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M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과제 추진 방안

        강승희,정영수,김남준,신동우,Kang, Seunghee,Jung, Youngsoo,Kim, Namjoon,Shin, Do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5

        국내 건설투자가 점차 감소되는 환경 변화 속에서 해외 CM시장으로의 진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성공적인 CM시장의 진출 확대를 위해서는 건설사업 생애주기 관점에서의 CM 업무기능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CM산업 제도변화를 고찰하고, 생애주기별 CM업무 비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공공 CM사업은 시공단계에 업무 투입 노력이 78%이상 집중되어 시공전단계의 기술경쟁력 축적을 제도적으로 저해하고 있는 현실이다. 즉, 우리나라 CM기업이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생애주기관점에서의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CM기업 자체적인 역량 향상 노력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인력배치 기준' 등에 대하여 유연성을 보장하는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직된 인력배치기준의 개선', '비합리적 CM대가기준의 개선', 'CM선정방식의 개선', '불합리한 업무범위 결정의 개선', '발주자 사업관리 역량 평가'와 같이 5가지 측면에서 우리나라 CM산업의 발전 및 해외시장 진출 확대 기반 마련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s domestic construction investment has been gradually reduced, the issue of expanding overseas CM market has increased. Strengthening CM capability from the view point of project life-cycle is required in overseas CM market. However, current regulations institutionally force public CM services to focus on the construction phase. Therefore, Korean CM firms can hardly have the opportunities for accumulating technic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for pre-construction phas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total efforts in terms of man-hours for the construction phase is found to be more than 78 percent in domestic public CM projec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s the policies and tasks for improving 'rigid man-hour placement', 'unreasonable CM fee standards', 'CM firm selection method', 'unreasonable business scope decision', and 'evaluation of owner's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in order to improve domestic CM Industry as well as to expand overseas CM market successfully.

      • KCI등재

        초기 기획단계의 실적 및 경험자료 기반 공항사업 기준공기 산정체계

        강승희,정영수,김성래,이익행,이창원,정진학,Kang, Seunghee,Jung, Youngsoo,Kim, Sungrae,Lee, Ikhaeng,Lee, Changweon,Jeong, Jinha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6

        사업초기 단계의 공정업무는 숙련된 전문 인력들의 경험에 의해 비정형화된 자료를 위주로 수행됨에 따라 정확도 높은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기 마련이다. 사업초기 기획단계에서의 공정/원가 기획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실적자료를 재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실적자료의 구조를 완전하게 이해하고 이를 새로운 사업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많은 경험과 지식을 요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항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초기 기획단계에서 경험이 많지 않은 기술자도 쉽게 CPM 공정표 초안을 작성할 수 있는 실적자료 데이터 기반의 기준공기 산정 방법론 및 체계를 제시하였으며, 사례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공정표 초안으로서의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시한 기준공기 산정 방법론 및 산정체계는 실적 및 경험자료를 구조화함으로써 초기단계의 제한된 정보만으로도 CPM activity 및 공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기획단계의 CPM 공정표로서의 신뢰성 및 정확성 향상은 물론 업무부담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Preliminary scheduling at the initial stage of planning phase is usually performed with limited information and details. Therefor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preliminary scheduling is affected by personal experiences and skills of the schedule planners, and it requires enormous managerial effort (or workload). Reusing of historical data of the similar projects is important for efficient preliminary scheduling. Howeve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historical data and applying them to a new project requires a great deal of experience and knowledge.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 a framework and methodology for automated preliminary schedule generation based on historical database. The proposed methodology and framework enables to automatically generate CPM schedules for airport projects in the early planning stage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and to reduce the workload by using structured knowledge and experience.

