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품질 특성

        장소원(Sowon Jang),전현일(Hyun-Il Jun),오현화(HyeonHwa Oh),정도연(Do-Youn Jeong),송근섭(Geun-Seoup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는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에 초산균주를 활용하여 종초를 제조한 후 종초 첨가량에 따른 아로니아 식초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초산균 5종에 대한 생육특성을 확인한 결과, Acetobacter pasteurianus SRCM101479가 20일 배양한 후에 총산도 4.29%와 생균수 5.16log CFU/mL로 가장 높아 종균으로 선발되었다. 선정된 초산균주(A. pasteurianus SRCM 101479)로 제조한 후에 6% 알코올이 함유된 아로니아 착즙액에 종초를 10~30%를 첨가하여 20일간의 초산발효 과정 중에 이화학적 특성(수용성 고형분, pH, 총산도 및 생균수)을 분석한 결과, 총산도는 발효 10일에서 4.40~5.17%, 20일에서 4.44~5.24%였고 이에 따른 acetic acid는 각각 4,355.77~5,157.03 mg%와 4,188.37~5,232.70 mg%로 발효 기간이 증가할수록 총산도와 acet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아로니아 식초의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assay, ORAC, CUPRAC), 항비만 활성(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및 항균 활성은 종초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은 감소하는 반면, 항비만 활성과 항균 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결과적으로 A. pasteurianus SRCM 101479를 종초로 첨가하여 제조한 아로니아 식초는 초산발효 과정 중에 생성된 acetic acid의 증가로 인하여 항비만 활성 및 항균활성이 증가하였기에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ed vinegar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ronia vinegar (AV). Of the five acetic acid bacteria provided by the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Acetobacter pasteurianus SRCM 101479 showed highest total acidity, and was selected for the production of AVs. Sugar content, pH, total acidity, acetic acid content,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in AVs were determined to be 17.90∼18.45°Brix, 2.56∼4.02, 0.11∼5.24%, 27.76∼4,188.37 mg%, and 44.38∼59.19 mg%, respectively. Addition of seed vinegar resulted in increased sugar content, total acidity, and acetic acid content of AVs, whereas the pH and TPC were decrease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all AVs produce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alues for 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assa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cup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 whereas the 30% seed vinegar group showed highest orlistat equivalent antiobesity capacity and clear zone diameter values for antimicrobial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Vs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ed as functional foods for enhancing health.

      • KCI등재

        The Effect of Formula-based Nutritional Treatment on Colitis in a Murine Model

        Jang Sooyoung,Kim Younjuong,Lee Changjun,Kwon Bomi,Noh Jihye,Jee Jai J.,Yoon Sang Sun,Koh Hong,Park Sowon 대한의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6 No.50

        Background: Exclusive enteral nutrition (EEN) induces remission in pediatric Crohn's disease (CD). The exact mechanism of EEN therapy in CD is unknown, but alteration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after EEN is thought to affect mucosal healing. To determine the link between EEN therapy and therapeutic efficacy in CD, we established a murine model of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and applied EEN therapy. Methods: Eight-week-old C57BL/6 mice were administered DSS for 4 days to induce colitis, and either normal chow (NC) or EEN was administered for the following 4 days. The mice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feeding pattern after DSS administration: DSS/NC and DSS/ EEN groups. The clinical course was confirmed via daily observation of the weight and stool.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and 16sRNA sequencing was used. The mice were sacrificed to confirm colonic histopathology. Results: Weight reduction and increase in disease activity were observed as the day progressed for 4 days after DSS administration. There was significant weight recovery and improvement in disease activity in the EEN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NC group. Verrucomicrobia and Proteobacteria abundances tended to increase and Bacteroidetes abundance decreased in the EEN group. In the EEN group, significant changes in the β-diversity of the microbiota were observed. In the analysis of microbiome species, abundances of Akkermansia muciniphila, Clostridium cocleatum, mucin-degrading bacteria, Flintibacter butyricus, and Parabacteroides goldsteinii, which are beneficial microbiot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EN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NC group. More abundant mucins were confirmed in the colonic histopathology of the EEN group. These microbial and histopathological differences suggested that EEN might improve colitis symptoms in a murine colitis model by promoting mucin recycling and subsequently inducing the healing effect of the gut barrier. Conclusion: EEN showed clinical efficacy in a murine model of colitis. Based on the increase in mucin-degrading bacteria and the pathological increase in mucin production after EEN administration, it can be observed that muc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therapeutic effect of EEN.

