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te Sizing Of Multiple-paths Circuit

        이승호,장종권,Lee, Seungho,Chang, Jongkwon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2 No.3

        논리 노력[1, 2]의 기법은 회로의 지연 값을 간단한 필산으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법은 설계 공정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도 있지만 고정 지연이라는 조건에서 논리 경로의 면적이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여 설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논문[3]에서 제안하였지만, 논리 경로가 하나인 회로에만 국한되어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균형 지연 모델을 기초로, 다중 논리 경로의 회로에 적용할 수 있는 향상된 게이트 크기 결정 방법을 제한하고자 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논리노력 방법과 비교하면 전력 소비 측면에서 거의 같았지만 회로의 설계 공간 측면에서는 약 52%의 효율성을 보였다. Logical Effort [1, 2] is a simple hand-calculated method that measures quick delay estim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design cycle time. However, it has shortcomings in designing a path for minimum area or power under a fixed-delay constraint. The method of overcoming the shortcomings is shown in [3], but it is constrained for a single logical path. This paper presents an advanced gate sizing method in multiple logical paths based on the equal delay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the power dissipation for both the existing logical effort method and proposed method is almost equal. However, compared with the existing logical effort method, it is about 52 (%) more efficient in space.

      • KCI등재

        참조 수문관측소 구성 조건에 따른 LSTM 모형 홍수위예측 정확도 검토 사례 연구

        이승호,김수영,정재원,윤광석,Lee, Seungho,Kim, Sooyoung,Jung, Jaewon,Yoon, Kwang Seok 한국수자원학회 202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6 No.12

        최근 전세계적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우가 집중되고 강우강도가 강해짐에 따라 홍수피해의 규모를 증가시키고 있다. 과거에 관측되지 않았던 규모의 비가 내리기도 하고, 기록되지 않았던 장기간의 장마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해들은 아세안 국가에도 집중되고 있으며,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의 빈번한 발생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찌따룸강 상류 유역에 위치한 반둥 지역은 분지 형태의 지형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홍수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에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2017년에 찌따룸강 상류(Upper Citarum River) 유역에 대하여 홍수예경보시스템을 구축되었고, 현재 운영중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찌따룸강 상류 (Upper Citarum River) 지역은 홍수발생시 인명 및 재산피해의 위험에 여전히 노출되어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홍수예경보의 실시를 통해 피해를 경감시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찌따룸강 상류의 Dayeuh Kolot 지점을 목표관측소로 하고, 강우관측소 4개소와 수위관측소 1개소의 10분 단위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하천홍수위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6개 관측소의 2017년 1월부터 2021년 1월까지의 10분 단위 수문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선행예보시간 0.5, 1, 2, 3, 4, 5, 6시간에 대해서 학습, 검증,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인공지능알고리즘으로는 LSTM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선행예보시간에 대해 모형적합도 및 오차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학습자료 구축조건에 따른 예측정확도를 검토한 결과 참조관측소가 적은 경우에도 모든 관측소를 활용하는 경우와 유사하게 예측정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인공지능 기반 모형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recent global climate change, the scale of flood damage is increasing as rainfall is concentrated and its intensity increases. Rain on a scale that has not been observed in the past may fall, and long-term rainy seasons that have not been recorded may occur. These damages are also concentrated in ASEAN countries, and many people in ASEAN countries are affected, along with frequent occurrences of flooding due to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In particular, the Bandung region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Chitarum River basin in Indonesia has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a basin, making it very vulnerable to flooding. Accordingly, through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Upper Citarium River basin in 2017 and is currently in operation. Nevertheless, the Upper Citarium River basin is still exposed to the risk of human and property damage in the event of a flood, so efforts to reduce damage through fast and accurate flood forecasting are continuously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iver flood water level forecasting model for Dayeu Kolot as a target station was developed by using 10-minute hydrological data from 4 rainfall stations and 1 water level station. Using 10-minute hydrological observation data from 6 stations from January 2017 to January 2021, learning, verification, and testing were performed for lead time such as 0.5, 1, 2, 3, 4, 5 and 6 hour and LSTM was appli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s a result of the study, good results were shown in model fit and error for all lead times, a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ediction accuracy according to the learning dataset conditions, it is expected to be used to build an efficien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odel as it secures prediction accuracy similar to that of using all observation stations even when there are few reference stations.

