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분광영상 기반 탁수 모니터링에서의 탁도-SS 관계식 적용성 검토

        김종민,김광수,권시윤,김영도,Kim, Jongmin,Kim, Gwang Soo,Kwon, Siyoon,Kim, Young Do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12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은 여름철 홍수기에 집중되어있다. 특히 이상강우 및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강우의 증가 추세로 다량의 탁수가 댐 내에 유입될 시 전도현상으로 인해 탁수 장기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탁수 예측을 통한 선제적 조치 방안 또는 댐 운영방안 마련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탁수 예측을 위해서는 상류 유입부의 탁수 자료를 필요로 하지만 현재 시·공간적인 데이터 해상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시간적 해상도 개선을 위해서는 탁도-SS 관계식에 대한 개발을 필요로 하며 공간적 해상도 개선을 위해 다항목수질측정기(YSI), 레이저부유사측정기(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 LISST), 초분광 센서 등의 센서 기반 측정을 통해 선, 면 단위 데이터 측정을 통해 탁수에 대한 공간적 해상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LISST-200X의 경우 입경 크기 등에 대한 자료 수집이 가능함에 따라 분율(Clay : Silt : Sand)에 대한 탁도-SS 관계식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원격탐사 방안 중 다른 탑재체에 비해 공간해상도 및 시간해상도가 높은 UAV와 분광·방사 해상도가 높은 초분광 센서를 활용 시 탁수 발생에 대한 공간적인 분포를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SST-200X 및 YSI-EXO를 활용하여 실험실 분석을 통해 분율(Clay : Silt : Sand)에 따라 탁도-SS 관계식을 산정하였으며 UAV (Matrice 600), 초분광센서(microHSI 410 SHARK)를 포함한 센서 기반 현장 측정을 통해 탁도와 부유사 농도, 측정된 부유사농도 기반 탁도-SS 관계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탁도에 대하여 공간적 분포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탁도-SS 관계식에 대한 적용성 검토 및 탁수 발생 현황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Rainfall characteristics in Korea are concentrated during the summer flood season. In particular, when a large amount of turbid water flows into the dam due to the increasing trend of concentrated rainfall due to abnormal rainfall and abnormal weather conditions, prolonged turbid water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overturning phenomenon. Much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urbid water predic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o predict turbid water, turbid water data from the upstream inflow is required, but spatial and temporal data resolution is currently insufficient. To improve temporal resolution, the development of the Turbidity-SS conversion equation is necessary, and to improve spatial resolution, multi-item water quality measurement instrument (YSI), 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 (LISST), and hyperspectral sensors are needed. Sensor-based measurement can improve the spatial resolution of turbid water by measuring line and surface unit data. In addition, in the case of LISST-200X, it is possible to collect data on particle size, etc., so it can be used in the Turbidity-SS conversion equation for fraction (Clay: Silt: Sand). In addition, among recent remote sensing method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urbid water can be presented when using UAVs with higher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than other payloads and hyperspectral sensors with high spectral and radiometric resolu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urbidity-SS conversion equation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raction through laboratory analysis using LISST-200X and YSI-EXO, and sensor-based field measurements including UAV (Matrice 600) and hyperspectral sensor (microHSI 410 SHARK) were used. Through thi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urbidity an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and the turbidity calculated using the Turbidity-SS conversion equation based on the measured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was presented. Through this, we attempted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the Turbidity-SS conversion equation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urbid water occurrence.

      • “불교는 강요하지 않잖아요”

        이시윤(Siyoon Lee)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9 불교와 사회 Vol.11 No.2

        불교는 능동적 종교인가 수동적 종교인가? 본 연구는 불교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을 피하고,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불교 공동체들이 주어진 사회적 맥락 하에서 어떻게 사회와 관계맺음을 하고 있는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공동체의 재생산에 직결되는 청년 신자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서울 시내 3개 대학교 내 불교학생회들의 현황 조사와 성원들과의 인터뷰가 수행되었다. 사회의 축소판인 대학 내 경쟁적 종교환경 속에서 최근 대부분의 불교학생회들은 무기력을 겪고 있다. 그 원인과 동학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종교시장이론의 개념틀을 사용하되, 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인터뷰를 통해 불교학생회 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내러티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불교학생회들의 무기력의 중요한 원인으로 이들이 공유하고 있는 특유의 ‘불교는 강요하지 않는다’는 내러티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경쟁적인 대학교 종교환경 내에서 다른 종교에 대비되는 일종의 비교우위를 획득하면서 새로운 성원이 소수 유입되게 하는 긍정적 효과를 낳기도 한다. 그러나 불교 교리 중 한 측면만을 강조하여 일반화하는 이 내러티브는 성원들의 적극적인 상황 타개 노력을 조기에 좌절시키면서 궁극적으로 반복되는 무기력한 불교학생회 운영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Is the nature of Buddhism active or passive? Avoiding the essentialistic approach to Buddhism,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Buddhist community interacts with society in a specific given context through the concrete case study. For this, the research of the current state of the organizations and the interview with the member was taken at three universities in Seoul area. These days, Buddhist student organizations are suffering the lethargy under the university’s religious environment which is considerable as a microcosm of the entire society.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this study basically uses the conception of religious market theory, but for overcoming its limitations, the analysis of narrative shared among the members was taken. Consequently, the unique narrative of ‘Buddhists do not bother’,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lethargy of Buddhist students was evaluated. This narrative might bring the positive effect which can attract a few newcomers into their gathering attaining some relative advantage in the university’s competitive religious environment. However, this narrative which is weighing and generalizing the skewed facet of Buddhism also frustrates the intention of active effort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in earliest stage, which eventually results in the repetitive lethargic management of organizations.

      • KCI등재

        센서 기반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임하댐 저수지 탁수 예측 정확도 개선

        김종민,이상웅,권시윤,정세웅,김영도,Kim, Jongmin,Lee, Sang Ung,Kwon, Siyoon,Chung, Se Woong,Kim, Young Do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11

        In Korea, about two-thirds of the precipit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ummer season, so the problem of turbidity in the summer flood season varies from year to year. Concentrated rainfall due to abnormal rainfall and extreme weather is on the rise. The inflow of turbidity caused a sudden increase in turbidity in the water, causing a problem of turbidity in the dam reservoir. In particular, in Korea, where rivers and dam reservoirs are used for most of the annual average water consumption, if turbidity problems are prolonged,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griculture, industry, and aquatic ecosystems in downstream areas will occur. In order to cope with such turbidity prediction, research on turbidity model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Flow rate, water temperature, and SS data are required to model turbid water. To this end, the national measurement network measures turbidity by measuring SS in rivers and dam reservoirs,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data resolution is low due to insufficient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n unmeasured period depending on each dam and weather conditions. As a sensor for measuring turbidity, there are Optical Backscatter Sensor (OBS) and YSI, and a sensor for measuring SS uses equipment such as Laser In-Situ Scattering and Transmissometry (LISST).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high-tech sensor, there is a limit due to the stability of the equipment. Therefore, there is an unmeasured period through analysis based on the acquired flow rate, water temperature, SS, and turbidity data,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lational expression to calculate the SS used for the input data. In this study, the AEM3D model used in the Water Resources Corporation SURIAN system was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rediction of turbidity through the turbidity-SS relationship developed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near the dam outl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