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청소년행복지수 개발연구

        김신영(Kim Shinyoung),백혜정(Baek Hye-Jeong)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6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지표를 사용하여 ‘한국청소년행복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첫째는 지수 개발에 앞서 ‘행복감’에 대한 국내외의 문헌을 검토하는 단계이다. 문헌검토에서 다루어진 내용들은 1) 행복감이란 무엇인가? 2) 행복감을 측정하는 지표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3) 행복감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등이다. 둘째는 문헌검토를 토대로 한국청소년행복지수 산출을 위한 세부지표를 개발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는 전국의 중학교 1, 2, 3학년생과 고등학교 1, 2, 3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주성분분석을 통해 최종 행복지수를 구하였다. 개념 자체의 추상성으로 인해 포괄적(exhaustive)이고 상호배타적인(mutually exclusive) 영역의 구분은 불가능하지만, 국내 및 해외 문헌검토와 연구과정의 일부로 진행되었던 전문가 자문을 거친 결과 한국청소년의 행복감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영역에 만족감 또는 평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경제적 안녕(economic well-being), ② 자신에 대한 만족(satisfaction with self), ③ 안전(safety), ④ 학업성취(academic achievement), ⑤ 사회적 관계(social relationships), ⑥ 정서적 안녕(emotional well-being). 6개 영역에서 총 40개의 개별 문항이 생산되었으며 최종 결과로는 영역별 점수, 연령에 따른 영역별 점수의 증감, 각 영역이 최종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최종 행복지수 값의 집단별 비교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indicators in order to measure the happiness status of Korean youth. Also, this study intends to build so-called Korean Youth Happiness Index(KYHI, hereafter) using those previously developed indicators. Broadly speaking, this study followed three steps. First, the question of "what is the conceptual scheme of happiness itself" was asked and the extensive review on domestic as well as foreign literature has been done. The authors addressed such issues as "what is happiness in general?", "what kinds of indicators have been used in previous literature?", and "what are the components of people's happiness?". The second step was to develop concrete indicators for KYHI and finally the construction of KYHI was followed using national survey data. While acknowledging the inexistence of perfectly exhaustive and mutually-exclusive classification of sub-areas of any abstract concept, the authors argue that measuring the happiness of Korean youth can be achieved by indirectly measur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following six sub-areas: economic well-being, satisfaction with self, safety, academic achievement, social relationships, and emotional well-being. Forty indicators from six sub-area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the scores by areas, the changes in area scores by ages, the individual weights of each sub-area upon KYHI, and the KYHI scores by groups.

      • KCI등재

        Study of Working Memory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Shinyoung Kim(김신영),Dongsun Yim(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언어문제에 대해 기저의 처리 기제에 관심을 갖는 연구들이 꾸준히 있어 왔으며, 많은 연구들이 작업기억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휘발달지체(VD) 아동의 작업기억을 활성화하는 중재가 대상 아동의 작업기억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총 12명의 아동(VD 아동 6명,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6명)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를 검토하고, 사전사후 설계로 VD 집단(5;7-7;4)을 대상으로 5주간 주 3회의 집중적인 작업기억 중재를 실시한 후 중재 전후의 작업기억 과제(비단어따라말하기, CLPT, matrix) 및 언어능력 과제(REVT, K-TTFC, 문장따라말하기, 문법성판단)의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VD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세 가지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력이 모두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기억 중재 후 VD 집단의 작업기억 과제 수행력은 CLPT (단어회상)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언어능력 과제는 REVT, K-TTFC, 문장따라말하기, 문법성판단(반응속도)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어 작업기억 중재 프로그램이 VD 집단의 작업기억 용량을 확대하고, 어휘(REVT) 및 청각적 언어이해력과 주의집중력(K-TTFC), 구문능력(문장따라말하기, 문법성판단)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작업기억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중재함으로써 작업기억과 나아가 언어능력에까지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Studies have carried out the base of the processing mechanism regarding language problems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s, focusing on working mem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aimed at activating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VD) and the subsequent effect on working memory and language ability. Methods: A total of 12 children (6 children with VD and 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matched by chronological age) age 5-7 were assessed through working memory tasks. Pre-post design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among working memory tasks (nonword repetition,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 [CLPT], and matrix) and language tasks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orean-Token Test for Children [K-TTFC], sentence repetition, and grammaticality judgment) in the VD group. Children with VD were provided with intensive intervention sessions 3 times a week for 5 weeks. Results: The research found that the VD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TD group in working memory tasks. After intervention for activating working memory, the children with VD showed improvement in one of the working memory tasks (CLPT-word recall) and several language tasks (REVT, K-TTFC, sentence repetition, reaction time for grammaticality judgment). Conclusion: Working memory intervention resulted in increased working memory capacity, improved vocabulary (REVT), auditory comprehension of language and attention (K-TTFC), and syntactic ability (sentence repetition, and grammaticality judgment). Therefore, intervention for working memory has a positive effect on not only working memory capacity but language ability as well.