      • KCI우수등재

        장경간 보도교의 내풍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승호(Lee, Seungho),정회갑(Jeong, Houigab),권순덕(Kwon, Soon-Duck)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2

        최근 지자체들이 경쟁하듯이 건설하고 있는 장경간 케이블 보도교(일명 출렁다리)는 공원 시설로 인식되어 제대로 된 검토와 설계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케이블 보도교는 기존 도로 현수교보다 훨씬 유연한 특성으로 인하여 내풍안정성 확보는 반드시 필요하며, 오히려 더 기존의 도로교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상세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 보도교의 내풍 특성을 파악하고, 고유진동수를 추정할 수 있는 추정식을 제시하였다. 또한 경간장에 따른 플러터 풍속 추정에 대한 추세선을 제시하여 평판 거더 보도교의 내풍안정성 확보의 어려움과 그 한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풍동실험을 통해 바닥 데크 그레이팅 적용 비율 변화를 통해 내풍안정성을 만족하는 단면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세장 케이블 보도교 계획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recent years, a number of long span cable-stayed pedestrian bridges have been constructed to the advantages of relatively low cost construction and the many tourists visiting. However, most of the pedestrian bridges are located in parks or sightseeing areas, so they are conducted without proper review and design proces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erodynamic stability of the long span cable-stayed pedestrian bridge, and it should be designed in detail from various points of view rather than the road brid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wind characteristics of the cable-stayed pedestrian bridge, and the empirical equ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span length and the fundamental natural frequencies are presented for future use. In addition, the flutter wind speed limit of the flat plate deck pedestrian bridge calculated using the Selberg’s equation is also presented. The final aerodynamic bridge section which satisfied the aerodynamic stability was found from open grat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for long span cable-stayed pedestrian bridge in the future.

      • KCI등재

        ‘국경’에서 본 5~7세기 삼국의 전쟁 : 築城과 戰鬪로 그어진 경계

        이승호(Lee Seungho)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7

        이 글은 전쟁을 통해 5~7세기 삼국의 국경 변동 양상을 검토한 장창은 저 『삼국시대 전쟁과 국경』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나아가 저서를 통해 새롭게 제기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 것이다. 특히 5세기 이후로 전쟁을 거듭하였던 삼국 간에 그어진 ‘전선’을 곧 ‘국경’으로 치환하고자 하였던 저자의 시각과 이것에 기반하여 전개된 정밀한 논의를 따라가면서, 그와 같은 문제의식과 연구 방법이 제시하는 사학사적 의미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끝으로 앞으로의고대 ‘국경’에 대한 연구가 이를 ‘공간’으로 바라보고 ‘변경’ 혹은 ‘접경 공간’으로 인식하여, 그공간 위에서 삶을 영위하였던 주민집단에 대한 연구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main contents of Wars and Border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written by Jang, Chang-eun, who examined the borders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fifth to seventh century through war and further, it attempted to critically examine problems that can newly be brought up through this book. In particular, it followed the viewpoint of the writer who attempted to replace the ‘fronts’ drawn between the three kingdoms, which repeatedly went through war after the 5th century, with ‘borders’ along with detailed discussions developed based on this to point out historical meanings and limitations presented by such problem awareness and research methods. Lastly, it organized prospects for future related research, focusing on remaining stories that were not dealt with in Wars and Border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 KCI등재

        한국의 여름철 강수량 변동-순별 강수량을 중심으로-

        이승호(Seungho Lee),권원태(Won Tae Kwon)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6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14개 지점의 여름철 강수량을 분석하여 1941-1970년과 1971-2000년 기간 사이의 변동을 파악하고, 순별 강수량의 경년 변동과 해양변동 및 전구평균기온 변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두 기간의 순별 강수량 차이에 의하여 중서부지역, 호남지역, 영동 및 영남지역, 제주도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강수량은 8월에 증가하였고 9월에 감소하였다. 중서부지역에서 8월 강수량의 증가 폭이 크며, 이는 호우 빈도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순별 강수량의 제 2극대기가 9월 초순에서 8월 하순으로 바뀌거나 출현하지 않는다. 점차 8월의 소우기가 사라지면서 장마가 9월 초순까지 이어지는 경향이다. 8월 중순과 9월 중순(혹은 7월 중순)의 강수량 편차는 1971년을 경계로 음에서 양 혹은 양에서 음으로 바뀌는 경향이며, 그 변동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 지역에서 강수량 변동은 해양변동 및 전구평균기온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Daily rainfall data from 14 stations during 1941 to 2000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tion of summer rainfall and the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of summer rainfall and the variation of SOI(Southern Oscillation Index) and NPI(North Pacific Index), global temperature. For further investigation, study period is divided into two 30 year intervals, 1941-1970 and 1971-2000. There are the trend of increase in August and decrease in September in the later period compared with the earlier one. It was Mid-west in August where there is the largest variation. It is related to the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heavy rainfall. The second period of extreme rainfall by ten days is absent, or it change from early in September to late in Augus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dry spell in August disappears and Changma is continued to early in September. Gradually, there is change from negative (or positive) to positive (or negative) to the rainfall anomaly of the mid of August and the mid of September (or Ju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tion of rainfall and oceanic variation and global temperatu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기압배치형별 중부지방의 1월 최저기온 분포에 관한 연구 : 철원의 최저기온을 중심으로