      • KCI등재

        BIM 소프트웨어 호환성 분석 : 사용자정의 속성정보인 GBS를 중심으로

        강승희,하지원,주태환,정영수,Kang, Seunghee,Ha, Jiwon,Ju, Taehwan,Jung, Young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2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BIM의 실무활용이 확산되고 있으며, 활용 형태 또한 점차 고도화되고 있다. 이에 건축 및 플랜트산업에서 BIM 환경구축을 위해 다양한 BIM 소프트웨어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정보 호환성 및 통합성 부족은 주요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정의 속성정보 (GBS)를 기반으로 한 BIM 활용의 기능적 고도화 및 업무효율화 방안을 검증하기 위해 BIM 소프트웨어간 호환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호환성 테스트 결과, 'BIM 시스템 관점'에서는 Viewer Tool과 Simulation Tool이 Authoring Tool에 비해 정보 호환성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BIM 정보 관점'에서는 사용자정의 속성정보 (GBS)의 호환성이 시스템 기본 속성정보 및 Logic 정보보다 높았다. 즉, 도형정보와 비도형정보의 연계 자동화를 가능케하는 GBS의 적용을 통해 BIM 활용의 기능적인 고도화 및 업무부담 최소화가 가능하며, 또한, 추후 사용자정의 속성정보를 활용한 도형과 다양한 비도형정보와의 정보연계에 대한 연구가 이뤄진다면, 건설 프로젝트의 통합관리에 한층 가까워질 것이라 기대된다. The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increased in order to enhance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for management and resources throughout the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various BIM softwares have been used under open BIM environments in the building and plant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t has obstructive factors due to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operability analysis of BIM software focused on user-defined properties for enhanced function and efficiency.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authoring tools have more interoperability problems than viewer tools and simulation tools have. In terms of interoperability, user-defined properties outperforms than those of system basic properties and logic data. Therefore,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improvement and workload minimization in BIM can be attained by applying the GBS (an user-defined property for automatic manipulation of BIM proposed by Jung et al. 2013) that enables automatic link between geometric data and non-geometric data.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pplication of user-defined property (e.g. GBS)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information integration throughout construction projects.

      •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골목길 개선 방안 -광양읍 도시재생사업지역을 대상으로-

        강승희(SeungHee Kang),박근모(GeunMo Park),이진학(JinHak Lee),안재락(JaeRak Ah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6

        광양읍 원도심은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인 중소도시로 광양제철소 건설과 시가지확장으로 인한 급격한 발전과 원도심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광양읍의 도시공간은 자연발생적 가로와 필지에 계획도로망이 개설됨으로서 주거지의 연속성이 분절되었으며, 블록 내부는 세가로에 연결되어 형성된 전통주거지로 한옥밀집지를 형성하며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원도심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공 · 폐가의 증가로 쇠퇴 현상이 뚜렷하며, 생활기반시설의 매설과 설치로 인한 정돈되지 않은 상태의 골목환경은 주거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광양 주거의 변천사와 생활사를 간직하고 있는 광양읍 원도심 한목밀집지의 한옥과 골목의 물리적 · 공간적 환경의 특성을 분석하여 주거지 재생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골목재생을 통한 노후주거지의 정주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부인과암에서 조직내 삽입 방사선치료

        강승희(Seunghee Kang),전미선(Mison Chun),강해진(Haejin Kang),정철(Chil Jung),손정혜(Jeong Hyae So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2

