도에서는 우울 및 불안 항목에서 매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한편, 미술치료군에 있어서는 내적통제력과 특성불안척도중 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원예치료군은 프로그램 과정중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공동작업을 하는 집단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다고 판단된다. 반면, 미술치료군은 치료자와의 개인적인 상담과정을 통하여 내면의 불안과 갈등이 완화되었고, 지점토 및 칼라믹스 만들기 등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내면의 감정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T (horticultural therapy) and AT (art therapy) on the changes of self-concept, inner control, trait anxiety of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45 school maladaptive of teena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rapy program at the W high school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15 for the horticultural therapy, 15 for art therapy, 15 for control group. The program were carried out from Sep. 27 to Dec. 13, 2001 as an activity group. Activity group attended twice a week for 1 hour. Fo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ach therapy, Self-Concept Scale, Inner-Control Scale, Trait-anxiety Scale were used 2 times, that is, before/after HT or AT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 satisfiction, personal self, and total positive self items among Self-Concept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tension and anxiety item among Trait 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 group. On the other hand, in AT group, both inner control and self confidence item in Trait-anxiety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conclusion, in HT group it was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self concept could be brought about by being provided the chance of self expression during program and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group therapy program in which joint work have been provided. In case of AT group, it was logically postulated that the alleviation of inner anxiety and discord resulted from personal counselling with AT therapist during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inner control was caused by active program such as painting paper clay, making color mix, and etc.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제주에서 터널 피복시기가 아스파라거스의 수확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성기철(Ki Cheol Seong),김천환(Chun Hwan Kim),이진수(Jin Soo Lee),김두섭(Doo Seop Kim),엄영철(Yeong Cheol Um),강경희(Kyong Hee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4 No.2

        난지권인 제주에서 아스파라거스 수확기 및 수랑에 미치는 터널피복 시기를 구명코자 2년생 ‘그린타워’ 품종을 이용 수행하였다. 무처리를 비롯하여 터널피복 시기는 2004년 1월 10일부터 15일 간격으로 2월 25일 까지 4회 실시하였다. 맹아일은 관행 3월 3일에 비하여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23주 빨랐다. 첫 수확일은 관행구(무처리) 3월 11일에 비하여 1월 10일 피복구에서 2월 19일로 3주, 1월 25일과 2월 10일 피복구에서는 2월 25일로 2주 정도의 수확기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주당 수량은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기장 많았으며 피복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크게 적어졌다. 터널피복에 의한 2월 조기수확 효과는 1월 10일 및 1월 25일 피복구에서 각각 325, 333㎏/10a로 크게 나타났으며 2월 10일 피복구 이후에서는 크게 감소되었다. Optimal date to cover plastic film tunnel for hastening the harvest and increasing the yield in asparagus was studied using 2-year-old 'Green tower' cultivar in Jeju. Plastic film tunnel was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and February 10 and 25 in 2004. The asparagus spear sprouted on March 3 in the control. They emerged earlier by about 2 to 3 weeks in the plots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than the control. First harvesting was hastened by 3 weeks in the plots covered on January 10 and two weeks in the plots covered on January 25 and February 10 compared to the control. Yield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plastic film tunnel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Early harvesting in February in plastic film tunnel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were 325 and 333 ㎏/10a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reatments whereas yield was low significantly in plastic film tunnel covered on February 10 and 25.

      • KCI등재

        단호박 착과율 향상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 육묘효과

        성기철(Ki-Cheol Seong),김천환(Chun-Hwan Kim),이진수(Jin-Soo Lee),김두섭(Doo Seob Kim),엄영철(Yeong-Cheol U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6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5 No.4

