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내용 체계 분석 : Focusing on the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서경혜,유솔아,정진영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2

        교육과정 개정 때마다 수학 내용의 적정화가 중점 사항으로 제시되어 왔음에도 수학 내용의 양과 수준의 문제는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있다. 이는 수학 내용의 적정화 문제를 내용의 양을 축소하고 수준을 하향 조정하는 기존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수학 내용의 적정화 문제를 내용 조직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가정 하에 제 7차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수학 내용 조직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 조직에 대한 분석은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원리에 근거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은 일회성, 단절성, 배타성의 특징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학내용이 대체로 한번 가르쳐지고 마는 편이었으며 현재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이 전에 가르쳤던 내용과 그리고 앞으로 소개될 내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내용의 위계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여러 내용 영역들이 통합적으로 조작되어 내용 체계를 이루기보다는 서로 배타적으로 병립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수학 내용의 적정화를 위해서 수학 내용을 엄선하는 것 뿐 아니라 선정된 내용을 연속성, 계열성, 통합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조직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The result showed a lack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of mathematical conte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are usually introduced once with little relation to previously taught concepts and skills. In addition, six content domains - numbers and operations, geometry, measurement, patterns and functions,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symbols - tend to be mutually exclusive, showing students little connections among six domai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re extended and deepened throughout the elementary school years so that students are provided with ample time and opportunities to learn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nd skills. Further, mathematical content domains need to be closely related and so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are taught in several content domains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doing so, the curriculum can help students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important mathematical concepts.

      • SCIE

        Early infectious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metallic stent insertion for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Sol, Yu Li,Kim, Chang Won,Jeon, Ung Bae,Lee, Nam Kyung,Kim, Suk,Kang, Dae Hwan,Kim, Gwang Ha American Roentgen Ray Society, etc.] 2010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Vol.194 No.1

        <P>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predisposing factors for early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percutaneous metallic biliary stent insertion in patients with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August 1999 to June 2008, 215 consecutively registered patients with inoperable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were treated with percutaneous placement of a metallic stent. The incidence of early infectious complications was evaluated. Sex, age, level of obstruction, type and number of stents, and stent position (across or above the main duodenal papill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findings in patients with early infectious complica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in patients without early infectious complications. RESULTS: Infectious complications occurred within 30 days after stent placement in 14 of 215 (6.5%) patients. Univariate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nontranspapillary stent placement (p = 0.003).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ge, sex, level of obstruction, and type and number of stent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arly infectious complications (p > 0.05). CONCLUSION: Our study data showed that stent placement across the main duodenal papilla seemed to prevent early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percutaneous metallic biliary stent insertion in patients with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P>