      • 멀티 플랫폼용 미디어프레임워크를 위한 XML기반 미디어 그래프 설계방법

        김소원(Sowon Kim),김현규(Hyungyu Kim),박민수(Minsoo Park),장의선(Euee S. Jang) 대한전자공학회 201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6

        본 논문에서는 멀티 플랫폼용 미디어 프레임워크에 서 사용하는 미디어 그래프의 XML 표현 방식과 미디 어 그래프 내의 미디어 컴포넌트를 시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GUI 기반의 설계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에는 미디어 그래프가 미디어 프레임워크에 종속되어 있어서 다른 플랫폼과 호환이 되기 어려웠다. 이를 극복하 기 위하여 다양한 플랫폼에서 범용으로 사용가능한 XML 형식의 미디어 그래프 표현을 정의하였다. 아울러 미디어 그래프를 구성하는 미디어 컴포넌트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하여 멀티플랫폼용 GUI 라이브러리인 Qt에 기반을 둔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Troponin-Positive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ies and Myocardial Infarction with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ies: Definition, Etiologies, and Role of CT and MR Imaging

        Yoo Seung Min,Jang Sowon,Kim Jeong A,Chun Eun Ju 대한영상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21 No.12

        In approximately 10%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I), angiography does not reveal an obstructive coronary stenosis. This is known as myocardial infarction with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ies (MINOCA), which has complex and multifactorial causes. However, this term can be confusing and open to dual interpretation, because MINOCA is also used to describe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jury caused by ischemia-related myocardial necrosis. Therefore, with regards to this specific context of MINOCA, the generic term for MINOCA should be replaced with troponin-positive with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ies (TpNOCA). The causes of TpNOCA can be subcategorized into epicardial coronary (causes of MINOCA), myocardial, and extracardiac disorders.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confirm MI and differentiate various myocardial causes, while cardiac computed tomography is useful to diagnose the extracardiac causes.

      • KCI등재

        Efficient Token Flow Design for the MPEG RMC Framework

        Cui, Li,Kim, Sowon,Kim, Hyungyu,Jang, Euee S.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4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 Computing Vol.3 No.5

        This paper proposes an efficient token flow design methodology for a decoder in the MPEG Reconfigurable Media Coding (RMC) framework. The MPEG RMC framework facilitates a decoder to be configured with a set of modules called functional units (FUs) that are connected by tokens. Such a modular design philosophy of the MPEG RMC framework enables the reusability and reconfigurability of FUs. One drawback of the MPEG RMC framework is that the decoder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increasing the token transmissions between FUs.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design of the FU network in the RMC framework toward real-time decoder implementation. In the proposed method, the merging of FU, the separation of token flow, and the merging of token transactions are applied to minimize the token traffic between FU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MPEG-4 SP decoder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total decoding time by up to 77 percent compared to the design of the RMC simulation model.

