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람양성구균에 대한 Teicoplanin과 Vancomycin의 시험관내 항균력

        최태열,김경숙,전용관,서일혜,김정욱,이웅수,안정열,김홍석,정재용,최효선,김덕언,유진우 대한감염학회 1994 감염 Vol.26 No.1

        An increasing frequency of 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MRSA), methicillin resistant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MRCNS) and Enterococcal infection have been observed in recent years. Teicoplanin is a new glycopeptide antibiotic obstained from the Actinoplanes teicomycetius. The molecular structure an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eicoplanin is simillar to those of vancomycin,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 excellent in vitro and in vivo effect against various gram-positive infections. Therefore, we evaluated the in vitor susceptibility of gram positive cocci, such as, S. aureu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CNS), and Enterococci to teicoplanin and vancomycin. The total 253 strains consisted of MSSA(40), MRSA(53), MSCNS(47), MRCNS(48), and Enterococci(65). They were assayed by disc diffusion and agar dilution. During the study, 57% of S. aureus and 49% of CNS showed resistance to methicillin. The inhibitory diameter of teicoplanin was 15-20mm in MSSA, 12-19mm in MRSA, 13-24mm in MSCNS, 11-23mm in MRCNS, and 15-22mm in Enterococci respectively, and showed sensitivity in all but 8 strains(3.2%). The range of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eicoplanin to MSSA, MRSA, MSCNS, MRCNS and Enterococci were 9.12-2.0㎍/ml, 0.25-2.0㎍/ml, & 0.25-32㎍/ml, 0.12-1.0㎍/ml respectively. One case of S. haemolyticus was resistant to teicoplanin (32㎍/ml) by the agar dilution method. Eight minor (3.2%) and one major(0.4%) error was observed when the MIC and disk diffusion data were correlated with teicoplanin. As for vancomycin the inhibitory diameter was 17-21mm in MSSA, 15-21mm in MRSA, 18-26mm in MSCNS, 18-25mm in MRCNS, and 16-22mm in Enterococci respectively. The range of the MIC of vancomycin to MSSA, MRSA, MSCNS, MRCNS, and Enterococci were 0.25-1.0㎍/ml, 0.25-4.0㎍/ml, 0.5-2.0㎍/ml and 0.5-2.0㎍/ml respectively. One minor error (0.4%) was seen with the vancomycin disk. The MIC90 of MSSA and MRSA exhibited the same results in teicoplanin (1.0㎍/ml, 1.0㎍/ml), and vancomycin(2.0㎍/ml, 2.0㎍/ml). MSCNS and MRCNS exhibited greater MIC90 with teicoplanin(4.0㎍/ml, 8.0㎍/ml) than vancomycin(2.0㎍/ml, 2.0㎍/ml). Incontrase Enterococci were more susceptible to teicoplanin(0.5㎍/ml) than to vancomucin (2.0㎍/ml). Results from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teicoplanin and vancomycin were very excellent for gram positive infections, especially those resistant to methicillin.

      • 퍼팅 동작 영상분석 시 프레스 동작의 이벤트 설정 가능성 여부

        박태진,서국웅,서국은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09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25 No.1

        본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에서 세미프로로 활동 중인 7명을 선정하여 퍼팅(10.94 m)동작 시 프레스 동작을 3차원 영상 기법을 통해 운동학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양손은 어드레스를 취한 후 백스윙되기 전까지 볼 진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퍼터헤드, 몸통, 어깨 중심점은 프레스 동작 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레스 시 양손 중심점은 어드레스 시 보다 임팩트 시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퍼팅 스트로크 시 총소요시간 중 프레스 동작이 22.83%를 차지하고, 구간 중 다운스윙과 팔로스루 시간 보다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암댐의 어도를 이용하는 회유성 어류 자원의 계절적 변화 연구