      • KCI등재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과 교육실습의 효과

        김신영(Shinyoung Kim),송미영(Mi-Young S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1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질적 제고가 강조됨에 따라, 별도의 수습기간 없이 교사 임용과 동시에 교단에 서게 되는 예비교사들에게 학생평가 분야에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학생평가와 관련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전문가 합의 기준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에 근거하여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확인하고 교원 양성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평가 관련과목과 교육실습 과정의 이수가 학생평가 전문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강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고 보기 어려웠으며, 교육실습 이후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교육실습 이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다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평가전문성의 기준선을 통과하지는 못한 수준이었다. 교원양성과정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현장 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예비교사들이 일정 수준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ossess the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Teacher"s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i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should provide pre-teachers the opportunities to possess the assessment competency.<B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field training or practice in the existing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on the assessment competency based on ‘the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field training improved pre-teachers" level on assessment competency and pre-teachers who have took a course related to ‘educational evaluation’ got higher than oth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pportunities for field training or practice need enlarging and enhancing.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탐색

        김신영(Shinyou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1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은 사회적인 문제로 간주되고 그 심각성에 따라 사회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문제를 해결하려 해왔으나, 이젠 교육적으로 중요한 문제로 간주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그 명칭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이라면 과연 대학에 진학하게 되는 고교 졸업자들이 어떤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졸업해야 하며,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수학을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지녀야 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대입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해 왔을 뿐, 대학에서의 수학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변별력 있는 검사도구로 개선해 왔다는 평가는 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과정, 현재의 문제점과 그동안 이루어져온 개선을 위한 제안 등을 살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보다 타당한 검사도구로서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였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mproved framework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Korea.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CSAT an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SAT. This study also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predictive validity which is the validity of greatest interest for the CSAT. The review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SAT have revealed that (1) the test characteristic of the CSAT is obscure, requiring separation of aptitude test from achievement test, (2) The CSAT's discrimination power and efficiency is not satisfactory, and that (3) the CSAT's predictive validity, namely the ability of the test to predict grade point average (GPA) at a post-secondary institution is near to zero. Based on these reviews, the problems of the CSAT were discussed and ways of improving the present CAST were proposed.

      • 최적의 인공지능 가속기 구조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 탐색을 위한 시스템-레벨 시뮬레이션 모델 설계

        김신영(Shinyoung Kim),박성정(Chester Sungchung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24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6

        In the hardware design of AI accelerators and memory interface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implementing new structures in a short time with low-level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 such as Verilog and VHD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search for the design space through simulations that abstract and express hardware structures in high-level languages (e.g., C++, SytemC-TLM, etc.). In this paper, we present a system-level simulation model showing cycle unit accuracy based on SytemC-TLM designed to explore AI accelerators and their optimized memory interface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