        단호박의 억제재배시 착과율 향상 및 유인노력 절감을 위한 한라산 중산간지(해발 600m) 육묘 효과를 검토 하였다. 정식직전 묘의 T/R율은 평지 육묘 9.5로 도장된 경향을 보였으나 중산간지 육묘에서는 5.4로 건실한 묘 생육을 보였다. 육묘 지역에 따른 1번 암꽃의 착생 위치는 평지 육묘 26.0마디에 비하여 중산간지 육묘 19.4마디로 크게 낮아졌으며 2번 암꽃 및 그 이후에 착생되는 암꽃들도 평지 육묘에 비하여 3~5마디 아래에서 착생되어 유인노력을 20% 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2번과 착과율은 중산간지 육묘 17.2%로 평지 육묘 1.4%'에 비하여 16%정도향상 되었다. 상품수량의 경우 평지 육묘 3,500㎏/10a에 비하여 중산간지 4,460㎏/10a로 27%가 증가 하여 한라산 중산간지를 이용한 여름철 육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raising seedling at Hallasan area of subalpine (altitude of 600m above sea level) to improve fruiting rate of Squash (Cucurbita maxima) in retarding culture. “Ebis” cultivar was seeded in plug tray of 32 cells and the seedlings were grown for 25 days. They were transplanted on August 26, 2004, following L-stem training method under rain-shielding condition. Seedling height, number of nodes and leaf area were higher in lowland than in sub-alpine area. T/R ratio of seedling in sub-alpine was much lower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lowland. The first fruiting was on the 19th node in sub-alpine area, and on the 26th node in the lowland area(control). The succeeding fruiting nodes were lower by 3 to 5 node than those of control. Fruiting rate of second flower was improved by 17.2% compared with the 1.4% in control. The marketable yield was increased by 27% by raising seedling in sub-alpine area (4,460 ㎏/10a). This also brought out 20% labour saving effect. Th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raising seedling in the sub-alpine area of Hallasan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Squash(Cucurbita maxima) fruiting rate compared with lowland area.

      • KCI등재

        제주에서 터널 피복시기가 아스파라거스의 수확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성기철(Ki Cheol Seong),김천환(Chun Hwan Kim),이진수(Jin Soo Lee),김두섭(Doo Seop Kim),엄영철(Yeong Cheol Um),강경희(Kyong Hee K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7 시설원예‧식물공장 Vol.16 No.4

        난지권인 제주에서 아스파라거스 수확기 및 수량에 미치는 터널피복 시기를 구멍코자 2년생 ‘그린타워’ 품종을 이용 수행하였다. 무처리를 비롯하여 터널피복시기는 2004년 1월 10일부터 15일 간격으로 2월 25일 까지 4회 실시하였다. 맹아일은 관행 3월 3일에 비하여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23주 빨랐다. 첫 수확일은 관행구(무처리) 3월 11일에 비하여 1월 10일 피복구에서는 2월 19일로 3주, 1월 25일과 2월 10일 피복구에서는 2월 25일로 2주 정도의 수확기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주당 수량은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피복구에서 각각 325, 333㎏/10a로 크게 나타났으며 2월 10일 피복구 이후에서는 크게 감소되었다. Optimal date to cover plastic film tunnel for hastening the harvest and increasing the yield in asparagus was studied using 2-year-old ‘Green tower’ cultivar in Jeju. Plastic film tunnel was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and February 10 and 25 in 2004. The asparagus spear sprouted on March 3 in the control. They emerged earlier by about 2 to 3 weeks in the plots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than the control. First harvesting was hastened by 3 weeks in the plots covered on January 10 and two weeks in the plots covered on January 25 and February 10 compared to the control. Yield per plant was the highest in plastic film tunnel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Early harvesting in February in plastic film tunnel covered on January 10 and 25 were 325 and 333 ㎏/10a respectivel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reatments whereas yield was low significantly in plastic film tunnel covered on February 10 and 25.

      • SCOPUSKCI등재

        Antibacterial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1-C-(p-Hydroxyphenyl)-Glycerol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Jang, Ki-Chang,Lee, Jin-Hwan,Kim, Seong-Cheol,Song, Eun-Young,Ro, Na-Young,Moon, Doo-Young,Um, Yeong-Cheol,Park, Ki-Hun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 2007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0 No.1

        1-C-(p-Hydroxyphenyl)-glycerol (1) was isolated and purifi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ation from the rhizome of Trichosanthes kirilowii, firstly in this species. Isolated compound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five bacteria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Streptococcus faecalis, etc) completely at the concentration higher than 10 ppm as well as delayed the growth of three bacteria (Bacillus substili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oginosa) at the concentration of 25 ppm for 60 h. Moreover, this compound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DPPH radical ($IC_{50}$ = 56.0 p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