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흉선종 - 14명에 대한 치료 효과 -

        김수곤,이형식,조관호,서창옥,김귀언,Kim S. K.,Lee H. S.,Cho K. H.,Suh C. O.,Kim G. E.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 No.1

        흉선종은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예후를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수술시 육안적인 종양의 침윤정도이며, 치료는 수술에 의한 종양의 제거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방사선 치료 역시 수출 후 국소적 계발의 방지를 위해 쓰이고 있다.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도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 시행되고 있는 형편이다. 저자들은 1977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타 치료방사선과에서 흉선종 진단받고 치료한 14명의 환자를 후향성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명의 환자$(14\%)$가 근무력증을 나타냈다. 2. 주변조직의 침윤이 $86\%(12/14)$에서 관찰되었다. 3. $43\%$에서 육안적 완전 절제를 시행하였고 $14\%$에서 부분결제, 그리고 $43\%$에서는 생검만 시행 하였다. 4. 수술 후 혹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는 8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그중 현재 5명은 생존(4년, 2.8년, 1.6년, 1.4년, 1.3년), 3명은 사망(1년, 0.6년, 0.6년)하였다. 5. 방사선 치료선량은 대체료 $4,000\~4,500rad(1950\~7,000rad)$를 전후 흉곽 부위에 외부 조사하였다.

      • SCOPUSKCI등재

        THYMOMA : A Review of Fourteen Patients

        S.K. Kim(김수곤),H.S. Lee(이형식),K.H. Cho(조관호),C.O. Suh(서창옥),G.E. Kim(김귀언)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3 No.1

        흉선종은 비교적 드문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예후를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는 수술시 육안적인 종양의 침윤정도이며, 치료는 수술에 의한 종양의 제거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방사선 치료 역시 수출 후 국소적 계발의 방지를 위해 쓰이고 있다.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도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 시행되고 있는 형편이다. 저자들은 1977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타 치료방사선과에서 흉선종 진단받고 치료한 14명의 환자를 후향성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명의 환자(14%)가 근무력증을 나타냈다. 2. 주변조직의 침윤이 86%(12/14)에서 관찰되었다. 3. 43%에서 육안적 완전 절제를 시행하였고 14%에서 부분결제, 그리고 43%에서는 생검만 시행 하였다. 4. 수술 후 혹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는 8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으며 그중 현재 5명은 생존(4년, 2.8년, 1.6년, 1.4년, 1.3년), 3명은 사망(1년, 0.6년, 0.6년)하였다. 5. 방사선 치료선량은 대체료 4,000 ~ 4,500rad(1950 ~ 7,000rad)를 전후 흉곽 부위에 외부 조사하였다. Between January 1977 and December 1984, fourteen patients diagnosed of thymoma has been analyzed retorspectively. Six patients(6/14 patients 43%) had myasthenia gravis. Twelve patients (12/14 patients 86%) had invasive thymoma. Complete resection was carried out in six patients (43%), two patients had patial resection (14%) and six patients had only biopsy (43%). Postoprative or radical radiotherapy was given to 8 patients, of whom 5 patients was still alive(4 yr. 2.8 yr. 1.6 yr. 1.4 yr. 1.3 yr) and 3 patients died (1 yr. 0.6 yr. 0.6yr). External irradiation ranges 1950 ~ 7000 rads(mean 4500, median 4000 rads).

      • SCOPUSKCI등재

        Carcinoma of the Tonsillar Region

        J.S. Seong(성진실),S.G. Kim(김수곤),C.O. Suh(서창옥),G.E. Kim(김귀언),J.K. Noh(노준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1971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연세암센터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36예의 편도선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통해 임상적 고찰 및 치료결과를 살펴 보았다. 환자의 75%는 초진시 이미 진행된 병기에 속하였고, 청부 임파절 전이율은 64%였다. 환자의 19%에서는 양측성 경부 임파절 전이가 있었다. 3년 국소치유율은 T1에서 88%, T2에서 46%, T3에서 25%였고 T4에서는 11%에 불과했다. 경부 임파절 전이의 치유율은 N0와 N1인 경우가 87%였고 N2와N3에서 16%로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원발병소와 경부 임파절 전이의 정도가 심할수록 예후가 좋지 않았고 전 환자의 3년 국소치유율은 42%였다. Thirty-six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tonsillar region treated with radical radiotherapy at Yonsei Cancer Center between Jan. 1971 and Dec. 198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results. Seventy-five per cent of patients were in advanced stage when they were first seen. Incidence of nodal involvement at the time of initial presentation was 64%. Bilateral nodal involvement was found in 19% of cases. Three-year local control rates for T1, T2, T3, and T4 were 88%, 46%, 25%, and 11%, respectively. Advanced neck nodes were poorly controlled (N1 70%, N2 20%, N3 12%). The prognosis is mainly affected by the status of the primary and neck nodes Overall three-year local control rate was 42%.

      • 두경부암의 온열요법

        박경란(K R Park),이창걸(C G Lee),김수곤(S K Kim),조관호(K H Cho),서창옥(C O Suh),김귀언(G E Kim),노준규(J K Loh),김병수(B S Kim)홍원표(W P Hong),박정수(C S Park)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 No.1

        Clinical application of hyperthermia using 8 MHz radiofrequency (capacitive type THER-MOTRON RF-8) in cancer treatment was begun at Yonsei Cancer Center in 19&5. From April 1985 to April 1986, 23 patients with loco-regionally advanced and persistent or recurrent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were treated with hyperthermia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adiation therapy and/orchemotherapy were combined with hyperthermia to improve the tumor response. The response rate of 23 patients was 52%, 4 had complete response, and 7 had partial response. The factors affecting the tumor response were dose of irradiation (P= 0.009). Complications related to treatment were found in 8 patients and all of them were self-limi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localized hyperthermia as a combined modality has a significant role in palliation of advanced and recurrent head and neck cancer.