        오철웅,황종서,박경양,송태곤 木浦大學校 沿岸環境硏究所 1999 沿岸環境硏究 Vol.16 No.1

        영암호 통선겸용 갑문식 어도에서 총 30회의 어류 조사 결과 줄공치, 웅어, 숭어, 빙어, 전어 등 총 25종이 출현하였다. 어도의 출현 종은 계절별로 종조성, 개체수, 생체량에 있어서 크게 변동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월별 총출현 종수는 6월에 1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7, 8, 9월에 11종, 10월에 10종이었으며, 11월에 6종, 4월과 5월에 각각 5종으로 가장 적은 종수의 출현하였다. 종다양도지수 또한 6월에 1.048로 가장 높았으며, 11월에 0.34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출현종의 개체수는 봄철이후로 전반적인 감소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주요 우점종의 전체 개체수는 줄공치, 웅어, 빙어, 숭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체량도 개체수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봄철이후로 전반적인 감소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주요 우점종에 대한 전체 비율를 보면 웅어, 줄공치, 빙어, 숭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암호 통선겸용 갑문식 어도에서 어도 이용 생물의 종조성, 개체수 및 생체량의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 (temporal variation)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계절별로 다양한 종들이 그들의 생활사의 일부 기간에 어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해 주었다. 우점종의 한종인 줄공치의 체장빈도분포 분석결과 줄공치는 두개의 연급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번째 연급군이 탁월 연급군이었다. 가입은 주로 여름철 (8월과 9월)에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줄공치가 치어기부터 성어기까지 어도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해 주고 있다.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tempor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f fishes in the fish way constructed at Young-am Dam. During the sampling period total 25 species were observed. Of these, dominant species were Hemiramphus kurumaeus, Coilia ectenes, Mugil cephalus, and Hypomesus olidus. Number of species was the most numerous in June (12) and the least in April and May (5).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species diversity index (H'), which was 1.048 in June and 0.346 in November. There were variations in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f fishes in the fish way, showing a gradual decline from summer to Autumn. This suggests that a variety of adult and larval fishes utilized in the fish way as a channel of migration in relation to their life history. Number of individuals (percentage of total number) was in the order of Hemiramphus kurumaeus (63%), Coilia ectenes (17%), Hypomesus olidus (15%), Mugil cephalus (5%) and biomass (percentage of total biomass) in the order of Coilia ectenes (51%), Hemiramphus kurumaeus (35%), Hypomesus olidus (7%), Mugil cephalus (4%). For one of the dominant species, Hemiramphus kurumaeus, length-frequency distribution showed that it consisted of two cohorts, with predominance in the 2nd cohort and recruitment occurred mainly in August and September, indicating utilization of fish way at various stages during its life history.

      • 재해이력 및 재해위험지구 공간검색을 위한 GIS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관한 연구

        서태웅(Tae-Woong Seo),황현숙(Hyun-Suk Hwang),김창수(Chang-Soo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2