        목 적 : 원발성 혹은 재발한 부인과암(자궁경부암, 질암, 및 외음부암)에서 질부위의 병소에 추가선량를 조사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 즉, 실린더(cylinder)를 이용한 강내치료와 바늘(needle)을 사용한 조직내 평면삽입(single plane implant)만으로는 이상적인 선량분포를 얻기 힘든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방광 및 직장에 대한 조사선량을 최소화하면서 질내의 병소에 국한하여 고선량의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체적삽입(volume implant)이 가능한 기구(applicator 혹은 template)를 고안,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8월부터 1998년 2월까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조직내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이들은 질벽에 재발한 자궁경부암(5명), 원발성 자궁경부암(3명), 원발성 질암(1명)으로 치료받았다. 첫 3명의 환자는 기구없이 바늘을 평면삽입하였고 이후에는 병변의 위치 및 크기 등을 고려할 때 주위정상조직에 대한 선량을 줄이면서 종양에는 균등한 선량분포로 고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체적삽입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어 기구를 고 안, 자체 제작하였다. 바늘은 일반적인 조직내 삽입용(Microselectron, Nucletron)을 사용하였고 이는 저선량율(LDR) 및 고선량율(HDR) 근접치료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였다. 6명중 3명은 50cc 주사기를 이용하여 만든 초기 단계의 기구를 사용하였다(1차 형태). 이러한 초기 단계의 기구는 표면이 매끈하지 못하여 질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고 바늘 삽입후 기구가 움직이지 않도록 회음부에 고정시키는 날개부위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나머지 3명의 환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종양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좀 더 많은 바늘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새롭게 고안한 기구를 사용하였다(2차 형태). 재료는 투명 아크릴 혹은 치과용 몰드(mold) 소재(Provil )를 사용하였으며 회음부에 기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날개를 만들었다. 2차 형태의 기구를 사용한 환자중 마지막 1명은 종양의 위치를 고려하여 삽입할 수 있는 바늘의 갯수를 증가시켜서 새로이 제작하였다. 실제로 환자에게 시술하기 전에 예비치료계획을 시행하여 필요한 동위원소의 수량 및 배열을 결정하였다. 결 과 : 자체 제작한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바늘을 일정간격으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졌으며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삽입방향이 잘못되어 여러번 바늘을 찌르는 경우가 적어져 조직에 대한 손상을 줄일 수 있었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병소에 따라 개별화가 가능한 값싸고 유용한 기구의 제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좀 더 이상적인 선량분포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3명의 환자에서 바늘 삽입후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배열의 정확성과 방광 및 직장에 조사되는 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추적관찰시 원발성 종양으로 치료받았던 3명의 환자 모두가 국소제어되었으나 재발하여 치료하였던 경우에는 모두 국소재발하였다. 결 론 : 저자들은 부인과암에서 근접치료시 환자의 종양 특성에 따라 기구를 적절하게 고안하여 적은 비용으로 비교적 손쉽게 자체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조직내 삽입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수 있었다. Purpose : It is not a simple task to achieve the ideal isodose curve with a standard vaginal applicator or single plane needle impant in the paravaginal tissue when primary or recurrent gynecological neoplasms(cervical cancers, vaginal cancers and vulvar cancers) are treated as a boost following external beam radiotherapy. The authors introduce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 simple, inexpensive, customized applicator for volume implant to maximize the radiation dose to the tumor while minimizing the dose to the rectum and the bladder. Materials and Methods : Nine patients underwent Ir-192 transperineal interstitial implantation for either recurrent(5 cases) or primary(3 cases) cervical cancers or primary vaginal cancer(1 case) between August 1994 and February 1998 at Ajou university hospital. First 3 cases were performed with a single plane implant guided by digital palpation. Because of inadequate isodose coverage in the tumor volume in first 3 cases, we designed and constructed interstitial vaginal applicator for volume implant to improve tumor dose distribution and homogeneity while sparing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 Our applicators consist of vaginal obturator and perineal template that made of the clear acrylamide and dental mold material(Provil ). The applicators were customiz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tumor size and its location. Both HDR and LDR irradiation were given with these applicators accomodating 6 Fr needles(Microselectron, Nucletron). The pretreatment planning prior to actual implant was performed whenever possible. Results : Needles can be inserted easily and evenly into the tumor volume through the holes of templates, requiring less efforts and time for the implant prodecure. Our applicators made of materials available from commercial vendors. These have an advantage that require easy procedure, and spend relatively short time to construct. Also it was possible to fabricate applicators to individualize according to the tumor size and its location and to achieve the ideal isodose coverage. We found an accurate needle arrangement and ideal dose distribution through the CT scan that was obtained in 3 cases after needle implant. Three patients with primary cervical and vaginal cancers were controlled locally at final follow up. But all recurrent cases failed to do so. Conclusion : The authors introduce inexpensive, simple interstitial vaginal templates which were self-designed and constructed using materials available from commercial vendors such as acrylamide and dental mold material(Provil).

      • SCOPUSKCI등재

        연부조직종양에서 고선량율 조직내 방사선치료: 기술적 측면에서의 고찰

        전미선,강승희,김병석,오영택,Chun Mison,Kang Seunghee,Kim Byoung-Suck,Oh Young-Tae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1