      • 두경부에 발생한 연골육종 4예

        고은희(E H Koh),노준규(J K Loh),김귀언(G E Kim),서창옥(C O Suh),김수곤(S K Kim),김병수(B S Kim),홍원표(W P Hong),박경란(K R Park),이창걸(C G Lee)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8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 No.1

        Chondrosarcoma of the head and neck is very rare tumor and this incidence was reported to be about 10% of all chondrosarcomas. Maxilla is the most common site of involvement and mandible, paransal sinus, nasal cavity and base of skull in that order. In general, chondrosarcoma has been known to be radioresistant, however since the Princess Margaret Hospital reported that it was radioresponsive tumor in 1980, the role of radiotherapy has been emphasized in terms of local control, especially in head and neck regions where complete excion is often difficult to achieve. The authors experienced 4 cases of chondrosarcoma of head and neck among all 29 chondrosarcoma patients from 1971 to 1985. The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 of this disease, it's treatment and prognosis were reviewed along with the literatures.

      • SCOPUSKCI등재

        편도선 암의 방사선 치료

        성진실,김수곤,서창옥,김귀언,노준규,Seong J. S.,Kim S. G.,Suh C. O.,Kim G. E.,Loh J. 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8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4 No.1

        1971년 1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연세암센터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36예의 편도선암 환자군을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통해 임상적 고찰 및 치료결과를 살펴 보았다. 환자의 $75\%$는 초진시 이미 진행된 병기에 속하였고, 청부 임파절 전이율은 $64\%$였다. 환자의 $19\%$에서는 양측성 경부 임파절 전이가 있었다. 3년 국소치유율은 $T_1$에서 $88\%$, $T_2$에서 $46\%$, $T_3$에서 $25\%$였고 $T_4$에서는 $11\%$에 불과했다. 경부 임파절 전이의 치유율은 $N_0\;와\;N_1$인 경우가 $87\%$였고 $N_2\;와\;N_3$에서 $16\%$로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원발병소와 경부 임파절 전이의 정도가 심할수록 예후가 좋지 않았고 전 환자의 3년 국소치유율은 $42\%$였다. Thirty-six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tonsillar region treated with radical radiotherapy at Yonsei Cancer Center between Jan. 1971 and Dec. 198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results. Seventy-five per cent of patients were in advanced stage when they were first seen. Incidence of nodal involvement at the time of initial presentation was $64\%$. Bilateral nodal involvement was found in $19\%$ of cases. Three-year local control rates for T1, T2, T3, and T4 were $88\%,\;46\%,\;25\%,\;and\;11\%$, respectively. Advanced neck nodes were poorly controlled $(N1\;70\%,\;N2\;20\%,\;N3\;12\%)$. The prognosis is mainly affected by the status of the primary and neck nodes Overall three-year local control rate was $42\%$.

      • KCI등재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목초의 사초 생산성 비교

        김종덕,권찬호,김수곤,박형수,고한종,김동암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5

        일년생 콩과목초는 가축에게 단백질 원료와 토양에 질소 비료로 이용되고 있으나 품종의 선택과 관리기술은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시험은 콩과목초의 우량품종을 선발하고 조사료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1년간 (1999∼2000) 2지역인 경기 수원과 충남 성환에서 수행하였다. 일년생 콩과목초의 유식물 활력과 내도복성은 모든 품종에서 8점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월동률에서는 crimson clover와 rose clover는 월동을 하였으나, persian clover의 ‘Lazer’및‘Nitro’품종은 각각 35.9% 및 9.1%로 거의 월동이 되지 않았다. Crimson clover의 ‘Tibbee’및‘Contea’품종은 각각 5월 4일과 6일에 개화하였으며, rose clover의 ‘Bolta balansa’품종은 4월 29일에 개화하였다. 콩과목초의 ha당 건물수량은 crimson clover의 ‘Tibbee’품종과 rose clover의 ‘Bolta balansa’품종이 각각 3,874 및 3,828 ㎏/ha로 높은 수량을 보였다. ADF 및 NDF 함량으로 계산한 상대사료가치는 공시품종 모두가 125 이상으로 높은 품질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crimson clover와 rose clover는 월동률이 높고 건물수량이 많아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목초로 권장할 수 있으나, persian clover는 월동률이 낮아 중부지방에서 일년생 콩과목초로 이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Annual legume is being used as an important source of protein for farm animals and an ingredient for nitrogen fertilizers. There are, however, difficulties in selecting appropriate cultivar and forage management techniqu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best performing cultivars and evaluate a forage value on annual legume at two locations (Suwon and Sunghwan) for 1 year (1999∼2000). All cultivars shown a seedling vigor and lodging resistance of 8 rating or higher. Crimson and rose clover showed that they are appropriate for overwintering, but ‘Laser’(35.9%) and ‘Nitro’(9.1%) of persian clover variety did not overwinter well from 1999 to 2000. Flower stage was observed 4th of May for ‘Tibbee’, 6th of May for ‘Contea’ crimson clover, and 29th of April for ‘Bolta balansa’ rose clover. DM yield of a crimson clover ‘Contea’(4,218㎏/ha) was the highest among the legume forate. A crimson clover ‘Tibbee’ and rose clover ‘Bolta balansa’ also had a high production yield (3,874 and 3,828㎏/ha). Calculations of relative feed value (RFV) based on the acid and neutral detergent fiber (ADF and NDF) of annual legume were over 125, which means that quality was hig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rimson and rose clovers are recommended due to their high winter survival rate and high DM yield. Persian clover is not recommended because of a low overwintering rate at the Central reg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