        지리정보와 그에 관한 분석에 대한 활용도와 이해를 높이기 위해,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지리정보를 분석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GIS 공간검색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절차를 서술하고 그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지리정보 분석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를 새로 구축하거나,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속성데이터와 공간데이터를 결합하여 새로운 지리정보데이터를 구축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데이터는 ESRI사의 ArcObjects를 통해 검색 가능한 Application을 개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들을 수행하여 부산시의 재해 이력 및 재해위험지구를 검색하는 Application이 완성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원통형 종이포트 고추 묘의 생육 차이가 초기 뿌리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서태철(Tae Cheol Seo),안세웅(Se Woong An),김선민(Sun Min Kim),남춘우(Chun Woo Nam),전희(Hee Chun),김영철(Young Chul Kim),강태경(Tae Kyoung, Kang),김성우(Sung Woo, Kim),전수경(Su Gyeong Jeon),장길수(Kil-Su Ja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7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최근에 도입된 원통형 종이포트 묘에 대한 현장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기존의 프러그 묘를 대조구로 하여 몇가지 육묘조건에 따른 묘의 생육 차이를 분석하고, 정식 후 수량을 비교하였다. 전주 유리온실에서 수행된 육묘 실험에서는 묘의 생육은 프러그 트레이 50공에서 지속 시비한 처리에서 생육량이 가장 많았다. 생육은 육묘 상자의 구멍에 채우는 상토량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육묘 상자 보다는 시비 처리에 따른 차이가 더 컸다. 공시한 ‘청양’, ‘대권선언’, ‘롱그린맛’ 품종 모두 같은 양상을 보였다. 육묘 후 비닐하우스와 노지에 심어서 뿌리 발달과 수량을 조사한 결과, 비닐하우스 재배 시 ‘청양’ 품종의 뿌리 내림은 종이포트묘와 프러그묘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공시한 3 품종 모두 최종 누적수량의 차이는 없었다. 전주 지역 노지재배에서는 ‘청양’은 종이포트묘가, ‘대권선언’과 ‘롱그린맛’은 프러그묘가 누적수량이 많았다. 영양 지역에서 ‘대권선언’ 품종은 종이포트묘와 프러그묘 간에 수량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육묘 처리 조건에 따른 원통형 종이포트 고추묘의 생육의 변화는 기존의 프러그묘와 같은 양상이며, 정식 후 재배조건과 품종에 따른 미미한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수량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원통형 종이포트 고추 묘에 대한 활용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recently introduced cylindrical paper pot seedlings in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cultivation. The seedling growth, initial rooting after planting and accumulated fruit yield were investigated with the treatments of tray type (paper pot and plug) as a main factor, tray cell number (40 cell and 50 cell) as a sub-factor, and fertigation method (continuous fertigation and fertigation after 35 days sowing) as a sub-sub factor, respectively. The growth of pepper seedling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ray type and fertigation method showing the highest value at 50 cell plug tray with continuous fertigation, and the effect of fertiga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trays. ‘Cheongyang’, ‘Daekwonseoneon’ and ‘Longgreenmat’ cultivar showed all the same pattern in seedling growth. These three-cultivar seedlings were planted in plastic house and in open field in Jeonju area, respectively, and another ‘Daekwonseoneon’ seedlings raised Yeongyang local area was also planted at the same are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ooting of ‘Cheongyang" pepper at 2 weeks after planting in plastic house. The accumulated fruit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per pot seedlings and plug seedlings in three cultivar grown in plastic house. However, that of ‘Cheongyang’ pepper showed higher at paper pot seedlings than plug seedlings and the other two cultivar were higher at plug seedlings in open field. ‘Daekwonseoneon’ pepper yield grown in open field in ‘Yeongyang’ area was not significant between paper pot seedlings and plug seedlings. In conclusion, the pattern of seedlings growth grown in the cylindrical paper pot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plug seedlings and also fruit yield was similar between paper pot seedlings and plug seedlings even though minute difference among cultiv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per seedlings grown in paper pot should be highly applicable to pepper cultivation.

      • 상대전극 Pt 두께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특성 연구

        서현웅(Seo, Hyun-Woong),김미정(Kim, Mi-Jeong),홍지태(Hong, Ji-Tae),여태빈(Yeo, Tae-Bin),김희제(Kim, Hee-Je)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06

        전세계적으로 에너지난과 환경오염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최근 대체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이다. 다양한 대체에너지 중에서도 태양광 에너지는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해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인 분야이다. 대부분의 태양광 발전 시장이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가 차지하고 있으나 경제성의 한계로 인해 최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상대전극에 증착하는 백금층의 두께 변화가 가져오는 출력특성의 영향을 연구했다. 상대전극에 증착되는 백금 박막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매커니즘에서 입사광의 반사와 전기화학적 촉매작용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박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반사율이 증가해 염료 분자가 받는 에너지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상대전극에 백금 Sputtering하는 시간을 1분에서 최대 5분까지 차를 두어 상대전극의 백금 박막의 두께를 50nm{sim}250nm로 변화를 주어 측정한 결과, 250nm의 백금 박막층을 갖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보다 백금 박막층이 150nm의 두께를 가질 때 가장 좋은 효율을 출력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대전극의 백금 박막층에 의한 거울 효과와 촉매작용의 한계와 전자의 흐름 장애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