        목적 : 연부조직종양을 제거한 직후 조직내 방사선치료용 도관을 삽입하여 근접방사선치료를 시행했던 증례들을 토대로 고선량율 조직내 방사선치료의 시술방법, 치료시기, 선량,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1995년 5월에서 1997년 12월까지 10명의 원발성 혹은 재발성의 연부조직종양 환자가 종양의 제한적 절제술 후에 조직내 방사선치료 및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종양을 제거한 직후 도관을 종양이 있었던 자리에 1~l.5cm 간격으로 삽입하였고 종양 가까이에 신경혈관속 혹은 뼈가 있었던 경우에는 젤폼, 근육, 혹은 tissue expander로 덮어 이들 중요 구조물들과 도관이 적어도 0.5cm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조직내 방사선치료는 이리디움-192가 장착된 고선량율 근접방사선치료기를 사용하여 수술 후 6일째부터 시작하였고 동위원소의 중심축으로부터 1cm 거리에 총 12~15Gy(2~2.SGy/fraction)를 일일 2회씩 3일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한 달 이내에 외부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총 50~55Gy를 조사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가 감염이나 출혈과 같은 근접방사선치료와 직접 관련된 부작용 없이 계획되어진 조직내 방사선치료를 마쳤다. 중앙 추적관찰기간 25개월째(범위 12~41개월)까지 국소재발은 관찰되지 않았고 RTOG/EORTC 등급 3 혹은 4의 만성 부작용도 없었다. 결론 : 주위정상조직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최소화하면서 수술 후 단기간 내에 시행할 수 있는 고선량율 조직내 방사선치료는 연부조직종양의 제한적 수술 후의 치료방법으로써 안전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치료효과 및 부작용 측면에서도 우수한 치료방법이다. Purpose : To discuss the technical aspect of interstitial brachytherapy including method of implant, insertion time of radioactive source, total radiation dose, and complication, we reviewed patients who had diagnoses of soft tissue sarcoma and were treated by conservative surgery, interstitial implant an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y 1995 and Dec. 1997, ten patients with primary or recurrent soft tissue sarcoma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wide margin excision) and received radiotherapy including interstitial brachytherapy. Catheters were placed with regular intervals of 1 ~l.5 cm immediately after tumor removal and covering the critical structures, such as neurovascular bundle or bone, with gelform, muscle, or tissue expander in the cases where the tumors were close to those structures. Brachytherapy consisted of high dose rate, iridium-192 implant which delivered 12~15 Gy to 1 c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source axis with 2~2.5 Gy/fraction, twice a day, starting on 6th day after the surgery, Within one month after the surgery, total dose of 50~55 Gy was delivered to the tumor bed with wide margin by the external beam radiotherapy. Results : All patients completed planned interstitial brachytherapy without acute side effects directly related with catheter implantation such as infection or bleeding. With median follow up duration of 25 months (range 12~41 months), no local recurrences were observed. And there was no severe form of chronic complication (RTOGIEORTC grade 3 or 4). Conclusion : The high dose rate interstitial brachytherapy is easy and safe way to minimize the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adjacent normal tissue and to decrease radiation induced chronic morbidity such as fibrosis by reducing the total dose of external radio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oft tissue sarcoma with conservative surgery.

      • KCI등재후보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에 발생한 직장출혈과 치료

        전미선,강승희,길훈종,오영택,손정혜,정혜영,유희석,이광재,Chun Mison,Kang Seunghee,Kil Hoon-Jong,Oh Young-Taek,Sohn Jeong-Hye,Jung Hye-Young,Ryu Hee Suk,Lee Kwang-Ja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4

