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음암의 2예

        이명우(MW Lee),오보훈(BH Oh),이종현(JH Lee),이진용(JY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7 No.4

        저자는 1972년 2예의 외음암을 경험하였기에 증례보고와 간단한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Few cases of vulva cancer have been reported in Korea, although its known incidence accounts for 3-4% of all primary malignancies of the genital canal. Enaluations of the effect of radical operation on survival rate revealed that more aggressive surgical managemant had resulted in better cure rates than that of previously performed. Two cases of vulva cancer which were performed radical vulvectomy and groin dissections as one stage procedure were presente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완전 고환성 여성화증후군 1 례

        이종학,임화석,홍순도,송재경,이무원,이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5

        저자들은 19세된 외형상 여성으로서 원발성무월경을 주소로 입원한 완전 고환성 여성화증후 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mplete testicular feminization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presence of testis in phenotypic female with good breast development and complete female external genitalia and absence of female internal reproductive organs. In most of patient, sexual hairs were completely absent. We presented a case of testicular feminization syndrome with normal development of breast and female external genitalia, but with blindly ended vagina.

      • KCI등재

        난소의 유피낭포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의 1예

        이명우(MW Lee),김종우(CW Kim),신순철(SC Shin),이의형(E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6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arising from a dermoid cyst was reported and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herewith presented.

      • KCI등재

        질횡격막의 1례

        신면우(MW Shin),이효표(HP Lee),고영우(YW Koh),이진용(JY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3 No.10

        A case of transverse septum of vagina, obscuringthe cervix, with a cental opening of a few millimeters in diameter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concerned literature.

      • KCI등재

        폐경기 이후 부인에 병발한 융모암 1예

        신면우(MW Shin),서호석(HS Suh),이건용(KY Lee),문병준(BJ Moon),이선경(SK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5

        Long latent development of choriocarcinoma should be defined as one that occured more than 2 years after the cessation of pregnancy. Authors have recently experienced an unusual case of choriocarcinoma which developed 13 years after the last pregnancy in postmenopausal woman. An unusual case of long latent choriocarcinoma is presented with brief review of patient literature.

      • KCI등재

        자간전증 환자의 혈액검사와 간 및 신기능검사에 관한 연구

        이명화(MW Lee),안은숙(ES Ahn),안정자(JJ Ahn),우복희(B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5

        1987년 9월부터 1988년 3월까지 7개월간 이화대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분만한 산모중 50명을 대조군으로 하고 경증의 자간전증 52명, 중증의 자간전증 43명을 대상으로 입원시 분만전에 혈액검사, 간 및 신기능검사를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혈색소 및 적혈구 용적은 경증 자간전증 환자에서 모두 정상임신부에 비해 유의하게 낮 앗으며,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혈소판치는 정상임신부보다 경증의 자간전증에서 중증의 자간전증으로 감에 따라 점차 감소 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섬유소원치는 경증 및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서 정상임신부에 비해 각각 현저히 낮았으며 중 증과 경증을 비교할 때 역시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서 현저히 낮았다. 2.혈청 총단백질은 정상임신부에 비해 경증 및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서 각각 현저하게 낮았 으며 혈청 albumin치 역시 경증 및 중증의 자간전증 환자에서 정상임신부에 비해 역시 현저 히 낮앗다. 3.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SGOT)치는 경증자간전증 환자에서 정상 임신부 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치는 경증 및 중증의 자간전증 환자에서 정상임 신부에 비해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blood urea nitrogen(BUN)치는 경증 및 중증의 자간전증 환자에서 정상임신부에 비해 차이 가 없었으며 혈청 creatinine치는 중증자간전증 환자에서 정상임신부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혈청 뇨산치 역시 경증 자간전증 환자에서는 정상 임신부와 차이가 없었느나 중증 자간전증 환자에서는 정상임신부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1. The mean levels of hemoglobin, hematocrit in mild preeclampsia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ed when compr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pregnat control group , but those of severe preeclampsia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 The more severe the degree of preeclampsia was, the lower the platelet level was, but no significantly decrease were detected in both of mild and severe preeclampsia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Fibrinogen levels in both of mild and severe preeclampsi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at of severe preeclampsia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n compared with that of mild preeclampsia group . 2.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levels in both of mild and severe preeclampsia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 3. SGOT level of mild preeclampsia and severe preeclampsia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 Serum AP level of mild preeclampsia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ed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 but that of severe preeclampsia group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 4. BUN levels in both of mild and severe preeclampsia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 Serum creatinine and uric acid levels of mild preeclampsia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from those of the control group, but those of severe preeclampsia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모성사망 25 년간 ( 1961∼85 ) 연구