        이승호(Seungho Lee),장지원(Jiwon Jang)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방의 1월 최저기온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철원의 극한 최저기온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지방 25개 관측소의 1991~2010년 1월 기온 분포 특성과 철원 기온과 춘천, 홍천, 봉화, 대관령, 원주, 제천 등 중부내륙 지역의 기온 차이를 기압배치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일평균기온과 평균일최저기온은 철원과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낮게 나타나지만, -15℃ 이하 일수와 같은 극한기온의 출현빈도는 철원에서 두드러졌다.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거나 우리나라 북쪽에 이동성 고기압이 위치할 때 철원기온이 비교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다.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는 철원과 비교지점 간 기온 차이가 적거나, 봉화, 제천과 같은 분지의 기온이 더 낮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distribution of minimum temperature during January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and to investigate causes for the occurrence of extreme minimum temperature in Cheorwon. January temperature distribution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25 weather stations in central area from 1991 to 2010 were investigated, and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between Cheorwon and the other stations in central region, such as Chuncheon, Hongcheon, Bonghwa, Daegwallyoung, Wonju and Jecheon were analyzed by the type of atmospheric pressure system. Daily mean temperature and mean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appear to be low at Cheorwon and at the sites in high altitudes, but the frequency of extreme cold wave such as below -15°C is also noticeable in Cheorwon. When the Siberian High has expanded and migratory anticyclone has moved onto the north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emperature at Cheorwon is relatively low. Furthermore it shows a lesser difference between Cheorwon and the compared stations when the migratory anticyclone affected the area, even at basin like Bonghwa, Jecheon more lower than Cheorwon.

      • KCI등재

        라오스의 수력발전개발: 경제개발을 위한 해결방안인가? 남툰2댐 사례를 중심으로

        이승호 ( Seungho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8 東南亞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라오스의 현대화 과정에서 수력발전댐이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주요 사례연구로 남툰2댐을 주목하고자 한다. 라오스의 수력발전개발은 사회경제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강한 의지를 나타내는 좋은 본보기이고 이런 과정에서 민간회사 및 세계 은행과 아시아개발은행과 같은 국제원조기구가 참여하여 수력발전개발을 더욱 가속하였다. 남툰2댐 사례는 수력발전개발을 위한 정부의 강한 정책적 의지, 인접국가로의 수력 수출 및 이를 통한 라오스 경제 발전과 같은 성과를 보여준다. 그러나 수력발전댐 개발로 인한 환경문제의 부적절한 대응, 댐 개발에 대한 시민사회의 목소리 부재 및 사회경제발전과 환경보호의 균형을 위한 수력발전개발 정책 결여 등과 같은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라오스의 수력발전개발을 통한 사회경제발전은 주목받을 만하지만 향후 라오스 정부는 사회환경적인 문제를 함께 균형적으로 다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s of hydropower dams on the modernization of Laos since the 1990s with the case study of the Nam Theun 2 Dam. Hydropower development in Laos is as an example of governmental commitment to achieving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private players and international donor agencies, such as the World Bank and the Asian Development Bank have accelerated the expansion of hydropower dams in the country. The case study of the Nam Theun 2 Dam discloses a strong drive by the public sector for hydropower development, a rapid establishment of hydropower export, and the contribution of dam projects to boosting local economy. Long-term challenges are ahead, including ill-management of environmental issues, little voice from civil society, and a lack of vision for hydropower projects to balance between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achievements gained through hydropower development in Laos can be offset by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which should properly be tackled by the government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