        목적 : 자궁경부암의 경우 종양에 충분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직장도 고선량의 방사선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직장염을 비롯한 만성부작용이 발생하며 직장 출혈 빈도를 $5\~30\%$ 보고하고 있다. 저자는 완치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장 출혈 빈도와 그와 관련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고 치료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과 1999년 12월 사이에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213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90명이 외부 방사선치료의 일부를 하루 2회씩 받았다(변형된 다분할 방사선치료). 자궁주위조직의 외부 방사선량은 총 $51\~59\;Gy$였고 근접방사선치료로 A점에 총 $28\~30\;Gy$ (4 Gy씩 7회 혹은 5 Gy씩 6회)를 조사하였다. 직장에 조사된 선량은 ICRU 38에서 정한 위치와, 모의촬영필름에서 바리움에 의해 구분되는 직장 앞쪽 벽의 한 점을 선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장출혈의 정도는 LENT/SOMA에 따라 분류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12\~86$개월(중앙값 39개월)이었다. 결과 : 27명$(12.7\%)$의 환자에서 직장출혈이 발생하였다(등급 2와 3:각각 16명과 2명, $8.5\%$). 이들 중에서 추적관찰 기간동안 질-직장루 또는 폐쇄로 진행된 경우는 없었다 발생시기는 대부분의 환자에서$(92.6\%)$ 치료 종료 후 2년 이내였다(중앙값 16개월). 단변량분석에서 위험인자로 icruCRBED (직장이 받은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 자궁주위조직의 방사선량, 및 병기였다. icruCRBED가 100 미만인 경우와 100 이상인 경우 $4.2\%$ 대 $19.7\%$, 자궁주위조직에 대한 조사선량 55 Gy 미만과 그 이상인 경우가 $5.1\%$ 대 $22.1\%$, 병기 II 이하인 경우와 III 이상인 경우가 $10.5\%$ 대 $31.8\%$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icruCREED 만이 유의하였다(0=0.0432). 등급 1 출혈은 자연적으로 소실되거나(3명) $1\~2$개월의 sucralfate 관장으로 멈추었다. 등급 2의 환자 6명은 $1\~2$개월 동안 sucralfate 관장으로 출혈의 빈도와 양이 줄어들었고 이 중 4명은 전기응고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다른 9명은 전기응고술을 먼저 시행하였다(4명; sucralfate 관장 병행). 모두 $3\~10$개월 내에 정지되었다. 등급 3의 출혈은 잦은 전기응고술과 수혈을 요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중등도 이상의 직장출혈빈도가 $8.5\%$로 타 문헌에서 보고된 빈도와 유사한 결과였다. 직장에 조사된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이 100 Gy 이상인 경우에 직장출혈이 유의하게 증가하므로, 치료계획시 생물학적 동등선량을 고려함으로써 휴유증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직장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출혈로 인한 불편함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이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Radiotherapy is the main treatment modality for uterine cervix cancer. Since the rectum is in the radiation target volume, rectal bleeding is a common late side effect. This study evaluates the risk factors of radiation induced rectal bleeding and discusses its optimal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of 213 patients who complete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CR)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199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 patient had undergon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Ninety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ccording to a modified hyperfractionated schedule. A midline block was placed at a pelvic dose of between 30.6 Gy to 39.6 Gy.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was 51 to 59 Gy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ir disease. The Point A dose from the HDR brachytherapy was 28 Gy to 30 Gy $(4\;Gy\times7,\;or\;5\;Gy\times6)$. The rectal point dose was calculated either by the ICRU 38 guideline, or by anterior rectal wall point seen on radiographs, with barium contrast. Rectal bleeding was scored by the LENT/SOMA criteria. For the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e opted for observation, sucralfate enema or coagul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9 months $(12\~86\;months)$. Results : The incidence of rectal bleeding was $12.7\%$ (27/213); graded as 1 in 9 patients, grade 2 in 16 and grade 3 in 2. The overall moderate and severe rectal complication rate was $8.5\%$. Most complications $(92.6\%)$ developed within 2 years following completion of radiotherapy (median 16 months). No patient progressed to rectal fistula or obstru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ree factors correlated with a high incidence of bleeding an icruCRBED greater than 100 Gy $(19.7\%\;vs.\;4.2\%)$, an EBRT dose to the parametrium over 55 Gy $(22.1\%\;vs.\;5.1\%)$ and higher stages of III and IV $(31.8\%\;vs.\;1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cruCRBED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p>0.0432).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had borderline significance (p=0.0546). Grade 1 bleeding was controlled without further management (3 patients), or with sucralfate enema 1 to 2 months after treatment. For grade 2 bleeding, sucralfate enema for 1 to 2 months reduced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but for residual bleeding, additional coagulation was peformed, where immediate cessation of bleeding was achieved (symptom duration of 3 to 10 months). Grade 3 bleeding lasted for 1 year even with multiple transfusions and coagulations. Conclusion : Moderate and several rectal bleeding occurred in $8.5\%$ of patients, which is comparable with other report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tal bleeding was the accumulated dose to the rectum (icruCRBED), which corrected with consideration to biological equivalence. Prompt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ith a combination of sucralfate enema and coagulation, reduced the duration of the symptom, and minimized the anxiety/discomfort of patients.