        이명화(MW Lee),우복희(BH W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2

        1. 과거 25년간(1961∼`85), 서울지역 이대병원 모성사망율의 추세는 1960년대 생존출생아 10만당 187예에서 최근 1980년대 전반(1981∼`85) 127로 현저하게(30%가) 감소하였으나, 아직 높은 추세에 있다. 도착모성사망율도 1960년대 사망률 153에서 최근 1980년대 전반의 50으로 더욱 현저하게(66%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최근 1980년대 전반에 있어서의 병원사의 주요 원인은, 역시 자간전증 및 자간증(10만당 34), 감염(34), 출혈(25) 및 융모암(25)등이었다. 과거 25년간 자간전증 및 자간증의 사망률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추세에 있었으나(1960년대에 136→1980년대 전반에 34), 출혈사는 고착상태에 있었으며(1960년대에 20→1980년대 전반에 25), 감염사는 오히려 증가추세에 있었다(1960년대에 10→1980년대 전반에 34). 도착사도 과거 25년간, 자간전증 및 자간증은 더욱 현저하게 감소되었고(1960년대에 39→1980년대 전반 8), 출혈사도 감소되었으며(1960년대 69→1980년대 전반에 33), 감염사는 산발적으로 있었을 뿐이었다. 3. 자간전증사 및 자간사는 지난 25년간, 그들 고혈압환자인구 중 사망률 에 있어서 조금도 개선되지 않는 추세에 있었다. 4. 과거 25년가 병원감염사에 있어서 임신중절로 인한 사망은 7예로써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으며, 제왕절개술로 인한 사망은 5예로서 산발적으로 나타났다. 도착사에서의 감염사는 모두 임신중절에 의한 사망이었으며 역시 가끔 볼 수 있었다. 5. 융모암에 의한 모성사망은 25년간 9예로서 그 중 75%(6예)는 서울지역(비전문급)에서 전입되어온 예이었으며(내용물 불완전 불완전 제거), 그들은 모두(100%) 폐나 뇌로 이미 전이되어 있어서 예방불가능한 상태이었음은 주목되었다. 6. 연령별 모성사망율의 분포는, 과거 20년전에는 26∼30세에 많았으나, 최근 1980년대 전반에는 25세이하의 더 젊은 연령층에 많았다. 7. 과거 25년간 병원사와 도착사는 모든 임신 후 1/3기에 많이 일어났으며, 최근 1980년대 전반에는 임신 중 1/3기에서 사망률 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8. 자가분만과 관련된 병원모성사망(태반잔류 등)은 1960년대 21%였으나, 최근 1980년대 전반에는 7%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9. 분만 및 임신중절과 관련된 병원사 및 도착사는 93예 중 45예(48.4%)가 임신종료후 24시간 이내 사망하였다. Maternal mortality is always an important problem, irrespective of developing or developed countries in all over the worlds. For the past 25 years period(1961-85), there have encountered quite large number of 140 maternal deaths including 82 cases of hospital deaths and 58 cases of deaths on arrival among 48,538 live births in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Seoul, capital city district. All the deaths were regularly records and analyzed by the hospital maternal mortality conference. 1. The hospital maternal mortality rate over the recent early 1980s period(1881-85) were 15 deaths or 127 per 100,000 live births, and it was reduced about 30% compared with 185 of the early 1960s(19 deaths in 1961-66). 2. The leading causes of hospital maternal deaths over the recent early 1980s were preeclampsia/eclampsia(34 per 100,000 live births), infection(34), hemorrhage(25) and trophoblastic disease(25). 3. In reviewing the trend of maternal mortality rates over the past 25 years, preeclampsia and eclamptic deaths were dramatically declined(136 per 100,000 to 100, 62, 12 or 34). However hemorrhagic deaths(rate of 20, 10, 12, 36 or 25) and infection deaths(rate of 10, 20, 37, 48 or 34) were basically unimproved or even more steadily increasing. Mortality rate of trophoblastic desease(all metastatic choriocarcinomas) also unforly showed decrease in the tendency. Deaths related to the pregnancy termination which was mainly due to sepsis also revealed increased rate in the trend(rate of 10, 12, 36 or 17) over the 20 years. Death from cesarean section accounted for 21 cases or 20% of maternal deaths, and the major cause was operative complications(10 cases, 48% of cesarean deaths) including 5 anesthetic deaths and 4 septic deaths overwhelmingly. 4. In recent early 1980s the overall probable preventable hospital death estimated 11 cases of 73% of deaths including 3 deaths from delayed admission(20%) and 8 from managemental complications(53%), and overall reduction of the avoidable deaths was frotunately 23% compared with early 1960`s of 95% or 18dea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