      • KCI등재

        블루베리 농축식초 제조 및 이들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오현화(Hyeonhwa Oh),장소원(Sowon Jang),전현일(Hyun-Il Jun),정도연(Do-Youn Jeong),김영수(Young-Soo Kim),송근섭(Geun-Seoup S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졌다고 알려진 블루베리의 식품산업 이용률을 높이고자 블루베리 농축식초를 제조하였으며, 종초가 블루베리 농축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선정된 주모용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SRCM 100610), 종초용 초산균(Acetobacter pasteurianus SRCM 101342) 및 블루베리 농축액을 활용하여 제조한 블루베리 농축식초의 당도, pH, 총산도, 총 페놀성 화합물, 갈변도(280 nm과 420 nm)는 각각 11.05~12.70°Brix, 2.63~2.98, 1.65~5.72%, 3.03~4.24 mg/mL, 0.95~1.50 및 0.11~0.20이었으며, 종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와 총산도는 증가하였으나 pH, 총 페놀성 화합물 및 갈변도는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검정, ABTS 라디칼 검정 및 환원력에서는 control이 가장 낮은 EC50 값(23.80, 19.48 및 79.21배의 희석배율)을 보였으나 SOD 유사 활성에서는 종초 40% 첨가구가 가장 낮은 EC50 값(46.19배의 희석배율)을 나타내었다. 항균 활성은 종초 40% 첨가구의 clear zone diameter 값이 Escherichia coli KACC 10115에서는 4.31, Staphylococcus aureus KACC 1927에서는 4.59, Listeria monocytogenes KACC 10764에서는 5.81 및 Bacillus cereus KACC 10097에서는 3.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갈변도(at 280nm), pH 및 총산도의 결정계수(R<SUP>2</SUP>) 값이 0.82~0.99를, 항균 활성에서는 pH와 총산도의 R<SUP>2</SUP> 값이 0.92~0.99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강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선정된 주모용 효모, 종초용 초산균 및 블루베리 농축액을 활용하여 제조한 블루베리 농축식초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ed vinegar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ncentrated blueberry vinegar (CBV). Of the nine strains of yeast and six strains of acetic acid bacteria provided by the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each strain of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 100610, showing the highest ethanol content) and acetic acid bacteria (Acetobacter pasteurianus SRCM 101342, showing the highest total acidity) was selected for production of CBVs. Sugar content, pH, total acidity,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browning intensity (280 nm and 420 nm) in CBVs using concentrated blueberry juice were 11.05∼12.70°Brix, 2.63∼2.98, 1.65∼5.72%, 3.03∼4.24 mg/mL, 0.95∼1.50, and 0.11∼0.20, respectively. Sugar content and total acidity of CBVs increased upon addition of seed vinegar, whereas pH, TPC, and browning intensity decreased. Of all CBVs with various additions of seed vinegar, the control showed the lowest EC50 values in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reducing power (23.80, 19.48, and 79.21 dilution factor, respectively), whereas the 40% seed vinegar group showed the highest clear zone diameter values for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4.31, 4.59, 5.81, and 3.97,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of CBV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ir TPC, browning intensity at 280 nm, pH, and total acidity values, showing correl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R<SUP>2</SUP>) values higher 0.82. However,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BV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ir pH and total acidity values, showing higher R<SUP>2</SUP> values more than 0.92. These results suggest that CBVs using concentrated blueberry juice, S. cerevisiae SRCM 100610, and A. pasteurianus SRCM 101342 may be useful as potentially functional foods for enhancing health.

      • 응급 출동 기록 분석에 관한 연구

        박지현 ( Jihyun Park ),양래은 ( Raeeun Yang ),윤소원 ( Sowon Yun ),장승아 ( Seungah Jang ),이정훈 ( Junghoo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본 논문에서는 재난관련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본단계로서 공개 데이터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받은 구급활동 일지 기록을 분석하여 환자들의 연령분포, 환자들의 상태, 월별발생 추이, 출동 거리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추출한다. 공개에 동의한 환자들의 경우 사전에 자신의 의료 혹은 건강정보들을 기록해 놓음으로써 구급활동 절차를 많이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 데이터 분석에 의해 추가될 구급 지구대의 위치와 구급차량의 수 등 다양한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 HEVC 디코더를 위한 CU 레벨 병렬화 기법

        노경기(Gyeong Gi Noh),최기호(Kiho Choi),김소원(Sowon Kim),장의선(Euee S. Ja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11

        최근 HD급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을 위한 차세대 코덱 표준이 연구되고 있다. 이 코덱의 특징은 압축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시간을 많이 소모시키는 복잡한 툴들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실시간 방송에 대한 부담감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표준을 재정하는 전문가들은 속도 개선을 위한 병렬화 연구 또한 동시에 진행을 하고 있다. 병렬화 방법 중 슬라이스 단위 병렬화와 모듈 내부 병렬화가 대표적으로 논의되고 있지만, 이 두 가지 방법은 각각 시간 지연과 추가 비트 할당이라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병렬화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 지연과 추가비트 할당을 극복 가능한 병렬화 기법을 연구하였는데, HEVC 코덱의 구조 분석을 통해 어떻게 병렬화 해야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단점을 극복한 병렬화 기법이 속도 개선을 할 수 있는지 시간 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 분석을 통해 알아낸 CU 단위 병렬화 기법을 제안하고 CU 단위 병렬화 기법을 HEVC Test model reference software 2.1 decoder에 적용하여 Full HD 영상에 대해 Lowdelay에서 평균 19.83%의 속도 개선을 얻었으며, Randomaccess에서 평균 22.63%의 속도 개선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