      • KCI등재

        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CM 적용 다양화 방안 - 발주자 특성 및 사업특성을 중심으로 -

        김남준,정영수,강승희,신동우,Kim, Namjoon,Jung, Youngsoo,Kang, Seunghee,Shin, Do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7 No.1

        1996년 국내에 CM 제도가 도입된 이후 지금까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고, 그 수요와 계약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향후 CM 시장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CM 산업이 지금보다 한 단계 발전하고 해외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발주자의 요구사항과 프로젝트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CM 적용을 위해 산업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4가지의 다양한 CM 적용 형태별 사례들을 '업무비중' 및 '업무심도'를 업무기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사례별로 CM '시장유형' 및 '업무형태'별 유형을 정의하였다. 사례 비교 분석 결과, 각 사례별로 CM 시장 및 적용 업무 유형별 업무 비중과 심도는 다양하게 나타났고, 국내 공공 사례에서 국내 민간 사례, 그리고 해외 민간 사례로 갈수록 시공단계의 품질관리 중심에서 기획, 설계관리, 공정관리 등 사업초기 단계 업무들의 비중과 심도가 높아지면서 전 생애주기 단계에 걸쳐 교과서적인 CM 업무를 수행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국내 공공 CM 사업은 시공단계의 감리 업무에 집중된 제도로 인해 CM 적용 다양화를 위한 전 생애주기관점에서 기술경쟁력 강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도, 산업, 그리고 기업차원에서 CM 적용 다양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Domestic CM market has continued to grow since the enactment of CM policies in 1996. In addition, future CM market is forecasted to have potential high grow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CM business models reflecting the owner's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in the CM industry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of various CM applications based on comparison of 4 cases analyzed by 'business weight' and 'business depth' in terms of business function as well as by the types of 'CM market' and 'CM practice'. Result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each case presents differences in terms of type, business weight, and business depth of CM practice. However, domestic public CM services are currently being challenged to strengthen capability throughout the project life-cycle against the limitation of government's CM policies focused on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In order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the strategies of various CM applciations from several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CM기업의 단계별 발전 전략 모델: 2012년 실적자료 기반 분석

        정영수,신동우,강승희,김남준,Jung, Youngsoo,Shin, Dongwoo,Kang, Seunghee,Kim, Namjo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6

        지난 20여 년간 우리나라 건설사업관리(CM)는 많은 발전으로 이루어 왔으며, 이제 해외진출 확대와 기술 고도화를 위한 활발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CM사업 수주실적 통계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변수를 도출하고, 분석변수별로 산업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현황분석을 기반으로 CM프로젝트를 10가지 유형으로 정의하고, 유형에 따른 우리나라 CM기업의 발전전략모델을 제시하였다. 현황분석 결과, 국내공공 CM사업은 감리기능이 포함되어 규모는 크나 업무의 내용은 매우 제한적이며, 반대로 민간사업은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음에도 불구하고 기획 및 설계전 단계의 업무에 많은 노력이 투입되고 있다. 업무기능면에서는 '기획업무'의 타당성분석, 사업수행계획서, 업무분류체계, 매뉴얼 작성 등의 역량향상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공정관리', '안전환경', 그리고 PMIS와 표준매뉴얼을 포함하는 '연구개발' 분야의 비중 증대가 우선시 된다. 현황분석에 의해, CM기업 발전전략을 사업유형별 경로 모델로 제시하였으며, 첫 단계로 현재의 시공감리형(MS3)에서 시공관리형(MM3)로 전환하고, 다음은 종합관리형(MM1)/분할발주형(MG2)/시공책임형(MG1)으로 발전시킨 후에, 마지막으로는 기획을 중심으로 하는 기획관리형(MP1)으로 향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CM services have been increasingly practiced over the two decades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recent efforts focus on further development in advanced CM capabilities and expansion to overseas market. However, there has been lack of holistic research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CM industry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Korean CM industry in terms of owners, market, CM firms, contracts, and work scopes, 2) to define different types of CM practices, and 3) to propose growth models for Korean CM firms based on the defined CM project type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statistical analysis of 2012 CM contrac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CM status. Based on the analyses, ten different CM types are defined, and growth paths of CM firms are illustrated. Implications and lessons learned during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workshops are briefly introduc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