      • KCI등재

        A Case Study ofLesson Studyin an U.S. School

        Sol-a Yu(유솔아)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신장을 통한 학교 교육 개혁의 유효한 방안 중 하나로 평가되는 ‘레슨 스터디(Lesson Study)’ 실행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레슨 스터디에 대한 이해와 향후 한국에 레슨 스터디를 효과적으로 도입 실행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레슨 스터디는 교실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협력적 연구에 초점을 두어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학교 교육 개혁을 동시에 꾀하는 접근으로 1999년 TIMSS 연구이후 대학과 연계한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의 형식으로 많이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서부에 위치한 K-8 학교가 C대학과 협력 관계를 형성하여 레슨 스터디를 진행한 일년 반 동안의 실행 사례에 대한 연구로써 (1) 레슨 스터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진행되는지, (2) 레슨 스터디에 참여한 교사들이 다루는 주된 이슈가 무엇인지, (3) 레슨 스터디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진보된 모습으로 전개되는지를 분석하고, 끝으로 (4) 한국에 레슨 스터디를 효과적으로 도입, 운영하기 위한 도전적인 과제들을 제언하였다.그 결과 첫째, 레슨 스터디는 실행 과정에서 다루는 문제의 특징에 따라 연구와 사전준비 단계, 수업 계획 단계, 수업 실행과 관찰 단계, 반성과 개선의 단계, 공유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주된 논의 주제는 교수-학습 자료, 질문이나 안내, 개인차, 교육과정, 비판적 이슈들이었으며, 주로 학습자의 이해 및 학습 관점에서전개되었다. 셋째, 레슨 스터디를 연속적 실행에 따라 나타난 진보적 변화로 유목적적인 토론, 외부로부터의 적극적인 자원 수집, 학습자 중심의 관점 유지, 선형적 단계에서순환적 단계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넷째, 한국에 레슨 스터디를 효과적으로 도입․실행하기 위한 과제로 지역과 연계한 학습 공동체 구축, 참여 범위 확대를 통한 교사간 이질감 해소, 기술이 아닌 본질에 초점을 둔 도입과 실행, 수학 외 다른 교과에의 적용 또는 통합교과적 접근의 시도, 그리고 레슨 스터디에 참여하는 교사들에 대한 심리적, 경제적 보상 체제 마련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presents a one and half-year process of Lesson Study1) conducted at a K-8 school in an urban district in the eastern U.S. Lesson Study, a Japanese for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centers on collaborative study of live classroom lessons, has spread rapidly in the U.S. since 1999 and has been argu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model for teacher-led school reform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Lesson Study group described here was composed of five teachers, one administrator, and one instructional improvement coordinator belonging to the participant school and two instructional super-intendants from the school district.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2007 to February 2009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employed for this study. Drawing a case of Lesson Study, this article intended to show how Lesson Study group members participated in planning, teaching, observing, discussing, and improving lessons collaboratively for student learning by enhancing teacher professional competence so that find directions for future implementation in Korea. This article investigates (1) process of Lesson Study, (2) issues Lesson Study group members mainly dealt with, and (3) changes have taken place in Lesson Study as it is conducted over time. (4) Finally, this article concludes with challenges to adopting Lesson Study successfully in Korea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를 중심으로

        유솔아 ( Sol A Y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단계적 도입으로 초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현재 1, 2학년에서 준하여 실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2011년 전국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로 선정된 학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이 전학년에 도입되었을 때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은 활동 유형, 시수 운영, 실행 단위, 활용 자원, 교과와의 연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은 특정 영역이나 특정 활동에 집중되어 비정기적 시수 운영 방식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았고, 실행 단위는 활동 성격보다 운영의 편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발견되었으며, 활용 자원은 인적 자원의 경우 유형이 단조롭고 전문가 활용에 집중되는 반면 물적 자원은 유형이 비교적 다양했고 그 중 체험시설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와의 연계는 전 교과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나 그 중 과학과 사회 그리고 예체능 교과와의 연계가 타 교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발과 활동의 균형적 분배, 영역 별 활동들의 실행 가능성 및 운영 타당성 검토, 정기적 시수 운영 확대와 장기적 관점에서 계열성 갖춘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활동 특징에 적합한 실행 단위 결정을 위해 단위 학교의 도전적인 교육과정 개혁 정신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교사들의 교육 책무성 함양, 창의체험자원지도(Creative-Activity Resource Map: CRM)를 통한 적절한 자원 확보와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단위 학교의 계획적인 노력, 끝으로 교과 교육과정과 진정한 의미의 상호보완적 관계 형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plan for effective implement of creativity activity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its implementation at school field. For this, totally 361 creative activity cases at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activity type, class-hour operation, implementation unit, resource, and connection with subjects. As a result, the creative activity curriculum was concentrated on specific sphere or specific activity with a method of irregular class-hour operation. The implementation unit was tend to decided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rather than its educational meaning. As for resources, a case of human resource was monotonous in a type and was concentrated on expert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resource was relatively diverse in a type and was indicated to utilize the experience facilities the most out of it. The connection with subject was formed with all subjects, however, the connection with science and social studies and with arts and physical education was higher compared to others. Based on the findings, it suggested development of diverse activities and balanced distribution, examination of practicability and validity of activities in school context, sublation of one-off activity and development of curriculum with sequence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building up challenging spirit in unit school and teachers` accountability for educational change, security of proper resources using CRM(Creative-Activity Resource Map: CRM), and a planned effort for effectively applying this, finally formation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